KR101360518B1 - 신속 커넥터를 위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신속 커넥터를 위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518B1
KR101360518B1 KR1020060053019A KR20060053019A KR101360518B1 KR 101360518 B1 KR101360518 B1 KR 101360518B1 KR 1020060053019 A KR1020060053019 A KR 1020060053019A KR 20060053019 A KR20060053019 A KR 20060053019A KR 101360518 B1 KR101360518 B1 KR 10136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dy
clip
delete delete
post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637A (ko
Inventor
리챠드 엠. 페페
Original Assignee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6013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 Y10T29/49778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with aligning, guiding, or instruction
    • Y10T29/4978Assisting assembly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중공의 암형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수용된 확장된 환형 업셋을 갖는 수형부재와, 상기 수형부재를 커넥터 본체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2개의 삽입 검증기 조립체는 클립과, 이와 함께 연결되는 견인부재를 갖는다. 클립은 커넥터 본체에 부착된다. 상기 클립은 2개의 레그를 연결하는 가요성 횡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횡단부재는 레그들중 하나를 향해 그 중앙으로부터 중첩되는 비대칭 태브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외측면상에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태브와 돌출부는 커넥터 본체 및 튜브에 대한 클립의 적절한 지향을 보장한다. 리테이너에 의해 고정된 업셋에 의해, 이것은 레그를 변형시켜 클립이 커넥터 본체로부터 분리되도록 클립의 2개의 레그와 접촉된다. 그러나, 견인부재 및 클립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수형 부재를 갖는 견인력이 견인부재상에 발휘된 경우 분리된다. 클립은 커넥터 본체상에 지지된다.
클립, 견인부재, 레그, 후크, 래치, 포스트, 핑거, 림, 보어, 링

Description

신속 커넥터를 위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PULL TAB VERIFIER ASSEMBLY FOR QUICK CONNECTOR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확대측면도.
도2는 도1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암형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암형 커넥터 본체의 정면도.
도4는 도2의 암형 커넥터 본체의 측면도.
도5는 선5-5를 따른 도4의 암형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
도6은 선6-6을 따른 도3의 암형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
도7은 도1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8은 도7의 리테이너의 부분단면도.
도9는 도1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의 사시도.
도10은 도9의 클립의 정면도.
도11은 도9의 클립의 배면도.
도12는 선12-12를 따른 도11의 플립의 측단면도.
도13은 도1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의 견인부재의 후방 부분단면도.
도14는 도13의 견인부재의 평면도.
도15는 선15-15를 따른 도13의 견인부재의 측단면도.
도16은 리테이너 및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가 암형 커넥터 본체와 조립된 후, 도1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측면도.
도17은 리테이너가 제거된, 선17-17을 따른 도16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후방 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확대한 부분단면도.
도19는 수형부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리테이너가 제거된 도17과 유사한 후방 단면도.
도20은 수형 분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경우 클립으로부터 분리된 견인부재를 도시하는, 리테이너가 제거된 도17과 유사한 단면도.
도21은 클립에 대한 견인부재의 가요성을 도시하는, 도1의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사시도.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1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의 배면도.
도23은 도22의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의 바닥 단면도.
도24는 도22의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의 클립의 배면도.
도25는 선25-25를 따른, 도24의 클립의 측단면도.
도26은 도22의 견인태브 검증 조립체의 견인부재의 배면도.
도27은 선27-27을 따른, 도26의 견인부재의 바닥 단면도.
도28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제2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의 클립의 배면도
도2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확 대단면도.
도30은 수형부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경우 파괴된 클립의 포스트를 도시하는, 리테이너가 제거된 도28의 클립을 사용하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의, 도16의 선17-17과 유사한 선을 따라 취한 후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플링 12: 수형부재
14: 본체 16: 리테이너
18: 검증기 조립체 20: 튜브
22: 업셋 28: 보어
40, 46: 림 52: 윈도우
58: 슬롯 72: 스템
본 발명은 2005년 6월 15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690.965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포함하는 유체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수형 부분과 암형 부분 사이에 적절한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는 시각 및 촉각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견인태브 튜브삽입 검증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및 기타 다른 용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유체밀착 상태로 암형 커넥터 본체에 수용되어 지지되는 수형부재를 포함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은 2개의 부품이나 도관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여 이러한 두 부품 사이에 유체라인을 설정하는 유체연결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신속 커넥터 커플링을 사용하면, 최소한의 시간 및 경비로 밀봉된 및 고정된 유체라인이 설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암형 커넥터 본체내에 수용된 리테이너는 수형부재를 커넥터 본체내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형태의 리테이너중 한가지는 수형부재상에 형성된 방사방향 업셋(upset)과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방사방향 표면 사이로 연장되는 다수의 로킹 비임을 포함하므로써, 커넥터 본체로부터 수형부재의 후퇴를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리테이너는 본 기술분야에서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여러가지 유체라인 용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수형부재 및 암형부재 본체 사이의 부적절한 연결 또는 불완전한 연결은 불필요한 상태이다. 유체 시스템에서의 누설은 여러장소에서 발생할 것이다. 만일 유체가 압축성이고 인화성이라면, 잠재적으로 위험한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형부재 및 암형 커넥터 본체 사이에 적절한 연결이 설정되었음을 검증할 수 있는 신뢰성이 양호한 정확한 수단이 요망되고 있다.
적절한 연결을 검사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은 커넥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형부재상에서 물리적으로 잡아당기는 것이다. 만일 수형부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로부터 후퇴한다면, 부적절한 연결임이 분명하다.
이러한 연결 검증방법에 대한 신뢰성은 여러가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적 절한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수형부재상에 발휘되는 견인력은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수형부재를 커넥터 본체로부터 후퇴시키기에는 불충분하여, 적절한 연결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유발시킨다. 물리적 검사에 대한 단독 신뢰성과 연관된 또 다른 문제점은, 커플링이 실제로 검사되었으며 이러한 커플링이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는 점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줄 표시나 검증이 남아있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커넥터의 물리적 변위는 이러한 접근을 비현실적이게 한다.
때로는 적절한 연결을 청각적으로 검증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수형부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에 삽입될 때, 수형부재가 정위치에 로킹되었을 때는 청취가능한 "딸깍"하는 소리가 들린다. 이러한 "딸깍"하는 소리는 수형부재상에 형성되어 있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업셋부의 후방에서 정위치에 스냅되는 암형 커넥터 본체내에 수용되는 리테이너의 탄성 지지비임에 의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검증 방법은 여러가지 관점에서 부족하다. 딸각 소리는 매우 조용하거나 들을 수 없으므로, 그 검출이 어렵다. 리테이너가 제조되는 물질은 최종 딸각 소리에 영향을 끼친다. 작업장에서의 배경 소음은 이러한 작업을 더욱 어렵게 한다. 물론, 오디오 검증 방법은 본래 설치자의 청각 인식에 의해 한정된다.
