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201A -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0201A
KR20110030201A KR1020090088225A KR20090088225A KR20110030201A KR 20110030201 A KR20110030201 A KR 20110030201A KR 1020090088225 A KR1020090088225 A KR 1020090088225A KR 20090088225 A KR20090088225 A KR 20090088225A KR 20110030201 A KR20110030201 A KR 20110030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arm assembly
suspension
ball joint
ar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만옥
정대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0201A/ko
Publication of KR2011003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로어 암 부재를 단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단판 적용에 따라 용접 공정을 제거하여 작업공수를 줄이고, 롤 센터를 상향으로 인해 스테빌라이져 바의 직경을 축소하여 전체중량 및 제작원가를 절감하도록
너클과 차체를 연결하며, 스테빌라이져 바를 장착하기 위한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있어서, 단판으로 성형되며, 일단에 상기 너클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볼 조인트가 장착되는 너클 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부시가 장착되는 로어 암 부재; 상기 로어 암 부재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테빌라이져 장착부; 및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의 상부에서 상기 로어 암 부재에 장착되는 상부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현가장치, 로어 암, 볼 조인트, 롤 센터

Description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LOWER ARM ASSEMBLY FOR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단판으로 구성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써, 주로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또는 신속하게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 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하다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현가장치가 개발되어 실차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원자재 및 연료비의 상승에 따라 보다 가볍고, 주행 시 연료의 소비가 적은 경차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저가로 제작되는 경차량에 맞는 현가장치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가장치의 사시도로써, 특히 경차와 같은 저가 차량에 적용되는 현가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휠(W)을 지지하는 너클(3)이 구비되고, 상기 너클(3)의 상부에는 쇽 업소버(5)와 스프링(7)으로 구성된 스트럿 어셈블리(9)가 장착되고, 상기 너클(3)의 하부에는 미도시된 차체와 상기 너클(3)을 연결하며, 스테빌라이져 바(11)의 양단과 연결되는 로어 암 어셈블리(20)가 장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로어 암 어셈블리(20)는 드라이브 샤프트(13)와 연결되고, 상기 너클(3)의 하부에 볼 조인트(15)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1)와는 부시(17)를 개재시켜 연결되며, 미도시된 차체와 부시유닛(19)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로어 암 어셈블리(2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21)과 하판(23)으로 분리 구성되어 상호 용접되며, 일단에는 상기 너클(3)과 연결되는 볼 조인트 장착부(25)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체와 연결되기 위한 부시유닛(19)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호 결합되는 상판(21)과 하판(23)의 일단부에는 상기 상판(21)과 하판(23) 사이에서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11)를 장착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져 장착부(27)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27)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 판(21)과 하판(23) 상에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 하판(21, 23)의 보강을 위한 상, 하부 보강부재(29, 31)가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볼 조인트(15)는 드라이브 샤프트(13)와의 사이에 충분한 갭을 확보하기 위하여 길이가 작은 핀치 볼트 타입의 볼 조인트가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20)는 상판(21)과 하판(23)으로 분리 구성되어 각각 성형되고, 상, 하부 보강부재(29, 31)가 각각 장착됨에 따라 구성요소가 증가되어 제작원가가 증가되며, 상기 상판(21)과 하판(23)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 공정이 추가되어 제작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작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핀치 볼트 타입의 볼 조인트를 볼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로 변경할 경우,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13)와 볼 조인트(15)와의 갭 확보를 위해 상기 로어 암 어셈블리(20)를 하향 설치해야 함에 따라, 휠(W)과 로어 암 어셈블리(20) 사이 갭이 줄어들어 차량 주행 중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휠(W)과 로어 암 어셈블리(20)가 간섭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로어 암 부재를 단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단판 적용에 따라 용접 공정을 제거하여 작업공수를 줄이고, 롤 센터를 상향으로 인해 스테빌라이져 바의 직경을 축소하여 전체중량 및 제작원가를 절감하도록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는 너클과 차체를 연결하며, 스테빌라이져 바를 장착하기 위한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너클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볼 조인트가 장착되는 너클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부시유닛이 장착되는 로어 암 부재; 상기 로어 암 부재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테빌라이져 장착부; 및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의 상부에서 상기 로어 암 부재에 장착되는 상부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 암 부재는 단판으로 구성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 암 부재는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에 대응하는 하부 내측으로 장착되는 하부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보강부재는 상기 로어 암 부재의 하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와 상부 보강부재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호 원형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 조인트는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를 적용하면,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로어 암 부재를 단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단판 적용에 따라 종래 상판과 하판을 용접하는 공정을 제거하여 작업공수를 줄이고, 롤 센터의 상향으로 인해 스테빌라이져 바의 직경 축소가 가능하며, 구성요소를 줄여 전체중량 및 제작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는 종래에 비해 스테빌라이져 장착부를 상향하여 형성함으로써, 너클 장착부에 장착되는 스터드 타입의 볼 조인트와 드라이브 샤프트 사이의 간격(D1), 너클 연결부와 휠 사이의 간격(D2), 및 상기 로어 암 부재와 휠 사이의 간격(D3)을 충분히 확보하여 차량의 주행 중 충격에 의한 유동 시, 각 부품간의 간섭을 방지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가 적용된 현가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100)는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단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단판 적용에 따라 용접선의 길이를 축소하고, 롤 센터를 상향으로 인해 스테빌라이져 바(107)의 직경을 축소하여 전체중량 및 제작원가를 절감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샤프트(101)가 연결되고, 휠(W)이 장착되는 너클(103)의 하부에 볼 조인트(105)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7)와는 부시(109)를 개재시켜 연결되며, 미도시된 차체와 부시유닛(111)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로어 암 어셈블리(2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어 암 부재(201), 스테빌라이져 장착부(205), 및 상부 보강부재(21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로어 암 부재(201)는 일단에 상기 너클(103)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볼 조인트(105)가 장착되는 너클 연결부(203)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체(미도시)와 연결되는 부시유닛(111)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로어 암 부재(201)는 단판으로 구성되며, 프레스 성형을 통해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어 암 부재(201)의 일단부에는 부시(109)를 개재시켜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107)를 장착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져 장착부(205)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강부재(210)는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205)의 상부에서 상기 로어 암 부재(201)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205)와 상부 보강부재(210)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원형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 보강부재(210)는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107)를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205)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205)와 상호 원형을 이룬 상태로, 상기 로어 암 부재(201)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로어 암 부재(201)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어 암 부재(20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205)에 대응하는 하부 내측으로 장착되는 하부 보강부재(2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보강부재(220)는 상기 로어 암 부재(201)의 하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볼 조인트(105)는 제작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종래 적용되던 핀치 볼 타입 볼 조인트에 비해 단가가 낮은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볼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는 핀치 타입 볼 조인트에 비해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와 핀치 볼트 타입 볼 조인트는 당 업계 에서 이미 채용하고 있는 공지 기술의 볼 조인트 중 하나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핀치 볼트 타입 볼 조인트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는 상기 로어 암 부재(201)가 단판으로 구성되어 종래 상, 하판 구조에 비해 상향된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너클(103)과 연결 시, 볼 조인트(105)와 드라이브 샤프트(101) 사이 간격(D1)을 충분히 확보가 가능하다.
동시에, 상향된 상태로 형성되는 상기 로어 암 부재(201)는 너클 연결부(203)와 휠(W) 사이의 간격(D2), 및 상기 휠(W)과의 사이에 간격(D3)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롤 센터가 상향됨에 따라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107)의 직경 축소가 가능해 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200)를 적용하면,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로어 암 부재(201)를 단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단판 적용에 따라 종래 상판과 하판을 용접하는 공정을 제거하여 작업공수를 줄이고, 롤 센터의 상향으로 인해 스테빌라이져 바(107)의 직경 축소가 가능하며, 구성요소를 줄여 전체중량 및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200)는 종래에 비해 스테빌라이져 장착부(205)를 상향하여 형성함으로써, 너클 장착부(203)에 장착되는 볼 조인트(105)와 드라이브 샤프트(101) 사이의 간격(D1), 너클 연결부(203)와 휠(W) 사이의 간격(D2), 및 상기 로어 암 부재(201)와 휠(W) 사이의 간 격(D3)을 충분히 확보하여 차량의 주행 중 충격에 의한 유동 시, 각 부품간의 간섭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가 적용된 현가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반적으로 저가형 경차에 적용되는 현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가 적용된 현가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Claims (6)

