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806B1 -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806B1
KR101090806B1 KR1020090095826A KR20090095826A KR101090806B1 KR 101090806 B1 KR101090806 B1 KR 101090806B1 KR 1020090095826 A KR1020090095826 A KR 1020090095826A KR 20090095826 A KR20090095826 A KR 20090095826A KR 101090806 B1 KR101090806 B1 KR 101090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link
shock absorber
stabilizer
mounting uni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510A (ko
Inventor
김보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806B1/ko
Priority to US12/773,467 priority patent/US20110085848A1/en
Priority to CN2010102429475A priority patent/CN102029868A/zh
Priority to DE102010036731.1A priority patent/DE102010036731B4/de
Publication of KR2011003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1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not permanently interconnected, e.g. operative only on acceleration, only on deceleration or only at off-straight position of ste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를 장착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어 쇽 업소버의 외통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장착 작업성 향상 및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피해 장착이 가능하여 쇽 업소버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키도록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테빌라이져 바에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를 쇽 업소버에 장착하기 위한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의 외주면 일측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와 연결되는 장착 브라켓을 포함하는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을 제공한다.
스테빌라이져 바, 쇽 업소버,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 브라켓, 보강부재

Description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STABILIZER LINK MOUNTING UNIT FOR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 업소버용 스텝링크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를 장착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어 쇽 업소버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장착되는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써, 주로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또는 신속하게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 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하다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현가장치가 개발되어 실차에 적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 관계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휠(10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103)은 그 하단이 로워 암(105)을 개재시켜 차체(109)와 연결되고, 상기 너클(103)의 상측은 쇽 업소버(110)와 연결되며, 상기 쇽 업소버(110)의 스트럿 축(107)을 통하여 차체(109)에 연결된다.
상기 스트럿 축(107) 상의 일측에는 하부 스프링 시트(11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스프링 시트(113)와 함께 코일 스프링(115)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럿 축(107)의 상단부와 차체(109)의 장착부 사이에는 인슐레이터 유닛(121)이 개재되어 현가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쇽 업소버(110)는 일측에 스테빌라이져 바(117)가 스테빌라이져 링크(119)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119)는 일단이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117)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쇽 업소버(110)에 장착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120)에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12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링크 브라켓(121)으로 구성되며, 상기 쇽 업소버(110)의 외주면 일측에 용접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120)는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게 상기 쇽 업소버(110)의 외주면 상에 용접되어 타 부품과 상기 링 크 브라켓(121)이 간섭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쇽 업소버(110)의 장착 시, 쇽 업소버(110)의 레이아웃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링크 브라켓(121)과 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링크 브라켓(121)의 장착 시, 상기 쇽 업소버(110) 상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해야함에 따라, 장착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120)은 상기 링크 브라켓(121)이 용접에 의해 상기 쇽 업소버(110)에 장착됨에 따라, 용접 작업 시 발생되는 열로 인해 상기 쇽 업소버(110)에 열 변형이 발생되어 쇽 업소버(110)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기능이 상실되어 쇽 업소버(110)로서의 역할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를 장착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어 쇽 업소버의 외통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장착 작업성 향상 및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피해 장착이 가능하여 쇽 업소버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은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테빌라이져 바에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를 쇽 업소버에 장착하기 위한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의 외주면 상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와 연결되는 장착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쇽 업소버의 외주면을 감싸기 위해 원통 형상으로 절곡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쇽 업소버 상에서 상기 몸체부를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장착단과, 상기 몸체부 외주면 상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밴딩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와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를 보강하기 위해 장착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의 외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장착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양단이 각각 절곡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접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는 중앙에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로 삽입되는 체결볼트를 통해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가 장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각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에 의하면, 쇽 업소버와 스테빌라이져 바를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를 장착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어 쇽 업소버의 외통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장착 작업성을 향상 및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피해 장착이 가능하여 쇽 업소버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쇽 업소버의 외주면 상에 용접에 의해 장착되던 스테빌라이져 링크 브라켓을 제거함에 따라, 용접 작업 시 발생되던 열에 의한 쇽 업소버의 열 변형을 방지시킴으로써, 쇽 업소버의 기능 불량 방지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은 일체로 제작되는 장착 브라켓을 통해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몸체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밴딩작업을 통해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중량증가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의 평면도이다.