촉각 또는 시각적 연결 표시기의 일반적인 형태는 견인태브 삽입 검증기이다. 이러한 형태의 시각적 검증기의 실시예는 와시즈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946.205호와 스자보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5.152.555호 및 곤도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5.897.14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견인태브 검증기는 전형적으로 핸들과, 2개의 레그를 포함하며, 이러한 레그 각각은 암형 커넥터 본체에 형 성된 대응의 시트와 결합되는 래치를 포함한다. 수형부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면, 수형 커넥터 본체의 업셋은 견인태브 검증기의 래치와 접촉되고, 커넥터 본체의 시트로부터 외측으로 레그를 펼쳐서, 견인태브 검증기가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나머지로부터 용이하게 당겨질 수 있게 한다.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나머지로부터 견인태브를 제거하면, 수형부재가 암형 커넥터에 완전히 연결되었다는 시각적 및 청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이러한 견인태브는 수형부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만일 견인태브 검증기가 래치를 그 시트로부터 이동시킬 정도로 충분한 힘으로 당겨진 경우에는 수형부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내로 완전히 삽입되었다는 잘못된 표시를 제공한다. 오흐타 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6.145.886호에는 핸들 부분에서 벽 두께를 감소시키는 노치를 갖는 핸들을 형성하므로써 이러한 잘못된 표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핸들이 충분한 힘으로 당겨지고, 수형부재가 암형 연결부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핸들은 그 시트를 이동시키는 래치가 아닌 노치에서 파손될 것이다. 이러한 견인태브 검증기는 때로는 의도된 삽입 이전에 노치에서 파손되어, 검증기가 그 의도한 목적을 실행할 수 없게 한다.
본 발명의 배치는 핸들의 불의의 분리를 감소시키면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가 신속 커넥터 커플링의 나머지로부터 당겨지기 전에 수형부재가 암형 커넥터내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치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의 나머지로부터 의도적으로 또는 비의도적으로 분리되었을 경우 핸들의 재부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배치는 커넥터 본체로의 수형부재의 삽입에 따라, 래치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진 리드면이 수형부재를 수용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부가로 제공한다. 이것은 수형부재를 수용하는 래치측에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게 하므로, 래치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래치에 비해 더욱 양호한 구조적 일체성을 제공하며, 커넥터 본체에 수형부재의 삽입시 레그에 대한 래치의 굴곡을 방지한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커넥터 커플링(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신속 커넥터 커플링(10)은 관형의 수형부재(12)와, 중공의 암형 커넥터 본체(14)와, 상기 수형부재(12)를 커넥터 본체(14)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16)와,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를 포함한다.
상기 수형부재(12)는 유체라인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공의 단단한 튜브(20)의 단부에 형성된다. 수형부재(12)가 형성되는 튜브(20)는 유체라인 시스템의 부품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그 자체가 유체라인 시스템의 부품이 된다. 수형부재(12)는 방사방향으로 확장되는 환형의 플랜지 또는 업셋(22)을 포함하며, 이러한 업셋은 단부(24)로부터 설정의 거리에 형성된다. 상기 단부(24)는 커넥터 본체(14)내로 수형부재(12)의 삽입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둥글게 되거나 경사져서 형성된다. 부드러운 원통형의 밀봉부(26)는 업셋(22)과 단부(24)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밀봉부(26)는 튜브의 외측면에 의해 형성되며, 튜브(20)의 직경과 거의 동일 한 직경을 갖는다.
도2 내지 도6에는 암형 커넥터 본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는 나일론(12) 등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형 커넥터 본체(14)는 중공이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축선(29)에 중심잡힌 보어(28)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축방향" 및 "축방향으로"라는 용어는 축선(29)을 따른 길이방향을 의미하는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측방향", "측방향으로", "횡단방향", "횡단방향으로"라는 용어는 축선을 향하여 또는 축선으로부터 멀어져서 축선(29)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커넥터 본체(14)의 보어(28)는 대직경의 수형부재 수용단부(31)로부터 소직경의 호스 연결단부(33)까지 커넥터 본체를 통해 완전히 연장된다.
신장된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0)은 커넥터 본체(14)의 수형부재 수용단부(31)에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0)은 후방 대향면(34)과 전방 대향면(36)이 구비된 입구 림(32)을 포함한다. 입구 림(32)은 보어(28)로의 입구 개구(38)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후방" 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축선(29)을 따라 호스 연결단부(33)를 향해 수형부재 수용단부(31)로부터 축방향으로의 방향을 의미함을 인식해야 한다. "전방"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중앙 축선(29)을 따라 수형부재 수용단부(31)를 향해 호스 연결단부(33)로부터 축방향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0)은 180°이격된 2개의 후방 안내림(40)과, 4개의 전방 안내림(46)을 부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안내림(40)은 후방 대향면(42) 과 전방 대향면(44)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방 안내림(46)은 후방 대향면(48)과 전방 대향면(50)을 갖는다.
원주방향으로 변위되는 한쌍의 사각형 윈도우(52)는 커넥터 본체(14)를 통해 형성된다. 각각의 윈도우(5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림(32)의 후방 대향면(34)과, 대응의 후방 안내림(40)의 전방 대향면과, 상부 엣지(54)와, 바닥 엣지(56)에 의해 형성된다. 4개의 견인태브 안내 슬롯(58)은 후방 안내림(40)의 전방 대향면(44)과 전방 안내림(46)의 후방 대향면(48)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견인태브 안내 슬롯(58)은 서로 정렬되어 있다. 또 다른 2개의 정렬된 견인태브 안내 슬롯(58)은 원주방향으로 180°변위되어 있다. 각각의 윈도우(52)가 후방 안내림(40)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윈도우(52)의 후방부는 2개의 정렬된 견인태브 안내 슬롯(58) 사이에 배치된다. 상부 견인태브 안내 슬롯(58)의 바로 아래의 상부 엣지(54)는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의 후크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59) 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신속 커넥터 커플링(10)은 수평면에 배치된 길이방향 정도로 도시되었으며; "상부", "바닥", "측부" 등과 같은 용어는 커넥터 본체(14)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었음을 인식해야 한다. "상부"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사용시 커넥터 커플링(10)은 수직면 및 수평면과는 관계없이 그 어떠한 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바닥"은 단지 도시를 위해서만 연관되어 있다.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두된 H형 돌출부(60)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0)의 상부 외측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60)는 윈도우(52)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약 90°이격되어 있다. 돌출부(60)는 중앙의 비임부(62)와, 상기 비임부(62)와 일체인 측방향의 비임 돌출부(64, 66)를 포함한다. 후방의 측방향 비임부(64)는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로부터 연장되는 정렬태브를 수용하기 위해 절단되었다. 커넥터 본체(14)의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0)은 2개의 모따기된 표면(67)을 포함하며, 이러한 표면은 하나의 견인태브 안내 슬롯(58)과 돌출부(60)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14)는 밀봉 하우징 부분(68)과, 튜브 수용부(70)와, 입구(38)와 대향하는 커넥터 본체(14)의 호스 수용단부(33)에 있는 스템(72)을 부가로 포함한다. 가요성 튜빙(도시않음)으로 커넥터 본체(14)의 연결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스템(72)의 외측부에는 고리형 부분(74)이 형성된다. 상기 스템(72)은 가요성 튜빙과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개구(76)를 형성한다.
