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207A -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9207A KR20100019207A KR1020080078123A KR20080078123A KR20100019207A KR 20100019207 A KR20100019207 A KR 20100019207A KR 1020080078123 A KR1020080078123 A KR 1020080078123A KR 20080078123 A KR20080078123 A KR 20080078123A KR 20100019207 A KR20100019207 A KR 201000192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arm
- shock absorber
- stabilizer bar
- arm assembly
- suspen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5—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axle or suspension arm of the damper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60G2200/14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two lateral arms forming a parallelogr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30—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 B60G2202/31—Spring/Damper and/or actuator Units with the spr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e.g. MacPherson str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4—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triangular or Y-shape, e.g. wishb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어 암에 쇽 업소버 장착부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를 통해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상기 로워 암에 직접 장착하도록 하여 로어 암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전체적인 중량을 절감시키도록
너클과 차체를 연결하며,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장착하기 위한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너클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부시가 장착되는 로어 암 부재; 상기 로어 암 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쇽 업소버 장착부; 및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로어 암 부재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맥퍼슨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로어 암, 쇽 업소버, 스테빌라이져 바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 없이 직접 로워 암 상에 일체로 장착하도록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써, 주로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또는 신속하게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 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하다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현가장치가 개발되어 실차에 적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 관계하는 종래 맥퍼슨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도시된 휠을 통해 장착되는 타이어(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102)은 그 하단에 로어 암(104)을 개재시켜 차체(106)와 연결된다.
상기 로어 암(104)은 상부 일측에 마운팅 브라켓(108)을 통하여 코일 스프링(110)과 쇽 업소버(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112)가 장착되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112)의 상단부는 미도시한 차체에 인슐레이터(114)를 개재시켜 현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암(104)의 일측에는 스테빌라이저 바(116)의 일단이 연결링크(118)를 통하여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링크(118)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로어 암(104)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마운팅 핀(120)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및 충격이 스트러트 어셈블리(110)에 의해 감쇠되어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어 암은 상기 쇽 업소버를 장착하기 위해 상면 상에 마운팅 브라켓을 볼팅해야 하고, 상기 연결링크를 장착하기 위해 일측에 마운팅 핀을 별도로 장착해야 함에 따라, 상기 로어 암의 자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마운팅 핀을 장착함으로써, 부품수가 증가하고 상기 로어 암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어 암 부재에 쇽 업소버 장착부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를 통해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직접 장착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강성 증대 및 중량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는, 너클과 차체를 연결하며,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장착하기 위한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너클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부시가 장착되는 로어 암 부재; 상기 로어 암 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쇽 업소버 장착부; 및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로어 암 부재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스테 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는 상기 쇽 업소버의 하단이 삽입 가능한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은 내주면 상에 상기 스테빌리아져 바 마운팅 로드의 일단이 돌출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암 부재는 상부 및 하부 로어 암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에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하부 로어 암 플레이트 내부에서 상기 각 지지부를 통해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 상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의 상면이 상기 상부 로어 암 플레이트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의하면, 로어 암 부재에 쇽 업소버 장착부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부를 통해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직접 장착할 수 있어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장착하기 위해 종래 상기 로어 암 상에 장착되던 마운팅 브라켓과 마운팅 핀을 제거 할 수 있고, 동시에 로어 암 부재의 크기 축소가 가능해져 로어 암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중량을 절감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가 적용된 맥퍼슨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맥퍼슨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3)과, 코일 스프링(미도시) 및 쇽 업소버(5)가 일체로 형성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7)의 상단부는 미도시한 차체에 인슐레이터를 개재시켜 현가 지지되며, 상기 쇽 업소버(5)의 하단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어 암 어셈블리(10)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너클(3)의 하단은 상기 로어 암 어셈블리(10)와 연결되어 미도시된 차체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10)는 로어 암 부재(11)에 쇽 업소버 장착부(20)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3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20)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30)를 통해 쇽 업소버(5)와 스테빌라이져 바(8)를 상기 로어 암 어셈블리(10)에 직접 장착하도록 하여 전체적인 강성 증대 및 중량을 절감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10)는 기본적으로,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어 암 부재(11), 쇽 업소버 장착부(20), 및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30)로 구성된다.
이러한 로어 암 어셈블리(10)는 상기 너클(3)과 미도시된 차체를 연결하며, 상기 쇽 업소버(5)와 스테빌라이져 바(8)를 장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 암 부재(11)는 일단에 상기 너클(3)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연결부(13)가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차체(미도시)와 연결되는 부시(15)가 장착되된다.
