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630A - 감미료 - Google Patents

감미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630A
KR20100017630A KR1020097025373A KR20097025373A KR20100017630A KR 20100017630 A KR20100017630 A KR 20100017630A KR 1020097025373 A KR1020097025373 A KR 1020097025373A KR 20097025373 A KR20097025373 A KR 20097025373A KR 20100017630 A KR20100017630 A KR 20100017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
cys
gly
val
swee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984B1 (ko
Inventor
히로아키 나가사키
나오히로 미야무라
유즈루 에토
가쓰야 세구로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1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amino acids, nucleotides, peptide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1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amino acids, nucleotides, peptides or derivatives
    • A23L27/32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amino acids, nucleotides, peptides or derivatives containing dipeptide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설팜 등의 감미 물질과, γ-Glu-X-Gly(X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Val-Y(Y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Ala, γ-Glu-Gly, γ-Glu-Cys, γ-Glu-Met, γ-Glu-Thr, γ-Glu-Val, γ-Glu-Orn, Asp-Gly, Cys-Gly, Cys-Met, Glu-Cys, Gly-Cys, Leu-Asp, D-Cys, γ-Glu-Met(O), γ-Glu-γ-Glu-Val, γ-Glu-Val-NH2, γ-Glu-Val-올, γ-Glu-Ser, γ-Glu-Tau, γ-Glu-Cys(S-Me)(O), γ-Glu-Leu, γ-Glu-Ile, γ-Glu-t-Leu 및 γ-Glu-Cys(S-Me) 등의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등을 혼합함으로써, 감미료의 바디감을 개선한다.
감미료, 바디감 개선, 쓴 맛 개선, 칼슘 수용체 활성화제

Description

감미료{Sweetener}
본 발명은, 감미료, 및 감미료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감미 물질의 바디(body)감을 개선하고, 감미 물질 특유의 쓴 맛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감미도 감미료(high sweetness sweetener)는, 이의 높은 감미 배율로부터 감미료로서 다이어트 식품을 비롯해 폭넓은 식품 분야에서 활용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특히 소비량이 많은 음료·과자 분야에서는, 칼로리오프나 논칼로리의 소위 저칼로리 타입, 논슈가 타입으로서 각종 고감미도 감미료가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고감미도 감미료로서는, 아스파탐(APM), 수크랄로스, 아세설팜 K(Ace-K), 네오탐,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이하 「ANS9801」이라고 약칭한다), 사카린, 스테비아, 글리시리진, 토마틴, 모넬린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소비자는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식품에 사용되어 온 설탕, 과당 포도당 액당(glucose fructose syrup) 등의 감미에 오랜 세월 익숙해져 친숙하며, 상 기와 같은 고감미도 감미료의 감미의 질에 관해서는 선호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APM은, 플레이버 인헨스 효과나 공존 물질의 쓴 맛, 떫은 맛(astringency) 저감 등의 이용 효과가 있는 반면, 후감미의 강도(뒷 맛의 감미의 강도)나 열내성 등의 보존 안정성을 문제점으로서 들 수 있다. 수크랄로스는 높은 안정성을 갖지만, 플레이버의 억제나 뒷 맛의 감미의 개운치 못한 맛 등을 문제점으로서 들 수 있다. Ace-K는 높은 안정성을 갖지만, 중간 맛부터 후감미의 개운치 못한 맛(뒷 맛에 걸친 개운치 못한 감미)과 특히 쓴 맛이나 떫은 맛이 강하기 때문에, 다른 고감미도 감미료와의 조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상기의 고감미도 감미료의 감미질을 개량하는 기술로서는, 이들 고감미도 감미료끼리를 병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참조: 특허문헌 1]. 또한, 이러한 고감미도 감미료와, 다른 감미료, 예를 들면 트레할로스나 에리스리톨[참조: 특허문헌 2] 또는 α-글리코실화스테비아 추출물[참조: 특허문헌 3]과의 병용 또는 식이 섬유[참조: 특허문헌 4]와의 병용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설탕이나 과당 포도당 액당의 감미질에 익숙해져 친숙한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키기에는 이르지 못한 것이 현재 상황이다.
그런데, 칼슘 수용체는, 칼슘 감지 수용체(Calcium Sensing Receptor: CaSR)라고도 불리며, 7회 막관통형 수용체(G 단백질 결합형 수용체; GPCR)의 클래스 C로 분류되는 아미노산 1078개로 이루어지는 수용체이다. 이러한 칼슘 수용체는, 1993년에 유전자의 클로닝이 보고되어 있으며[참조: 비특허문헌 1], 칼슘 등으로 활성화되면 세포내 칼슘 상승 등을 개재하여 여러 가지 세포 응답을 일으키는 것이 알 려져 있다. 사람 칼슘 수용체의 유전자 서열은 GenBank Accession No NM_000388로서 등록되어 있고, 동물간에 잘 보존되어 있다.
상기 칼슘 수용체는, 생체내 기능에 촉진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는가 하면, 억제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로 인해, 현재, 신경 질환, 간장 질환, 순환기 질환, 소화기 질환, 그 밖의 질환에 있어서, 칼슘 수용체에 대한 활성화 작용을 이용한 치료약과 억제제 작용을 이용한 치료약이 병태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칼슘 수용체는, 부갑상선에 있어서 혈중 칼슘 농도의 상승을 감지하고, 부갑상선 호르몬(PTH)의 분비를 억제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시정하는 작용을 가진다. 따라서, 칼슘 수용체 활성화제는 혈중 칼슘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실제로, 칼슘 수용체 활성화제를 혈액 투석 환자의 속발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치료에 사용했을 때, 칼슘 농도나 인 농도는 상승시키지 않고 PTH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밝혀져 있다.
칼슘 수용체의 기능 해석은, 주로 칼슘 항상성에 관해서 실시되어 왔기 때문, 오늘날까지의 응용 연구도 칼슘 조절이 관계되는 골대사성 질환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유전자 발현 해석 등의 결과로부터, 칼슘 수용체가 부갑상선이나 신장 이외의 생체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으며[참조: 비특허문헌 2, 3], 여러 가지 생체 기능, 질환병인에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면, 칼슘 수용체가, 간장, 심장, 폐, 소화관, 림프구, 췌장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추측되고 있다. 본 발명자도 래트의 각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RNA를 재료로 한, RT-PCR에 의한 해석으로부터, 생체내에 있어서 광범위한 조직에 발현하고 있는 것 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관점에서, 현재, 칼슘 수용체의 활성화제나 저해제의 응용 가치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또한, 칼슘 수용체 활성화제로서는 칼슘 이외에, 가돌리늄 등의 양이온, 폴리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펩타이드, 스페르민 등의 폴리아민, 페닐알라닌 등의 아미노산 등이 보고되어 있다[참조: 비특허문헌 4].
비특허문헌 5에는, 저분자 펩타이드인 글루타티온(γ-Glu-Cys-Gly)이 CaSR 활성화제인 것이 보고되어 있지만, CaSR이 미각 수용에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특정한 구조를 가진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가 칼슘 수용체 활성화제로서 유용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아스파탐과 같이 감미를 나타내는 펩타이드 유도체가 알려져 있지만,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가, 감미 물질의 감미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ANS9801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5에, 네오탐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6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4440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51723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4501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41118호
특허문헌 5: 미국 특허 제6548096호
특허문헌 6: 국제공개 제WO/39979호
비특허문헌 1: Nature, 1993, Vol.366(6455), p.575-580
비특허문헌 2: J. Endocrinol., 2000, Vol.165(2), p.173-177
비특허문헌 3: Eur. J. Pharmacol., 2002, Vol.447(2-3), p.271-278
비특허문헌 4: Cell Calcium, 2004, Vol.35(3), p.209-216
비특허문헌 5: J. Biol. Chem., 2006, Vol.281(13), p.8864-8870
발명의 개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1) 감미의 질, 특히 바디감이나 쓴 맛이 개선된 감미료를 제공하는 것, 특히, 감미의 질, 특히 바디감이나 쓴 맛이 개선된 고감미도 감미료를 제공하는 것, 및 2) 감미료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감미 물질의 바디감의 개선이나, 감미 물질 특유의 쓴 맛의 개선에 사용되는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해결 수단
본 발명자는, 칼슘 수용체의 활성화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로서 각종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를 밝혀내고, 이들이 고감미도 감미료의 감미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감미 물질과,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미 료.
(2) 상기 항목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γ-Glu-X-Gly(X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Val-Y(Y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Ala, γ-Glu-Gly, γ-Glu-Cys, γ-Glu-Met, γ-Glu-Thr, γ-Glu-Val, γ-Glu-Orn, Asp-Gly, Cys-Gly, Cys-Met, Glu-Cys, Gly-Cys, Leu-Asp, D-Cys, γ-Glu-Met(O), γ-Glu-γ-Glu-Val, γ-Glu-Val-NH2, γ-Glu-Val-올, γ-Glu-Ser, γ-Glu-Tau, γ-Glu-Cys(S-Me)(O), γ-Glu-Leu, γ-Glu-Ile, γ-Glu-t-Leu 및 γ-Glu-Cys(S-M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인, 감미료.
(3) 상기 항목 (2)에 있어서, 상기 X가 Cys(SNO), Cys(S-알릴), Gly, Cys(S-Me), Abu, tLeu, Cle, Alb, Pen 또는 Ser이며, 상기 Y가 Gly, Val, Glu, Lys, Phe, Ser, Pro, Arg, Asp, Met, Thr, His, Orn, Asn, Cys, Gln, GlyA 또는 LacA인, 감미료.
(4) 상기 항목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가, γ-Glu-Val-Gly, 및 γ-Glu-Abu-Gly로부터 선택되는, 감미료.