후방 O링 밀봉부(78)와, 스페이서(80)와, 전방 O링 밀봉부(82)는 커넥터 본체(14)의 밀봉 하우징 부분(68)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O링(78, 82) 및 스페이서(80)는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O링(78, 82)은 보어(28)의 내부에 단단히 끼워지는 칫수를 가지며, 수형부재(12)의 밀봉부(26) 주위에 단단히 끼워진다. O링(78, 82) 및 스페이서(80)는 보어(28)에 배치되어, 슬리브(8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슬리브(84)는 단단한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형부재(12)와 커넥터 본체(14) 사이에 유체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2 개의 O링(78, 82)을 사용하였지만, 수형부재와 커넥터 본체 사이에 유체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O링 및 스페이서 대신에 단일의 O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리테이너(16)는 커넥터 본체(14)의 내부에 수형부재(12)를 고정하기 위하여, 입구(38)에 인접하여 커넥터 본체(14)의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0)에 배치된다. 상기 리테이너(16)는 나일론 6-12 등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테이너(16)는 베이스 링(8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로킹 부재(8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링(88)은 수형부재(12)의 밀봉부(26)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이스 링(88)은 수형부재 밀봉부(26)의 외경 보다 약간 크지만 수형부재 업셋(22)의 직경 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중앙의 환형 개구(90)를 형성한다. 따라서, 수형부재(12)의 밀봉부(26)는 베이스 링(88)을 통과할 수는 있지만, 업셋(22)은 그렇지 못하다.
로킹 부재(86)는 베이스 링(88)과 일체로 연결되어 이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로킹 부재(86)는 베이스 링(88)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평행한 지지비임(92)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지지비임(92)은 횡단비임(94)에 의해 베이스 링(88)으로부터 멀리있는 그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횡단비임(94)은 커넥터 본체(14)의 입구 림(32)을 수용하는 홈(98) 및 핑거 해제태브(96)를 포함한다. 2개의 횡단비임(94) 사이의 방사방향 이격거리는 업셋(22)의 외경 보다 크다. 따라서, 수형부재(12)와 업셋(22)은 모두 저항없이 횡단 비임(94)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리테이너 비임(100)은 각각의 횡단비임(94)상에서 중앙에 배치되며, 로킹 부 재(86)의 지지비임(92)에 걸쳐져 있다. 각각의 지지비임(100)은 업셋 접촉면(102)에서 종료되는 방사내향의 수렴각으로 횡단비임(94)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업셋 접촉면(102)은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된 후 수형부재 업셋(22)과 접촉된다. 업셋 접촉면(102)과 베이스 링(88) 사이의 축방향 이격은 적어도 업셋(22)의 축방향 폭 보다 커야만 한다. 2개의 지지비임(100)의 업셋 접촉면(102) 사이의 방사방향 이격거리는 수형부재 업셋(22)의 직경 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지지비임(100)은 업셋(22)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하여 방사외향으로 가압되어야만 한다. 각각의 지지비임(100)은 커넥터 본체 접촉면(104)을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본체 접촉면(104)은 리테이너(16)가 커넥터 본체(14)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후, 입구 림(32)의 후방 대향면(34)과 접촉된다. 경사진 외측면(105)은 업셋 접촉면(102)과 커넥터 본체 접촉면(10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경사진 외측면(105)은 업셋 접촉면(102)을 향해 방사내향으로 경사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삽입 검증기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의 형태를 취한다. 이것은 클립(106)과, 상기 클립(106)에 연결되거나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분리된 견인부재(108)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106)은 도9 내지 도12에 도시되어 있다. 클립(106)은 횡단부재(112)에 의해 그 한쪽 단부에 접합되어 이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신장된 평행 레그(110)를 포함한다. 상기 레그(110)는 후방 안내림(40)과 전방 안내림(46)에 의해 형성된 견인태브 안내 슬롯(58)의 폭 보다 약간 작은 두께를 갖는다. 한쌍의 래치(114)는 레그의 내측면으로부터 다른쪽 래치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9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래치(114)는 경사진 리드면(116)을 가지며, 이러한 리드면은 레그(110)의 전방 대향면(111)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또한 방사외향으로 경사져 있다. 각각의 래치(114)는 경사지지 않은 평탄면(118)을 가지며; 이러한 평탄면은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커넥터 본체에 부착된 후, 레그(110)의 전방 대향면(111)에 의해 평형된 평면에 평행하며, 커넥터 본체(14)의 축선에 거의 수직하다. 상기 평탄면(118)은 클립(106)의 후방과 대면하고 있다. 각각의 래치(114)는 경사진 바닥 엣지(120)와, 튜브 결합 엣지(122)와, 경사진 상부 엣지(124)와, 상향으로 연장되는 후크(126)를 포함한다.
핑거부(132)를 갖는 원통형 포스트(128)는 횡단부재(112)의 상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포스트(128)의 상단부 또는 자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거리 연장되는 슬롯(130)을 형성한다. 상기 슬롯(130)에 의해, 포스트(128)의 2개의 연장된 핑거부(132)는 포스트(128)로 하여금 작은 직경을 형성하게 하는 방사 내향력을 적용하였을 때,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되게 한다. 상기 포스트(128)는 슬롯(130)의 길이보다 상당히 작은 길이를 가지며 핑거(132)의 부품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웨브(131)를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웨브(131)는 핑거부(132)의 굴곡능력을 서로를 향해 집중시킨다. 핑거부(132)의 상부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림(134)을 포함하며, 이러한 림은 각각의 핑거부(132)로부터 방사외향으로 연장된다. 림(134)의 상부는 둥근 상부 결합면(137)을 형성한다. 림(134)의 바닥은 하부의 둥근 결합면(139)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부 결합면(137) 및/또는 하부 결합면(139)은 경사질 수도 있다. 포스트(128)가 견인부재(108)의 구멍에 삽입될 때, 상부 결합면(137)의 둥근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에 의해 방사 내향력이 생성되어 상기 핑거부(132)를 서로를 향해 굴곡시킬 수 있게 한다. 견인력이 견인부재(108)상에 발휘될 때, 하부 결합면(139)의 둥근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로 인해, 방사 내향력이 생성되어 핑거부(132)를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시킨다. 핑거부(132)가 서로를 향해 굴곡될 때, 림(134) 주위의 주변길이는 힘이 인가되지 않을 때의 주변길이 보다 작아서,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견인부재(108)가 클립(106)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상기 클립(106)은 클립(106)의 후방 대향면(135)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정렬태브(136)를 부가로 포함하며, 한쪽 레그(110)를 향해 클립(106)의 한쪽에 중첩된다. 상기 정렬태브(136)는 커넥터 본체(14)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60)의 절두된 측방향 비임부(64)로 부터 이격되어 그 단부에 삽입되지만; 만일 클립이 180°로 설치되었을 경우 완전 측방향 비임부(66)의 상부와 접촉하여, 커넥터 본체(14)를 향해 방사내향으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의 또 다른 이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정렬태브(136)의 관계는 절두된 측방향 비임부(64)의 단부에만 끼워질 수 있으며, 클립(106)이 커넥터 본체(14)에 적절히 부착되는 것을 보장하므로, 경사진 리드면(116)이 커넥터 본체(14)의 입구(38)와 대면할 수 있다. 노치(138)는 횡단부재(112)의 바닥에 형성된다. 상기 노치(138)는 커넥터 본체(14)에 적절히 부착된 클립에 따라, 돌출부(60)의 중앙 비임부(62)가 그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크기를 갖는다.
