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7368A - 고전압 개폐기 - Google Patents

고전압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7368A
KR20100017368A KR1020097024582A KR20097024582A KR20100017368A KR 20100017368 A KR20100017368 A KR 20100017368A KR 1020097024582 A KR1020097024582 A KR 1020097024582A KR 20097024582 A KR20097024582 A KR 20097024582A KR 20100017368 A KR20100017368 A KR 20100017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phase
separation module
housing
encaps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베쯔
그나나드한다파니 일랑고
카를로 그라나타
볼프강 빌헬름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1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6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gas-insul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3개의 위상-분리 회로 차단기(11, 12, 13)를 포함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는 3상 캡슐화된 버스바 하우징(51)에 배치되는 한편, 적어도 하나의 3상 연결 플랜지(61) 및 3개의 단상 연결 플랜지(41, 42, 43)가 설치된 버스바 분리 모듈(31, 33, 110)은 회로 차단기(11, 12, 13)를 버스바 하우징(51)에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3상 플랜지(65, 68) 및 3개의 단상 연결 플랜지(44, 45, 46)를 갖는 공급기 분리 모듈(32)은 회로 차단기(11, 12, 13)를 3상 캡슐화 공급기 하우징(71)에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버스바 분리 모듈(31, 33, 110) 및 공급기 분리 모듈(32)은, 단상 연결 플랜지(41, 42, 43, 44, 45, 46)가 아래로 향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고전압 개폐기{HIGH-VOLTAGE SWITCHGEAR}
본 발명은 제 1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금속-캡슐화(metal-encapsulated),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switchgear)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200kV 이상의 정격 전압을 갖는 가스-절연된 고전압 조립체에 사용될 개별적인 드라이브(drive) 및 개별적인 캡슐화 하우징을 각각 구비하는 단상-캡슐화된 회로 차단기가 알려져 있다.
단상-캡슐화된 회로 차단기 및 단상-캡슐화된 버스바(busbars)를 갖는 그러한 금속-캡슐화,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는 EP 0872931 A2로부터 알려져 있다. 회로 차단기는 이 경우에 평면에 수평으로 배열되고, 버스바의 하우징은 회로 차단기 위에 배열된다. 각 버스바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3개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특히 각 경우에 하나의 하우징은 각 위상 전도체를 위한 것이며, 이들 하우징의 길이 방향 축은 회로 차단기의 길이 방향 축에 직각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는, 특히 개별적인 구성요소들 사이에 사용불가능한 비어있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양의 공간을 점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요건이 최소화되도록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제 1항에 규정된 특징을 갖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는 3상-캡슐화된 버스바 하우징에 배열되는데, 즉 버스바의 모든 3상 전도체는 공통적인 캡슐에 위치된다. 회로 차단기를 연결하기 위한 3개의 단상 연결 플랜지와, 버스바 하우징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3상 연결 플랜지를 갖는 버스바 분리 모듈은 버스바 하우징과의 회로 차단기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3개의 단상 연결 플렌지와 적어도 하나의 3상 플랜지를 갖는 아웃고어(outgoer) 분리 모듈은 3상-캡슐화된 아웃고어 하우징과의 회로 차단기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버스바 분리 모듈 및 아웃고어 분리 모듈은, 이 경우에 단상 연결 플랜지가 아래로 향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정황에서, 단상 연결 플랜지는, 단상 전도체가 통과되는 연결 플랜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황에서, 3상 연결 플랜지는, 3상 시스템의 3상 전도체가 통과되는 연결 플랜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장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공간 요건을 유리하게 감소시킨다.
절연체, 및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와 연관된 접지 수단은 버스바 하우징에 유리하게 배열된다. 그러므로, 이들 기계적 이동 요소는 유지보수(maintenance) 또는 수리 목적을 위해 비교적 쉽게 엑세스가능하다. 유지보수를 요구하는 어떠한 기계적 이동 요소도 버스바 분리 모듈에 제공되지 않는데, 이러한 버스바 분리 모듈은 버스바 하우징 및 회로 차단기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러므로 버스바 분리 모듈로의 엑세스는 비교적 어렵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개선점에 따라, 하나의 연장 튜브는 아웃고어 분리 모듈과 회로 차단기 사이에서 각 위상에 대한 각 경우에 제공된다. 이들과 같은 연장 튜브의 이용은 아웃고어 하우징의 연결을 위해 플랜지의 가변-높이 위치 지정(positioning)을 허용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에서의 사용에 유리한데, 그 이유는 케이블 아웃고어 하우징의 연결 플랜지가 그 설계로 인해 지상 위의 미리 결정된 최소 높이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추가 장점은, 변류기가 각 연장 튜브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연장 튜브 외에도, 각도 모듈(angle module)은 아웃고어 분리 모듈 상에 제공되며, 이러한 아웃고어 분리 모듈 상에, 전압 컨버터 또는 테스트 어댑터의 연결을 위한 어댑터 플랜지 뿐 아니라 아웃고어 하우징의 연결을 위한 아웃고어 플랜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로 유리한 개선점에 따라, 통로(gangway)는 버스바 분리 모듈과 아웃고어 분리 모듈 사이에 제공되고, 버스바 하우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와 같은 통로는 드라이브 박스 또는 변류기와 같은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추가 구성요소로의 엑세스를 간략화한다.