(5) 상기 항목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미 물질이,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설팜 K, 네오탐, ANS9801, 사카린, 스테비아, 글리시리진, 토마틴, 모나틴 및 모넬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감미료.
(6) 감미 물질의 바디감을 개선하기 위해 감미 물질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첨가제.
(7) 감미 물질의 쓴 맛을 개선하기 위해 감미 물질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첨가제.
도 1은 칼슘 수용체에 대한 칼슘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난모 세포에 사람의 칼슘 수용체 cRNA를 마이크로인젝션하였다. 임의의 농도의 염화칼슘 용액을 첨가했을 때에, 흐르는 세포내 응답 전류값을 기록하였다. 세포내 전류의 최대값을 응답 전류값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증류수를 마이크로인젝션한 난모 세포에서는 응답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는 칼슘 수용체에 대한 L형 아미노산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난모 세포에 사람의 칼슘 수용체 cRNA를 마이크로인젝션하였다. 10mM의 L형 아미노산 용액을 첨가했을 때에, 흐르는 세포내 응답 전류값을 기록하였다. 세포내 전류의 최대값을 응답 전류값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증류수를 마이크로인젝션한 난모 세포에서는 응답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은 칼슘 수용체에 대한 D형 아미노산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난모 세포에 사람의 칼슘 수용체 cRNA를 마이크로인젝션하였다. 10mM의 D형 아미노산 용액을 첨가했을 때에, 흐르는 세포내 응답 전류값을 기록하였다. 세포내 전류의 최대값을 응답 전류값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증류수를 마이크로인젝션한 난모 세포에서는 응답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는 칼슘 수용체에 대한 펩타이드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난모 세포에 사람의 칼슘 수용체 cRNA를 마이크로인젝션하였다. 임의의 농도의 펩타이드 용액을 첨가했을 때에, 흐르는 세포내 응답 전류값을 기록하였다. 세포내 전류의 최대값을 응답 전류값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증류수를 마이크로인젝션한 난모 세포에서는 응답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는 감미 물질의 바디감의 강약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감미 물질과,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감미료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감미 물질의 바디감이나 쓴 맛을 개선하기 위해 감미 물질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첨가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첨가제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감미료이다.
우선,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가, 식품에 농후미(kokumi)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가, 감미 물질의 바디감(body taste)이나 쓴 맛(bitterness)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밝혀냈다. 한편, 상기「농후미」란, 단 맛(sweet taste), 짠 맛(salty taste), 신 맛(sour taste), 쓴 맛(bitter taste), 감칠맛(umami)으로 표현되는 5 기본맛(five basic tastes)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맛을 의미하고, 기본맛뿐만 아니라, 깊이(thickness)·퍼짐성(growth(mouthfulness))·지속성(continuity)·통합성(harmony) 등 기본맛의 주변의 맛(marginal tastes)도 증강된 맛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감미 물질의 「바디감」이란, 감미 물질을 먹었을 때에, 첫 맛에서부터 중간 맛을 중심으로 한 통합성, 농후감(richness)을 갖는 것을 말한다. 바디감의 개선이란, 바디감이 강화되는 것을 말한다. 미각은, 먹은 후의 시간 경과와 함께 변화되지만, 먹은 직후로부터 순서대로, 첫 맛(initial taste), 중간 맛(middle taste) 및 뒷 맛(aftertaste)이라고 한다. 이들은 상대적인 개념이지만, 전형적으로는, 첫 맛, 중간 맛 및 뒷 맛은, 각각 먹은 후 0에서 2초까지, 3초에서 4초까지, 및 5초 이후에 느끼는 정미(呈味)이다. 도 5에, 바디감에 관해서, 세로축에 정미의 강도, 가로축에 먹은 후 시간을 나타낸 개념도를 도시한다. 단, 동 도면은 개념도로서, 절대적인 수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칼슘 수용체」란, 칼슘 감지 수용체 또는 Calcium Sensing Receptor(CaSR)라고 불리는, 7회 막관통형 수용체의 클래스 C에 속하는 것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칼슘 수용체 활성화제」란, 상기 칼슘 수용체에 결합하여, 칼슘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칼슘 수용체를 활성화한다」란, 칼슘 수용체에 리간드가 결합하고, 구아닌뉴클레오타이드 결합 단백질을 활성화하여, 시그널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칼슘 수용체가 이러한 시그널을 전달하는 것을 「칼슘 수용체 활성」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각 아미노산 및 각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모두 L체이다.
<1>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은, 감미 물질의 감미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한, 아미노산, 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유도체나, 각종 저분자 화합물이라도 양호하다. 또한, 신규한 화합물로서, 스크리닝에 의해 수득되는 것이라도 양호하다. 예를 들면, 칼슘 수용체와 피검 물질을 반응시켜 칼슘 수용체 활성을 검출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되는 화합물에 관해서, 감미 물질, 특히 고감미도 감미 물질의 감미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스크리닝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만, 이들 단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칼슘 수용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칼슘 수용체 활성 측정계에 피검 물질을 첨가하고, 칼슘 수용체 활성을 측정한다.
2) 피검 물질을 첨가했을 때의 칼슘 수용체 활성과, 피검 물질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칼슘 수용체 활성을 비교한다.
3) 피검 물질을 첨가했을 때에 높은 칼슘 수용체 자극 활성을 나타내는 피검 물질을 선택한다.
칼슘 수용체 활성의 측정은, 예를 들면, 칼슘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사용한 측정계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상기 세포는 칼슘 수용체를 내재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세포라도, 외래의 칼슘 수용체 유전자가 도입된 재조합 세포라도 양호하다. 상기 칼슘 수용체 활성 측정계는 상기 칼슘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에, 칼슘 수용체에 특이적인 세포외 리간드(활성화제)를 첨가했을 때에, 활성화제와 칼슘 수용체의 결합(반응)을 검출할 수 있거나 또는, 활성화제와 칼슘 수용체의 결합(반응)에 응답하여 세포내에 검출 가능한 시그널을 전달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피검 물질과의 반응에 의해 칼슘 수용체 활성이 검출된 경우, 당해 피검 물질은 칼슘 수용체 자극 활성을 가지며, 감미 물질의 감미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물질인 것이 판별된다.
한편, 감미 물질의 감미의 질을 개선하는 효과는, 사람에 의한 미각 시험 등의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검 물질로서 사용하는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펩타이드로서는 2 내지 10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유도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펩타이드의 N 말단측의 아미노산 잔기는, γ-글루탐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슘 수용체는, 그 유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사람의 칼슘 수용체뿐만 아니라, 마우스, 래트, 개 등 포함한 동물 유래의 칼슘 수용체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칼슘 수용체 활성은, 칼슘 수용체 또는 이의 단편을 발현한 살아있는 세포, 칼슘 수용체 또는 이의 단편을 발현한 세포막, 칼슘 수용체 또는 이의 단편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험관내의 계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 살아있는 세포를 사용한 일례를 나타내지만, 이 일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칼슘 수용체는,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난모 세포나 햄스터 난소 세포나 사람 태아 신장 세포 등의 배양 세포에서 발현시킨다. 이것은 외래 유전자를 보유하는 플라스미드에 칼슘 수용체 유전자를 클로닝한 것을, 플라스미드의 상태 또는 이를 주형으로 한 cRNA를 도입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반응의 검출에는 전기 생리학적 수법이나 세포내 칼슘 상승의 형광 지시 시약을 사용할 수 있다.
칼슘 수용체의 발현은, 처음에 칼슘 또는 특이적 활성화제에 의한 응답으로 확인한다. 5mM 정도 농도의 칼슘에 대해, 세포내 전류가 나타난 난모 세포 또는 형광 지시 시약의 형광이 나타난 배양 세포를 사용한다. 칼슘의 농도를 바꾸어 농도 의존성을 측정한다. 다음에, 펩타이드 등의 피검 물질을 1μM 내지 1mM 정도로 조제하고, 난모 세포 또는 배양 세포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펩타이드 등의 피검 물질의 칼슘 수용체 활성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화합물(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은,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각종 아미노산, 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각종 저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이하, 단순히 「아미노산」 「펩타이드」라고 할 때는, 각각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 펩타이드 및 펩타이드 유도체 중 어느 것이나 함유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는, 감미 물질과 함께 먹었을 때에, 감미 물질의 바디감 및/또는 쓴 맛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이면 양호하다. 이러한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로서는, 예를 들면, γ-Glu-X-Gly(X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Val-Y(Y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Ala, γ-Glu-Gly, γ-Glu-Cys, γ-Glu-Met, γ-Glu-Thr, γ-Glu-Val, γ-Glu-Orn, Asp-Gly, Cys-Gly, Cys-Met, Glu-Cys, Gly-Cys, Leu-Asp, D-Cys, γ-Glu-Met(O), γ-Glu-γ-Glu-Val, γ-Glu-Val-NH2, γ-Glu-Val-올, γ-Glu-Ser, γ-Glu-Tau, γ-Glu-Cys(S-Me)(O), γ-Glu-Leu, γ-Glu-Ile, γ-Glu-t-Leu 및 γ-Glu-Cys(S-Me)(이하, 본 발명의 펩타이드 등이라고도 한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펩타이드 등은 1종을 사용해도 양호하며, 이들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양호하다.