도13 내지 도15에는 견인부재(10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견인부재(108)는 클립(106)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만일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커넥터 본체(14)로부터 당겨지는데 필요한 힘 보다 큰 힘으로 견인부재(108)가 당겨질 수 있다면, 견인부재(108)는 클립(106)으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견인부재(108)는 베이스(140)와, 상기 베이스(140)로부터 연장되는 링(142)을 포함한다. 상기 링은 2개의 수평 컬럼(144)과, 2개의 수직 컬럼(146)과, 반원형 아치(148)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컬럼(144)의 두께는 수직 컬럼(146)의 두께 보다 얇다. 베이스(140)는 베이스(140)의 상부면(141)상에서 개구(1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멍(150)을 형성한다. 상기 구멍(150)은 포스트의 2개의 핑거부(132)가 굴곡되지 않은 상태일 때는 포스트(128)의 림(134)의 외경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구멍(150)은 포스트(128)의 2개의 핑거부(132)가 내측으로 굴곡되었을 때는 림(134)의 외경 보다 크다.
수형부재(12)를 커넥터 본체(14)에 삽입하기 전에, 리테이너(16) 및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는 커넥터 본체(14)에 각각 조립된다. O링(78, 32)과 스페이서(80) 및 슬리브(84)가 보어(22)내로 삽입된 후, 리테이너(16)는 커넥터 본체에 설치된다. 리테이너(16)의 설치시, 지지비임(100)의 외경이 입구 림(32)의 내경 보다 크기 때문에, 로킹부재(86)는 입구 림(32)을 클리어하도록 내측으로 굴곡되어야만 한다. 로킹 부재(86)의 이러한 굴곡은 커넥터 본체(14)내로 리테이너(16)의 삽입중, 지지비임(100)의 경사진 외측면이 미끄러지거나 입구 림(32)에 대해 캠동 작할 때 촉진된다. 해제태브(96)를 방사내측으로 가압하는 동작은 지지비임(100)의 클리어에 도움을 주는데 이용된다. 일단 지지비임(100)이 입구 림(32)을 클리어하면, 로킹부재(86)는 리테이너(16)를 커넥터 본체(14)에 고정하기 위해 방사내향으로 스냅된다. 고정된 위치에서, 커넥터 본체(14)의 입구 림(32)은 리테이너(16)의 홈(98)에 배치되므로, 입구 림(32)의 전방 대향면(36)은 해제태브(96)와 접촉하게 되며, 입구 림(32)의 후방 대향면(34)은 커넥터 본체와 접촉한 상태로 커넥터 본체(14)에 대한 리테이너(16)의 축방향 이동을 한정하는 접촉면(104)이다. 또한,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비임(100)은 커넥터 본체(14)에 형성된 윈도우(52)에 배치된다.
커넥터 본체(14)에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를 조립하기 전에, 견인부재(108)는 클립(106)의 포스트를 견인부재(108)의 베이스(140)에 형성된 구멍(150)에 삽입하므로써, 클립(106)에 고정된다. 포스트(108)가 구멍(150)에 삽입될 때, 포스트(128)의 림(134)의 상부 결합면(137)은 베이스(140)의 바닥면과 접촉한다. 상부결합면(137)의 둥근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로 인해, 구멍(150)내로의 포스트(128)의 지속적인 삽입은 포스트(132)의 2개의 핑거부(137)상에 방사내향의 힘을 생성하여, 상기 핑거부(132)가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되게 한다. 내측으로 굴곡된 포스트(128)의 2개의 핑거부(132)에 의해, 포스트(128)의 직경은 구멍(150)의 직경 보다 작아지게 되어, 포스트(128)는 베이스(140)의 구멍(150)을 통해 계속 삽입될 수 있다. 일단 림(134)이 클립(106)의 베이스(140)를 초과하였다면, 포스트(128)의 2개의 핑거부(132)는 클립(106)의 견인부재(108)를 고정하기 위해 서로 외향으로 스냅된다. 림(134)이 구멍(15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기 때문에, 포스트(128)의 2개의 핑거부(132)가 굴곡되지 않은 상태일 때, 개구(151)의 방사 외향인 베이스(140)의 상부면(141)은 림(134)의 바닥 결합면(139)과 접촉된다. 따라서, 상당한 견인력이 발휘되어 포스트(128)의 2개의 핑거부(132)를 내측으로 굴곡시키지 않는한, 견인부재(108)는 포스트(128)의 단부를 미끄러질 수 없다.
견인부재(108)를 클립(106)에 해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견인부재(108)가 클립(106)의 포스트(128)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후,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는 커넥터 본체(14)에 조립된다. 커넥터 본체(14)에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를 조립하기 위하여,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는 측면에서 투시하였을 때 커넥터 본체(14)의 축선을 횡단하거나 수직하게 클립(106)의 레그(110)로 지향되며, 상기 각각의 레그(110)는 커넥터 본체(14)의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0)상에 형성된 대응의 정렬된 견인태브 안내 슬롯(58)과 정렬된다.
