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880U -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 Google Patents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880U
KR19980049880U KR2019960063048U KR19960063048U KR19980049880U KR 19980049880 U KR19980049880 U KR 19980049880U KR 2019960063048 U KR2019960063048 U KR 2019960063048U KR 19960063048 U KR19960063048 U KR 19960063048U KR 19980049880 U KR19980049880 U KR 199800498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tower
suspension
vehicle body
b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장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63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880U/ko
Publication of KR19980049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88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 하우스의 상측에 고정되어 현가장치의 스트럿 어셈블리 단부에 형성된 서스펜션 서포트가 결합하는 것으로 보강재를 형성하고 접합부분을 증대시켜 바퀴를 차체에 대해 바른 위치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서스펜션 타워는 하단은 휠 하우스에 고정되고 상단은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을 형성한 서스펜션 타워로워와, 상기 서스펜션 타워로워의 상단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고정되며 내측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사이드 레일인너에 고정되는 서스펜션 타워어퍼와, 상기 서스펜션 타워어퍼 내측 전면가 사이드 레일인너를 연결 고정하는 보강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용접부분을 증대시키고 보강재를 형성하여 두께가 얇은 패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써 차체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차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본 고안은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 하우스의 상측에 고정되어 현가장치의 스트럿 어셈블리 단부에 형성된 서스펜션 서포트가 결합하는 것으로 보강재를 형성하고 접합부분을 증대시켜 바퀴를 차체에 대해 바른 위치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임과 차축 사이를 연결하여 차의 중량을 지지하고,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량 탑승객의 승차감, 주행 안전성, 선회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하 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 및 상하 운동 에너지를 열로 바꾸는 작용을 하는 쇽 업소버를 조합한 현가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같은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은 차체에 직접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하는 장치이다.
이와같이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새시 스프링과, 새시 스프링의 자유 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좋게하는 쇽업소버 및 자동차가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이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가장치는 구동바퀴에 발생하는 구동력이나 제동할 때에 각 바퀴의 제동력을 차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선회할 때 원심력도 견디고, 각 바퀴를 차체에 대해 바른 위치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은 역할을 하기 위하여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태의 결합이 필요하며 바퀴에서 발생되는 구동력, 제동력 및 선회할 때의 원심력 등에 견딜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강한 결합이 필요하다.
이와같이 보통 주행시에는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드러워야(soft)하고, 고속 주행시에는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딱딱해야(hard)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축 현가식과 독립 현가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승차감이나 조종성을 중요시하는 승용차에서는 독립 현가식을 많이 사용하고, 버스나 트럭에서는 차축 현가식을 많이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현가장치를 차체와 연결하는 서스펜션 타워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사이드 레일인너, 2는 서스펜션 타워어퍼, 3은 서스펜션 타워로워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스펜션 타워은 내측을 슈라우드 패널과 대쉬패널을 연결하는 사이드 레일인너(1)과 고정되고 외측은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 서스펜션 타워어퍼(2)와 상기 서스펜션 타워어퍼(2)의 외측 절곡부에는 하단이 휠 하우스와 연결되는 서스펜션 타워어워(3)의 상단과 고정된다.
