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545A -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 유기 el 박막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 유기 el 박막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545A
KR20100014545A KR1020097019869A KR20097019869A KR20100014545A KR 20100014545 A KR20100014545 A KR 20100014545A KR 1020097019869 A KR1020097019869 A KR 1020097019869A KR 20097019869 A KR20097019869 A KR 20097019869A KR 20100014545 A KR20100014545 A KR 20100014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substituted
organic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히로 다케시마
데츠야 이노우에
마코토 안도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5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00Dyes with anthracene nucleus not condensed with any other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0066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the polymethine chain being part of a carbocyclic ring,(e.g. benzene, naphtalene, cyclohexene, cyclobutenene-quadrat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3/00Methine or polymethine dyes, e.g. cyanine dyes
    • C09B23/14Styryl dyes
    • C09B23/148Stilbene dyes containing the moiety -C6H5-CH=CH-C6H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3/00Dyes with an anthracene nucleus condensed with one or more carbocyclic rings
    • C09B3/78Other dyes in which the anthracene nucleus is condensed with one or more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01Pyre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08Triarylamine dyes containing no other chromoph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00Anthracene dyes not provided for abo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4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liphatic or olefinic chains, e.g. poly N-vinylcarbazol, PVC or PTF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51Co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2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our rings, e.g. pyr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EL 재료와 용매를 함유하는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으로서, 유기 EL 재료는, 적어도 호스트와 도펀트를 함유하고, 호스트는 안트라센 유도체이며, 용매는 호스트를 0.5 중량% 이상 용해시킨다. 용매는 고리형 케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매는 고리형 케톤으로서 시클로헥사논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유기 EL 박막, 유기 EL 소자,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Description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 유기 EL 박막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ORGANIC EL MATERIAL-CONTAINING SOLUTION, METHOD FOR FORMING ORGANIC EL THIN FILM, ORGANIC EL DEVICE COMPRISING ORGANIC EL THI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 유기 EL 박막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유기 박막을 도포법으로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이 용액을 이용하여 유기 EL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소자가 알려져 있고, 이와 같은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저분자 유기 EL 재료가 알려져 있다.
저분자 유기 EL 재료로서는, 트리스(8-퀴놀리놀)알루미늄 착체 (錯體) 등의 킬레이트 착체, 쿠마린 착체, 테트라페닐부타디엔 유도체, 비스스티릴아릴렌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등의 발광 재료가 알려져 있고, 그것들은 청색부터 적색까지의 가시 영역의 발광이 얻어지는 것이 보고되어, 칼라 표시 소자의 실현이 기대 되고 있다.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박막에 성막할 때에는 진공 증착법이 채용되는데, 양호한 열적 안정성을 갖고 승화시켜 기판 상에 증착시킴으로써 고성능의 유기 EL 소자가 얻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
그러나, 증착법에 있어서는, 고진공의 설비나 복잡한 제조 공정이 필요하고, 또, 적녹청의 각 색의 구분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증착법에서는 재료 이용 효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유기 EL 재료의 다른 성막법으로서 도포법이 알려져 있다.
도포법은, 일반적으로 고분자 유기 EL 재료의 성막에 이용되고 있고, 용매에 용해된 유기 EL 재료를 사용하여 유기 EL 재료의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등). 이 도포법에 의하면, 유기 EL 재료의 박막을 간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성막할 수 있고, 색의 구분도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고분자 유기 EL 재료는 합성 경로가 복잡하고, 고순도 정제도 곤란하다. 또, 발광 효율, 수명, 색 순도 등의 성능이 저분자 EL 재료에 뒤지고, 특히, 고효율, 장수명이고 색 순도가 높은 청색 발광의 고분자 유기 EL 재료는, 실용 레벨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은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도포법으로 성막한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용해시킨 도포용 조성물에는 용해도나 점도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포법으로 유기 EL 재료의 박막을 성막할 때에는 유기 EL 재료를 용액에 용해시킬 필요가 있다.
고분자 유기 EL 재료의 경우, 톨루엔, 자일렌, 테트랄린 등의 용매에 용해시킨 도포용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4, 5 등).
그러나,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도포법으로 성막할 때에, 임의의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상기의 용매에 용해시키려고 하면, 저분자 유기 EL 재료는 난용성이라는 문제가 있다.
소정량 이상 (예를 들어 0.5 중량% 이상) 의 용해도가 없으면, 도포법을 적용시킬 수 없는 결과, 저분자 유기 EL 재료의 용해도는 일반적으로 0.1 중량% ∼ 0.2중량% 이고, 이와 같은 낮은 용해도이기 때문에,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도포법으로 성막할 수 없었다.
최근에는, 저분자계 재료로도 도포법에 의한 성막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는데 (예를 들어, 특허문헌 6 등), 이 경우에도, 저분자계 재료의 용해도는 불충분하다. 또한 특허문헌 6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유기 EL 재료가 톨루엔 등의 용매에 가용인 소정의 화합물에만 한정되어 있고, 유기 EL 재료로서 성능이 높은 난용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6 에 기재된 도포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기 EL 소자를 실제로 제조한 경우, 얻어지는 유기 EL 소자의 성능 (발광 효율, 수명, 색 순도 등) 이 불충분하다.
특허문헌 1 : WO2004/018587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29256호
특허문헌 3 : WO2005/059267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13561호
특허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19351호
특허문헌 6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190759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해, 발광 효율, 수명, 색 순도 등의 점에서 우수한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간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박막 형성이 가능한 도포법에 의해 성막할 수 없어, 유기 EL 표시 장치의 본격적 실용화에 있어 큰 장해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여, 고성능의 유기 EL 재료를 도포법으로 성막하기 위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사용한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 그 유기 EL 박막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은, 유기 EL 재료와 용매를 함유하는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으로서,
상기 유기 EL 재료는 적어도 호스트와 도펀트를 함유하고,
상기 호스트는 분자량 4000 이하의 안트라센 유도체이고,
상기 용매는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고리형 케톤 화합물로서 상기 호스트를 0.5 중량% 이상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58400437-PCT00001
상기 식 (1) 에 있어서, A 는 5 원자 ∼ 10 원자의 고리형 탄화수소기 또는 5 원자 ∼ 10 원자의 헤테로 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기이고, 치환기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에 의하면, 다양한 유기 EL 재료를 이용하여, 간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박막 형성이 가능한 도포법에 의해 유기 EL 박막을 성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호스트 재료와 도펀트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유기 EL 소자는, 예를 들어, 정공 주입층/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전자 주입층 등의 각 기능을 갖는 층의 적층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발광층은 호스트 재료와 도펀트 재료로 구성되고, 호스트 재료로부터 도펀트 재료로 에너지 이동 등이 발생되어, 도펀트 재료가 발광 기능을 담당한다.
