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259B1 -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259B1
KR100599259B1 KR1020000076542A KR20000076542A KR100599259B1 KR 100599259 B1 KR100599259 B1 KR 100599259B1 KR 1020000076542 A KR1020000076542 A KR 1020000076542A KR 20000076542 A KR20000076542 A KR 20000076542A KR 100599259 B1 KR100599259 B1 KR 10059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spension housing
suspension
housing panel
st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901A (ko
Inventor
황인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2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3Shaping by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서스펜션이 차체에 결합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서스펜션의 쇽업소버(1)에 장착되는 마운팅블록(5)을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상하로 겹쳐지는 제1패널(10a)과 제2패널(10b)로 이루어진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과,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의 일측을 감싸면서 하부의 프레임(9)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의 하측 구성요소인 제2패널(10b)이 상기 제1패널(10a)과 겹쳐지기 위해 구부러지는 부분에는 굴곡부(5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이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을 감싸는 부위에는 스탬프(53)를 형성하며, 상기 스탬프(53) 형성부위에 체결볼트(55)를 결합하도록 된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하여,
쇽업소버(1)가 결합되는 서스펜션하우징의 결합 강성을 굴곡부(51)와 스탬프(53) 등의 구조를 사용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패널의 증가 없이 증대시키고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켜 실내의 소음을 저감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A STRUCTURE OF SUSPENSION HOUSING FOR A CAR}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쇽업소버 3: 로어스프링시트
4: 어퍼스프링시트 5: 마운팅블록
6: 너트 9: 프레임
10: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 10a: 제1패널
10b: 제2패널 8, 20: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
51: 굴곡부 53: 스탬프
55: 체결볼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서스펜션이 차체에 결합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 다 상세하게는 서스펜션의 주요 구성요소인 쇽업소버를 차체에 연결하는 부위인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트럿형(맥퍼슨형) 서스펜션은 위시본형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승차감이 우수하여 승용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 그 기본적인 구조는 쇽업소버가 내장된 스트럿이 그 외부에 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로 조향너클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너클의 하단은 현가아암에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지지되는 구조로서, 조향시에는 상기 조향너클과 스트럿이 일체로 회전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트럿형 서스펜션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쇽업소버(1)와 스프링(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쇽업소버(1)의 하부 일측에는 로어스프링시트(3)가 형성되어 스프링(2)이 얹혀져 있으며, 이 스프링(2)의 상부는 어퍼스프링시트(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어퍼스프링시트(4)의 상부에는 마운팅블록(5)이 위치하고 있는 바, 이 마운팅블록(5)은 그 중간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쇽업소버(1)에 너트(6)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쇽업소버(1)에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이 고정된 마운팅블록(5)은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7)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마운팅블록(5)의 장착은 그 네 귀퉁이에 돌설된 볼트를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7)의 상부로 돌출시켜 너트로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7)의 하부에는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8)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8)의 상단부는 상부서스펜 션하우징패널(7)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부는 차체의 프레임(9)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7)과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8)은 서스펜션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서스펜션으로부터의 입력을 지지하는 충분한 강성 및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같은 요구에 부응하고자 제안된 선행기술이 있는 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999-035176의 "자동차의 서스펜션 하우징 조립체"를 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본 구조, 즉 쇽업소버(1)의 상부에 고정된 마운팅블록(5)이 장착되는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과, 이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에서부터 하부의 프레임(9)에 이르도록 설치되는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로 이루어지는 구조는 상기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고,
여기에 더하여, 상기한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이 제1패널(10a)과 제2패널(10b)로 분리,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이와 같이된 상부서스펜션하우징 패널(10)을 감싸는 구조로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이 결합되어, 자체 강성은 물론 부재간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의 제1패널(10a)은 그 일단부가 절곡되어 사이드프레임(30)에 접합되어 있으며, 이 하부에 제2패널(10b)의 절곡부가 접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일단이 각각 사이드프레임(30)에 접합된 2개의 패널은 상,하면이 접합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의 단부가 일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이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의 타단부는 차체의 프레임(9)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를 이용한 서스펜션의 고정 구조는 상기 도 1에 개시된 일반적인 경우와 같으나, 2매로 분리되어 접합된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에 의해 상부의 강도 및 강성이 증가되고, 또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에 의해 부재간의 결합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제2패널(10b)의 꺽이는 부분이 수직으로 상부의 제1패널(10a)에 맞닿아 있어 타이어로부터 전해오는 충격을 차체로 그대로 전달하여 차량의 승차감 및 소음특성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합강성을 더욱 보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단순히 상기한 바와 같은 개념으로 보강할 패널을 추가하는 방법은 별도의 부품 증가 및 작업성 저하 등의 이유로 원가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쇽업소버가 결합되는 서스펜션하우징의 결합 강성을 별도의 추가적인 패널의 증가 없이 증대시키고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켜 실내의 소음을 저감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 립체는 서스펜션의 쇽업소버에 장착되는 마운팅블록을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상하로 겹쳐지는 제1패널과 제2패널로 이루어진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과,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의 일측을 감싸면서 하부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의 하측 구성요소인 제2패널이 상기 제1패널과 겹쳐지기 위해 구부러지는 부분에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이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을 감싸는 부위에는 스탬프를 형성하며, 상기 스탬프 형성부위에 체결볼트를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종래 