상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는 레그(110)의 경사진 리드면(116)이 커넥터 본체(14)의 암형 커넥터 본체의 입구(38)와 대면하도록 지향된다. 이에 의해, 수형부재(12)가 경사진 리드면(116)과 접촉하게 되어, 수형부재(12)가 커넥터 본체(14)로의 삽입시 레그(110)를 외측으로 펼칠 수 있게 된다. 견입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입구(38)와 대면하고 있는 경사진 리드면(116)으로 지향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횡단부재(112)로부터 돌출되는 정렬태브(136)는 클립(106)상에 배치되므로, 만일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입구(38)와 대면하고 있는 경사진 리드면(116)에 설치되지 않는다면, 절두되지 않은 측방향 비임부(66)의 상부면과 접 촉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적절히 설치되어서 경사진 리드면(116)이 입구(38)와 대면하였다면, 정렬태브(136)는 절두된 측방향 비임부(64)에 인접하여 배치될 것이다. 경사진 리드면(116)이 입구(38)와 대면할 경우에만, 완전 측방향 비임부(66)의 상부와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절두된 측방향 비임(64)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에 끼워질 수 있는 정렬태브(136)의 능력은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적절히 설치되었다는 명확한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도시의 실시예에서 후방 측방향 비임부(64)가 절두되었기 때문에, 상기 정렬태브(136)는 커넥터 본체상에 도시의 실시예의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설치되었을 때, 절두된 측방향 비임부(64)를 향해 후방으로 대면하게 된다. 만일 경사진 리드면이 커넥터 본체의 입구와 대면할 경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가 커넥터 본체에만 설치될 수 있도록, 정렬태브가 커넥터 본체의 대응의 부분에 키이결합되는한, 클립의 또 다른 위치상에 정렬태브를 배치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레그(110)의 래치(114) 사이의 거리가 견인태브 안내 슬롯(58)을 형성하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0)의 외측면 폭 보다 작기 때문에, 클립(106)의 레그(110)는 견인태브 안내 슬롯(58)을 형성하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0)의 외측면을 클리어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굴곡되어야만 한다.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윈도우(52)를 향해 하방으로 가압되었을 때 레그(110)를 외측으로 굴곡시키기 위하여, 래치(114)의 경사진 바닥 엣지(120)는 리테이너 하우징 부분(30)의 모따기된 표면(67)을 미끄러지거나 이러한 표면에 대해 캠동작된다. 래치(114)가 상기 모따기 된 표면(67)을 초월한 후, 각각의 래치(114)는 윈도우(52) 위에 배치된 대응의 견인태브 안내 슬롯(58)에 배치된다. 일단 래치(114)가 윈도우(52)를 형성하는 상부 엣지(54)를 클리어하였다면,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그(110)는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커넥터 본체(14)의 대응의 시트(59)와 결합되는 각각의 후크(126)를 갖는 윈도우(52)내로 외측으로 스냅된다. 이와 동시에, 클립(106)의 횡단부재(112)는 돌출부(60)의 2개의 측방향 비임부(64, 66) 사이에서 이와 접촉되어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후방 측방향 비임부(64)가 절두되었기 때문에, 횡단부재(112)의 후방 대향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정렬태브(136)는 절두된 측방향 비임부(64)로부터 이격되어, 차후의 절두된 측방향 비임부에 끼워질 수 있다. 2개의 측방향 비임부(64, 66)와 접촉되어 있는 클립(106)의 횡단부재(112)와, 후방 및 전방 안내림(40, 50)과 접촉되어 있는 클립(106)의 레그(110)에 의해, 클립(106)은 커넥터 본체(14)에 대해 축방향으로 억제된다.
커넥터 본체(14)상에 설치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와 커넥터 본체(14)에 삽입된 리테이너(16)에 의해, 수형부재(12)는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삽입되어, 커플링 조립 처리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리테이너(16)와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커넥터 본체(14)상에 조립된 직후, 수형부재(12)와 암형 커넥터 본체(14)의 연결이 동일 설비상에서 실행된다. 선택적으로, 수형부재(12)는 본래의 설비 제조자(OEM)의 조립 플랜트 등과 같은 상이한 설비에서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4)내로 수형부재(12)의 삽입시, 업셋(22)이 리테이너(16)의 지 지비임(100)의 방사 내측면과 접촉하였을 때, 수형부재(12)의 삽입에 대한 저항이 발생된다. 지지비임(100)이 횡단비임(94) 주위에서 굴곡될 수 있기 때문에, 수형부재(12)에 충분한 축방향 내향력을 부여하면 지지비임(100)이 외향으로 굴곡되어, 업셋(22)은 업셋이 지지비임(100)의 자유단부를 초월할 때까지 축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단 이러한 상황이 발생되면, 지지비임(100)은 업셋(22)과 접촉된 업셋 접촉면(102)에 방사내향으로 스냅된다. 한쪽 축방향 단부에서 업셋 접촉면(102)과 접촉되어 있고 다른쪽 축방향 단부에서 베이스 링(88)과 접촉되어 있는 업셋(22)에 의해, 상기 수형부재(12)는 리테이너(16) 및 커넥터 본체(14)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커넥터 본체로부터 수형부재(12)의 일련의 후퇴가 방지된다.
암형 커넥터 본체(14)와 완전히 연결된 수형부재(12)로 인해, 업셋(22)은 리테이너(16)의 베이스 링(88)과 업셋 접촉면(10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수형부재(12)의 업셋(22)은 래치(144)의 튜브 결합엣지(122)와 접촉하여,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의 레그(110)를 외측으로 펼쳐지게 한다.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의 레그(110)가 외측으로 펼쳐졌을 때, 각각의 후크(126)는 그 대응의 시트(59)를 클리어하므로써,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는 상향으로 당겨져서 검증기 조립체(18)를 큰 저항없이 커넥터 본체(1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커넥터 본체(14)로부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의 성공적인 제거는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만일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다면, 수형부재(12)는 커넥터 본체(14)에 축방향 내측으로 충분히 삽입될 수 없어서 업셋(22)이 리테이너(16)의 지지비임(100)의 자유단부를 초월하게 되고,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의 후크(126)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의 시트(59) 바로 아래로 유지되어 이와 결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견인력이 견인부재(108)에 발휘되었을 때, 하부 결합면(139)의 둥근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에 의해 방사 내향의 힘이 생성되어, 핑거부(132)를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시킨다.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내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커넥터 본체(14)로부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 보다 큰 힘으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의 견인부재(108)를 당겼다면, 견인력은 포스트(128)의 2개의 핑거부(132)를 견인부재(108)의 구멍(15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내측으로 굴곡시킬 수 있는 내향력을 생성시킨다. 계속적인 견인력은 견인부재(108)의 구멍(150)을 통해 클립(106)의 포올을 미끄러져서, 견인부재(108)를 클립(106)으로부터 분리시킨다.