상기 서스펜션 타워어퍼(2)에는 스트럿 어셈블리의 서스펜션 서포트가 체결되도록 다수의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스펜션 타워는 차체의 과대한 하중과 차량의 운행중에 가해지는 진동과 충격이 집중되는 부분으로 서스펜션 타워어퍼나 로워를 두꺼운 패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차체의 중량이 증가하였으며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서스펜션 타워어퍼와 로워의 접합부분을 증대시키고 보강재를 형성하여 차체와 진동에 의한 하중을 얇은 패널로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스펜션 타워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스펜션 타워로워11 : 절곡편
20 : 서스펜션 타워어퍼30 : 사이드 레일인너
40 : 보강재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단은 휠 하우스에 고정되고 상단은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을 형성한 서스펜션 타워로워와, 상기 서스펜션 타워로워의 상단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고정되며 내측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사이드 레일인너에 고정되는 서스펜션 타워어퍼와, 상기 서스펜션 타워어퍼 내측 저면과 사이드 레일인너를 연결 고정하는 보강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용접부분을 증대시키고 보강재를 형성하여 두께가 얇은 패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써 차체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차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서스펜션 타워는 스트럿 어셈블리의 서스펜션 서포트가 결합되는 곳으로 바퀴의 외측의 커버링하는 휠 하우스 상측에 하단이 고정되는 서스펜션 타워로워(1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11)을 형성하고 상기 서스펜션 타워로워(10)의 상단을 감싸며 고정하는 서스펜션 타워어퍼(20)는 상기 절곡편(11)이 서스펜션 타워어퍼(20)의 외측 저면에 고정되도록 외측은 하측으로 절곡 형성하여 내측은 상측으로 절곡하여 사이드 레일인너(30)에 고정된다.
상기 서스펜션 타워어퍼(20)의 내측 저면은 강성을 높이기 위해 사이드 레일인너(30)를 보강재(40)로 연결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트럿 어셈블리의 서스펜션 서포트가 결합되어 차체의 하중을 받은 서스펜션 타워의 서스펜션 타워어퍼(20) 저면을 서스펜션 타워로워(10)의 절곡편(11)과 보강재(40)로 고정하므로서 2열 용접구조를 형성하여 얇은 패널을 사용하여도 상·하측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용접의 불량률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용접부분을 증대시키고 보강재를 형성하여 두께가 얇은 패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차체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차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얘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하단은 휠 하우스에 고정되고 상단은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편을 형성한 서스펜션 타워로워와,
    상기 서스펜션 타워로워의 상단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고정되며 내측은 상측으로 절곡되어 사이드 레일인너에 고전되는 서스펜션 타워어퍼와,
    상기 서스펜션 타워어퍼 내측 저면과 사이드 레일인너를 연결 고정하는 보강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KR2019960063048U 1996-12-30 1996-12-30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KR199800498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048U KR19980049880U (ko) 1996-12-30 1996-12-30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048U KR19980049880U (ko) 1996-12-30 1996-12-30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880U true KR19980049880U (ko) 1998-10-07

Family

ID=5400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048U KR19980049880U (ko) 1996-12-30 1996-12-30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88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858B1 (ko) * 2001-03-22 2004-03-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스펜션 스트러트 타워 보강구조
KR100482055B1 (ko) * 2001-12-14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858B1 (ko) * 2001-03-22 2004-03-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스펜션 스트러트 타워 보강구조
KR100482055B1 (ko) * 2001-12-14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2009A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00320499B1 (ko) 자동차의전륜현가장치
KR19980049880U (ko) 강성을 향상시킨 서스펜션 타워
KR100439965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 강성구조
CN216139770U (zh) 一种车辆底盘及扫路机
CN220842110U (zh) 悬架系统和车辆
KR10048205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암
KR0140746Y1 (ko) 자동차의 판스 프링형 현가장치
KR100261426B1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
KR19980083085A (ko) 차량의 현가장치 차체 고정 어셈블리
KR013130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253459B1 (ko) 2중 스프링 구조의 댐핑장치
KR100599259B1 (ko) 차량의 서스펜션하우징 조립체
KR100482684B1 (ko) 자동차용 리어 서스펜션부의 고정구조
KR19980021950U (ko) 자동차의 쿼터패널 보강구조
KR19980061332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274548Y1 (ko) 자동차 전륜 현가장치의 로워아암
KR200225042Y1 (ko) 자동차용현가장치의충격흡수장치
KR100534342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구조
KR20000016932U (ko) 탄성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현가장치
KR19980061115U (ko) 상용차 현가의 보강재
KR19980053032U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고정구조
KR19990033299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구조
KR19980054100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24138U (ko) 차체 프레임의 차체 바디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