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973A - 차량의 토션빔 - Google Patents

차량의 토션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973A
KR20090055973A KR1020070122881A KR20070122881A KR20090055973A KR 20090055973 A KR20090055973 A KR 20090055973A KR 1020070122881 A KR1020070122881 A KR 1020070122881A KR 20070122881 A KR20070122881 A KR 20070122881A KR 20090055973 A KR20090055973 A KR 20090055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vehicle
members
torsion beam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5973A/ko
Publication of KR2009005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60G7/003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adjustabl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60G2206/1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of adjustable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2 토션부재를 조정유닛을 통해 거리 조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롤 강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서,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의 롤 강성을 조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토션빔{Torsional bea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토션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토션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현가장치는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을 완화, 흡수하여 자동차의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기 현가장치 중 후방현가장치에는 액슬하우징(axle housing), 쇽 압소버(shock absorber),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어퍼 암, 로어 암, 코일 스프링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현가장치는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을 완화, 흡수하여 자동차의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준중형 이하 소형차량의 후방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토션빔의 일종인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은 차량의 롤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현가장치의 한 종류로서, 부품수가 적고 경량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CTBA 토션빔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토션빔(1)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양단이 트레일링암에 연결되며, 허브베어링을 통해 휠을 지지하고, 토셔널(torsional) 특성에 의해 차량의 롤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CTBA 타입의 토션빔(1)은 도시된 바와 같은 각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단면형상과 오픈방향 등에 의해 롤에 대한 특성 및 내구성이 결정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튜블라빔 형태의 CTBA 토션빔(1)은 한번 성형되고 난 후에는, 롤 특성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롤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토션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후륜현가장치로서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량의 토션빔에 있어서, 제 1 토션부재와, 상기 제 1 토션부재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토션부재와, 상기 제 1, 2 토션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2 토션부재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정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토션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유닛은 상기 제 1, 2 토션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토션부재는 단면 형상이 'c'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2 토션부재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조정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2 토션부재를 조정유닛을 통해 거리 조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롤 강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서,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의 롤 강성을 조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빔이 도시된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빔은 제 1 토션부재(10)와, 상기 제 1 토션부재(10)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토션부재(20)와, 상기 제 1, 2 토션부재(10)(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2 토션부재(20)의 거리를 조절하 는 조정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토션부재(10) 및 상기 제 2 토션부재(20)는 각 단면이 'c'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측이 하측을 향하도록 차량에 배치된다.
상기 조정유닛(30)은 상기 제 1, 2 토션부재(10)(2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고, 상기 제 1, 2 토션부재(10)(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이조절부재(32)와, 상기 길이조절부재(3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길이조절부재(32)는 상기 제 1, 2 토션부재(10)(20)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볼트이고, 상기 고정부재(34)는 제 2 토션부재(20)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2 토션부재(10)(20)의 사이에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40)로서 러버가 삽입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러버는 상기 길이조절부재(32)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2 토션부재(10)(20)는 상기 길이조절수단(32)에 의해 최대 이격거리 d를 형성시키고 상기 이격거리 d 에 의해 차량의 롤 강성을 조절시킬 수 있다.
즉, 토션과 단면계수는 T(토크) = τ(응력) * Zp(극단면계수) 로 나타낼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토션빔은 상기 Zp를 조절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곡면을 갖게 형성된 제 1, 2 토션부재(10)(20)는 상기 볼트를 통해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너트를 조임으로서 상기 간격 d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의 간격이 작아질수록 단면계수인 상기 Zp 값이 작아지고, 상기 d의 간격이 커질수록 상기 Zp의 값이 커지며, 이를 통해 차량의 롤 강성을 변화되고, 차량의 운전자는 취향에 따라 상기 d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롤 강성은 차량의 승차감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인바, 롤강성이 클수록 핸들링 특성이 좋아져 스포티한 운전을 할 수 있고, 롤강성이 작을수록 라이드 특성이 좋아져 안락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정유닛(30)으로서 볼트 및 너트가 사용되었으나, 이와 달리 리벳 등의 여러 가지 체결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나머지 구성은 종래기술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CTBA 토션빔이 도시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토션빔이 도시된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확대도
<도면의 부호에 관한 간략한 설명>
10 : 제 1 토션부재 20 : 제 2 토션부재
30 : 조정유닛 32 : 길이조절부재
34 : 고정부재 40 : 완충부재

Claims (5)

  1. 후륜현가장치로서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량의 토션빔에 있어서,
    제 1 토션부재와,
    상기 제 1 토션부재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토션부재와,
    상기 제 1, 2 토션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2 토션부재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정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토션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정유닛은
    상기 제 1, 2 토션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길이조절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토션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토션부재는 단면 형상이 'c'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의 토션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토션부재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더 배치되는 차량의 토션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조정유닛을 감싸도록 배치된 차량의 토션빔.
KR1020070122881A 2007-11-29 2007-11-29 차량의 토션빔 KR20090055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881A KR20090055973A (ko) 2007-11-29 2007-11-29 차량의 토션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881A KR20090055973A (ko) 2007-11-29 2007-11-29 차량의 토션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73A true KR20090055973A (ko) 2009-06-03

Family

ID=4098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881A KR20090055973A (ko) 2007-11-29 2007-11-29 차량의 토션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59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0342A (zh) * 2016-04-26 2017-11-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变截面线液压胀管扭力梁
KR20210014392A (ko) * 2019-07-30 2021-02-09 박우영 자동차용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현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0342A (zh) * 2016-04-26 2017-11-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变截面线液压胀管扭力梁
KR20210014392A (ko) * 2019-07-30 2021-02-09 박우영 자동차용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현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771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US8328210B2 (en) Axle suspension
KR100726568B1 (ko) 토션 바 타입 차량용 리어 현가장치
KR20090055973A (ko) 차량의 토션빔
KR101640680B1 (ko) 차량 서스펜션시스템용 완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서스펜션시스템 보조장치
JP2008201307A (ja) スタビライザ装置
KR20100035876A (ko)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20110075830A (ko) 후륜 현가장치
KR100699482B1 (ko) 자동차 후륜 현가장치
JP3701958B2 (ja)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KR102238055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서스펜션
KR200491248Y1 (ko) 자동차용 차축 롤링 방지장치
JP4529737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KR100527720B1 (ko) 버스용 후륜 현가장치
KR100936986B1 (ko) 현가장치용 롤 억제유닛
KR20080054815A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868606B1 (ko)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용 서브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차량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10021759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1045930B1 (ko)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0962190B1 (ko) 스테빌라이저 바용 클램핑 장치
KR101211421B1 (ko) 차량용 토션빔
KR20030006377A (ko) 사륜구동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KR20090045725A (ko) 자동차 후륜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