또한, 펩타이드는, γ-Glu-X-OCH(Z)CO2H의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 유도체라도 양호하다. 여기에, 화학식 중 X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내고, Z는 H(수소 원자) 또는 CH3(메틸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학식 γ-Glu-Val-Y에 있어서, Y가 GlyA 또는 LacA인 화합물이라도 양호하다. 구체예로서는, γ-Glu-Val-GlyA, γ-Glu-tLeu-GlyA, γ-Glu-Abu-GlyA, γ-Glu-Val-LacA, γ-Glu-tLeu-LacA, γ-Glu-Abu-LacA 등을 적합하게 들 수 있다. 또한, GlyA란, 글리콜산을 나타내고, LacA란 부티르산을 나타낸다. 부티르산은 S체와 R체 중 어느 것이라도 양호하지만, 바람직하게는 S체이다. 이들 화합물의 구조식을 이하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01
Figure 112009074982957-PCT00002
Figure 112009074982957-PCT00003
Figure 112009074982957-PCT00004
Figure 112009074982957-PCT00005
Figure 112009074982957-PCT00006
여기서, 아미노산이란, Gly, Ala, Val, Leu, Ile, Ser, Thr, Cys, Met, Asn, Gln, Pro, Hyp, t-Leu 등의 중성 아미노산, Asp, Glu 등의 산성 아미노산, Lys, Arg, His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Phe, Tyr, Trp 등의 방향족 아미노산이나, 호모세린, 시트룰린, 오르니틴, α-아미노부티르산, 노르발린, 노르류신, 타우린 등도 함유한다. 또한, 3급-류신, 사이클로류신, α-아미노이소부티르산, L-페니실아민 등의 비천연(비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이라도 양호하다. 한편, 펩타이드 γ-Glu-X-Gly에 있어서, X는 상기와 같은 아미노산 또는 이의 유도체 중 어느 것이라도 양호하지만, Cys 이외의 아미노산 또는 이의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미노기 잔기의 약호는 이하의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1) Gly: 글리신
(2) Ala: 알라닌
(3) Val: 발린
(4) Leu: 류신
(5) Ile: 이소류신
(6) Met: 메티오닌
(7) Phe: 페닐알라닌
(8) Tyr: 티로신
(9) Trp: 트립토판
(10) His: 히스티딘
(11) Lys: 리신
(12) Arg: 아르기닌
(13) Ser: 세린
(14) Thr: 트레오닌
(15) Asp: 아스파라긴산
(16) Glu: 글루탐산
(17) Asn: 아스파라긴
(18) Gln: 글루타민
(19) Cys: 시스테인
(20) Pro: 프롤린
(21) Orn: 오르니틴
(22) Sar: 사르코신
(23) Cit: 시트룰린
(24) N-Val: 노르발린
(25) N-Leu: 노르류신
(26) Abu: α-아미노부티르산
(27) Tau: 타우린
(28) Hyp: 하이드록시프롤린
(29) t-Leu: 3급-류신
(30) Cle: 사이클로류신
(31) Aib:α-아미노이소부티르산(α-aminoisobutyric acid, 2-메틸알라닌)
(32) Pen: L-페닐실라민(penicillamine)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란, 상기 아미노산의 각종 유도체로서, 예를 들면, 특수 아미노산이나 비천연 아미노산, 아미노알콜 또는 말단 카르보닐기나 아미노기, 시스테인의 티올기 등의 아미노산 측쇄가 각종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것을 들 수 있다. 치환기로서는, 알킬기, 아실기,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니트로기, 설포닐기나 각종 보호기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Arg(NO2): N-γ-니트로아르기닌, Cys(SNO): S-니트로시스테인, Cys(S-Me): S-메틸시스테인, Cys(S-알릴): S-알릴시스테인, Val-NH2: 발린아미드, Val-올: 발리놀(2-아미노-3-메틸-1-부탄올)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γ-Glu-Cys(SNO)-Gly는 하기의 구조식을 갖는 것이며, 상기 γ-Glu-Met(O) 및 γ-Glu-Cys(S-Me)(O)식 중의 (O)은 설폭사이드 구조인 것을 의미한다. γ-Glu의 (γ)란, 글루탐산의 γ위치의 카르복시기를 개재하여 다른 아미노산이 결합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07
γ-Glu-X-Gly(X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Val-Y(Y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Ala, γ-Glu-Gly, γ-Glu-Cys, γ-Glu-Met, γ-Glu-Thr, γ-Glu-Val, γ-Glu-Orn, Asp-Gly, Cys-Gly, Cys-Met, Glu-Cys, Gly-Cys, Leu-Asp, D-Cys, γ-Glu-Met(O), γ-Glu-γ-Glu-Val, γ-Glu-Val-NH2, γ-Glu-Val-올, γ-Glu-Ser, γ-Glu-Tau, γ-Glu-Cys(S-Me)(O), γ-Glu-Leu, γ-Glu-Ile, γ-Glu-t-Leu 및 γ-Glu-Cys(S-Me)은, 감미 물질의 바디감이나 쓴 맛을 개선한다.
따라서, γ-Glu-X-Gly(X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Val-Y(Y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Ala, γ-Glu-Gly, γ-Glu-Cys, γ-Glu-Met, γ-Glu-Thr, γ-Glu-Val, γ-Glu-Orn, Asp-Gly, Cys-Gly, Cys-Met, Glu-Cys, Gly-Cys, Leu-Asp, D-Cys, γ-Glu-Met(O), γ-Glu-γ-Glu-Val, γ-Glu-Val-NH2, γ-Glu-Val-올, γ-Glu-Ser, γ-Glu-Tau, γ-Glu-Cys(S-Me)(O), γ-Glu-Leu, γ-Glu-Ile, γ-Glu-t-Leu 및 γ-Glu-Cys(S-Me)(이하, 본 발 명에 사용되는 펩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이라고도 한다)은, 감미 물질의 바디감이나 쓴 맛을 개선하기 위해 감미 물질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양호하며, 또한 임의의 2종 또는 3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γ-Glu-X-Gly(X는 Cys(SNO), Cys(S-알릴), Gly, Cys(S-Me), Abu, t-Leu, Cle, Aib, Pen 또는 Ser이다) 또는 γ-Glu-Val-Y(Y는 Gly, Val, Glu, Lys, Phe, Ser, Pro, Arg, Asp, Met, Thr, His, Orn, Asn, Cys, Gln, GlyA 또는 LacA이다)의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한 화합물은, γ-Glu-Val-Gly 및 γ-Glu-Abu-Gly이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시판되고 있는 것이면,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펩타이드의 경우는, (1)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 또는 (2) 효소적인 반응에 의해 합성하는 방법 등의 공지 수법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펩타이드는, 함유되는 아미노산의 잔기수가 2 내지 3잔기로 비교적 짧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이 간편하다.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경우는, 당해 올리고 펩타이드를 펩타이드 합성기를 사용하여 합성 또는 반합성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펩타이드 고상 합성법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합성한 펩타이드는 통상의 수단, 예를 들면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이러한 펩타이드 고상 합성법, 및 이것에 이어지는 펩타이드 정제는 이러한 기술분야에 있어서 잘 알려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펩타이드를, 효소적인 반응에 의해 생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국제공개 팜플렛 WO2004/011653호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한쪽의 아미노산 또는 디펩타이드의 카르복실 말단을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한 아미노산 또는 디펩타이드와, 아미노기가 유리된 상태인 아미노산(예를 들면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아미노산)을, 펩타이드 생성 효소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생성된 디펩타이드 또는 트리펩타이드를 정제함으로써도 생산할 수도 있다. 펩타이드 생성 효소로서는, 펩타이드를 생성하는 능력을 갖는 미생물의 배양물, 당해 배양물로부터 분리한 미생물 균체 또는, 당해 미생물의 균체 처리물 또는, 당해 미생물에 유래하는 펩타이드 생성 효소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효소적인 방법이나 화학적 합성법 이외에도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펩타이드가, 야채나 과일 등의 식물, 효모 등의 미생물, 효모 추출물 등에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천연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단리하여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분획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저분자 화합물로서는 시나칼세트((R)-N-(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필)-1-(1-나프틸)에틸아민) 및 이의 유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시나칼세트의 유사 화합물로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R)-N-[(4- 에톡시-3-메틸페닐)메틸]-1-(1-나프틸)에틸아민))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R)-N-(3-페닐프로프-2-에닐)-1-(3-메톡시페닐)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211244호에 기재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08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염의 형태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이 염의 형태를 이룰 수 있는 경우, 이 염은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양호하며, 예를 들면, 화학식 중의 카르복실기 등의 산성기에 대해서는, 암모늄염,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과의 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금속과의 염, 알루미늄염, 아연염, 트리에틸아민, 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피롤리딘, 피페리딘, 피페라진, 디사이클로헥실아민 등의 유기 아민과의 염, 아르기닌, 리신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중에 염기성기가 존재하는 경우의 염기성기에 대해서는,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브롬화수소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아세트산, 시트르산, 벤조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석신산, 탄닌산, 부티르산, 히벤즈산, 파모산, 에난토산, 데칸산, 테오클산, 살리실산, 락트산, 옥살산, 만델산, 말산 등의 유기 카복실산과의 염,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의 유기 설폰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2> 본 발명의 첨가제 및 감미료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은, 감미 물질의 바디감을 개선하기 위해 감미 물질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은, 감미 물질의 쓴 맛을 개선하기 위해 감미 물질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1종만이라도 양호하며, 2종 이상의 혼합물이라도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감미 물질과 혼합함으로써, 감미료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예를 들면,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양호하며, 또한, 감미료의 감미의 질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다른 화합물이나 각종 첨가물 등을 임의로 첨가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감미 물질에 첨가하는 첨가제의 양은, 감미 물질의 감미의 질, 특히 바디감을 개선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고감미도 감미료당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0.000001 내지 99.9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99.9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99.99중량% 정도이 다.
한편, 상기 기재는 고감미도 감미료당의 배합 비율이지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용량으로서는, 1중량ppb 내지 99.9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0중량ppb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ppm 내지 1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감미료는, 감미 물질과,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을 함유한다. 상기 화합물은 1종만이라도 양호하며, 2종 이상의 혼합물이라도 양호하다.