포스트(128)에 고정되어 있는 견인부재(108)없이, 커넥터 본체(14)에 부착된 클립(106)은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다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견인부재(108)는 베이스(140)에 형성된 구멍에 포스트가 배치될 때까지 또한 림(134)이 베이스(140) 위에 배치될 때까지, 견인부재(108)의 베이스(140)를 포스트(128) 위로 미끄러지게 하므로써 클립(106)에 부착될 수 있다. 클립(106)에 재부착된 견인부재(108)로 인해, 수형부 재(12)는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커넥터 본체에 계속 삽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커플링(10)은 먼저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부재(14)에 완전히 삽입된 후 견인부재(108)를 클립(106)에 재부착될 수 있게 한다. 일단 견인부재(108)가 클립(106)에 재부착되고, 수형부재(12)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커넥터 본체(14)에 계속 삽입되었다면, 클립(106)에 재부착된 견인부재(108)를 갖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는 상당한 저항없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를 당기므로써 커넥터 본체(14)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제 수형부재(12)가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되었다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한다.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견인부재(108)상에 견인력이 발휘된 경우 클립(106)으로부터 견입부재(108)를 적절히 분리하기 위하여, 구멍(150)의 직경에 대한 림(134)의 직경과, 포스트 핑거부(132) 사이에 형성된 슬롯(130)의 폭 및 길이와, 웨브(131)의 길이 및 두께와, 포스트 핑거부(132)의 굴곡능력 등이 고려되어야만 하며; 클립(106)으로부터 견인부재(108)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견인력은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커넥터 본체(14)로부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 보다 커야 하지만, 클립(106)으로부터 견인부재(108)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견인력은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그 시트(59)로부터 후크(126)를 비의도적으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 보다 작아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부재형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에 대한 장점중 한가지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의 견인부재(108)가 클립(106)에 재부착될 수 있다는 점이다.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의 이러한 재부착 특징은 수형부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커넥터 본체에 수형 부재를 재삽입하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견인부재(108)가 OEM 설비로의 이송중 등과 같이 수형부재(12)가 커넥터 본체(14)에 삽입될 준비가 되기 전에 불시에 빠져나오는 경우에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견인부재(108)는 클립(106)에 재부착될 수 있으므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는 그 의도한 용도로 계속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2부재형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의 또 다른 장점은 견인부재(108)가 클립(106)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거나 스피닝될 수 있는 종래의 1부재형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를 갖는다는 점이다. 이것은 견인부재(108)가 클립(106)에 대해 도21에 화살표(152, 15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적어도 360°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클립(106)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견인부재(108)로 인해, 클립(106)으로부터 견인부재(108)의 불시의 분리가능성이 상당히 감소된다. 클립(106)으로부터 견인부재(108)의 불시의 분리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하여, 클립(106)의 포스트(128) 및 견인부재(108)의 링(142)은 클립(106)으로부터 견인부재(108)를 비의도적으로 해제시키지 않고, 화살표(156, 158)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재(108) 및 포스트(128)를 후방 대 후방으로 또한 측부 대 측부로 굴곡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컬럼(146) 보다 얇은 링(142)의 수평 컬럼(144)으로 인해, 상기 링(142)은 굴곡시 비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견인부재(108)의 굴곡능력과, 비틀림 능력과 스핀 능력은 견인부재(108)가 클립(106)으로부터 비의도적으로 분리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22 및 도2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또 다른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는 클립 및 견인부재가 키이결합되어 견인부재가 클립에 대해 동일한 위치로 항상 회전가능하게 지향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와 유사하다. 이러한 신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과정에 있어서, 특히 급속하게 이중중인 자동차 조립라인에서는 견인부재를 동일한 위치에서 항상 회전가능하게 지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조립라인 작업자가 견인부재를 신속히 파지하고, 수형부재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된 후 커넥터 본체로부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를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는 클립(206)과, 상기 클립(206)에 연결되거나 해제가능하게 고정된 분리된 견인부재(208)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206)은 도24 및 도2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립(206)은 횡단부재(212)에 의해 한쪽 단부에 접합되어 이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신장된 평행 레그(210)를 포함한다. 핑거부(232)를 갖는 원통형 포스트(228)는 횡단부재(212)의 상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며, 포스트(228)의 상단부 또는 자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거리 또는 길이를 연장시키는 슬롯(230)을 형성한다. 상기 슬롯(230)에 의해, 포스트(228)의 2개의 신장된 핑거부(232)는 방사내향의 힘을 인가하였을 때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되므로써, 포스트(228)가 작은 직경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포스트(228)는 슬롯(230)의 길이 보다 상당히 짧은 길이를 가지며 핑거부(232)의 부품을 서로 연결시키는 웨브(231)를 포함한다. 상기 웨브(231)는 핑거부(232)의 굴곡능력을 서로를 향해 집중시킨다.
각각의 핑거부(232)의 상부는 방사방향으로 신장되는 림(234)을 포함하며, 이러한 림은 각각의 핑거부(232)로부터 방사외측으로 연장된다. 림(234)의 상부는 둥근 상부 결합면(237)을 형성한다. 림(234)의 바닥은 둥근 하부 결합면(239)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부 결합면(237) 및/또는 하부 결합면(239)은 경사질 수도 있다. 상부 결합면(237)의 둥근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는 방사내향의 힘이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며; 포스트(228)가 견인부재(208)의 구멍에 삽입될 때 핑거부(232)를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시킨다. 하부 결합면(239)의 둥근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는 방사내향의 힘이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며; 견인부재(208)상에 견인력이 발휘되었을 때 핑거부(232)를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시킨다. 핑거부(232)가 서로를 향해 굴곡되었을 때, 림(234) 주위의 주변길이는 힘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의 주변길이 보다 짧기 때문에, 견인부재(208)가 클립(20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포스트(228)는 방사외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정렬태브(280)를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태브(280)는 약 180°이격되어 배치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클립을 투시하였을 때, 포스트(228)의 슬롯(230)과 정렬된다. 각각의 태브(28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부재(212)의 상부면으로부터 슬롯(230)까지 포스트의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태브(280)는 견인부재(208)에 형성된 정렬 노치를 통해 태브(280)의 용이한 삽입을 제공하는, 경사진 리드인 표면(282)을 포함한다.
도26 및 도27에는 견인부재(208)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견인부재(208)는 클립(206)에 연결되거나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삽입될 때 만일 견인부재(208)가 커넥터 본체(14)로부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가 당겨지는데 필요한 힘 보다 큰 힘으로 당겨질 경우, 상기 견인부재(208)는 클립(206)으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상기 견인부재(208)는 베이스(240)와, 상기 베이스(240)로부터 연장되는 링(242)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40)는 베이스(240)의 상부면(241)상에 개구(2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멍(250)을 형성한다. 상기 구멍(25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보어(264)와, 상기 보어(264)의 원통형 외곽의 방사 외향으로 2개의 노치(266)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방사외향의 2개의 노치(266)는 구멍(250)을 형성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부드러운 보어를 형성하는 벽(268)에 형성된다. 상기 노치(266)는 약 180°이격되어 배치된다. 노치(266)의 방사방향 정도는 정렬태브(280)의 방사방향 정도 보다 약간 크다. 노치(266)의 폭은 정렬태브(280)의 폭 보다 약간 넓다. 구멍(250)의 원통형 보어(264)는 포스트의 2개의 핑거부(232)가 굴곡되지 않은 상태일 때 포스트(228)의 림(234)의 외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구멍(250)의 원통형 보어(264)의 직경은 포스트(228)의 2개의 핑거부(232)가 내측으로 굴곡되었을 때 림(234)의 외경 보다 약간 크다.