하나의 유리한 진전에서, 하나의 버스바 하우징의 연결을 위한 각 경우에 적어도 4개의 3상 연결 플랜지는 버스바 분리 모듈 상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버스바 분리 모듈{또한 4중(quadruple) 버스바 분리 모듈로 지칭됨}은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의 상당히 융통성있는 동작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모든 4개의 연결된 버스바는 서로 독립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로서, 3개의 버스바는 동작중인 반면, 제 4 버스바는 예비품(spare)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2개의 버스바가 각 경우에 평행하게 연결되고 버스바 쌍으로서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는 2개의 버스바 쌍을 갖게 되어, 버스바 쌍의 정격 전류가 단일 버스바의 정격 전류보다 2배 높다는 이점을 갖는다.
버스바 분리 모듈은 통상적으로 대략 원통형 하우징 바디 및 적어도 4개의 3상 연결 스터브(stubs)를 갖는데, 이러한 연결 스터브는 방사상 방향으로 버스바 분리 모듈의 하우징 바디로부터 돌출한다. 하나의 3상 연결 플랜지는 이 경우에 각 연결 스터브에 부착된다.
버스바 분리 모듈의 각 3상 연결 스터브는 이 경우에 오프셋되게, 하우징 바디에 대해 축 방향 및 원주(circumferential) 방향으로 각각의 인접한 3상 연결 스터브에 대해 오프셋(offset)되게 모두 배열된다.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의 3상 연결 스터브의 이러한 오프셋은 3상 연결 플랜지가 서로 부딪히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로 유리한 개선점은 종속항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점 및 향상 뿐 아니라 추가 장점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의 제 1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의 제 2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의 제 3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로부터의 제 1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의 정면도.
도 5는 4중 버스바 분리 모듈의 측면도.
도 6은 연결된 버스바를 갖는 4중 버스바 분리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4중 버스바 분리 모듈을 도시한 정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의 제 1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을 도시한다. 제 1 회로 차단기(11)만이 도시된 도면에서 볼 수 있는 3개의 단상-캡슐화된 회로 차단기(11, 12, 13)는, 길이 방향 축이 서로 평행하고 지상에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배열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단상 회로 차단기(11, 12, 13)는 수평으로 배열된다. 회로 차단기(11, 12, 13)와 지상 사이의 거리는 이 경우에 동일하다.
회로 차단기(11, 12, 13)는 지상에 가까이 배열되고, 이것은 다음의 "하부(bottom)"와 같은 용어로 언급된다. 지상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배열된 구성요소의 위치는 이에 대응하여 "상부(top)"로 언급된다.
제 1 회로 차단기(11)는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의 정면에 인접한 입력 플랜지(21)와,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의 후면에 인접한 출력 플랜지(22)를 갖는데, 이들 플랜지들은 지상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위로 향한다.
버스바 분리 모듈(31)은 제 1 버스바 하우징(51) 및 제 2 버스바 하우징(52)과의 회로 차단기(11, 12, 13)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버스바 분리 모듈(31)은 3개의 단상 연결 플랜지(41, 42, 43)를 갖고, 이중에 제 1 단상 연결 플랜지(41)만이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다. 더욱이, 버스바 분리 모듈(31)은 제 1 버스바 하우징(51)의 연결을 위한 제 1의 3상 연결 플랜지(61)와, 제 2 버스바 하우징(52)의 연결을 위한 제 2의 3상 연결 플랜지(62)를 갖는다.
아래로 향하는 버스바 분리 모듈(31)의 제 1 단상 연결 플랜지(41)는 제 1 회로 차단기(11)의 입력 플랜지(21)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버스바 분리 모듈(31)의 다른 단상 연결 플랜지는 제 2 회로 차단기(12) 및 제 3 회로 차단기(13)의 입력 플랜지에 연결된다.
버스바 분리 모듈(31)은, 단상 연결 플랜지(41, 42,43)가 아래로 향하도록 회로 차단기(11, 12, 13) 상에 장착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버스바 분리 모듈(31)은 회로 차단기(11, 12, 13) 상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위로 향하는 버스바 분리 모듈(31)의 제 2의 3상 연결 플랜지(62)는 제 2 버스바 하우징(52)에 연결된다. 정면쪽으로 향하는 버스 분리 모듈(31)의 제 1의 3상 연결 플랜지(61)는 제 1 버스바 하우징(51)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 1 버스바 하우징(51)은 버스바 분리 모듈(31)의 측면에 위치하는 한편, 제 2 버스바 하우징(52)은 버스바 분리 모듈(31) 위에 위치된다. 회로 차단기(11, 12, 13)는 버스바 분리 모듈(31) 아래에 위치된다.