  1. 너클과 차체를 연결하며, 스테빌라이져 바를 장착하기 위한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너클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볼 조인트가 장착되는 너클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차체와 연결되는 부시유닛이 장착되는 로어 암 부재;
    상기 로어 암 부재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테빌라이져 장착부; 및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의 상부에서 상기 로어 암 부재에 장착되는 상부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 부재는 단판으로 구성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암 부재는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에 대응하는 하부 내측으로 장착되는 하부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강부재는 상기 로어 암 부재의 하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져 장착부와 상부 보강부재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호 원형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는 스터드 타입 볼 조인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KR1020090088225A 2009-09-17 2009-09-17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KR20110030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225A KR20110030201A (ko) 2009-09-17 2009-09-17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225A KR20110030201A (ko) 2009-09-17 2009-09-17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201A true KR20110030201A (ko) 2011-03-23

Family

ID=4393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225A KR20110030201A (ko) 2009-09-17 2009-09-17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02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5148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00019207A (ko)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KR20100029463A (ko) 자동차의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
CN111791659B (zh) 空气悬架系统
CN203198673U (zh) 麦弗逊空气悬架
KR101826566B1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캐리어
KR101090806B1 (ko)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JP2004099017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を利用した前輪懸架装置
KR100980877B1 (ko) 현가장치용 트레일링 암 어셈블리
KR20100067312A (ko) 자동차 로어암 및 쇽업쇼버 브라켓 어셈블리 장치
US20190249745A1 (en) Air spring for a heavy-duty vehicle
KR20120007608U (ko)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CN102358128A (zh) 一种前悬架总成
KR10132871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KR20110030201A (ko) 현가장치용 로어 암 어셈블리
KR102383248B1 (ko)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JP3701958B2 (ja) サブフレームのマウントブッシュ
KR101509688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2429001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보강유닛
CN113086038B (zh) 一种避震结构及应用其的悬挂机构以及履带车辆底盘
KR10048205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암
CN210309818U (zh) 复合稳定杆转向桥空气悬架
KR100868606B1 (ko)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용 서브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차량
KR19990007181U (ko) 자동차 서스펜션의 크로스 맴버 보강용 브라켓
KR20210081726A (ko) 자동차의 프런트 샤시 모듈 유동방지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