호스트 재료에 대해 도펀트 재료가 첨가 (도프) 되어 있고, 그 비는 도펀트 재료/호스트 재료는 0.01 ∼ 20 중량% 로 하는 것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호스트 재료는, 예를 들어 30 ㎚ ∼ 100 ㎚ 의 발광층의 대부분 (예를 들어 80 % 이상) 을 구성하는 것이 되므로, 도포법으로 발광층을 성막하려면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에 소정량의 호스트 재료가 용해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발광층은 호스트와 도펀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호스트는 발광층의 대부분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호스트의 용해도가 적으면 발광층을 소정의 막두께로 성막할 수 없다.
이 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광층의 막 대부분을 구성하는 호스트에 대해서는 용해도를 0.5 중량% 이상으로 하므로, 충분한 막두께의 발광층을 도포법에 의해 성막할 수 있다.
또, 호스트로서 사용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유기 EL 재료로서의 성능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이용하고 도포법에 의해 성막된 유기 EL 박막은, 발광 효율, 수명, 색 순도 등의 점에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고리형 케톤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식 (1) 에 있어서 상기 A 가 5 원자 ∼ 10 원자의 고리형 탄화수소기 또는 5 원자 ∼ 10 원자의 함질소 헤테로 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 에 있어서 상기 A 는 5 원자 ∼ 10 원자의 고리형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A 가 5 원자 ∼ 10 원자의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은 고리형 탄화수소기이다.
예를 들어 시클로헥사논 유도체, 시클로펜타논 유도체, 시클로헵타논 유도체, 시클로옥타논 유도체 등의 고리형 알킬케톤류를 들 수 있다. 이들 고리형 케톤은, 단독으로 용매로서 이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특히, 상기 용매는 상기 고리형 케톤으로서 시클로헥사논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시클로헥사논 유도체로서는, 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논, 디메틸시클로헥사논, 트리메틸시클로헥사논, 에틸시클로헥사논, n-프로필시클로헥사논,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사논, n-부틸시클로헥사논, 이소부틸시클로헥사논, 시클로헥실시클로헥사논, 2-아세틸시클로헥사논, 2-메틸시클로헥사논, 3-메틸시클로헥사논, 4-메틸시클로헥사논, 2-시클로헥실시클로헥사논, 2-(1-시클로헥세닐)시클로헥사논, 2,5-디메틸시클로헥사논, 3,4-디메틸시클로헥사논, 3,5-디메틸시클로헥사논, 4-에틸시클로헥사논, 플레곤, 멘톤, 4-펜틸시클로헥사논, 2-프로필시클로헥사논, 3,3,5-트리메틸시클로헥사논, 튜존이다. 그 중에서도, 시클로헥사논이 바람직하다.
시클로펜타논 유도체로서는, 시클로펜타논, 메틸시클로펜타논, 디메틸시클로펜타논, 트리메틸시클로펜타논, 에틸시클로펜타논, n-프로필시클로펜타논, 이소프로필시클로펜타논, n-부틸시클로펜타논, 이소부틸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실시클로펜타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클로펜타논이 바람직하다.
시클로헵타논 유도체로서는, 시클로헵타논, 메틸시클로헵타논, 디메틸시클로헵타논, 트리메틸시클로헵타논, 에틸시클로헵타논, n-프로필시클로헵타논, 이소프로필시클로헵타논, n-부틸시클로헵타논, 이소부틸시클로헵타논, 시클로헥실시클로헵타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클로헵타논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리형 케톤으로서는, 상기 식 (1) 에 있어서 상기 A 가 함질소 고리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카프로락탐, N-메틸카프로락탐,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딘, 2-피롤리돈, 1-아세틸-2-피롤리돈, 1-부틸-2-피롤리돈, 2-피페리돈, 1,5-디메틸-2-피페리돈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리형 케톤 화합물은,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헵타논, N-메틸피롤리돈 (이들 유도체를 함유한다) 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를 검토한 결과, 고리형 케톤 화합물의 유도체가 다른 용매보다 고농도로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용해시키고, 게다가, 용해 가능한 화합물이 좁은 범위에 한정되지 않아, 다종 다양한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사용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고리형 케톤 유도체를 용매로 함으로써 종래의 용매에 대해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었던 고성능의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충분한 양 함유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조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고리형 케톤 유도체를 용매로 함으로써 유기 EL 재료로서 높은 성능을 구비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도포법에 의한 박막 형성에 충분한 고농도로 용해시킬 수 있고, 성능이 높은 유기 EL 재료를 도포법으로 성막하기 위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고리형 케톤 유도체는 고 비등점 (156℃ : 시클로헥사논) 이고, 고 점도 (2cP : 시클로헥사논) 이므로 잉크젯법 등의 도포 프로세스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리형 케톤 유도체는, 점도 조정액으로서의 알코올계 용매, 특히, 디올계 용매와도 양호하게 혼합되므로, 점도 조정에 의해 고점도 용액으로 할 수 있고, 이것은, 용해시키는 것만으로는 점도가 변화되지 않는 저분자 유기 EL 재료의 용매로서도 우수한 이점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호스트는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58400437-PCT00002
상기 식 (2) 중, Ar 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핵탄소수 10 ∼ 50 의 축합 방향족기이다.
Ar' 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핵탄소수 6 ∼ 50 의 방향족기이다.