이러한 로어 암 부재(11)는 상부 및 하부 로어 암 플레이트(17)(19)로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 로어 암 플레이트(17)(19)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20)는 상기 로어 암 부재(11)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20)는 상기 쇽 업소버(5)의 하단이 삽입 가능한 장착홀(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30)는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 로어 암 플레이트(19)를 관통하여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홀(21)은 그 내주면 상에 상기 스테빌리아져 바 마운팅 로드(30)의 일단이 돌출되어 연결된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30)의 타단에는 스테빌라이져 바(8)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링크(9)가 장착된다.
즉, 상기 장착홀(21) 상에 돌출된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30)의 일단에는 상기 쇽 업소버(5)의 하단이 삽입되어 미도시된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쇽 업소버(5)를 장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30)에는 접촉부(41), 및 상기 접촉부(41)의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부(43)로 구성된 보강부재(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보강부재(40)는 하면이 개구된 중공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41)가 상면이 되고, 각 지지부(43)가 상기 접촉부(41)의 양측에서 각각 측면을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부재(40)는 상기 접촉부(41)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하부 로어 암 플레이트(19) 내부에서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30) 상에 상기 각 지지부(43)를 관통하여 끼워져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부(43)는 상기 하부 로어 암 플레이트(19)의 내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접촉부(41)는 그 상면이 상기 상부 로어 암 플레이트(17)의 내측을 지지하여 상기 로어 암 부재(11)의 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 어 암 어셈블리(10)를 적용하면, 상기 로어 암 부재(11)에 쇽 업소버 장착부(20)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3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20)와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30)를 통해 쇽 업소버(5)와 스테빌라이져 바(8)를 직접 장착할 수 있어 전체적인 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쇽 업소버(5)와 스테빌라이져 바(8)를 장착하기 위해 종래 상기 로어 암 상에 장착되던 마운팅 브라켓과 마운팅 핀을 제거 할 수 있고, 동시에, 종래에 비해 로어 암 어셈블리(10)의 크기 축소가 가능해져 전체적인 중량을 절감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가 적용된 맥퍼슨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가 적용된 맥퍼슨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5)
- 너클과 차체를 연결하며,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장착하기 위한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있어서,일단에 상기 너클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부시가 장착되는 로어 암 부재;상기 로어 암 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쇽 업소버 장착부; 및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로어 암 부재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쇽 업소버 장착부는 상기 쇽 업소버의 하단이 삽입 가능한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장착홀은 내주면 상에 상기 스테빌리아져 바 마운팅 로드의 일단이 돌출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로어 암 부재는 상부 및 하부 로어 암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에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하부 로어 암 플레이트 내부에서 상기 각 지지부를 통해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로드 상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의 상면이 상기 상부 로어 암 플레이트의 내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123A KR20100019207A (ko) | 2008-08-08 | 2008-08-08 |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JP2009047990A JP2010042798A (ja) | 2008-08-08 | 2009-03-02 | 懸架装置用ローワーアームアセンブリー |
US12/469,363 US20100032920A1 (en) | 2008-08-08 | 2009-05-20 | Lower arm assembly for suspens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123A KR20100019207A (ko) | 2008-08-08 | 2008-08-08 |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9207A true KR20100019207A (ko) | 2010-02-18 |
Family
ID=4165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8123A KR20100019207A (ko) | 2008-08-08 | 2008-08-08 |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032920A1 (ko) |
JP (1) | JP2010042798A (ko) |
KR (1) | KR2010001920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71715A (zh) * | 2016-12-27 | 2017-05-17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汽车及麦弗逊悬架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99470B2 (ja) * | 2011-05-16 | 2013-09-25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サスペンション構造、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形成方法 |
KR101518886B1 (ko) | 2011-12-09 | 2015-05-12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
KR101284346B1 (ko) | 2011-12-09 | 2013-07-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
KR101283606B1 (ko) * | 2011-12-12 | 2013-07-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