각 드라이브(14, 15, 16)는 정면 상에서 각 회로 차단기(11, 12, 13)의 전면 에 위치되는데, 이들 드라이브 중에서 제 1 회로 차단기(11)의 제 1 드라이브(14)만이 도면에 도시된다. 드라이브(14, 15, 16)는 제 1 버스바 하우징(51) 아래에 위치된다.
제 1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제어 캐비넷(cabinet)(35)은 L-형태 하우징을 갖고, 제 1 버스바 하우징(51)을 부분적으로 조이도록(clasp) 배열된다. 이 경우에 L-형태 제어 캐비넷(35)의 긴 림(limb)은 제 1 버스바 하우징(51) 옆으로 정면에서 지상에 직각으로 그리고 더 위쪽으로 연장하는 한편, L-형태 제어 캐비넷(35)의 짧은 림은 제 1 버스바 하우징(51) 위의 지상에 평행하게 그리고 정면쪽으로 더 연장한다. 그러므로, 제어 캐비넷(35)은 제 1 버스바 하우징(51) 위에 있는 그리고 제 2 버스바 하우징(52) 옆으로 정면에 있는 공간을 부분적으로 채워서, 개폐기 조립체 윤곽(contour)에 매칭한다.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은 아웃고어 하우징(71)과의 회로 차단기(11, 12, 13)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은 3개의 3상 연결 플랜지(44, 45, 46)를 갖는데, 이중 제 4의 단상 연결 플랜지(44)만이 도면에서 볼 수 있다. 더욱이,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은 3상 연결 플랜지(65)를 갖는데, 이러한 3상 연결 플랜지(65)는 위로 향하고, 각도 모듈(72)에 연결된다.
아래로 향하는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의 제 4 단상 연결 플랜지(44)는 제 1 회로 차단기(11)의 출력 플랜지(22)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의 다른 단상 연결 플랜지는 제 2 회로 차단기(12) 및 제 3 회로 차단기(13) 의 출력 플랜지에 연결된다.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은, 단상 연결 플랜지(44, 45, 46)가 아래로 향하도록 회로 차단기(11, 12, 13) 상에 장착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아웃고어 분리 모듈(31)은 회로 차단기(11, 12, 13) 상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각도 모듈(72)은 3상 어댑터 플랜지(66)를 갖는데, 이러한 3상 어댑터 플랜지(66)는 위로 향하고, 도시된 도면에서 막혀있다. 예로서, 전압 컨버터 또는 테스트 어댑터는 고전압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이러한 어댑터 플랜지(66)에 연결될 수 있다.
각도 모듈(72)은 아웃고어 분리 모듈(32) 위에, 그리고 제 2 버스바 하우징(52) 옆으로 후면에 위치된다.
더욱이, 각도 모듈(72)은 3상 아웃고어 플랜지(67)를 갖는데, 이러한 3상 아웃고어 플랜지(67)는 후면으로 향하고, 아웃고어 하우징(71)이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전압 컨버터(75) 및 신속한-동작의 그라운딩(quick-action grounding) 수단(73)은 알려진 방식으로 아웃고어 하우징(71)에 연결되며, 전압 컨버터(75)는 위로 향하고, 신속한-동작의 그라운딩 수단(73)은 후면으로 향한다.
더욱이, 3개의 단상 고전압 케이블(81, 82, 83)은 알려진 방식으로 아웃고어 하우징(71)에 부착되지만, 제 3 고전압 케이블(83)은 도면에서 볼 수 없다. 고전압 케이블(81, 82, 83)은 아래로 향한다.
3개의 단상 고전압 케이블(81, 82, 83) 대신에, 하나의 3상 고전압 케이블도 또한 가능하다.
각각의 분할(partition) 절연체는 서로 연결되는 스위치 패널의 구성요소의 각각의 2개의 연결 플랜지들 사이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분할 절연체는, 예를 들어 제 1 버스바 하우징(51)과 같은 모듈이, 예를 들어 버스바 분리 모듈(31)과 같은 인접한 모듈은 영향을 받지 않은 채로 남아있으면서, 수리 또는 유지보수 목적을 위해 개방되고 및/또는 제거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분할 절연체가 제 1의 3상 연결 플랜지(61)를 밀봉하기 때문에 절연 가스가 버스바 분리 모듈(31)에 남아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버스바 하우징(51)은 버스바 분리 모듈(31) 상의 전면에 현가되고, 제 2 버스바 하우징(52)은 버스바 분리 모듈(31) 상에 놓인다. 회로 차단기(11, 12, 13)의 드라이브(14, 15, 16)는 제 1 버스바 하우징(51) 아래에 위치된다. 제어 캐비넷(35)은 L-형태이고, 제 1 버스바 하우징(51) 위에 있는 그리고 제 2 버스바 하우징(52) 옆에 있는 공간을 부분적으로 채운다.