X1 ∼ X3 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핵탄소수 6 ∼ 50 의 방향족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5 ∼ 50 의 방향족 복소 고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콕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6 ∼ 50 의 아랄킬 (aralkyl) 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5 ∼ 50 의 아릴옥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5 ∼ 50 의 아릴티오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실기이다.
a, b 및 c 는 각각 0 ∼ 4 의 정수이다. a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X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b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X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c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X3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n 은 1 ∼ 3 의 정수이다. m 은 0, 1 의 정수이다. 또, n 이 2 이상인 경우에는, [ ] 내의 하기 식 (3)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화학식 3]
Figure 112009058400437-PCT00003
이와 같이,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비대칭의 특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호스트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화합물은 높은 발광 성능 및 양호하게 긴 수명을 갖는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향상시킨다.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안트라센 화합물 중, 바람직한 것은 상기 식 (2) 중의 n 이 1 인 경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안트라센 화합물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09058400437-PC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09058400437-PC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09058400437-PCT00006
상기 식 중, Ar, Ar', X 는 상기 서술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비대칭 모노안트라센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7]
Figure 112009058400437-PCT00007
상기 식 (4) 중, Ar1 및 A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핵탄소수 6 ∼ 50 의 방향족 고리기이고, m 및 n 은 각각 1 ∼ 4 의 정수이다. 단, m=n=1 이고 또한 Ar1 과 Ar2 의 벤젠 고리로의 결합 위치가 좌우 대칭형인 경우에는, Ar1 과 Ar2 는 동일하지 않고, m 또는 n 이 2 ∼ 4 의 정수인 경우에는 m 과 n 은 상이한 정수이다.
R1 ∼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핵탄소수 6 ∼ 50 의 방향족 고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핵원자수 5 ∼ 50 의 방향족 복소 고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콕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6 ∼ 50 의 아랄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핵원자수 5 ∼ 50 의 아릴옥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핵원자수 5 ∼ 50 의 아릴티오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실릴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이다.
상기 비대칭 안트라센 유도체 중,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8]
Figure 112009058400437-PCT00008
[화학식 9]
Figure 112009058400437-PCT00009
[화학식 10]
Figure 112009058400437-PCT00010
상기 식 중, Ar1, Ar2, n 은 상기 서술과 동일하고, R 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핵탄소수 6 ∼ 50 의 방향족 고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핵원자수 5 ∼ 50 의 방향족 복소 고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시클로알킬기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 대신에, 하기 식 (5) 로 나타내는 나프타센 유도체를 상기 호스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1]
Figure 112009058400437-PCT00011
상기 식 (5) 중, A, B, C, D 는 탄소수 6 ∼ 20 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방향족기, 탄소수 10 ∼ 20 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축합 방향족기이며, A, B, C, D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A, B, C, 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2]
Figure 112009058400437-PCT00012
상기 식 (6) 중, Ar 은 탄소수 6 ∼ 20 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방향족, 탄소수 10 ∼ 20 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축합 방향족기이다. n 은 0 ∼ 4 의 정수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호스트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소정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프타센 골격에 치환기로서 방향족기가 파라 위치에서 접속하면 용해도가 낮아지고, 예를 들어, 하기 화합물에서는 0.1 중량% 이하로 매우 용해도가 작다.
[화학식 13]
Figure 112009058400437-PCT00013
이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나프타센 골격에 치환기로서 상기 식 (6) 의 구조를 취함으로써, 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소정값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유기 EL 재료로서 성능도 높고, 또한, 용해도도 높은 화합물을 선택할 수 있고, 이로써 도포법에 바람직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으로 할 수 있다.
또한, n 이 0 일 때 상기 식 (6) 은 무치환의 페닐기이다. 상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중에 파라 위치에서의 치환기가 2 개 존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결과, n 은 0 이어도 된다. 상기 식 (6) 중, n 은 0 ∼ 2 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하기 식 (7) 로 나타내는 스틸아민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4]
Figure 112009058400437-PCT00014
상기 식 (7) 중, Ar4 ∼ Ar6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스티릴기를 함유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Ar4 는 페닐, 비페닐, 터페닐, 스틸벤, 디스티릴아릴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Ar5 및 Ar6 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6 ∼ 20 인 방향족기이고, p' 는 1 ∼ 4 인 정수이다.
여기에서, 탄소수가 6 ∼ 20 인 방향족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릴기, 터페닐기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 (7) 로 나타내는 스틸아민 유도체 대신에, 하기 식 (8) 로 나타내는 아릴아민의 치환 유도체를 상기 도펀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5]
Figure 112009058400437-PCT00015
상기 식 (8) 중, Ar7 ∼ Ar9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핵탄소수 5 ∼ 40 의 아릴기이다. q' 는 1 ∼ 4 의 정수이다.
여기에서, 핵원자수가 5 ∼ 40 인 아릴기로서는, 페닐, 나프틸, 안트라세닐, 페난트릴, 피레닐, 크리세닐, 콜로닐, 비페닐, 터페닐, 피롤릴, 푸라닐, 티오페닐, 벤조티오페닐, 옥사디아졸릴, 디페닐안트라세닐, 인돌릴, 카르바졸릴, 피리딜, 벤조퀴놀릴, 플루오레닐, 플루오란테닐, 아세나프토플루오란테닐, 스틸벤, 또는, 하기 식 (A), 식 (B) 로 나타내는 기 등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 (A) 에 있어서 r 은 1 ∼ 3 의 정수이다.
[화학식 16]
Figure 112009058400437-PCT00016
[화학식 17]
Figure 112009058400437-PCT00017
또한, 핵원자수가 5 ∼ 40 인 아릴기는 추가로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바람직한 치환기로서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에틸기, 메틸기, 이소프로필기, n-프로필기, s-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펀트는, 하기 식 (9) 로 나타내는 인데노페릴렌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8]
Figure 112009058400437-PCT00018
상기 식 (9) 중, X1 ∼ X6, X9, X10, X11 ∼ X16, X19, X2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티오기, 알케닐기, 알케닐옥시기, 알케닐티오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옥시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티오기, 방향 고리기, 방향족 복소 고리기, 방향 고리 옥시기, 방향 고리 티오기, 방향 고리 알케닐기, 알케닐 방향 고리기, 아미노기, 카르바졸릴기, 시아노기, 수산기, -COOR1'(R1' 는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기 또는 방향 고리기이다), -COR2'(R2' 는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기, 방향 고리기 또는 아미노기이다), 또는 -OCOR3'(R3' 는 알킬기, 알케닐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기 또는 방향 고리기이다 ) 이다. X1 ∼ X6, X9, X10, X11 ∼ X16, X19, X20 의 인접하는 기는, 서로 결합하고, 또는 치환하여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X1 ∼ X6, X9, X10, X11 ∼ X16, X19, X20 중 적어도 1 개는 수소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데노페릴렌 유도체는, 하기 식 (10) 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9]
Figure 112009058400437-PCT00019
상기 식 (10) 중 X1, X4, X11, X14 는 방향 고리기이다.