감미 물질로서는, 고감미도 감미료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설팜 K, 네오탐, ANS9801, 사카린, 스테비아, 글리시리진, 토마틴, 모나틴, 모넬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설팜 K가 바람직하다.
감미 물질은 1종만이라도 양호하며, 2종 이상의 혼합물이라도 양호하다. 복수의 감미 물질을 혼합함으로써, 각각의 감미 물질의 바디감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펩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을 병용함으로써, 한층 바디감을 개선할 수 있다. 감미 물질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및 아세설팜 K로부터 임의로 선택되는 2종 또는 이들 3종의 조합을 들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조합의 예로서는, 아스파탐과 본 발명에 있어서 효과가 높다고 생각되는 γ-Glu-Val-Gly와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량 비율로, 아스파탐 100중량부당 0.1 내지 500중량부가 되도록 배합하면 양호하다. 물론, 이것은 배합예의 1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 비율에 구애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감미료는, 또한, 자당, 포도당, 과당이나 당알콜류(에리스리톨, 말티톨 등) 등의 일반적인 감미료와 혼합되어도 양호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감미료의 형태로서는, 분말, 과립, 액체 등, 물성에 제한은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참고예 1〕칼슘 수용체 유전자(cRNA)의 조제
칼슘 수용체의 유전자의 조제는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NCBI에 등록된 DNA 서열(칼슘 수용체: NM_000388)을 바탕으로, PCR에 사용하는 합성 올리고 DNA(정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1), 및 역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2))를 합성하였다.
사람 신장 유래의 cDNA[Clontech사 제조]를 재료로 하여, 상기 프라이머, 및 Pfu ultra DNA Polymerase[Stratagene사 제조]를 사용하고, 이하의 조건으로 PCR를 실시하였다. 94℃에서 3분후, 94℃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2분을 35회 반복한 후, 72℃에서 7분 동안 반응시켰다. PCR에 의해 증폭이 되었는지 여부를 아가로스 전기 영동을 실시하여 DNA 염색 시약으로 염색한 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검출하였다. 동시에 전기 영동한 사이즈를 미리 알고 있는 DNA 마커와 비교함으로써, PCR 산물 쇄 길이를 확인하였다. 플라스미드 벡터 pBR322를 제한 효소 EcoRV[Takara사 제조]에 의해 절단하였다. 그 절단 부위에 PCR에 의해 증폭된 유전자 단편을 Ligation Kit[Promega사 제조]를 사용하여 연결하였다. 이러한 반응 용액으로 에세리키아·콜리 DH5α주를 형질전환하고, PCR 증폭 산물이 클로닝된 플라스미드를 보유하는 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다. PCR 증폭 산물을 DNA 염기 서열 해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주형으로 하여 cRNA 작제 키트[Ambion사 제조]를 사용하여 칼슘 수용체 유전자의 cRNA를 작제하였다.
〔참고예 2〕각종 시료의 조제
L형 아미노산 시료로서, 각각 특급 그레이드의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루탐산,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류신, 류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티로신, 발린, 오르니틴, 타우린[상기,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하이드록시프롤린[나카라이테스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23종류를 사용하였다. D-Cys 및 D-Trp[나카라이테스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및 염화칼슘은 특급 그레이드의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펩타이드 시료로서, γ-Glu-Cys-Gly[시그마알도리치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γ-Glu-Cys(SNO)-Gly[가부시키가이샤 도닌가가쿠켄큐쇼 제조], γ-Glu-Ala[Bachem Feinchemikalien AG 제조], γ-Glu-Gly[Bachem Feinchemikalien AG 제조], γ-Glu-Cys[시그마알도리치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γ-Glu-Met[Bachem Feinchemikalien AG 제조], γ-Glu-Abu-Gly(Abu:α-아미노부티르산, Bachem Feinchemikalien AG 제조), γ-Glu-Thr[코쿠산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γ-Glu-Val[코쿠산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γ-Glu-Leu(수탁 합성품), γ-Glu-Ile(수탁 합성품), γ-Glu-Orn[코쿠산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Asp-Gly(수탁 합성품), Cys-Gly(수탁 합성품), Cys-Met(수탁 합성품), Glu-Cys(수탁 합성품), Gly-Cys(수탁 합성품), Leu-Asp(수탁 합성품), γ-Glu-Val-Val(수탁 합성품), γ-Glu-Val-Glu(수탁 합성품), γ-Glu-Val-Lys(수탁 합성품), γ-Glu-γ-Glu-Val(수탁 합성품), γ-Glu-Gly-Gly(수탁 합성품), γ-Glu-Val-Phe(수탁 합성품), γ-Glu-Val-Ser(수탁 합성품), γ-Glu-Val-Pro(수탁 합성품), γ-Glu-Val-Arg(수탁 합성품), γ-Glu-Val-Asp(수탁 합성품), γ-Glu-Val-Met(수탁 합성품), γ-Glu-Val-Thr(수탁 합성품), γ-Glu-Val-His(수탁 합성품), γ-Glu-Val-Asn(수탁 합성품), γ-Glu-Val-Gln(수탁 합성품), γ-Glu-Val-Cys(수탁 합성품), γ-Glu-Val-Orn(수탁 합성품), γ-Glu-Ser-Gly(수탁 합성품)를 사용하였다. 글루타민, 시스테인은 사용시 조제하고, 다른 시료는 조제후, -20℃로 보존하였다. 펩타이드는 순도 90% 이상의 것을 사용하였다. γ-Glu-Cys만 순도 80% 이상인 것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를 용해한 후, pH가 산성, 알칼리성인 것에 관해서는, NaOH, HCl을 사용하여 중성 전후로 조정하였다. 아미노산, 펩타이드의 용해액,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난모 세포의 조제용 용액, 난모 세포의 배양용 용액은, 이하의 조성의 것을 사용하였다. 96mM NaCl, 2mM KCl, 1mM MgCl2, 1.8mM CaCl2, 5mM Hepes, pH 7.2.
〔참고예 3〕γ-Glu-Val-Gly의 합성
Boc-Val-OH(8.69g, 40.0mmol)과 Gly-OBzl·HCl(8.07g, 40.0mmol)을 염화메틸렌(100ml)에 용해하고, 용액을 0℃로 유지하였다. 트리에틸아민(6.13ml, 44.0mmol), HOBt(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6.74g, 44.0mmol) 및 WSC·HCl(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8.44g, 44.0mmol)을 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여 잔사를 아세트산에틸(200ml)에 용해하였다. 용액을 물(50ml), 5% 시트르산 수용액(50ml×2회), 포화 식염수(50ml), 5%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50ml×2회), 포화 식염수(50ml)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아세트산에틸-n-헥산으로부터 재결정하여 Boc-Val-Gly-OBzl(13.2g, 36.2mmol)을 백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Boc-Val-Gly-OBzl(5.47g, 15.0mmol)을 4N-HCl/디옥산 용액(40ml)에 가하고, 실온에서 50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옥산을 감압 농축으로 제거하고, 잔사에 n-헥산(30ml)을 가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이러한 조작을 3회 반복하여 H-Val-Gly-OBzl·HCl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상기 H-Val-Gly-OBzl·HCl 및 Z-Glu-OBzl(5.57g, 15.0mmol)을 염화메틸렌(50ml)에 용해하고, 용액을 0℃로 유지하였다. 트리에틸아민(2.30ml, 16.5mmol), HOBt(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2.53g, 16.5mmol) 및 WSC·HCl(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16g, 16.5mmol)을 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이틀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잔사를 가 열한 아세트산에틸(1500ml)에 용해하였다. 용액을 물(200ml), 5% 시트르산 수용액(200ml×2회), 포화 식염수(150ml), 5% 염화수소나트륨 수용액(200ml×2회), 포화 식염수(150ml)로 세정하였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황산 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석출된 결정을 여취, 감압 건조시켜 Z-Glu(Val-Gly-OBzl)-OBzl(6.51g, 10.5mmol)을 백색 결정으로서 수득하였다.
상기 Z-Glu(Val-Gly-OBzl)-OBzl(6.20g, 10.03mmol)을 에탄올(200ml)에 현탁하고, 10% 팔라듐탄소(1.50g)를 가하고 수소 분위기하에 55℃에서 5시간 동안 환원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 동안에, 전량으로 100ml의 물을 서서히 가하였다. 촉매를 키리야마 깔때기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절반으로 감압 농축하였다. 반응액을 다시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사를 소량의 물에 녹인 후에 에탄올을 가하여 결정을 석출시키고, 결정을 여과하여 모아 감압 건조시켜 γ-Glu-Val-Gly의 백색 분말(2.85g, 9.40mmol)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09
〔참고예 4〕γ-Glu-Cys(S-Me)-Gly의 합성[Cys(S-Me): S-메틸시스테인]
환원형 글루타티온(15.0g, 48.8mmol)을 물(45ml)에 가하고, 질소를 불어 넣으면서 수산화나트륨(4.52g, 2.2당량, 107mmol)을 조금씩 가하였다. 요오드화메 틸(4.56ml, 1.5당량, 73mmol)을 가하고, 마개로 막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진한 염산으로 반응액의 pH를 2 내지 3으로 조정하고, 에탄올(150ml)을 가하여 냉장고에 하룻밤 보존하였다. 유상물이 분리되었기 때문에, 상청을 제거하였다. 남은 유상물을 물에 녹여 에탄올을 서서히 가하자, 일부 결정을 동반하는 유상물이 석출되었기 때문에 다시 상청을 제거하였다. 잔사를 물(300ml)에 용해하고, 이온 교환 수지(Dowex 1-아세테이트, 400ml)를 충전한 칼럼에 흡착시키고, 수세한 후에 1N-아세트산 수용액으로 용출하였다. 용출액을 감압 농축하고, 물-에탄올로부터 재침전시켜 γ-Glu-Cys(S-Me)-Gly의 백색 분말(5.08g, 15.8mmol)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10
〔참고예 5〕기타 펩타이드의 합성
γ-Glu-Met(O), γ-Glu-Val-NH2, γ-Glu-Val-올, γ-Glu-Ser, γ-Glu-Tau, γ-Glu-Cys(S-Me)(O), γ-Glu-t-Leu, γ-Glu-Cys(S-알릴)-Gly, γ-Glu-Cys(S-Me)은 참고예 3 및 참고예 4에 준하여 합성하였다.