아웃고어 하우징(71) 및 케이블 아웃고어의 다른 구성요소가 알려진 방식으로 후방에 연결되는 각도 모듈(72)은 아웃고어 분리 모듈(32)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예시에서, 전압 컨버터(75)는 아웃고어 하우징(71)에 연결된다. 전압 컨버터(75)는 각도 모듈(72)의 3상 어댑터 플랜지(66)(위로 향함)에 또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아웃고어 하우징(71)은 고전압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테스트 어댑터의 연결을 위한 자유 플랜지(위로 향함)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에서의 구성요소의 이러한 배열은 이용가능한 공간을 최적으로 이용하여, 비교적 소형의 공간-절감 설계를 허용한다.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은 이 예에서, 즉 고전압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스위치 패널로 예시된다. 그러나, 설명된 배열은 또한, 예를 들어 가공선(overhead line), 변압기 등이 연결될 수 있는 스위치 패널 유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고전압 케이블(81, 82, 83) 대신에 제공되며, 아웃고어 하우징(71)은 이들 구성요소의 연결을 위해 설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의 제 2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제 2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과 유사한데, 이 때문에, 그 차이점이 주로 여기서 설명될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도 2에서 더 잘 볼 수 있는 특징들이 설명된다. 제어 캐비넷(35)은 도 2에 도시되지 않는다.
각각의 연장 튜브(91, 92, 93)는 회로 차단기(11, 12, 13)와 아웃고어 분리 모듈(32) 사이에 각 상에 대해 제공된다. 제 1 연장 튜브(91)는 이 경우에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의 제 4의 단상 연결 플랜지(44) 및 제 1 회로 차단기(11)의 출력 플랜지(22)에 연결된다. 제 2 연장 튜브(92) 및 제 3 연장 튜브(93)는 알려진 방식으로 제 2 회로 차단기(12), 제 3 회로 차단기(13) 및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에 각각 연결된다.
그러므로,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은 회로 차단기(11, 12, 13) 상에 장착되는 연장 튜브(91, 92, 93) 상에 장착되어, 단상 연결 플랜지(44, 45, 46)는 아래로 향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아웃고어 분리 모듈(31)은 회로 차단기(11, 12, 13) 상에 수직으로 배열되며, 연장 튜브(91, 92, 93)는 회로 차단기(11, 12, 13)와 아 웃고어 분리 모듈(32) 사이에 배열된다.
도 1에서의 각도 모듈(72)은 생략된다. 예로서, 전압 컨버터, 또는 고전압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테스트 어댑터는 도시된 도면에서 막혀있는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의 3상 연결 플랜지(65)에 연결될 수 있다.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은 후면쪽으로 향하는 3상 아웃고어 플랜지(68)를 갖는다. 아웃고어 하우징(71)은 알려진 방식으로 이러한 출력 플랜지(68)에 연결된다.
제 1 드라이브 박스(94)는 제 1 버스바 하우징(51)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제 1 드라이브 박스(94)는 제 1 버스바 하우징(51)에 위치된 절연체/그라운딩 수단을 위한 드라이브 및 표시 요소를 포함한다.
제 2 드라이브 박스(95)는 제 2 버스바 하우징(52) 상의 정면에 배열된다. 이러한 제 2 드라이브 박스(95)는 제 2 버스바 하우징(52)에 위치된 절연체/그라운딩 수단을 위한 드라이브 및 표시 요소를 포함한다.
아웃고어 드라이브 박스(97)는 아웃고어 하우징(71) 상의 측면에 배열된다. 이러한 아웃고어 드라이브 박스(97)는 아웃고어 하우징(71)에 위치된 절연체/그라운딩 수단을 위한 드라이브 및 표시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브 박스(94, 95, 97)는 비교적 쉽게 액세스가능하고 보여질 수 있도록 배열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 조립체의 제 3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제 3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케이블 아 웃고어 패널과 유사한데, 이로 인해, 그 차이점이 주로 여기서 설명될 것이다.
회로 차단기 상에 위치된 3중 버스바 분리 모듈(33)은 - 도 1에 도시된 버스바 분리 모듈(31)과 비교하여 - 추가의 제 3의 3상 연결 플랜지(63)를 구비하며, 이러한 제 3의 3상 연결 플랜지(63)는 후면쪽으로 향하므로, 제 1의 3상 연결 플랜지(61)와는 반대 방향이다.
제 3 버스바 하우징(53)은 제 3의 3상 연결 플랜지(63)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제 3 버스바 하우징(53)은 3중 버스바 분리 모듈(33) 상의 후면에 현가된다.
회로 차단기(11, 12, 13)는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큰 축 방향을 갖는데, 즉 이들 회로 차단기(11, 12, 13)는 더 길다. 그러므로, 제 3 버스바 하우징(53)에 대한 공간은 3중 버스바 분리 모듈(33)과 아웃고어 분리 모듈(32) 사이에서 생성된다.