단,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및 도면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1)은 쇽 업소버(110, 도 4 참조)와 스테빌라이져 바(117, 도 4 참조)를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119, 도 4 참조)를 장착하기 위해 일체 로 형성되어 쇽 업소버(110)의 외통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장착 작업성 향상 및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피해 장착이 가능하여 쇽 업소버(110)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1)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쇽 업소버(110)의 외주면 일측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119)와 연결되는 장착 브라켓(10)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 브라켓(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1), 장착단(13), 및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15)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부(11)는 상기 쇽 업소버(110)를 삽입한 상태로, 쇽 업소버(110)의 외주면을 감싸기 위해 원통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장착단(13)은 상기 몸체부(1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쇽 업소버(110) 상에서 상기 몸체부(11)를 볼트(B)와 너트(미도시)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장착 브라켓(10)은 상기 몸체부(11)에 쇽 업소버(110)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각 장착단(13)을 상호 결합시키는 볼트(B)와 너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쇽 업소버(110)의 외주면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15)는 상기 몸체부(11) 외주면 상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몸체부(11)로부터 돌출되도록 밴딩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119)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15)는 중앙에 볼트홀(17)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17)로 삽입되는 체결볼트(19)를 통하여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119)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장착 브라켓(10)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부(11)에서 절개되는 부분을 밴딩 작업을 통해 상기 몸체부(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부림으로써,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15)를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브라켓(10)은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15)를 보강하기 위해 장착되는 보강부재(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재(20)는 접합부(21)와 지지부(22)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접합부(21)는 상기 몸체부(11)와 연결되는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15)의 외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접합부(21)의 양단이 각각 절곡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의 외주면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접합부(21)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부(23)는 상기 몸체부(1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단부가 원통 형상의 몸체부(11)에 밀착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장착 브라켓(10)의 몸체 부(11)와,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15)에 용접을 통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1)에 의하면, 쇽 업소버(110)와 스테빌라이져 바(117)를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119)를 장착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어 쇽 업소버(110)의 외통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장착 작업성을 향상 및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피해 장착이 가능하여 쇽 업소버(110)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1)은 종래 용접되던 링크 브라켓을 대신해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장착 브라켓(10)을 적용함으로써, 용접작업을 제거함에 따라, 용접 작업 시 발생되던 열에 의한 쇽 업소버(110)의 열 변형을 방지시킴으로써, 쇽 업소버(110)의 기능 불량 방지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1)은 일체로 제작되는 장착 브라켓(10)을 통해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몸체부(11)의 일부를 절개하여 밴딩작업을 통해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15)를 형성함으로써, 중량증가를 최소화시키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맥퍼슨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6)

  1.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는 스테빌라이져 바에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를 쇽 업소버에 장착하기 위한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의 외주면 상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와 연결되는 장착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쇽 업소버의 외주면을 감싸기 위해 원통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쇽 업소버 상에서 상기 몸체부를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장착단과, 상기 몸체부 외주면 상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밴딩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와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 브라켓은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를 보강하기 위해 장착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의 외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장착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양단이 각각 절곡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접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장착부는 중앙에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로 삽입되는 체결볼트를 통해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KR1020090095826A 2009-10-08 2009-10-08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KR101090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826A KR101090806B1 (ko) 2009-10-08 2009-10-08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US12/773,467 US20110085848A1 (en) 2009-10-08 2010-05-04 Stabilizer link mounting unit for shock absorber