〔참고예 6〕칼슘 수용체의 활성화 작용의 평가
칼슘 수용체의 활성화 작용의 평가에는,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난모 세포 발현계를 사용한 Ca 농도 이온 의존성 Cl 이온 전류 측정법을 사용하였다. 칼슘 수용체를 발현시킨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난모 세포에, 각 활성화제를 첨가하면, 세포 내의 Ca 이온이 증가한다. 다음에 Ca 농도 이온 의존성 Cl 채널이 열려 이온 전류로서 세포내 전류값이 변화된다. 이러한 세포내 전류값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칼슘 수용체의 활성화 작용의 유무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프리카 발톱 개구리 복부를 절개하고, 난괴(卵塊)를 취출한 후, 1% 콜라게나제 용액에 의해 20℃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함으로써 각각의 난모 세포를 수득하였다. 1개당의 난모 세포에, 마이크로 글래스 캐필러리를 사용하여 50nl의 1μg/㎕ 수용체 cRNA 또는 50nl의 멸균수를 도입하여, 18℃에서 2 내지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시에는, 참고예 2에서 나타낸 용액에 2mM 피루브산과 10U/ml 페니실린과 10μg/ml 스트렙토마이신을 가한 것을 사용하였다. 배양후, cRNA를 주입한 난모 세포 또는 멸균수를 주입한 난모 세포에 대해, 시험 용액을 첨가하였다. 전기생리학적 측정은, 증폭기 Geneclamp500[Axon사 제조] 및 기록용 소프트웨어 AxoScope9.0[Axon사 제조]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난모 세포를 2전극막 전위 고정법에 의해 -70mV로 막전위 고정하고, Ca 농도 이온 의존성 Cl 이온을 개재한 세포내 전류를 측정하였다. 세포내 전류의 최대값을 응답 전류값으로 하였다.
〔참고예 7〕칼슘 수용체에 대한 칼슘의 활성화 작용의 평가
참고예 6에 기재한 방법을 사용하여, 칼슘 수용체에 대한 칼슘의 활성화 작용을 평가하였다. 즉, 칼슘 수용체의 cRNA 또는 멸균수를 주입한 난모 세포를 조제하고, 2전극막 전위 고정법에 의해 -70mV로 막전위 고정하였다. 막전위 고정된 난모 세포에, 칼슘(2mM, 5mM, 10mM, 20mM)을 첨가하고, Ca 농도 이온 의존성 Cl 응답 전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에 도시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난모 세포에 주입한 칼슘 수용체의 cRNA가 기능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물을 주입한 난모 세포는, 높은 농도의 칼슘에도 반응하지 않는 점에서, 난모 세포 자체에는 칼슘 수용체가 발현하고 있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예 8〕칼슘 수용체에 대한 L형 아미노산의 활성화 작용의 평가
참고예 6에 기재한 방법을 사용하여, 칼슘 수용체에 대한 L형 아미노산의 활성화 작용을 평가하였다. 즉, 칼슘 수용체의 cRNA 또는 멸균수를 주입한 난모 세포를 조제하고, 2전극막 전위 고정법에 의해 -70mV로 막전위 고정하였다. 막전위 고정된 난모 세포에, 알라닌(10mM), 아르기닌(10mM), 아스파라긴(10mM), 아스파라긴산(10mM), 시스테인(10mM), 글루타민(10mM), 글루탐산(10mM), 글리신(10mM), 히스티딘(10mM), 이소류신(10mM), 류신(10mM), 리신(10mM), 메티오닌(10mM), 페닐알라닌(10mM), 프롤린(10mM), 세린(10mM), 트레오닌(10mM), 트립토판(10mM), 티로신(10mM), 발린(10mM), 오르니틴(10mM), 타우린(10mM) 또는 하이드록시프롤린(10mM)을 첨가하고, Ca 농도 이온 의존성 Cl 응답 전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도시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시스테인,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티로신이 칼슘 수용체에 대한 명료한 활성화 작용을 갖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에 관해서는 문헌[참조: Proc Natl Acad Sci USA. 2000 Apr 25; 97(9): 4814-9]에서 활성화 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참고예 9〕칼슘 수용체에 대한 D-시스테인의 활성화 작용의 평가
참고예 6에 기재한 방법을 사용하여, 칼슘 수용체에 대한 D-시스테인의 활성화 작용을 평가하였다. 즉, 칼슘 수용체의 cRNA 또는 멸균수를 주입한 난모 세포를 조제하고, 2전극막 전위 고정법에 의해 -70mV로 막전위 고정하였다. 막전위 고정된 난모 세포에, D-시스테인(10mM), L-시스테인(10mM), D-트립토판(10mM) 또는 L-트립토판(10mM)을 첨가하고, Ca 농도 이온 의존성 Cl 응답 전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3에 도시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D-시스테인이 칼슘 수용체에 대한 명료한 활성화 작용을 갖는 것이 나타났다.
〔참고예 10〕칼슘 수용체에 대한 펩타이드의 활성화 작용의 평가
참고예 6에 기재한 방법을 사용하여, 칼슘 수용체에 대한 펩타이드의 활성화 작용을 평가하였다. 즉, 칼슘 수용체의 cRNA 또는 멸균수를 주입한 난모 세포를 조제하고, 2전극막 전위 고정법에 의해 -70mV로 막전위 고정하였다. 막전위 고정된 난모 세포에, γ-Glu-Cys-Gly(50μM), γ-Glu-Cys(SNO)-Gly(50μM), γ-Glu-Ala(50μM), γ-Glu-Gly(500μM), γ-Glu-Cys(50μM), γ-Glu-Met(500μM), γ-Glu-Thr(50μM), γ-Glu-Val(50μM), γ-Glu-Orn(500μM), Asp-Gly(1mM), Cys- Gly(1mM), Cys-Met(1mM), Glu-Cys(50μM), Gly-Cys(500μM), Leu-Asp(1mM)을 첨가하고, Ca 농도 이온 의존성 Cl 응답 전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4에 도시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상기 펩타이드는 칼슘 수용체에 대한 활성화 작용을 갖는 것이 나타났다.
〔참고예 11〕칼슘 수용체에 대한 펩타이드의 활성화 작용의 평가
참고예 10과 동일하게, 칼슘 수용체에 대한 펩타이드의 활성화 작용을 평가하였다. 막에 전위 고정된 난모 세포에, 표 1의 각 펩타이드에 관해서, 1000μM, 300μM, 100μM, 30μM, 10μM, 3μM, 1μM, 0.3μM, 0.1μM을 첨가하고, Ca 농도 이온 의존성 Cl 응답 전류를 측정하였다. 전류가 검출된 최저 농도를 표 1에 활성으로서 기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이들 32종류의 펩타이드는, 칼슘 수용체에 대한 활성화 작용을 갖는 것이 명확해졌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11
〔참고예 12〕본 발명에 사용되는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의 농후미 부여 활성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이 밝혀진, γ-Glu-X-Gly(X는 Cys(SNO), Cys(S-알릴), Gly, Cys(S-Me), Abu 또는 Ser이다), γ-Glu-Val-Y(Y는 Gly, Val, Glu, Lys, Phe, Ser, Pro, Arg, Asp, Met, Thr, His, Orn, Asn, Cys 또는 Gln이다), γ-Glu-Ala, γ-Glu-Gly, γ-Glu-Cys, γ-Glu-Met, γ-Glu-Thr, γ-Glu-Val, γ-Glu-Orn, Asp-Gly, Cys-Gly, Cys-Met, Glu-Cys, Gly-Cys, Leu-Asp, D-Cys, γ-Glu-Met(O), γ-Glu-γ-Glu-Val, γ-Glu-Val-NH2, γ-Glu-Val-올, γ-Glu-Ser, γ-Glu-Tau, γ-Glu-Cys(S-Me)(O), γ-Glu-Leu, γ-Glu-Ile, γ-Glu-t-Leu 및 γ-Glu-Cys(S-Me) 중에서 대표예를 선택하여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 농후미 부여 활성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관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글루탐산나트륨(0.05g/dl), 이노신산1인산(0.05g/dl), 염화칼슘(1mM)을 함유하는 증류수에, 시료로서 알리인(alliin: S-알릴-시스테인 설폭사이드, 농후미 부여 활성의 대조군), γ-Glu-Cys-Gly, γ-Glu-Cys, γ-Glu-Ala 또는 γ-Glu-Val을 각각 0.2g/dl로 혼합한 경우의, 농후미 부여 활성의 유무를 판정하였다. 또한 시료 용해후에 산성을 나타낸 샘플에 관해서는, NaOH로 pH 6.8 내지 7.2로 맞추고 나서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12
〔참고예 13〕본 발명에 사용되는 펩타이드의 농후미 부여 활성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이 밝혀진 펩타이드에 관해서 정량적인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 농후미 부여 활성의 강도를 조사하였다.