KR101316870B1 (ko) | 2011-12-12 | 2013-10-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
KR101338449B1 (ko) | 2012-05-25 | 2013-12-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안티 롤 장치 |
CN103909797B (zh) * | 2012-12-29 | 2016-06-01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独立悬架横摆臂的复合式铰链结构 |
US9004511B1 (en) * | 2013-10-09 | 2015-04-14 | Honda Motor Co., Ltd. | Stabilizing bar mounting structure |
CN104589943A (zh) * | 2015-01-22 | 2015-05-06 | 石宇 | 导出式多承点独立悬架 |
JP2016147580A (ja) * | 2015-02-12 | 2016-08-18 |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 車両 |
JP6350461B2 (ja) * | 2015-09-09 | 2018-07-0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スタビライザ支持構造 |
JP6278096B1 (ja) * | 2016-11-21 | 2018-02-14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用懸架装置 |
JP7107149B2 (ja) * | 2018-10-05 | 2022-07-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フロントロアアーム |
DE102018218082A1 (de) * | 2018-10-23 | 2020-04-23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Federlenker in Blechkonstruktion |
CN109703308B (zh) * | 2019-02-22 | 2023-10-24 | 浙江盘毂动力科技有限公司 | 一种汽车及其双叉臂式后悬架 |
JP2023076148A (ja) * | 2021-11-22 | 2023-06-01 | 株式会社Subaru | サスペンション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48883Y2 (ja) * | 1979-10-04 | 1983-11-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 |
JPS62289415A (ja) * | 1986-06-06 | 1987-12-16 | Toyota Motor Corp | 車体懸架装置のロアア−ム支持構造 |
IT1223976B (it) * | 1988-12-07 | 1990-09-29 | Fiat Auto Spa | Sospensione posteriore a ruote indipendenti |
US6588799B1 (en) * | 2001-01-09 | 2003-07-08 | Angelo Sanchez | Vehicle anti-rollover device |
JP3944907B2 (ja) * | 2003-03-14 | 2007-07-18 | マツダ株式会社 |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
DE602004013976D1 (de) * | 2003-07-03 | 2008-07-03 | Aisin Keikinzoku Kk | Aufhängungsarm |
US7490840B2 (en) * | 2005-06-23 | 2009-02-17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 Steering and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
JP4837531B2 (ja) * | 2006-01-31 | 2011-12-1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後輪懸架構造 |
EP1867501B1 (en) * | 2006-06-13 | 2012-01-11 | Nissan Motor Co., Ltd. | Suspension Structure |
-
2008
- 2008-08-08 KR KR1020080078123A patent/KR2010001920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
- 2009-03-02 JP JP2009047990A patent/JP2010042798A/ja active Pending
- 2009-05-20 US US12/469,363 patent/US20100032920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71715A (zh) * | 2016-12-27 | 2017-05-17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汽车及麦弗逊悬架 |
CN106671715B (zh) * | 2016-12-27 | 2023-08-15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汽车及麦弗逊悬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032920A1 (en) | 2010-02-11 |
JP2010042798A (ja) | 2010-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19207A (ko) |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
KR101090806B1 (ko) |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 |
WO2017021181A1 (en) | Pneumatic axle suspension for a rear axle of a vehicle | |
KR100579258B1 (ko) | 후륜 서스펜션 장치 | |
KR100264649B1 (ko) | 자동차용 맥퍼어슨식 독립현가현가장치 | |
KR101509669B1 (ko) | 차량용 서브 프레임 | |
CN214606969U (zh) | 一种汽车后驱动托臂式独立悬架结构及后驱动悬架总成 | |
JP3701958B2 (ja) |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 |
KR20090052045A (ko) | 차량의 현가장치용 너클 | |
KR100868606B1 (ko) |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용 서브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차량 | |
KR100605065B1 (ko) | 앰뷸런스 후륜의 스태빌라이저 | |
KR20080054815A (ko) |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 |
KR19990007181U (ko) | 자동차 서스펜션의 크로스 맴버 보강용 브라켓 | |
KR20080023557A (ko) |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구조 | |
KR20110063122A (ko) |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 |
US11279188B2 (en) | Wheel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holding arrangement, and motor vehicle | |
KR100831495B1 (ko)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 |
KR101045930B1 (ko) |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 |
KR100530032B1 (ko) | 듀얼 스트러트 타입 현가장치 | |
KR100224438B1 (ko) | 스테빌라이저바아의 장착구조 | |
KR20100056886A (ko) | 차량용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유닛 | |
KR20110030201A (ko) |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
KR100452428B1 (ko) | 후방현가장치의 팬하드 로드 보강구조 | |
KR20240092739A (ko) | 초소형 전기 자동차용 서스펜션 | |
KR20110062642A (ko) |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