통로(101)는 제 3 버스바 하우징(53) 위에 제공되고, 스틸트(stilts)(102) 상에 놓인다. 조작자는 버스바 하우징(51, 52, 53)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이러한 통로(101)를 통해 개폐기 조립체에서 제 3 버스바 하우징(53)의 모든 부분과 모든 스위치 패널의 모든 각도 모듈(72)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류기는 버스바 분리 모듈(31), 아웃고어 분리 모듈(32), 3중 버스바 분리 모듈(33), 및 연장 튜브(91, 92, 93)에 일체화된다. 마찬가지로, 이들 변류기의 연결 박스는 통로(101)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로(101)는 개폐기 조립체의 다양한 구성요소로의 액세스 능력을 향상시킨다.
물론, 본 명세서에 도시된 개폐기 조립체는 또한 통로 없이 설계될 수 있다.
더욱이, 제 3 버스바 및 이에 따라 제 3 버스바 하우징(53)이 생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이러한 경우에, 통로(101)는 하부 레벨에, 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11, 12, 13) 바로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제 1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제 1 버스바 하우징(51)은 도 4에서 볼 수 없는 회로 차단기(11, 12, 13)의 드라이브(14, 15, 16) 위에서 수평으로 이어진다. 제 2 버스바 하우징(52)은 제 1 버스바 하우징(51)에 평행하게 그리고 그 위에서 이어진다.
상기 케이블 아웃고어 패널 대신에, 물론 몇몇 다른 스위치 패널, 예를 들어 피드(feed) 패널 또는 오버헤드-라인 아웃고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버스바 하우징(51, 52) 모두는 제어 캐비넷(35)에 의해 부분적으로 숨겨져 있다. 제어 캐비넷(35)은 스위치 패널의 폭의 일부, 예를 들어 절반만을 점유한다. 그러므로, 버스바는 제어 캐비넷(35)의 측면에서의 영역에 액세스가능하다. 특히, 제 1 버스바 하우징(51)의 제 1 드라이브 박스(94) 및 제 2 버스바 하우징(52)의 제 2 드라이브 박스(95)는 보여질 수 있고, 액세스가능하다.
도 5는 4중 버스바 분리 모듈(1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4중 버스바 분리 모듈(110)은 대체로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를 갖는데, 이러한 대체로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의 대체로 원형 단부면은 도 5에서 보여질 수 있다.
4중 버스바 분리 모듈(110)은 3개의 단상 회로 차단기(도 5에 도시되지 않 음)의 최대 4개의 버스바(도 5에 도시되지 않음)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4중 버스바 분리 모듈(110)은 각 버스바의 연결을 위한 4개의 3상 연결 플랜지(161, 162, 163, 164)와, 각 단상 회로 차단기의 연결을 위한 3개의 단상 연결 플랜지(141, 142, 143)를 갖는다.
단상 연결 플랜지(141, 142, 143)는 각각의 단상 연결 스터브(151, 152, 153)에 부착되며, 이들 단상 연결 스터브(151, 152, 153)는 4중 버스바 분리 모듈(110)의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한다.
3상 연결 플랜지(161, 162, 163, 164)는 각각의 3상 연결 스터브(171, 172, 173, 174)에 부착되며, 이들 각각의 3상 연결 스터브(171, 172, 173, 174)는 마찬가지로 4중 버스바 분리 모듈(110)의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정황에서, 단상 연결 스터브는 단상 전도체가 통과하는 연결 스터브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황에서, 3상 연결 스터브는 3상 시스템의 3상 전도체가 통과하는 연결 스터브를 의미한다.
단상 연결 스터브(151, 152, 153)는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의 엔벨로프(envelope) 라인 상에 배열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제 2 단상 연결 스터브(152)에 부착되는 제 2 단상 연결 플랜지(142)와, 제 3 단상 연결 스터브(153)에 부착되는 제 3 단상 연결 플랜지(143)는 제 1의 단상 연결 플랜지(141)에 의해 숨겨진다. 도시된 예시에서, 제 2 단상 연결 스터브(152) 및 제 3 단상 연결 스터브(153)는 마찬가지로 제 1의 단상 연결 플랜지(141)가 부착되는 제 1의 단상 연결 스터브(151)에 의해 숨겨진다.
3상 연결 스터브(171, 172, 173, 174)는 원통형 하우지 바디(120)의 상이한 엔벨로프 라인 상에 배열된다.
제 1의 3상 연결 플랜지(161)가 부착되는 제 1의 3상 연결 스터브(171)는, 단상 연결 스터브(151, 152, 153)가 배열되는 엔벨로프 라인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시계 방향 관점에서 90°로 오프셋되는 엔벨로프 라인 상에 배열된다.
제 2의 3상 연결 플랜지(162)가 부착되는 제 2의 3상 연결 스터브(172)는, 단상 연결 스터브(151, 152, 153)가 배열되는 엔벨로프 라인에 대해 원주 방향에서 시계 방향 관점으로 150°로 오프셋되는 엔벨로프 라인 상에 배열된다.