정량적 관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글루탐산나트륨(0.05g/dl), 이노신산1인산(0.05g/dl), 염화나트륨(0.5g/dl)을 함유하는 증류수에, 시료로서 γ-Glu-Cys-Gly(글루타티온), γ-Glu-Ala, γ-Glu-Met 또는 γ-Glu-Val을 각각 0.1g/dl로 혼합한 경우의, 농후미 부여 활성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 용해후에 산성을 나타낸 샘플에 관해서는, NaOH로 pH 6.8 내지 7.2로 맞추어 사용하였다. 한편, 글루타티온은 식품에 농후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비교 대조로서 사용하였다. 관능 평점에 관해서, 대조군: 0점, 글루타티온 첨가: 3점으로 하고, n=3에서 실시하고,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한편, 「첫·중간 맛」이란, 첫 맛과 중간 맛을 합한 것이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13
〔참고예 14〕본 발명에 사용되는 펩타이드의 농후미 부여 활성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이 밝혀진 펩타이드에 관해서 정량적인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 농후미 부여 활성의 강도를 조사하였다.
정량적 관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글루탐산나트륨(0.05g/dl), 이노신산1인산(0.05g/dl), 염화나트륨(0.5g/dl)을 함유하는 증류수에, 시료로서 γ-Glu-Cys-Gly(글루타티온), γ-Glu-Cys, γ-Glu-Val 또는 γ-Glu-Val-Gly를 각각 0.1g/dl, 필요에 따라서 0.01g/dl로 혼합한 경우의, 농후미 부여 활성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 용해후에 산성을 나타낸 샘플에 관해서는, NaOH로 pH 6.8 내지 7.2로 맞추어 사용하였다. 관능 평점에 대해서, 대조군: 0점, 글루타티온 첨가: 3점으로 하고, n=5에서 실시하고,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14
〔참고예 15〕본 발명에 사용되는 펩타이드의 농후미 부여 활성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이 밝혀진 펩타이드에 관해서 정량적인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 농후미 부여 활성의 강도를 조사하였다.
정량적 관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글루탐산나트륨(0.05g/dl), 이노신산1인산(0.05g/dl), 염화나트륨(0.5g/dl)을 함유하는 증류수에, 시료로서 γ-Glu-Cys-Gly(글루타티온), γ-Glu-Abu-Gly 또는 γ-Glu-Val-Gly를 각각 0.1g/dl 또는 0.01g/dl로 혼합한 경우의, 농후미 부여 활성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 용해후에 산성을 나타낸 샘플에 관해서는, NaOH로 pH 6.8 내지 7.2로 맞추어 사용하였다. 관능 평점에 관해서, 대조군: 0점, 글루타티온 첨가: 3점으로 하여, n=12에서 실시하고,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15
〔실시예 1〕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감미에 대한 활성(I)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 및 농후미 부여 활성이 밝혀진 펩타이드에 관해서, 정량적인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 대표적인 고감미도 감미료에 대한 활성(바디감 개선, 쓴 맛 개선)을 조사하였다.
정량적 관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각 감미료의 표준액으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하의 각 표준액은, 감미도가 거의 같은 정도가 되는 농도로서 조정되어 있다.
i) 자당(5g/dl)
ii) APM(0.025g/dl)
iii) 수크랄로스(0.008g/dl)
iv) Ace-K(0.025g/dl)
또한, 각 고감미도 감미료에 대한 펩타이드류의 첨가 효과는, 자당을 참조하여 평가하였다.
각 감미료를 함유하는 증류수에, 시료로서 γ-Glu-Cys-Gly(글루타티온), γ-Glu-Val-Gly 또는 γ-Glu-Abu-Gly를 각각 0.0001 내지 1g/dl이 되도록 혼합한 경우의, 각각 감미에 대한 바디감 개선과 쓴 맛 개선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 용해후에 시료 무첨가 표준액에 대해 산성을 나타낸 샘플에 관해서는, NaOH로 표준액의 pH에 대해 pH±0.2의 폭에 맞추어 사용하였다.
바디감 개선에 관한 관능 평가는, 대조군(증류수만 첨가하고, 글루타티온 및/또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0점으로 하고, 대조군을 기준으로, 약함: -2점, 다소 약함: -1점, 다소 강함: 1점, 강함: 2점으로 하고, n=12에서 실시하였다. 0점보다 높으면, 바디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쓴 맛의 개선에 관한 관능 평가는, 대조군(증류수만 첨가하고, 글루타티온 및/또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0점으로 하고, 대조군을 기준으로, 약함: -2점, 다소 약함: -1점, 다소 강함: 1점, 강함: 2점으로 하고, n=12에서 실시하였다. 0점보다 낮으면, 쓴 맛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평가의 결과, 상기 첨가 농도에서 폭넓게 활성을 나타냈지만, 대표적인 농도에서의 결과를 표 6 내지 8에 기재하였다. 표 6, 7, 8에 기재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류는 글루타티온보다 저농도에서, 바디감 향상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는 쓴 맛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대체로 펩타이드류의 첨가에 의한 바디감 향상, 쓴 맛의 저감에 의해 자당에 가까운 감미질을 느낄 수 있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16
Figure 112009074982957-PCT00017
Figure 112009074982957-PCT00018
〔실시예 2〕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감미에 대한 활성(II)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 및 농후미 부여 활성이 밝혀진 펩타이드에 관해서, 정량적인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 고감미도 감미료의 대표적인 조합 배합품에 대한 효과(바디감 개선, 쓴 맛 개선)를 조사하였다.
정량적 관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각 감미료의 조합 표준액으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하의 각 표준액은, 감미도가 거의 같은 정도가 되는 농도로서 조정되어 있다.
i) 자당(5g/dl)
ii) APM(0.02g/dl)+Ace-K(0.005g/dl)[감미도비로서 APM:Ace-K=8:2]
iii) 수크랄로스(0.0058g/dl)+Ace-K(0.0075g/dl)[감미도비로서 수크랄로스:Ace-K=7:3]
iv) APM(0.0125g/dl)+수크랄로스(0.0042g/dl)[감미도비로서 APM:수크랄로스=1:1]
v) APM(0.0125g/dl)+수크랄로스(0.0021g/dl)+Ace-K(0.0063g/dl)[감미도비로서 APM:수크랄로스:Ace-K=2:1:1]
또한, 각 고감미도 감미료에 대한 펩타이드류의 첨가 효과는, 자당을 참조하여 평가하였다.
상기의 각 감미료를 함유하는 증류수에, 시료로서 γ-Glu-Cys-Gly(글루타티온), γ-Glu-Val-Gly 또는 γ-Glu-Abu-Gly를 각각 0.0001 내지 1g/dl로 혼합한 경우의, 각각 감미에 대한 바디감 개선 및 쓴 맛 개선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고감미도 감미료에 대한 펩타이드류의 첨가 효과는, 자당을 참조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시료 용해후에, 시료 무첨가 표준액에 비해 산성을 나타낸 샘플에 관해서는, NaOH로 표준액의 pH에 대해 pH±0.2의 폭에 맞추어 사용하였다.
바디감 개선에 관한 관능 평가는, 대조군(증류수만 첨가하고, 글루타티온 및/또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0점으로 하고, 대조군을 기준으로, 약함: -2점, 다소 약함: -1점, 다소 강함: 1점, 강함: 2점으로 하고, n=12에서 실시하였다. 0점보다 높으면, 바디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쓴 맛의 개선에 관한 관능 평가는, 대조군(증류수만 첨가하고, 글루타티온 및/또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0점으로 하고, 대조군을 기준으로, 약함: -2점, 다소 약함: -1점, 다소 강함: 1점, 강함: 2점으로 하고, n=12에서 실시하였다. 0점보다 낮으면, 쓴 맛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평가의 결과, 상기 첨가 농도에서 폭넓게 활성을 나타냈지만, 대표적인 농도에서의 결과를 표 9 내지 12에 기재하였다. 표 9 내지 1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류는 글루타티온보다 저농도에서 바디감 향상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는 쓴 맛 개선 효과도 확인되었다. 대체적으로 펩타이드류의 첨가에 의한 바디감 향상, 쓴 맛의 저감에 의해 자당에 가까운 감미질을 느낄 수 있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19
Figure 112009074982957-PCT00020
Figure 112009074982957-PCT00021
Figure 112009074982957-PCT00022
〔실시예 3〕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감미에 대한 활성(III)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 및 농후미 부여 활성이 밝혀진 펩타이드, 및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는 시나칼세트(Cinacalcet)에 관해서, 정량적인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 대표적인 고감미도 감미료에 대한 활성(바디감 개선, 쓴 맛 개선)을 조사하였다.
정량적 관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각 감미료의 표준액으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하의 각 표준액은, 감미도가 거의 같은 정도가 되는 농도로서 조정되어 있다.
i) 자당(5g/dl)
ii) APM(0.025g/dl)
iii) 수크랄로스(0.008g/dl)
iv) Ace-K(0.025g/dl)
또한, 각 고감미도 감미료에 대한 시료의 첨가 효과는, 자당을 참조하여 평가하였다.
각 감미료를 함유하는 증류수에, 시료로서 γ-Glu-Val-Gly 또는 시나칼세트를 각각 0.0001 내지 1g/dl이 되도록 혼합한 경우의, 각각 감미에 대한 바디감 개선과 쓴 맛 개선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 용해후에 시료 무첨가 표준액에 대해 산성을 나타낸 샘플에 관해서는, NaOH로 표준액의 pH에 대해 pH±0.2의 폭에 맞추어 사용하였다.