방향 고리기로서는 페닐기, 오르토비페닐기, 메타비페닐기, 나프틸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오르토비페닐기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은 점도 조정액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 조정액을 혼합함으로써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고, 도포법에 의한 성막에 적합한 점도의 용액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점도의 조정에는, 점도를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점도를 낮게 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은, 상기 서술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유기 EL 재료를 성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은, 상기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잉크젯법에 의해 토출하는 토출 공정과, 토출된 상기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으로부터 상기 용매를 휘발시켜 상기 유기 EL 재료를 막화 (膜化) 시키는 막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발광 효율, 수명, 색 순도 등의 점에서 매우 우수한 저분자 유기 EL 재료를, 간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박막 형성이 가능한 도포법에 의해 성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상기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유기 EL 박막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은,
제 1 발광색을 발광하는 제 1 화소 및 제 1 발광색과는 상이한 제 2 발광색을 발광하는 제 2 화소를 갖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를 함유하고 상기 제 1 화소의 발광층을 성막하기 위한 제 1 용액을 생성하는 제 1 용액 조정 공정과,
상기 나프타센 유도체를 함유하고 상기 제 2 화소의 발광층을 성막하기 위한 제 2 용액을 생성하는 제 2 용액 조정 공정을 갖고,
상기 제 1 용액과 상기 제 2 용액의 용매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제 1 발광색의 화소와 제 2 발광색의 화소를 나누어 도포할 때, 안트라센 유도체와 나프타센 유도체의 양자를 용해시키는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용매를 공통화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풀 컬러 디스플레이의 제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용매가 상이하면, 상이한 용매를 이용하여 복수의 용액을 조정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용액의 성질 (점도, 비점 등) 차이로부터 성막 프로세스를 개별적으로 관리·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막두께의 조정이나 용매의 증발 시간이 상이해진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용매를 공통화시켜 풀 컬러 디스플레이를 간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도포 프로세스에 의한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의 잉크젯을 사용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핀 코트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바 코트법, 롤 코트법, 와이어 코트법, 딥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등의 도포법을 이용할 수 있다. 패턴 형성이나 다색의 분별 도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스크린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프린트법 등의 인쇄법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은, 유기 EL 재료가 용매에 용해된 것이다.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은 호스트와 도펀트를 함유한다.
호스트는,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분자량 4000 이하의 안트라센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WO2004-18587 에 있어서 AN1 ∼ AN60 으로서 열거되어 있는 이하의 것을 예로서 들 수 있다.
[화학식 20]
Figure 112009058400437-PCT00020
[화학식 21]
Figure 112009058400437-PCT00021
[화학식 22]
Figure 112009058400437-PCT00022
[화학식 23]
Figure 112009058400437-PCT00023
[화학식 24]
Figure 112009058400437-PCT00024
[화학식 25]
Figure 112009058400437-PCT00025
또한, 안트라센 유도체는, 상기 식 (4) 로 나타내는 비대칭 모노안트라센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WO2005/054162 에 있어서 AN-1 ∼ AN-421 로서 열거되어 있는 이하의 것을 예로서 들 수 있다.
[화학식 26]
Figure 112009058400437-PCT00026
[화학식 27]
Figure 112009058400437-PCT00027
[화학식 28]
Figure 112009058400437-PCT00028
[화학식 29]
Figure 112009058400437-PCT00029
[화학식 30]
Figure 112009058400437-PCT00030
[화학식 31]
Figure 112009058400437-PCT00031
[화학식 32]
Figure 112009058400437-PCT00032
[화학식 33]
Figure 112009058400437-PCT00033
[화학식 34]
Figure 112009058400437-PCT00034
[화학식 35]
Figure 112009058400437-PCT00035
[화학식 36]
Figure 112009058400437-PCT00036
[화학식 37]
Figure 112009058400437-PCT00037
[화학식 38]
Figure 112009058400437-PCT00038
[화학식 39]
Figure 112009058400437-PCT00039
[화학식 40]
Figure 112009058400437-PCT00040
[화학식 41]
Figure 112009058400437-PCT00041
[화학식 42]
Figure 112009058400437-PCT00042
[화학식 43]
Figure 112009058400437-PCT00043
[화학식 44]
Figure 112009058400437-PCT00044
[화학식 45]
Figure 112009058400437-PCT00045
[화학식 46]
Figure 112009058400437-PCT00046
[화학식 47]
Figure 112009058400437-PCT00047
[화학식 48]
Figure 112009058400437-PCT00048
[화학식 49]
Figure 112009058400437-PCT00049
[화학식 50]
Figure 112009058400437-PCT00050
[화학식 51]
[화학식 52]
Figure 112009058400437-PCT00052
[화학식 53]
Figure 112009058400437-PCT00053
[화학식 54]
Figure 112009058400437-PCT00054
[화학식 55]
Figure 112009058400437-PCT00055
호스트로서, 안트라센 유도체 대신에, 상기 식 (5) 로 나타내는 나프타센 유도체를 호스트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56]
Figure 112009058400437-PCT00056
상기 안트라센 호스트 (상기 식 (2), 식 (4)) 에 조합되는 도펀트로서는, 상기 식 (7) 로 나타내는 스티릴아민 유도체, 상기 식 (8) 로 나타내는 아릴아민의 치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것을 예로서 들 수 있다.