제 3의 3상 연결 플랜지(163)가 부착되는 제 3의 3상 연결 스터브(173)는, 단상 연결 스터브(151, 152, 153)가 배열되는 엔벨로프 라인에 대해 원주 방향에서 시계 방향 관점으로 210°로 오프셋되는 엔벨로프 라인 상에 배열된다.
제 4의 3상 연결 플랜지(164)가 부착되는 제 4의 3상 연결 스터브(174)는, 단상 연결 스터브(151, 152, 153)가 배열되는 엔벨로프 라인에 대해 원주 방향에서 시계 방향 관점으로 270°로 오프셋되는 엔벨로프 라인 상에 배열된다.
그러므로, 제 1의 3상 연결 스터브(171) 및 제 4의 3상 연결 스터브(174)는 정반대인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의 엔벨로프 라인 상에 배열된다. 상호 인접한 3상 연결 스터브가 배열되는 엔벨로프 라인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60°로 오프셋된다.
3상 연결 스터브(171, 172, 173, 174)는 또한 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 셋되게 배열된다. 제 1의 3상 연결 스터브(171) 및 제 3의 3상 연결 스터브(173)는 축 방향으로의 원주 라인 상에 배열된다. 제 2의 3상 연결 스터브(172) 및 제 4의 3상 연결 스터브(174)는 축 방향으로의 원주 라인 상에 배열되고, 이 원주 라인은, 제 1의 3상 연결 스터브(171) 및 제 3의 3상 연결 스터브(173)가 배열되는 원주 라인에 대해 도시된 예시에서 후면에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예시에서, 제 2의 3상 연결 스터브(172) 및 제 4의 3상 연결 스터브(174) 뿐 아니라 제 2의 3상 연결 플랜지(162) 및 제 4의 3상 연결 플랜지(164)는 제 1의 3상 연결 스터브(171) 및 제 3의 3상 연결 스터브(173) 뿐 아니라 제 1의 3상 연결 플랜지(161) 및 제 3의 3상 연결 플랜지(163)에 의해 부분적으로 숨겨진다.
물론, 5개 이상의 버스바의 연결을 위한 5개 이상의 3상 연결 플랜지를 갖는 버스바 분리 모듈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3상 연결 스터브들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이한 각도, 예를 들어 45°로 오프셋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연결된 버스바를 갖는, 도 5에 설명된 4중 버스바 분리 모듈(110)을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버스바 하우징(51)은 제 1의 3상 연결 플랜지(161)에 연결되고, 제 2 버스바 하우징(52)은 제 2의 3상 연결 플랜지(162)에 연결되고, 제 3 버스바 하우징(53)은 제 3의 3상 연결 플랜지(163)에 연결되고, 제 4 버스바 하우징(54)은 제 4의 3상 연결 플랜지(164)에 연결된다.
도 7은 도 5에 설명된 4중 버스바 분리 모듈(110)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제 1 단상 연결 스터브(151), 제 2 단상 연결 스터브(152) 및 제 3 단상 연 결 스터브(153)는 4중 버스바 분리 모듈(110)의 하우징 바디(120)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한다. 제 1 단상 연결 스터브(141)는 제 1 단상 연결 스터브(151)에 부착되고, 제 2 단상 연결 플랜지(142)는 제 2 단상 연결 스터브(152)에 부착되고, 제 3 단상 연결 플랜지(143)는 제 3 단상 연결 스터브(153)에 부착된다.
이러한 예시에서 볼 수 없는 제 1의 3상 연결 스터브(171)는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90°로 오프셋된 제 1의 3상 연결 플랜지(161)로 배열된다. 제 2의 3상 연결 플랜지(162)를 갖는 제 2의 3상 연결 스터브(172)는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60° 더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제 3의 3상 연결 플랜지(163)를 갖는 제 3의 3상 연결 스터브(173)는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60° 더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60° 더 오프셋되게 배열된 제 4의 3상 연결 스터브(174), 및 연관된 제 4의 3상 연결 플랜지(164)는 이 예시에서 하우징 바디(120)에 의해 숨겨지므로, 보여질 수 없다.
제 1의 3상 연결 스터브(171)는 인접한 제 2의 3상 연결 스터브(17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제 3의 3상 연결 스터브(173)는 마찬가지로 인접한 제 2의 3상 연결 스터브(172)에 대해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더욱이, 제 4의 3상 연결 스터브(174)는 인접한 제 3의 3상 연결 스터브(173)에 대해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이 예에서, 제 1의 3상 연결 스터브(171) 및 제 3의 3상 연결 스터브(173) 뿐 아니라 제 2의 3상 연결 스터브(172) 및 제 4의 3상 연결 스터브(174)는 각각 동일한 원주 라인 상에 위치된다. 또한, 각 3상 연결 스터브가 자신의 원주 라인 상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각 3상 연결 스터브는 다른 3상 연결 스터브의 각각에 대해 축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알려진 방식으로 버스바의 하우징에 배열되는 절연체 및 접지 수단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 전도체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간 요건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등에 이용된다.