견인부재(208)는 클립(206)의 포스트(228)를 견인부재(208)의 베이스(240)에 형성된 구멍(250)에 삽입하므로써, 클립(206)에 고정된다. 포스트(228)를 구멍(250)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포스트(128)의 2개의 정렬태브를 구멍(250)의 2개의 노치(266)와 정렬시킬 필요가 있다. 구멍(250)에 삽입된 포스트(228)로 인하여, 상기 정렬태브(280)는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50)의 노치(266)를 점유한다. 견인부재와 키이결합된 클립의 이러한 배치는 클립(206)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는 클립(206)과 정렬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향되는 견인부재(208)에 설치되므로, 견인부재(208)의 수평 컬럼(244)은 상부로부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를 투시하였을 때 클립(206)의 횡단부재(212)와 정렬되거나 이와 평행하게 된다. 견인부재를 클립과 정렬되는 위치가 아닌 원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향시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하며, 이것은 상이한 위치에서 포스트로부터 연장되는 정렬태브를 형성하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견인부재와 키이결합되는 클립의 이러한 배치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가 커넥터 본체(14)에 설치된 후, 각각의 견인부재(208)가 커넥터 본체(14)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향되는 것을 보장한다.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커넥터 본체(14)에 설치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커넥터 본체(14)에 설치된다. 상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커넥터 본체(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14)에 완전히 연결됨에 따라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를 당기므로써 커넥터 본체(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의 견인부재(108)가 클립(106)으로부터 분리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형부재(12)가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커넥터 본체(14)로부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 보다 큰 힘으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의 견인부재(208)가 당겨진다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는 도28 내지 도30에 도시되어 있다. 제2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는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커넥터 본체(14)로부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 보다 큰 힘으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의 견인부재가 당겨질 경우 클립의 포스트가 파열되거나 파괴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 및 제1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와 유사하다.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는 클립(306)과, 상기 클립(306)에 연결되거나 고정된 분리된 견인부재(208)를 포함한다.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의 견인부재(208)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의 견인부재(208)와 동일하다. 클립(306)은 도2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립(306)은 횡단부재(312)에 의해 한쪽 단부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신장된 평행 레그(310)를 포함한다. 핑거부(332)를 갖는 원통형 포스트(328)는 횡단부재(312)의 상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며, 포스트(328)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거리 또는 길이를 연장시키는 슬 롯(330)을 형성한다. 상기 슬롯(330)에 의해, 포스트(328)의 2개의 신장된 핑거부(332)는 방사내향의 힘을 인가하였을 때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되므로써, 포스트(328)가 작은 직경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포스트(328)는 슬롯(330)의 길이 보다 상당히 짧은 길이를 가지며 핑거부(332)의 부품을 서로 연결시키는 웨브(331)를 포함한다. 상기 웨브(331)는 핑거부(332)의 굴곡능력을 서로를 향해 집중시킨다.
각각의 핑거부(332)의 상부는 각각의 핑거부(332)로부터 방사외향으로 연장되는 림(334)을 포함한다. 림(334)의 상부는 둥근 상부 결합면(337)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결합면(337)도 경사져 있다. 상부 결합면(337)의 둥근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는 방사내향의 힘이 생성되는 것을 허용하며; 포스트(328)가 견인부재(208)의 구멍에 삽입될 때 핑거부(332)를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굴곡시킨다. 림(334)의 바닥은 환형의 하부 접촉부 또는 결합면(339)을 형성한다. 상기 환형의 하부결합면(339)에 의해 생성된 평면은 포스트(328)의 축선에 대해 거의 수직하다. 상기 포스트(328)는 방사외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정렬태브(380)를 포함한다. 각각의 태브(380)는 횡단부재(312)의 상부면으로부터 포스트에 형성된 슬롯(330)까지 포스트의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견인부재(208)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견인부재(208)가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의 클립(206)에 고정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클립(306)에 고정된다.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커넥터 본체상에 설치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커넥터 본체(14)상에 설치된다.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커넥터 본체(14)로부터 분리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14)에 완전히 연결되었을 때,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를 당기므로써 커넥터 본체(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만일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다면, 수형부재(12)는 업셋이 리테이너(16)의 지지비임(100)의 자유단부를 초월할 수 있도록 커넥터 본체(14)내로 축방향 내측으로 충분히 삽입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의 후크(126)는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의 시트(59) 바로 아래에 유지되어 이와 결합된다. 견인부재(208)상에 견인력이 발휘되었을 때, 포스트(328)의 환형 결합면(339)은 베이스(240)의 상부면(241)과 접촉하여, 포스트(328)가 견인 핸들(208)의 구멍(250)을 통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수형부재(12)가 암형 커넥터 본체(14)내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만일 커넥터 본체(14)로부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 보다 큰 힘으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의 견인부재(208)가 당겨졌다면, 견인력은 림(334)의 하부 위치에서 포스트(328)의 핑거(332)를 파열시키거나 파괴시켜, 견인부재(208)를 파열된 클립(306)으로부터 분리시킬 것이다. 상기 견인부재(208)는 림(334)의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부분만을 벗기거나 파괴하므로써 클립(306)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이렇게 벗겨진 림(334)은 견인부재(208)의 구멍(25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가 분리되는 방식은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18)가 분리되는 방식과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218)가 분리되는 방 식과는 매우 상이하다. 상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는 포스트(328)를 파괴하거나 벗기므로써 분리되며, 이에 따라 상기 포스트(328)는 분리 처리과정중에는 영구적으로 손상된다. 따라서, 클립(306)과 견인부재(208)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가 분리된 후에는 재부착될 수 없다. 상기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는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318)가 분리된 후 견인부재(208)를 클립(306)에 재부착할 필요가 없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43)

  1. 삭제
  2. 중공의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수용되며 확장된 환형 업셋을 갖는 수형부재와,
    클립과 상기 클립에 연결된 견인부재를 포함하는 튜브삽입 검증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커넥터 본체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수형부재의 업셋은 견인부재상에 발휘된 견인력에 의해 상기 클립이 커넥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수형부재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레그를 외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해 상기 레그와 접촉하며; 상기 견인부재는 수형부재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견인부재상에 발휘된 견인력에 의해 상기 클립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레그는 서로를 향해 지향되는 후크를 갖는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수형부재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커넥터 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클립은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재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재가 클립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신장 및 이격되는 2개의 핑거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핑거부 사이에 슬롯을 형성하며; 수형부재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만일 견인부재상에 견인력이 발휘되었을 경우 견인부재가 클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의 2개의 핑거부는 서로를 향해 굴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핑거부의 단부에 방사방향으로 확장되는 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신장 및 이격되는 2개의 핑거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핑거부 사이에 슬롯을 형성하며; 수형부재가 커넥터 본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았을 때 만일 견인부재상에 견인력이 발휘되었을 경우 견인부재가 클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의 핑거부는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레그를 연결하는 횡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횡단부재는 커넥터 본체의 방사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커넥터 본체는 커넥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횡단부재는 이러한 돌출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입구로부터 연장되는 보어를 가지며; 상기 횡단부재는 상기 레그들중 하나를 향해 중심에서 벗어난 태브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레그는 경사진 리드면을 갖는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진 리드면이 커넥터 본체의 입구로부터 먼쪽으로 향할 때, 상기 커넥터 본체를 향한 상기 검증기 조립체의 방사내향 이동에 따라 상기 태브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의 포스트는 정렬태브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재의 구멍은 클립에 대해 견인부재의 회전 이동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정렬태브를 수용하기 위한 노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후방 안내림 및 전방 안내림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안내림 및 전방 안내림은 상기 클립의 레그중 한쪽 레그를 수용하기 위해 견인태브 안내 슬롯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제2후방 안내림 및 제2전방 안내림을 포함하며, 상기 제2후방 안내림 및 제2전방 안내림은 상기 클립의 레그중 다른쪽 레그를 수용하기 위해 제2견인태브 안내 슬롯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구멍은 베이스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클립의 포스트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완전 측방향 비임부와, 절두된 측방향 비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횡단부재는 클립의 레그가 커넥터 본체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되었을 때, 완전 측방향 비임부와 상기 절두된 측방향 비임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리드면이 커넥터 본체의 입구로부터 먼 쪽으로 향할 때, 커넥터 본체를 향한 상기 검증기 조립체의 방사내향 이동에 따라 상기 태브가 상기 완전 측방향 비임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4. 제13항에 있어서, 클립의 레그가 커넥터 본체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경사진 리드면이 커넥터 본체의 입구를 향할 때, 상기 태브는 상기 절두된 측방향 비임부로부터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5. 제14항에 있어서, 클립의 레그가 커넥터 본체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고 경사진 리드면이 커넥터 본체의 입구쪽으로 향할때, 상기 태브가 상기 절두된 측방향 비임부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중앙 비임부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횡단부재는 클립의 레그가 커넥터 본체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때, 상기 노치는 상기 중앙 비임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060053019A 2005-06-15 2006-06-13 신속 커넥터를 위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 KR101360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096505P 2005-06-15 2005-06-15
US60/690,965 2005-06-15
US11/440,753 US7497477B2 (en) 2005-06-15 2006-05-25 Pull tab verifier assembly for quick connectors
US11/440,753 2006-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637A KR20060131637A (ko) 2006-12-20
KR101360518B1 true KR101360518B1 (ko) 2014-02-07

Family

ID=3700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019A KR101360518B1 (ko) 2005-06-15 2006-06-13 신속 커넥터를 위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97477B2 (ko)
EP (1) EP1734299B1 (ko)
JP (1) JP5153090B2 (ko)
KR (1) KR101360518B1 (ko)
CN (1) CN1028180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662A (ja) * 2003-12-22 2005-07-07 Honda Motor Co Ltd 樹脂チューブ付クイックコネクタ
FR2919372B1 (fr) 2007-07-25 2013-05-10 Legris Sa Raccord a temoin.