[화학식 57]
Figure 112009058400437-PCT00057
[화학식 58]
Figure 112009058400437-PCT00058
[화학식 59]
Figure 112009058400437-PCT00059
[화학식 60]
Figure 112009058400437-PCT00060
[화학식 61]
Figure 112009058400437-PCT00061
[화학식 62]
Figure 112009058400437-PCT00062
[화학식 63]
Figure 112009058400437-PCT00063
[화학식 64]
Figure 112009058400437-PCT00064
[화학식 65]
Figure 112009058400437-PCT00065
[화학식 66]
Figure 112009058400437-PCT00066
[화학식 67]
Figure 112009058400437-PCT00067
[화학식 68]
Figure 112009058400437-PCT00068
또한, 나프타센 호스트 (상기 식 (5)) 와 조합되는 도펀트로서는 상기 식 (9) 의 것을 들 수 있고, 또한, 상기 식 (10) 의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는 호스트를 0.5 중량% 이상 용해시킨다.
용매는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고리형 케톤이다.
고리형 케톤으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헥사논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은 점도 조정액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 조정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코올계 용액, 케톤계 용액, 파라핀계 용액 및 알킬 치환 방향족계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코올계 용액, 알킬 치환 방향족계 용액이다.
알코올계 용액으로서는, 메탄올이나 에탄올, 프로판올, n-부탄올, s-부탄올, 2-메틸-1-부탄올, 2-메틸-2-부탄올, 3-메틸-2-부탄올, t-부탄올, n-펜탄올, 4-메틸-2-펜탄올, 3-메틸-1-펜틴-3-올, n-헥산올, 2-에틸헥산올, 3,5-디메틸-1-헥실-3-올, n-헵탄올, 3,3,5-트리메틸헥산올, 3-헵탄올, n-옥탄올, 2-옥탄올, n-노난올, n-데칸올, 메틸시클로헥산올, 시클로헥산올,
Figure 112009058400437-PCT00069
-터피네올, 네오펜틸알코올, 글리시돌,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벤질알코올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직쇄, 분기 구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알킬 치환 방향족계 용액으로서는 직쇄 또는 분기의 부틸벤젠, 도데실벤젠, 테트랄린, 시클로헥실벤젠, 디시클로헥실벤젠, 1,1-비스(3,4-디메틸페닐)에탄, 3-메틸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점도 조정액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에 대해 설명한다.
(용해도 평가 1)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안트라센 화합물 1 ∼ 14 를 30㎎ 칭량하여 샘플병에 넣고 교반하면서 각종 용매 1 g 을 적하시켰다. 육안으로, 화합물이 적하된 용매에 용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을 경우를 A, 완전하게 용해되지 않고 용해 잔여물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를 C 로 한다. 평가의 결과를 이하의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다.
[화학식 69]
Figure 112009058400437-PCT00070
Figure 112009058400437-PCT00071
[화학식 70]
Figure 112009058400437-PCT00072
Figure 112009058400437-PCT00073
표 1 및 표 2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시클로헥사논 및 NMP (N-메틸피롤리돈) 는 화합물 11 ∼ 13 을 제외하는 넓은 범위의 안트라센 화합물에 대해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내고, 용액의 보존 안정성도 양호하였다 (1 주일 후에도 고체의 석출은 관찰되지 않았다).
(용해도 평가 2)
다음으로, 안트라센 화합물 대신에 나프타센 화합물 15, 16 을 이용하여 동일한 용해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용해도 평가 1 과 동일하게, 육안으로, 화합물이 적하된 용매에 용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을 경우를 A, 완전하게 용해되지 않고 용해 잔여물을 확인할 수 있었을 경우를 C 로 한다. 또, 용해 후 수 시간 후에 석출이 보였던 것을 B 로 한다. 평가의 결과를 이하의 표 3 에 나타낸다.
[화학식 71]
Figure 112009058400437-PCT00074
Figure 112009058400437-PCT00075
표 3 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화합물은 모두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헵타논, 및 NMP (N-메틸피롤리돈) 에 대해 양호한 용해성을 나타냈다.
이상, 상기 용해도 평가 1 및 2 로부터, 시클로헥사논은 안트라센 유도체 및
나프타센 유도체를 함께 양호하게 용해시키는 것을 나타냈다.
[잉크 조정예 1]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으로서의 잉크를 조정한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점도 조정액을 혼합하여 소정의 점도로 조정한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증점제 (점도 조정액) 로서 1,2-부탄디올을 이용하여, 상기 화합물 1 ∼ 10, 15, 16 을 0.5 중량% 녹인 잉크를 조정하였다. 용매 조성은 시클로헥사논/1,2-부탄디올 (중량비 : 시클로헥사논/1,2-부탄디올=75/25) 로 하였다. 그 결과, 모든 화합물에 용해되고 22℃ 에서의 용액 점도는 3.4 ∼ 3.5cP 이었다.
(비교예 1)
상기의 실시예 1 의 용매 조성의 시클로헥사논/1,2-부탄디올 (중량비 : 시클로헥사논/1,2-부탄디올=75/25) 대신에 톨루엔/1,2-부탄디올 (중량비 : 톨루엔/1,2-부탄디올=75/25) 로 혼합하였는데, 용매가 서로 용해되지 않고 상(相) 분리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톨루엔과 같은 방향족계 용매는 증점제로서 사용하는 알코올 용매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 분리되어, 증점제 (예를 들어 알코올 용액) 를 첨가했을 경우에도 충분한 잉크의 증점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 점에서, 시클로헥사논 (22℃ 에서의 용액 점도 : 2cP) 을 주용매로 사용함으로써 디올과 같은 극성 용매와의 상용성도 높아, 잉크의 점도를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점도 조정액 (예를 들어 알코올) 과의 상용성이 높은 고리형 케톤 화합물 (예를 들어 시클로헥사논) 은, 점도 조정이 필요한 관점에서 저분자 유기 EL 재료의 용매로서 매우 우수한 것이 나타났다.
[유기 EL 소자의 평가]
(실시예 2)
25 ㎜×75 ㎜×1.1 ㎜ 두께의 ITO 투명 전극이 부착된 유리 기판 (지오마틱사 제조) 을, 이소프로필알코올 중에서 5 분간 초음파 세정한 후, UV (자외선) 오존 세정을 30 분간 실시하였다.