Claims (10)

  1.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switchgear) 조립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와, 수평으로 배열된 적어도 3개의 단상-캡슐화된(single-phase-encapsulated) 회로 차단기(11, 12, 13)를 포함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는 3상-캡슐화된 버스바 하우징(51)에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3상 연결 플랜지(61) 및 3개의 단상 연결 플랜지(41, 42, 43)를 갖는 버스바 분리 모듈(31, 33, 110)은 버스바 하우징(51)과의 회로 차단기(11, 12, 13)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3상 플랜지(65, 68) 및 3개의 단상 연결 플랜지(44, 45, 46)를 갖는 아웃고어(outgoer) 분리 모듈(32)은 3상-캡슐화된 아웃고어 하우징(71)과의 회로 차단기(11, 12, 13)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고,
    버스바 분리 모듈(31, 33, 110) 및 아웃고어 분리 모듈(32)은, 단상 연결 플랜지(41, 42, 43, 44, 45, 46)가 아래로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와 연관되는 절연체 및 그라운딩(grounding) 수단은 버스바 하우징(51)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나의 연장 튜브(91, 92, 93)는 아웃고어 분리 모듈(32)과 회로 차단기(11, 12, 13) 사이에서, 각 상에 대한 각 경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도 모듈(angle module)(72)은 아웃고어 분리 모듈(32) 상에 제공되고, 전압 컨버터 또는 테스트 어댑터의 연결을 위한 어댑터 플랜지(66), 뿐 아니라 아웃고어 하우징(71)의 연결을 위한 아웃고어 플랜지(67)는 상기 각도 모듈(72)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로(gangway)는 버스바 분리 모듈(31, 33, 110)과 아웃고어 분리 모듈(32) 사이에 제공되고, 버스바 하우징(5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캐비넷(control cabinet)(35)이 제공되며, L-형태 하우징을 갖고 버스바 하우징(51)을 부분적으로 조이는(clasps)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캐비넷(35)은 스위치 패널의 폭의 일부분만을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3상 연결 플랜지(161, 162, 163, 164)는 버스바 분리 모듈(110)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분리 모듈(110)은 대체로 원통형 하우징 바디(120)를 갖고,
    적어도 4개의 3상 연결 스터브(171, 172, 173, 174)는 버스바 분리 모듈(110) 상에 제공되고 버스바 분리 모듈(110)의 하우징 바디(120)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며, 하나의 3상 연결 플랜지(161, 162, 163, 164) 각각은 각 연결 스터브(171, 172, 173, 17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10. 제 8항에 있어서, 버스바 분리 모듈(110)의 3상 연결 스터브(171, 172, 173, 174) 각각은 하우징 바디(120)에 대해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각각 인접한 3상 연결 스터브(171, 172, 173)에 대해 오프셋(offset)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캡슐화된, 가스-절연된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
KR1020097024582A 2007-05-31 2008-05-26 고전압 개폐기 KR201000173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5536 2007-05-31
DE102007025536.7 2007-05-31
DE102007047200A DE102007047200A1 (de) 2007-05-31 2007-10-02 Hochspannungsschaltanlage
DE102007047200.7 2007-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368A true KR20100017368A (ko) 2010-02-16

Family

ID=3991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582A KR20100017368A (ko) 2007-05-31 2008-05-26 고전압 개폐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44680B2 (ko)
EP (1) EP2151027B1 (ko)
JP (1) JP5174150B2 (ko)
KR (1) KR20100017368A (ko)
CN (1) CN101682180B (ko)
DE (1) DE102007047200A1 (ko)
HU (1) HUE033667T2 (ko)
WO (1) WO200814532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445B1 (ko) * 2010-07-09 2013-12-12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가스절연 스위치기어 조립체
KR20190090594A (ko) * 2018-01-25 2019-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기의 열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6099B (zh) * 2010-05-20 2015-12-02 Abb技术有限公司 气体绝缘的开关设备组件
DE102010026014A1 (de) * 2010-06-29 2011-12-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Druckgasisoliertes mehrphasiges Schaltfeld
KR20130115299A (ko) * 2010-11-16 2013-10-21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고전압 개폐기 조립체용 스위치 패널 및 상기 스위치 패널을 구성하는 방법
DE102010063130A1 (de) * 2010-12-15 2012-06-21 Abb Technology Ag Schaltschrank zum Betreiben einer Mittel- oder Hochspannungsschaltanlage
DE102012219906A1 (de) * 2012-10-31 2014-04-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anlagenschaltfeld
DE102013007551A1 (de) * 2013-05-03 2014-11-06 Abb Technology Ag Gasisolierte Schaltanlagenanordnung
DE102013211102A1 (de) * 2013-06-14 2014-12-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Gestaltungsverfahren eines Hohlkörpers sowie Hohlkörper
CN105514854B (zh) * 2015-12-03 2018-03-23 国家电网公司 集成母线筒及使用该集成母线筒的gis设备
DE102016202057A1 (de) * 2016-02-11 2017-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anlag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777U (de) 1967-11-14 1968-03-14 Leitz Ernst Gmbh Anschlussklemme fuer elektrische leitungen und draehte.