바디감 개선에 관한 관능 평가는, 대조군(증류수만 첨가하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0점으로 하고, 대조군을 기준으로, 약함: -2점, 다소 약함: -1점, 다소 강함: 1점, 강함: 2점으로 하고, n=12에서 실시하였다. 0점보다 높으면, 바디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쓴 맛의 개선에 관한 관능 평가는, 대조군(증류수만 첨가하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0점으로 하고, 대조군을 기준으로, 약함: -2점, 다소 약함: -1점, 다소 강함: 1점, 강함: 2점으로 하고, n=12에서 실시하였다. 0점보다 낮으면, 쓴 맛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평가의 결과, 상기 첨가 농도에서 폭넓게 활성을 나타냈지만, 대표적인 농도에서의 결과를 표 13 내지 15에 기재하였다. 표 13 내지 15에 기재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γ-Glu-Val-Gly 및 시나칼세트는, 거의 같은 농도에서 바디감 향상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료에는 쓴 맛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대체로 시료의 첨가에 의한 바디감 향상, 쓴 맛의 저감에 의해 자당에 가까운 감미질을 느낄 수 있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23
Figure 112009074982957-PCT00024
Figure 112009074982957-PCT00025
〔실시예 4〕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감미에 대한 활성(IV)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 및 농후미 부여 활성이 밝혀진 펩타이드, 및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는 시나칼세트(Cinacalcet)에 관해서, 정량적인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 고감미도 감미료의 대표적인 조합 배합품에 대한 효과(바디감 개선, 쓴 맛 개선)를 조사하였다.
정량적 관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각 감미료의 조합 표준액으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하의 각 표준액은, 감미도가 거의 같은 정도가 되는 농도로서 조정되어 있다.
i) 자당(5g/dl)
ii) APM(0.02g/dl)+Ace-K(0.005g/dl)[감미도비로서 APM:Ace-K=8:2]
iii) 수크랄로스(0.0058g/dl)+Ace-K(0.0075g/dl)[감미도비로서 수크랄로스:Ace-K=7:3]
iv) APM(0.0125g/dl)+수크랄로스(0.0042g/dl)[감미도비로서 APM:수크랄로스=1:1]
v) APM(0.0125g/dl)+수크랄로스(0.0021g/dl)+Ace-K(0.0063g/dl)[감미도비로서 APM:수크랄로스:Ace-K=2:1:1]
또한, 각 고감미도 감미료에 대한 펩타이드류의 첨가 효과는, 자당을 참조하여 평가하였다.
상기의 각 감미료를 함유하는 증류수에, 시료로서 γ-Glu-Val-Gly 또는 시나칼세트를 각각 0.0001 내지 1g/dl로 혼합한 경우의, 각각 감미에 대한 바디감 개선 및 쓴 맛 개선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고감미도 감미료에 대한 시료의 첨가 효과는, 자당을 참조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시료 용해후에, 시료 무첨가 표준액에 비해 산성을 나타낸 샘플에 관해서는, NaOH로 표준액의 pH에 대해 pH±0.2의 폭에 맞추어 사용하였다.
바디감 개선에 관한 관능 평가는, 대조군(증류수만 첨가하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0점으로 하고, 대조군을 기준으로, 약함: -2점, 다소 약함: -1점, 다소 강함: 1점, 강함: 2점으로 하여, n=12에서 실시하였다. 0점보다 높으면, 바디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쓴 맛의 개선에 관한 관능 평가는, 대조군(증류수만 첨가하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0점으로 하고, 대조군을 기준으로, 약함: -2점, 다소 약함: -1점, 다소 강함: 1점, 강함: 2점으로 하고, n=12에서 실시하였다. 0점보다 낮으면, 쓴 맛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평가의 결과, 상기 첨가 농도에서 폭넓게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대표적인 농도에서의 결과를 표 16 내지 19에 기재하였다. 표 16 내지 19에 기재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γ-Glu-Val-Gly 및 시나칼세트는, 거의 같은 농도에서, 바디감 향상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료에는 쓴 맛 개선 효과도 확인되었다. 대체로 시료의 첨가에 의한 바디감 향상, 쓴 맛의 저감에 의해 자당에 가까운 감미질을 느낄 수 있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26
Figure 112009074982957-PCT00027
Figure 112009074982957-PCT00028
Figure 112009074982957-PCT00029
〔실시예 5〕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고감미도 감미료 사용 드링크 요구르트에 있어서의 활성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 및 농후미 부여 활성이 밝혀진 펩타이드, 및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는 시나칼세트(Cinacalcet)에 관해서, 정량적인 관능 평가 시험에 의해, 대표적인 고감미도 감미료 사용 드링크 요구르트에 있어서의 활성(바디감 개선, 쓴 맛 개선)을 조사하였다.
정량적 관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각 감미료의 드링크 요구르트 표준액으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하의 각 표준액은, 감미도가 거의 같은 정도가 되는 농도로서 조정되어 있다.
i) 자당(5g/dl)
ii) APM(0.025g/dl)
또한, 각 고감미도 감미료에 대한 시료의 첨가 효과는, 자당을 참조하여 평가하였다.
각 감미료를 함유하는 드링크 요구르트에, 시료로서 γ-Glu-Val-Gly 또는 시나칼세트를 각각 0.0001 내지 1g/dl이 되도록 혼합한 경우의, 각각 감미에 대한 바디감 개선과 쓴 맛 개선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 용해후에 시료 무첨가 표준액에 대해 산성을 나타낸 샘플에 관해서는, NaOH로 표준액의 pH에 대해 pH±0.2의 폭에 맞추어 사용하였다.
바디감 개선에 관한 관능 평가는, 대조군(증류수만 첨가하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0점으로 하고, 대조군을 기준으로, 약함: -2점, 다소 약함: -1점, 다소 강함: 1점, 강함: 2점으로 하고, n=12에서 실시하였다. 0점보다 높으면, 바디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쓴 맛의 개선에 관한 관능 평가는, 대조군(증류수만 첨가하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0점으로 하고, 대조군을 기준으로, 약함: -2점, 다소 약함: -1점, 다소 강함: 1점, 강함: 2점으로 하고, n=12에서 실시하였다. 0점보다 낮으면, 쓴 맛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평가의 결과, 상기 첨가 농도에서 폭넓게 활성을 나타냈지만, 대표적인 농도에서의 결과를 표 20에 기재하였다. 표 20에 기재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γ-Glu-Val-Gly 및 시나칼세트는, 거의 같은 농도에서 바디감 향상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료에는 쓴 맛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대체로 시료의 첨가에 의한 바디감 향상, 쓴 맛의 저감에 의해 자당에 가까운 감미질을 느낄 수 있다.
Figure 112009074982957-PCT00030
감미료, 특히, 아스파탐 등의 고감미도 감미료에,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아스파탐 등의 고감미도 감미료의 바디감이나 쓴 맛이 개선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감미의 바디감이나 쓴 맛이 개선된 본 발명의 감미료는 음료, 빙과 등을 비롯한 식품 전반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은 감미료, 특히, 고감미도 감미료의 바디감, 쓴 맛을 개선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110> Ajinomoto Co., Inc. <120> Sweetener <130> C905-C8048 <150> JP 2007-123771 <151> 2007-05-08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4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CASR_N primer <400> 1 actaatacga ctcactatag ggaccatggc attttatagc tgctgctgg 49 <210> 2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CASR_C primer <400> 2 ttatgaattc actacgtttt ctgtaacag 29

Claims (7)

  1. 감미 물질과,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감미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γ-Glu-X-Gly(X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Val-Y(Y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를 나타낸다), γ-Glu-Ala, γ-Glu-Gly, γ-Glu-Cys, γ-Glu-Met, γ-Glu-Thr, γ-Glu-Val, γ-Glu-Orn, Asp-Gly, Cys-Gly, Cys-Met, Glu-Cys, Gly-Cys, Leu-Asp, D-Cys, γ-Glu-Met(O), γ-Glu-γ-Glu-Val, γ-Glu-Val-NH2, γ-Glu-Val-올, γ-Glu-Ser, γ-Glu-Tau, γ-Glu-Cys(S-Me)(O), γ-Glu-Leu, γ-Glu-Ile, γ-Glu-t-Leu 및 γ-Glu-Cys(S-M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인, 감미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가 Cys(SNO), Cys(S-알릴), Gly, Cys(S-Me), Abu, t-Leu, Cle, Aib, Pen 또는 Ser이며, 상기 Y가 Gly, Val, Glu, Lys, Phe, Ser, Pro, Arg, Asp, Met, Thr, His, Orn, Asn, Cys, Gln, GlyA 또는 LacA인, 감미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γ-Glu-Val-Gly, 및 γ-Glu-Abu-Gly로부터 선택되는, 감미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미 물질이,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아세설팜 K, 네오탐, N-[N-[3-(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프로필]-α-아스파르틸]-L-페닐알라닌 1-메틸 에스테르, 사카린, 스테비아, 글리시리진, 토마틴, 및 모넬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감미료.
  6. 감미 물질의 바디감을 개선하기 위해 감미 물질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첨가제.
  7. 감미 물질의 쓴 맛을 개선하기 위해 감미 물질에 첨가되는 첨가제로서, 칼슘 수용체 활성화 작용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첨가제.