세정 후의 투명 전극이 부착된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 장치의 기판 홀더에 장착하고, 먼저 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쪽의 면 상에, 투명 전극을 덮도록 하여 막두께 60 ㎚ 의 화합물 H1 을 성막하고, 정공 주입층으로 하였다.
이 정공 주입층 상에 막두께 20 ㎚ 의 하기 화합물 TBDB 를 성막하였다. 이 막은 정공 수송층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막두께 40 ㎚ 의 화합물 4 를 증착하여 성막하였다. 동시에 발광 분자로서 하기의 스티릴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D1 을, 화합물 4 와 D1 의 중량비가 40 : 2 가 되도록 증착하였다. 이 막은 발광층으로서 기능한다.
이 막 상에 막두께 10 ㎚ 의 하기 Alq 를 성막하였다. 이것은 전자 주입 층으로서 기능한다.
이 후, 환원성 도펀트인 Li (Li 원 : 사에스게터사 제조) 와 Alq 를 이원 증착시키고, 전자 주입층 (음극) 으로서 Alq : Li 막 (막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이 Alq : Li 막 상에 금속 Al 를 증착시키고 금속 음극을 형성하여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였다.
또한, 얻어진 유기 EL 소자에 대해, 발광 효율과 초기 휘도 5000 cd/㎡, 실온, DC 정전류 구동에서의 발광의 반감 수명을 측정하였다.
[화학식 72]
Figure 112009058400437-PCT00076
(비교예 2)
상기의 실시예 2 에 있어서, 화합물 4 대신에 화합물 1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의 실시예 2 에 있어서, 화합물 4 대신에 화합물 14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였다.
이들 비교예에 대해서도,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발광 효율과 반감 수명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58400437-PCT00077
이상의 결과에 있어서, 표 4 로부터 화합물 4 는 톨루엔에는 용해되지 않았지만 시클로헥사논에 의하면 용해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 톨루엔 등에 용해되지 않았던 화합물에 발광 성능이 높은 재료가 존재한다.
그리고, 시클로헥사논에 의하면, 종래 톨루엔 등에 용해되지 않았던 성능이 높은 재료를 용해시킴으로써, 도포 프로세스에 의해 발광 성능이 높은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소자 제조예]
다음으로, 도포 성막에 의한 유기 EL 소자의 제조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3)
25 ㎜×75 ㎜×1.1 ㎜ 두께의 ITO 투명 전극이 부착된 유리 기판 (지오마틱사 제조) 을, 이소프로필알코올 중에서 5 분간 초음파 세정시킨 후, UV 오존 세정을 30 분간 실시하였다.
세정 후의 투명 전극이 부착된 유리 기판에, 스핀 코트법으로 정공 주입층에 사용하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 (PEDOT·PSS) 을 50 ㎚ 의 막두께로 성막하였다.
이어서, 하기 폴리머 1 (Mw : 145000) 의 톨루엔 용액 (0.6 중량%) 을 스핀코트법으로 20 ㎚ 의 막두께로 성막하고, 170 ℃ 에서 30 분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화합물 4 : 화합물 BD-1 (화합물 4 : BD-1=20 : 1 (중량비)) 의 1 중량% 시클로헥사논 용액을 사용하여 발광층을 스핀 코트법으로 성막하였다. 이 때의 막두께는 50 ㎚ 였다.
이 막 상에 막두께 10 ㎚ 의 트리스(8-퀴놀리놀)알루미늄막 (이하, 「Alq 막」이라고 약기한다) 을 성막하였다. 이 Alq 막은 전자 수송층으로서 기능한다.
그 위에, 전자 주입층으로서 불화 리튬을 1 ㎚ 의 막두께로 성막하였다. 마지막에 알루미늄을 막두께 200 ㎚ 로 성막하고, 음극을 형성하였다.
이 소자는 청색 발광하고, 발광면은 균일하였다.
이 때의 발광 효율 5.6 cd/A 이고, 초기 휘도 1000 cd/㎡ 일 때의 휘도 반감 시간은 3500 시간이었다.
[화학식 73]
Figure 112009058400437-PCT00078
[잉크 조정예 2]
(실시예 4)
유기 EL 재료 용액으로서의 잉크를 조제한 예를 하기 표 5 에 나타낸다. 상기 잉크 1 ∼ 24 는 농도 (호스트와 도펀트의 총량/용매량) 를 1 중량% 가 되도록 조제하였다. 또, 도펀트로서는 상기 BD-1, 하기 RD-1, EM144, EM145, EM151, EM131 , EM195, EM196 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모두 육안으로 보았을 때 용해 잔여물 성분이 없이 균일한 용액이 얻어졌다.
Figure 112009058400437-PCT00079
[화학식 74]
Figure 112009058400437-PCT00080
본 발명은, 성능이 높은 유기 EL 재료를 도포법으로 성막하기 위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유기 EL 재료와 용매를 함유하는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으로서,
    상기 유기 EL 재료는 적어도 호스트와 도펀트를 함유하고,
    상기 호스트는 분자량 4000 이하의 안트라센 유도체이고,
    상기 용매는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고리형 케톤 화합물로서 상기 호스트를 0.5 중량% 이상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화학식 1]
    Figure 112009058400437-PCT00081
    (또한, 상기 식 (1) 에 있어서, A 는 5 원자 ∼ 10 원자의 고리형 탄화수소기 또는 5 원자 ∼ 10 원자의 헤테로 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기이고, 치환기를 가져도 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 (1) 에 있어서 상기 A 는 5 원자 ∼ 10 원자의 고리형 탄화수소기 또는 5 원자 ∼ 10 원자의 함질소 헤테로 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화학식 2]
    Figure 112009058400437-PCT00082
    (상기 식 (2) 중, Ar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핵탄소수 10 ∼ 50 의 축합 방향족기이다.
    Ar'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핵탄소수 6 ∼ 50 의 방향족기이다.