DE2720325A1 (de) * 1977-05-06 1978-11-09 Bbc Brown Boveri & Cie Metallgekapselte, druckgas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
JPS60249806A (ja) * 1984-05-24 1985-12-10 日新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用母線電圧変成器ユニツト
JPS63181606A (ja) * 1987-01-21 1988-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28925B2 (ja) * 1988-03-11 1996-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734603B2 (ja) * 1990-08-29 1995-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DE4210368A1 (de) * 1992-03-30 1993-10-07 Abb Patent Gmbh Hochspannungsschaltfeld
JPH0662513A (ja) * 1992-08-06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密閉形開閉装置
US5559669A (en) * 1992-08-26 1996-09-24 Inami; Yoshiaki Compressed gas insulation switchgear
EP0678955B1 (de) * 1994-04-19 1998-09-02 Asea Brown Boveri Ag Metallgekapselte gasisolierte Schaltanlage
EP0678954B1 (de) * 1994-04-19 1998-09-02 Asea Brown Boveri Ag Metallgekapselte gasisolierte Schaltanlage
JP3136932B2 (ja) * 1994-12-28 2001-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SE515734C2 (sv) * 1996-10-21 2001-10-01 Abb Ab System för montage och underhåll av kopplingsmoduler i ett högspänningsställverk, förfarande härför samt systemkomponent
DE19716024B4 (de) * 1997-04-17 2007-01-18 Abb Schweiz Ag Metallgekapselte gasisolierte Schaltanlage
DE19805705A1 (de) * 1998-02-06 1999-08-12 Asea Brown Boveri Gasisolierte metallgekapselte Schaltanlage
CN1697275A (zh) * 1998-10-13 2005-11-16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气体绝缘开关装置
JP2000312411A (ja) * 1999-04-26 2000-11-07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DE10011888C2 (de) * 2000-03-07 2002-02-07 Siemens Ag Dreiphasige Hochspannungsschaltanlage mit einphasig gekapselten Baugruppen
DE10119530A1 (de) * 2001-04-12 2002-11-07 Siemens Ag Hochspannungs-Leistungsschalter für eine druckgasisolierte Schaltanlage
JP2003199220A (ja) * 2001-12-26 2003-07-11 Hitachi Ltd 母線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絶縁開閉装置
EP1569310A1 (de) * 2004-02-27 2005-08-31 ABB Technology AG Einphasig gekapselte, gasisolierte Schaltanlage
JP4477463B2 (ja) * 2004-09-24 2010-06-09 株式会社日本Aeパワーシステムズ 密閉型電気機器の耐電圧試験方法
DE102004061358B4 (de) * 2004-12-21 2012-07-05 Abb Technology Ag Hochspannungsschaltanlage
JP4559887B2 (ja) * 2005-03-22 2010-10-13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開閉装置
CN101669260B (zh) * 2007-05-11 2014-04-09 三菱电机株式会社 气体绝缘开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445B1 (ko) * 2010-07-09 2013-12-12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가스절연 스위치기어 조립체
KR20190090594A (ko) * 2018-01-25 2019-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기의 열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38591A (ja) 2010-12-09
JP5174150B2 (ja) 2013-04-03
EP2151027B1 (de) 2017-01-18
WO2008145324A2 (de) 2008-12-04
US20100172069A1 (en) 2010-07-08
CN101682180A (zh) 2010-03-24
EP2151027A2 (de) 2010-02-10
CN101682180B (zh) 2013-11-13
US7944680B2 (en) 2011-05-17
WO2008145324A3 (de) 2009-01-22
HUE033667T2 (hu) 2017-12-28
DE102007047200A1 (de)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7368A (ko) 고전압 개폐기
KR20090100239A (ko) 스위치 기어
US8400759B2 (en) High-voltage switchgear assembly
US8525053B2 (en) Electrical switchgear
US20130250487A1 (en) Switch bay for high-voltage switchgear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ation thereof
JP2004512794A (ja) 向かい合って配置される母線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高電圧変電所と、このような高電圧変電所のためのシールドされた遮断分岐モジュール
JPS62193024A (ja) 高電圧メタルクラツド電気設備
US20130201607A1 (en) Pressurised gas-insulated multi-phase control panel
KR20090106391A (ko) 고전압 개폐기
KR20010006594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6398651B2 (ja) スイッチギヤ
US20070017904A1 (en) Switch assembly
KR20030076180A (ko) 가스절연개폐장치
JPS5915445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US10297987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JPH1056709A (ja) キュービクル形ガス絶縁開閉装置
KR20150141051A (ko) 배전자동화용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JP6270552B2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KR820000681B1 (ko) 가스절연 고전압 개폐장치
JP200715933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349053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920091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0308220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315340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32124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