US8240716B2 (en) * 2008-08-07 2012-08-14 TI Group Automotive System,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JP2011038537A (ja) * 2009-08-06 2011-02-24 Nitta Corp 管継手の接続確認具
US8997717B2 (en) * 2010-03-25 2015-04-07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Integrated fuel injector orientation and retention device
US10422459B2 (en) 2015-01-14 2019-09-24 Norma U.S. Holding Llc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FR3044382B1 (fr) * 2015-11-30 2017-12-0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rapide avec bague secable pour connexion fluidique securisee
US9997861B2 (en) 2015-12-10 2018-06-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rce limiting latch indicator
CN107542989A (zh) * 2016-06-23 2018-01-05 重庆快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快装接头
US10816121B2 (en)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US11274762B2 (en) * 2017-12-22 2022-03-15 Walbro Llc Float and hinge for a valve
CN108571631B (zh) * 2018-06-15 2024-03-29 廊坊舒畅汽车零部件有限公司 快速连接头
DE102020204825A1 (de) * 2020-04-16 2021-10-21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einheit zur Verbindung von Fluidleitungen
CN115140303B (zh) * 2022-07-19 2023-05-05 哈尔滨工业大学 无人机对接机构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6205A (en) 1988-03-01 1990-08-07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Connector for connecting small diameter pipe
JPH11230456A (ja) * 1998-02-17 1999-08-27 Honda Motor Co Ltd 配管用コネクタの結合確認組立体
US6328344B1 (en) 1998-09-17 2001-12-11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fitting with improved fitting checker
JP2003343782A (ja) * 2002-05-23 2003-12-03 Tokai Rubber Ind Ltd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44443A5 (ko) * 1972-07-04 1973-02-09 Encia Spa
US5152555A (en) * 1991-03-26 1992-10-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clip
US5178424A (en) * 1991-07-01 1993-01-12 Itt Corporation Pop-off quick connect indicator
US5893590A (en) * 1991-12-18 1999-04-13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housing with elongated barb design to prevent accidental engagement
US5542712A (en) * 1991-12-18 1996-08-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housing with elongated barb design
KR100267605B1 (ko) 1992-09-24 2000-10-16 안자이 이치로 파이프 조인트
US5441313A (en) * 1994-01-18 1995-08-15 Bundy Corporation Insertion indicator for quick connector
US5586792A (en) * 1995-02-21 1996-12-24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US5897145A (en) * 1996-12-05 1999-04-2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onnector
US5863077A (en) *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CA2251520C (en) * 1997-10-31 2003-12-30 Atsushi Ohta Pipe connector connection checking assembly
JP3718845B2 (ja) * 1997-11-11 2005-11-24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およびその保持部材
JP3988180B2 (ja) * 2002-02-28 2007-10-1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JP4211486B2 (ja) * 2002-05-23 2009-01-21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271516B2 (ja) * 2003-07-10 2009-06-03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ー
JP4131409B2 (ja) * 2004-03-30 2008-08-1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6205A (en) 1988-03-01 1990-08-07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Connector for connecting small diameter pipe
JPH11230456A (ja) * 1998-02-17 1999-08-27 Honda Motor Co Ltd 配管用コネクタの結合確認組立体
US6328344B1 (en) 1998-09-17 2001-12-11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fitting with improved fitting checker
JP2003343782A (ja) * 2002-05-23 2003-12-03 Tokai Rubber Ind Ltd 接続確認機能付きクイック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4299B1 (en) 2013-02-13
CN102818087B (zh) 2014-12-10
US20060285917A1 (en) 2006-12-21
JP2006349176A (ja) 2006-12-28
US7497477B2 (en) 2009-03-03
CN102818087A (zh) 2012-12-12
EP1734299A2 (en) 2006-12-20
KR20060131637A (ko) 2006-12-20
JP5153090B2 (ja) 2013-02-27
EP1734299A3 (en)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518B1 (ko) 신속 커넥터를 위한 견인태브 검증기 조립체
JP5464940B2 (ja) プルタブ型リテーナを有するクイックコネクタ継手
US5441313A (en) Insertion indicator for quick connector
EP1909016B1 (en) Quick connector coupling
JP5025091B2 (ja) 急速継手用の補助ラッチ/確認機構
US5152555A (e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clip
JP2006313013A (ja) 急速継手用の冗長ラッチ/確認機構
US5924746A (en) Rapid coupling
US7566077B2 (en) Quick-connect coupling
JP2837663B2 (ja) 迅速コネクタ継合表示具と迅速コネクタ組体
JP2005291497A5 (ko)
WO1995008732A1 (en) Quick connector housing with elongated barb design
JP2006349176A5 (ko)
JPH04211791A (ja) 入れ子式チューブを結合する継手とその方法
US7090255B2 (en) Disposable clamp locator for air conditioning hose assemblies
CN1908496B (zh) 用于快速连接器的拉动接头检验器组件
CN110799239B (zh) 管装置和管接头
CN113227629A (zh) 联接器
EP0775279A2 (en) Quick connector housing with elongated barb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