CN2010102429475A CN102029868A (zh) 2009-10-08 2010-07-28 用于减震器的稳定器连杆安装装置
DE102010036731.1A DE102010036731B4 (de) 2009-10-08 2010-07-29 Pendelstützenmontageeinheit für einen Stoßdämp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826A KR101090806B1 (ko) 2009-10-08 2009-10-08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510A KR20110038510A (ko) 2011-04-14
KR101090806B1 true KR101090806B1 (ko) 2011-12-08

Family

ID=4373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826A KR101090806B1 (ko) 2009-10-08 2009-10-08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085848A1 (ko)
KR (1) KR101090806B1 (ko)
CN (1) CN102029868A (ko)
DE (1) DE10201003673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2683B1 (ja) * 2012-09-18 2014-03-26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ブラケット
DE102013205400B3 (de) * 2013-03-27 2014-07-03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m schellenförmigen Anbauteil
CN103423259A (zh) * 2013-07-31 2013-12-04 周其锋 一种圆管紧固件
US9610819B2 (en) 2014-12-03 2017-04-04 Icon Vehicle Dynamics Llc Shock absorbers
CN107984999A (zh) * 2017-12-15 2018-05-04 阿尔特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滑柱铝合金下安装支架结构
GB2590027B (en) * 2021-02-11 2021-12-22 R5 Mss Ltd Suspension adjustment assembly
FR3121485B1 (fr) * 2021-03-30 2023-06-02 Renault Sas Bague de maintien d’une biellette de barre stabilisatrice d’un ve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8946A (en) * 1964-07-27 1966-08-30 Anchor Post Prod Gate hinge support clamp device
DE3174114D1 (en) * 1981-12-31 1986-04-17 Kayaba Industry Co Ltd Strut for mcpherson type automobile suspensions
US5145204A (en) * 1991-12-26 1992-09-08 Chrysler Corporation Stamped wheel support bracket for vehicle suspension
DE4331976C2 (de) * 1993-09-21 1998-05-07 Porsche Ag Federbein
JPH0858330A (ja) * 1994-08-25 1996-03-05 Toyota Motor Corp ストラット連結構造
JP3520458B2 (ja) * 1994-12-14 2004-04-19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ナックルブラケット
US6305701B1 (en) * 1999-08-31 2001-10-23 Delphi Technologies, Inc. One piece mounting bracket for automotive suspension dampers, including attachment for stabilizer bar
US6692012B2 (en) * 2001-03-09 2004-02-17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amper assembly and method
DE10121537C1 (de) * 2001-05-03 2002-07-11 Krupp Bilstein Gmbh Radaufhängung für Landfahrzeuge
US6565279B1 (en) * 2002-01-14 2003-05-20 Kiefer Pool Equipment Co. Clamp for pipes or for other cylindrical struts
US6935806B2 (en) * 2003-06-20 2005-08-30 Waukesha Tool & Stamping, Inc. Hinged annular shaft flange
TWI273157B (en) * 2003-07-22 2007-02-11 Nippon Steel Corp Joining structure
DE102006036506B3 (de) * 2006-08-04 2008-02-07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r Halterung
US20090179115A1 (en) * 2008-01-10 2009-07-16 Wen-Chao Shen Retaining ring structure for fixing a satellite antenna
KR101051256B1 (ko) 2008-03-06 2011-07-21 (주)엘지하우시스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용 방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29868A (zh) 2011-04-27
DE102010036731A1 (de) 2011-04-14
KR20110038510A (ko) 2011-04-14
DE102010036731B4 (de) 2015-10-01
US20110085848A1 (en)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806B1 (ko)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US7793954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20100019207A (ko)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CA2691602A1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101509669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KR102383248B1 (ko)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KR100911406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1509688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JP4529737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KR20100038994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유닛
KR101131045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0868606B1 (ko)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용 서브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차량
KR19990007181U (ko) 자동차 서스펜션의 크로스 맴버 보강용 브라켓
KR100313803B1 (ko) 자동차용 에어 서스펜션의 서포트 빔 보강구조
KR200491248Y1 (ko) 자동차용 차축 롤링 방지장치
KR20090055973A (ko) 차량의 토션빔
KR100290805B1 (ko) 자동차용 전방현가장치
JP2004291842A (ja)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アッパーブラケット取付構造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20020015128A (ko) 차량의 비구동용 서스펜션 시스템
KR101509682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KR100599259B1 (ko)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KR20020096716A (ko) 더블 위시본식 현가 장치
KR101724724B1 (ko) 쇼크 업소버용 브래킷 및 제작 방법
KR20110030201A (ko)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