    X1 ∼ X3 은 치환 또는 무치환의 핵탄소수 6 ∼ 50 의 방향족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5 ∼ 50 의 방향족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6 ∼ 50 의 아랄킬 (aralkyl) 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5 ∼ 50 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5 ∼ 50 의 아릴티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실기이다.
    a, b 및 c 는 각각 0 ∼ 4 의 정수이다. a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X1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b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X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c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X3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n 은 1 ∼ 3 의 정수이다. m 은 0, 1 의 정수이다. 또, n 이 2 이상인 경우에는, [ ] 내의
    [화학식 3]
    Figure 112009058400437-PCT00083
    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식 (4) 로 나타내는 비대칭 모노 안트라센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화학식 4]
    Figure 112009058400437-PCT00084
    (상기 식 (4) 중, Ar1 및 A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무치환의 핵탄 소수 6 ∼ 50 의 방향족 고리기이고, m 및 n 은 각각 1 ∼ 4 의 정수이다. 단, m=n=1 이고 또한 Ar1 과 Ar2 의 벤젠 고리로의 결합 위치가 좌우 대칭형인 경우에는, Ar1 과 Ar2 는 동일하지 않고, m 또는 n 이 2 ∼ 4 의 정수인 경우에는 m 과 n 은 상이한 정수이다.
    R1 ∼ R1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무치환의 핵탄소수 6 ∼ 50 의 방향족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핵원자수 5 ∼ 50 의 방향족 복소 고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6 ∼ 50 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핵원자수 5 ∼ 50 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핵원자수 5 ∼ 50 의 아릴티오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탄소수 1 ∼ 50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실릴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이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 대신에, 하기 식 (5) 로 나타내는 나프타센 유도체를 상기 호스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화학식 5]
    Figure 112009058400437-PCT00085
    (상기 식 (5) 중, A, B, C, D 는 탄소수 6 ∼ 20 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방향족기, 탄소수 10 ∼ 20 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축합 방향족기이며, A, B, C, D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 (5) 에 있어서 A, B, C, 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화학식 6]
    Figure 112009058400437-PCT00086
    (상기 식 (6) 중 Ar 은 탄소수 6 ∼ 20 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방향족, 탄소수 10 ∼ 20 의 치환 또는 무치환의 축합 방향족기이다. n 은 0 ∼ 4 의 정수이다)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하기 식 (7) 로 나타내는 스티릴아민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화학식 7]
    Figure 112009058400437-PCT00087
    (상기 식 (7) 중, Ar4 내지 Ar6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스티릴기이다. p' 는 1 ∼ 4 의 정수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 (7) 로 나타내는 스틸아민 유도체 대신에, 하기 식 (8) 로 나타내는 아릴아민의 치환 유도체를 상기 도펀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화학식 8]
    Figure 112009058400437-PCT00088
    (상기 식 (8) 중, Ar7 ∼ Ar9 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핵탄소수 5 ∼ 40 의 아릴기이다.
    q' 는 1 ∼ 4 의 정수이다)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하기 식 (9) 로 나타내는 인데노페릴렌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화학식 9]
    Figure 112009058400437-PCT00089
    (상기 식 (9) 중, X1 ∼ X6, X9, X10, X11 ∼ X16, X19, X20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알킬기, 알콕시기, 알킬티오기, 알케닐기, 알케닐옥시기, 알케닐티오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옥시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티오기, 방향 고리기, 방향족 복소 고리기, 방향 고리 옥시기, 방향 고리 티오기, 방향 고리 알케닐기, 알케닐 방향 고리기, 아미노기, 카르바졸릴기, 시아노기, 수산기, -COOR1'(R1' 는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기 또는 방향 고리기이다), -COR2' (R2' 는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기, 방향 고리기 또는 아미노기이다), 또는 -OCOR3' (R3' 는 알킬기, 알케닐기, 방향 고리 함유 알킬기 또는 방향 고리기이다) 이다. X1 ∼ X6, X9, X10, X11 ∼ X16, X19, X20 의 인접하는 기는, 서로 결합하고, 또는 치환하여 있는 탄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X1 ∼ X6, X9, X10, X11 ∼ X16, X19, X20 중 적어도 하나는 수 소가 아니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데노페릴렌 유도체는, 하기 식 (10) 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화학식 10]
    Figure 112009058400437-PCT00090
    (상기 식 (10) 중, X1, X4, X11, X14 는 방향 고리기이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도 조정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유기 EL 재료를 성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잉크젯법에 의해 토출하는 토출 공정과,
    토출된 상기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으로부터 상기 용매를 휘발시켜 상기 유기 EL 재료를 막화 (膜化) 시키는 막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기재된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유기 EL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15. 제 1 발광색을 발광하는 제 1 화소 및 상기 제 1 발광색과는 상이한 제 2 발광색을 발광하는 제 2 화소를 갖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의 발광층을 성막하기 위한 제 1 용액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생성하는 제 1 용액 조정 공정과,
    상기 제 2 화소의 발광층을 성막하기 위한 제 2 용액으로서,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기재된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을 생성하는 제 2 용액 조정 공정을 갖고,
    상기 제 1 용액과 상기 제 2 용액의 용매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KR1020097019869A 2007-02-28 2008-02-27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 유기 el 박막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KR201000145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0859 2007-02-28
JPJP-P-2007-050859 2007-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545A true KR20100014545A (ko) 2010-02-10

Family

ID=3972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869A KR20100014545A (ko) 2007-02-28 2008-02-27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 유기 el 박막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90691B2 (ko)
EP (1) EP2117061B9 (ko)
JP (1) JP5320282B2 (ko)
KR (1) KR20100014545A (ko)
TW (1) TWI462989B (ko)
WO (1) WO2008105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318B2 (ja) * 2007-03-27 2012-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
JP2008294401A (ja) * 2007-04-25 2008-12-04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1554751B1 (ko) * 2007-06-01 2015-09-2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녹색 발광 재료