KR1020097025373A 2007-05-08 2008-05-01 감미료 KR101491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23771 2007-05-08
JP2007123771 2007-05-08
PCT/JP2008/058326 WO2008139946A1 (ja) 2007-05-08 2008-05-01 甘味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630A true KR20100017630A (ko) 2010-02-16
KR101491984B1 KR101491984B1 (ko) 2015-02-10

Family

ID=4000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373A KR101491984B1 (ko) 2007-05-08 2008-05-01 감미료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420813B2 (ko)
EP (1) EP2156752A4 (ko)
JP (1) JP5195751B2 (ko)
KR (1) KR101491984B1 (ko)
CN (1) CN101677610B (ko)
AU (1) AU2008249288C1 (ko)
BR (1) BRPI0811269A2 (ko)
CA (1) CA2686805C (ko)
MX (1) MX2009012080A (ko)
MY (1) MY153692A (ko)
NZ (1) NZ580640A (ko)
WO (1) WO20081399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0144B2 (en) * 2005-11-09 2013-04-16 Ajinomoto Co., Inc. Kokumi-imparting agent, method of using,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WO2007055393A1 (en) * 2005-11-09 2007-05-18 Ajinomoto Co., Inc. Kokumi-imparting agent
WO2007055388A2 (en) * 2005-11-09 2007-05-18 Ajinomoto Co., Inc. Calcium receptor activator
ES2611887T3 (es) * 2005-11-23 2017-05-11 The Coca-Cola Company Composiciones de edulcorante de alta potencia natural con perfil temporal y/o perfil de aroma mejorados
US20090198072A1 (en) * 2006-05-24 2009-08-06 Cargill,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production of equilibrium reactions
EP2156846B1 (en) * 2007-05-08 2014-08-13 Ajinomoto Co., Inc.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diarrhea
CN101959530A (zh) * 2008-02-25 2011-01-26 味之素株式会社 糖尿病或肥胖症的预防或治疗剂
EP2275138A4 (en) 2008-03-24 2013-08-21 Ajinomoto Kk PROMOTER FOR SECRETION OF BICARBONAT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WO2009128523A1 (ja) * 2008-04-17 2009-10-22 味の素株式会社 免疫賦活剤
DE102009002044A1 (de) * 2009-03-31 2010-10-07 Evonik Degussa Gmbh Dipeptide als Futtermitteladditive
KR101402639B1 (ko) 2009-04-01 2014-06-03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펩타이드의 코쿠미 부여 용도
MX2012007244A (es) * 2009-12-28 2012-07-30 Ajinomoto Kk Agente para impartir kokumi.
CA2783413C (en) * 2009-12-28 2014-02-18 Ajinomoto Co., Inc. Kokumi-imparting agent
TWI507137B (zh) 2009-12-28 2015-11-11 Ajinomoto Kk Lanthionine derivatives
JP5857973B2 (ja) 2010-04-12 2016-02-10 味の素株式会社 γ−Glu−X又はγ−Glu−X−Gly含有酵母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RU2496864C2 (ru) * 2010-07-05 2013-10-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джиномото-Генетика" (ЗАО АГРИ) ДРОЖЖЕВОЙ ЭКСТРАКТ, СОДЕРЖАЩИЙ ГАММА-Glu-X ИЛИ ГАММА-Glu-X-Gly,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EP2626430B1 (en) * 2010-10-05 2017-07-12 Ajinomoto Co., Inc. Yeast and yeast extract containing gamma-glu-abu,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yeast or yeast extract containing gamma-glu-abu
US20130281394A1 (en) * 2010-10-19 2013-10-24 Elcelyx Therapeutics, Inc. Chemosensory Receptor Ligand-Based Therapies
EP2765190B1 (en) * 2011-10-07 2018-05-23 Ajinomoto Co., Inc. Mutant y-glutamyltransferase, and method for producing y-glutamylvalylglycine or salt thereof
FR2984743B1 (fr) 2011-12-23 2014-08-22 Oreal Utilisation cosmetique du steviol, d'un derive glycoside du steviol, ou un de leurs isomeres pour stimuler, restaurer ou reguler le metabolisme des cellules de la peau et des semi-muqueuses.
WO2014017485A1 (ja) * 2012-07-25 2014-01-30 味の素株式会社 果汁含有飲食品
JP6087112B2 (ja) * 2012-11-09 2017-03-01 Mcフードスペシャリティーズ株式会社 飲食品の甘味の味質改善方法
CN103709229A (zh) * 2013-12-04 2014-04-09 中国烟草总公司郑州烟草研究院 一种甜味剂及其合成方法和在卷烟中的应用
WO2015094444A1 (en) * 2013-12-18 2015-06-25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Sugar-free sweetener
WO2015115612A1 (ja) 2014-01-31 2015-08-06 味の素株式会社 変異型グルタミン酸-システインリガーゼ、及び、γ-グルタミルバリルグリシンの製造法
WO2015133547A1 (ja) 2014-03-05 2015-09-11 味の素株式会社 γ-グルタミルバリン合成酵素、及び、γ-グルタミルバリルグリシンの製造法
WO2017039001A1 (ja) 2015-09-04 2017-03-09 味の素株式会社 γ-グルタミルバリルグリシンの製造法
JP7031120B2 (ja) * 2017-01-12 2022-03-08 味の素株式会社 コク味を付与するための組成物
JP2020096532A (ja) * 2017-03-28 2020-06-25 味の素株式会社 ショ糖様呈味を付与する機能を有する組成物
EP3653063A4 (en) 2017-07-13 2021-03-24 Fuji Oil Holdings Inc. PEPTIDE
JP7124338B2 (ja) 2018-02-27 2022-08-24 味の素株式会社 変異型グルタチオン合成酵素、及び、γ-グルタミルバリルグリシンの製造法
JP2019187325A (ja) * 2018-04-26 2019-10-31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変質防止剤含有食品組成物
JP7098405B2 (ja) * 2018-04-26 2022-07-11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有機酸含有食品組成物
KR102100843B1 (ko) 2018-08-08 2020-04-14 샘표식품 주식회사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3188B1 (ko) * 2018-11-29 2019-09-19 한국식품연구원 디펩타이드-연결 글리칸을 포함하는 코쿠미 증강제
US20220087279A1 (en) 2019-01-16 2022-03-24 Fuji Oil Holdings Inc. Edible oil/fa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3543655A (zh) * 2019-03-05 2021-10-22 马斯公司 调节钙敏感受体活性以调节厚味的肽和包含该肽的宠物食品
CN113875964B (zh) * 2021-09-29 2023-06-13 广东天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二肽和其美拉德反应产物以及制法和应用
WO2024090519A1 (ja) * 2022-10-28 2024-05-02 味の素株式会社 塩味増強又は異味抑制剤
CN116391846B (zh) * 2023-04-27 2024-06-07 安琪酵母股份有限公司 一种甜菊糖苷的甜味增强肽、包含其的组合物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3526A (en) * 1971-07-06 1973-11-20 Alberto Culver Co Saccharin sweetner composition
US4277464A (en) * 1975-09-19 1981-07-07 General Foods Corporation Preventing tooth demineralization using aspartame
US4741914A (en) * 1984-11-13 1988-05-03 Ajinomoto Co., Inc. Flavor enhancing seasoning containing deodorized garlic extract and process
ATE368391T1 (de) 1997-03-10 2007-08-15 Ajinomoto Kk Süssstoff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m geschmack
AU753110B2 (en) * 1998-04-09 2002-10-10 Ajinomoto Co., Inc. Aspartyl dipeptide ester derivatives and sweeteners
ID28839A (id) 1998-11-26 2001-07-05 Ajinomoto Kk Proses untuk menghasilkan suatu bahan penyedap rasa untuk makanan
US7029717B1 (en) 1999-04-16 2006-04-18 San-Ei Gen F.F.I., Inc. Sucralose-containing composition and edible products containing the composition
JP4453057B2 (ja) * 2000-05-17 2010-04-21 味の素株式会社 システイニルグリシン高含有食品素材および食品の風味増強剤の製造法
JP2002034501A (ja) * 2000-07-19 2002-02-05 Toyo Seito Kk 甘味料組成物および低カロリー飲料
JP2002051723A (ja) * 2000-08-09 2002-02-19 Takeda Chem Ind Ltd 甘味料組成物
JP2003274896A (ja) * 2002-03-26 2003-09-30 Hayashibara Biochem Lab Inc 苦味を呈するアミノ酸の苦味の低減剤とその用途
JP4098012B2 (ja) * 2002-07-12 2008-06-11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嗜好性飲料
JP2005040047A (ja) * 2003-07-28 2005-02-17 Sanei Gen Ffi Inc 甘味料組成物
JP2005304440A (ja) * 2004-04-26 2005-11-04 Ajinomoto Co Inc 呈味性の改善された低カロリー飲料および甘味料組成物
US20060073254A1 (en) * 2004-10-04 2006-04-06 Steve Catani No-carb tabletop sweeteners substitute
JPWO2006098510A1 (ja) * 2005-03-17 2008-08-28 味の素株式会社 食肉用改良剤ならびに該食肉用改良剤を用いる食肉加工食品の製造法
US20070098791A1 (en) 2005-10-31 2007-05-03 Rekhi Gurvinder S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isosorbide dinitrate and hydralazine hydrochloride
WO2007055393A1 (en) * 2005-11-09 2007-05-18 Ajinomoto Co., Inc. Kokumi-imparting agent
WO2007055388A2 (en) * 2005-11-09 2007-05-18 Ajinomoto Co., Inc. Calcium receptor activator
WO2008026629A1 (fr) 2006-08-30 2008-03-06 Ajinomoto Co., Inc. Composition alimenta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6752A4 (en) 2013-05-22
MY153692A (en) 2015-03-13
AU2008249288B2 (en) 2013-11-28
EP2156752A1 (en) 2010-02-24
CN101677610B (zh) 2014-08-06
US20100183792A1 (en) 2010-07-22
CA2686805A1 (en) 2008-11-20
BRPI0811269A2 (pt) 2014-09-30
AU2008249288A2 (en) 2010-01-21
NZ580640A (en) 2012-02-24
WO2008139946A1 (ja) 2008-11-20
KR101491984B1 (ko) 2015-02-10
JPWO2008139946A1 (ja) 2010-08-05
CA2686805C (en) 2015-11-24
JP5195751B2 (ja) 2013-05-15
US9420813B2 (en) 2016-08-23
MX2009012080A (es) 2009-12-01
AU2008249288C1 (en) 2014-11-13
AU2008249288A1 (en) 2008-11-20
CN101677610A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984B1 (ko) 감미료
JP5168378B2 (ja) コク味付与剤
KR101491995B1 (ko) 저지방 식품
US8420144B2 (en) Kokumi-imparting agent, method of using,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TWI407916B (zh) 濃郁味道(kokumi)賦予劑
BRPI0811269B1 (pt) Additive, and, additive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