기술의 설명시에 사용되었던 부품과 동일한 부품의 명칭 및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서스펜션 하우징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서스펜션의 쇽업소버(1)에 장착되는 마운팅블록(5)을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상하로 겹쳐지는 제1패널(10a)과 제2패널(10b)로 이루어진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이 사이드프레임(30)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이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의 일측을 감싸면서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의 프레임(9)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의 하측 구성요소인 제2패널(10b)은 상기 제1패널(10a)과 겹쳐지기 위해 구부러지는 부분에 굴곡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이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을 감싸면서 결합되 어 있는 부위에는 스탬프(53)가 형성되어 여기에 체결볼트(55)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굴곡부(51)는 종래에는 단순하게 수직하게 구부러져 있던 구조를 변경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그 굴곡부(51)의 형상만으로도 자체적으로 일정수준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한편, 상기 스탬프(53)는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과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의 결합강성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스탬프(53)의 굴곡진 구조 자체가 결합부의 이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중 발생되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하중과 차체의 진동은 일단 서스펜션의 스프링(2)에 의해 흡수되고 상기 스프링(2)이 충격하중을 흡수하면서 진동하는 것은 쇽업소버(1)에 의해 감쇠되어 신속하게 차량은 안정된 상태를 확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조종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있어서, 상기 쇽업소버(1)에 작용하는 하중은 상기 마운팅블록(5)을 통해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 및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로 전해지고 이는 다시 사이드프레임(30)과 프레임(9)에 전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쇽업소버(1)로부터 마운팅블록(5)을 통해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의 제2패널(10b)로 전해진 힘은 상기 제2패널(10b)의 굴곡부(51)에서 완충되면서 제1패널(10a)로 전해지게 되므로 이 같은 구조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는 차체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한층 저감시킨 상태로 전달함은 물론, 그에 따라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의 강성이 증강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과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스탬프(53) 및 여기에 결합되는 체결볼트(53)의 구조는 서스펜션으로부터의 잦은 하중전달에 의해서도 그 결합부의 강성이 단지 체결볼트(55)의 체결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상기 스탬프(53)의 형상 자체로부터 기인하는 결합력이 보강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한 체결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쇽업소버가 결합되는 서스펜션하우징의 결합 강성을 굴곡부(51)와 스탬프(53) 등의 구조를 사용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패널의 증가 없이 증대시키고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감소시켜 실내의 소음을 저감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서스펜션의 쇽업소버(1)에 장착되는 마운팅블록(5)을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상하로 겹쳐지는 제1패널(10a)과 제2패널(10b)로 이루어진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과,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의 일측을 감싸면서 하부의 프레임(9)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의 하측 구성요소인 제2패널(10b)이 상기 제1패널(10a)과 겹쳐지기 위해 구부러지는 부분에는 굴곡부(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2. 삭제
  3. 서스펜션의 쇽업소버(1)에 장착되는 마운팅블록(5)을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상하로 겹쳐지는 제1패널(10a)과 제2패널(10b)로 이루어진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과,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의 일측을 감싸면서 하부의 프레임(9)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 하우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의 하측 구성요소인 제2패널(10b)이 상기 제1패널(10a)과 겹쳐지기 위해 구부러지는 부분에는 굴곡부(5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20)이 상부서스펜션하우징패널(10)을 감싸는 부위에는 스탬프(53)를 형성하며, 상기 스탬프(53) 형성부위에 체결볼트(55)를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KR1020000076542A 2000-12-14 2000-12-14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KR10059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542A KR100599259B1 (ko) 2000-12-14 2000-12-14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542A KR100599259B1 (ko) 2000-12-14 2000-12-14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901A KR20020047901A (ko) 2002-06-22
KR100599259B1 true KR100599259B1 (ko) 2006-07-14

Family

ID=2768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542A KR100599259B1 (ko) 2000-12-14 2000-12-14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2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36A (ja) * 1989-06-07 1991-01-17 Nissan Motor Co Ltd ストラットアッパーマウントの取付構造
KR19990035176A (ko) * 1997-10-31 1999-05-15 류정열 자동차의 서스펜션 하우징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36A (ja) * 1989-06-07 1991-01-17 Nissan Motor Co Ltd ストラットアッパーマウントの取付構造
KR19990035176A (ko) * 1997-10-31 1999-05-15 류정열 자동차의 서스펜션 하우징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901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40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599259B1 (ko)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KR102417402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KR100395121B1 (ko) 차량의 리어 현가장치 장착구조
KR200160327Y1 (ko) 차량의 리어 써스팬션 쇽업소오버의 장착구조
KR20030041247A (ko) 더블 위시본식 현가 장치
KR200274548Y1 (ko) 자동차 전륜 현가장치의 로워아암
JP2000177346A (ja) 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
KR100316959B1 (ko) 자동차의 후방현가장치 장착용 휠하우징레일브라켓트의 구조
KR0153645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지지구조
KR100348045B1 (ko)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KR20230093655A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쇽업쇼바 마운팅유닛
KR19980040293U (ko) 자동차용 로워 아암 마운팅 구조
KR100361296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100391657B1 (ko) 자동차의 리어서스펜션 마운팅부 구조
KR19980021950U (ko) 자동차의 쿼터패널 보강구조
KR19980049880U (ko)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KR19990035176A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하우징 조립체
KR100412842B1 (ko)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의 설치구조
KR100357395B1 (ko) 자동차용 휠에이프론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534342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구조
KR0125067Y1 (ko) 자동차용 전륜 현가장치의 하중분리구조
KR200178377Y1 (ko) 자동차의 판 스프링형 현가장치
KR19990024429U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