CN101910147B (zh) 2007-12-28 2014-02-19 出光兴产株式会社 芳胺衍生物及使用该芳胺衍生物的有机电致发光元件
JP5745278B2 (ja) * 2008-03-06 2015-07-08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有機半導体配合物
JPWO2010032447A1 (ja) * 2008-09-19 2012-02-09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材料組成物、薄膜形成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8531100B2 (en) 2008-12-22 2013-09-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euterated compounds for luminescent applications
US8174000B2 (en) 2009-02-11 2012-05-0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Liquid compositions for inkjet printing of organic layers or other uses
CN102369256B (zh) * 2009-02-27 2015-02-25 E.I.内穆尔杜邦公司 用于电子应用的氘代化合物
JP2010209143A (ja) * 2009-03-06 2010-09-24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有機el照明
JP2010209144A (ja) * 2009-03-06 2010-09-24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材料、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有機el照明
JP2010209248A (ja) * 2009-03-11 2010-09-24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有機el照明
KR101180531B1 (ko) 2009-04-24 2012-09-06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EP2441750A4 (en) 2009-12-16 2012-12-12 Idemitsu Kosan Co AROMATIC AM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THEREWITH
JP5987149B2 (ja) * 2012-02-24 2016-09-07 学校法人 中央大学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KR102031678B1 (ko) 2014-09-19 2019-10-14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신규의 화합물
KR20230117645A (ko) 2017-04-26 2023-08-08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표면의 코팅을 패턴화하는 방법 및 패턴화된 코팅을포함하는 장치
US11751415B2 (en) 2018-02-02 2023-09-05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JP7325731B2 (ja) 2018-08-23 2023-08-15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6585814B1 (ja) * 2018-12-28 2019-10-02 住友化学株式会社 発光素子用組成物及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210149058A (ko) 2019-03-07 2021-12-08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핵생성 억제 코팅물 형성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JP2021077783A (ja) 2019-11-11 2021-05-20 株式会社Joled 機能層形成用インクおよび自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230116914A (ko) 2020-12-07 2023-08-04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핵 생성 억제 코팅 및 하부 금속 코팅을 사용한 전도성 증착 층의 패턴화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436B2 (ja) * 1996-06-19 2000-04-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有機el表示体の製造方法
JP4024009B2 (ja) 2000-04-21 2007-12-19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JP4040249B2 (ja) 2000-11-16 2008-0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発光素子
JP4724944B2 (ja) 2001-04-10 2011-07-13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発光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高分子発光素子
JP2003229256A (ja) 2002-02-04 2003-08-15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の製造方法及び有機el装置用インク組成物
JP4299028B2 (ja) * 2002-03-11 2009-07-22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US7049011B2 (en) * 2002-03-14 2006-05-23 Tdk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04018587A1 (ja) * 2002-08-23 2004-03-04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アントラセン誘導体
JP2004119351A (ja) 2002-09-30 2004-04-15 Dainippon Screen Mfg Co Ltd 有機el塗布装置
JP4152173B2 (ja) * 2002-11-18 2008-09-17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7056601B2 (en) 2003-10-24 2006-06-06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with asymmetric host
JP2006100756A (ja) 2003-11-07 2006-04-13 Sony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表示装置
ES2615503T3 (es) 2003-12-01 2017-06-07 Erich R. Vogl Procedimiento para fabricar techos suspendidos de placas de cartón yeso
US8568902B2 (en) * 2003-12-01 2013-10-29 Idemitsu Kosan Co., Ltd. Asymmetric monoanthracene derivative,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tilizing the same
JP2005216757A (ja) * 2004-01-30 2005-08-11 Tdk Corp 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76699A (ja) 2004-12-24 2006-07-06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材料及び有機el用薄膜形成溶液
JPWO2006070712A1 (ja) * 2004-12-28 2008-06-12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発光性インク組成物
JP2006190759A (ja) 2005-01-05 2006-07-20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7061B1 (en) 2017-05-24
EP2117061A1 (en) 2009-11-11
TWI462989B (zh) 2014-12-01
JPWO2008105472A1 (ja) 2010-06-03
WO2008105472A1 (ja) 2008-09-04
US20100117028A1 (en) 2010-05-13
TW200904939A (en) 2009-02-01
EP2117061A4 (en) 2010-08-11
US9290691B2 (en) 2016-03-22
JP5320282B2 (ja) 2013-10-23
EP2117061B9 (en)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0282B2 (ja) 有機el材料含有溶液、有機el薄膜形成方法、有機el薄膜を含む有機el素子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製造方法
KR20100014569A (ko) 유기 el 재료 함유 용액, 유기 el 박막 형성 방법 및 유기 el 소자
JP5163837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JP5825846B2 (ja) 新規縮合多環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TWI729074B (zh) 有機電致發光裝置用的材料
KR20140010133A (ko) 유기 화합물, 전하 수송 재료, 그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CN103881068A (zh) 聚合物以及有机发光器件
CN1394835B (zh) 苝衍生物的合成方法、苝衍生物以及有机电致发光元件
CN109734928B (zh) 一种空间电荷转移树枝状荧光材料及其制备方法、有机电致发光器件
KR20080061370A (ko) 탄화수소 화합물, 전하 수송 재료, 전하 수송 재료 조성물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12430239A (zh) 基于七元环结构的化合物、高聚物、混合物、组合物及有机电子器件
CN105339365A (zh) 新型化合物和使用其的有机电致发光元件
CN112341466A (zh) 一种有机化合物及使用该化合物的有机发光器件
JP5617202B2 (ja) 有機化合物、電荷輸送材料、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有機el照明
CN113816860B (zh) 有机化合物、混合物、组合物及有机电子器件
CN114341136B (zh) 一种有机化合物及有机电子器件
CN114736180A (zh) 芳胺类有机化合物及其用途
KR20140080649A (ko) 신규한 유기 전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14716437B (zh) 有机化合物、混合物、组合物及有机电子器件
CN114656463B (zh) 有机化合物、混合物、组合物及有机电子器件
CN114075225B (zh) 含硼有机化合物及其用途
JP5644147B2 (ja) 有機化合物、有機電界発光素子材料、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照明
CN116178323A (zh) 芳胺类有机化合物、混合物、组合物及有机电子器件
CN115894449A (zh) 一种螺环有机化合物及其在有机光电器件中的应用
KR20240016268A (ko) 방향족 화합물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28

Effective date: 20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