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834A - 지엽류 분리 기구 - Google Patents

지엽류 분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834A
KR20100012834A KR1020090068610A KR20090068610A KR20100012834A KR 20100012834 A KR20100012834 A KR 20100012834A KR 1020090068610 A KR1020090068610 A KR 1020090068610A KR 20090068610 A KR20090068610 A KR 20090068610A KR 20100012834 A KR20100012834 A KR 20100012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roller
paper sheet
rollers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931B1 (ko
Inventor
도시후미 미쯔야마
리이찌 가또오
신지 시바따
마사노리 데라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수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엽류 분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주측 일부에 고마찰이 되는 송출부(11b)를 갖고,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송출 롤러(11)와,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11)에 대하여 차례로 끼워 넣어지도록(nested state) 배치되고, 반송 방향으로 회전 불능한 복수의 저항 롤러(12)와, 전단(前段)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송출 롤러(11)에 대하여 반송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조출 롤러(13)를 구비한 지엽류 분리 기구에 있어서, 복수의 조출 롤러(13) 각각은 지엽류(P)의 선단을 오버랩부(OV)까지 조출하는 제1 조출부(13b)와, 송출 롤러(11)의 송출부(11b)와 동일 위상으로 설치되어 지엽류(P)를 오버랩부(OV)에 삽입하도록 조출하는 제2 조출부(13c)를 갖고, 축 방향 양 외측의 조출 롤러(13)는 축 방향 양 외측의 상기 송출 롤러(11)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저항 롤러(12)에 대하여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도록 배치한다.
조출부, 송출 롤러, 저항 롤러, 지엽류, 반송

Description

지엽류 분리 기구 {PAPER SHEETS SEPARATING MECHANISM}
본 발명은 지폐 등의 지엽류를 취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적된 지엽류를 1매씩 분리하여 반송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금융 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집적된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반송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를 갖고 있다. 지엽류 분리 기구는, 예를 들어 외주측 일부에 고마찰이 되는 송출부를 갖고,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송출 롤러와, 이들 복수의 송출 롤러에 대하여 차례로 끼워 넣어지도록 배치되고, 반송 방향으로 회전 불능한 복수의 저항 롤러와, 복수의 송출 롤러 및 복수의 저항 롤러의 전단측에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송출 롤러에 대하여 반송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조출 롤러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집적된 지폐의 최상위에 있는 지폐를 조출 롤러가 조출하여, 송출 롤러와 저항 롤러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예를 들어 어떠한 이유로 2매의 지폐가 동시에 조출되어 송출 롤러와 저항 롤러 사이에 삽입되어도, 그들 2매의 지폐의 선단이 맞추어진 상태(혹은, 송출 롤러측의 1매째의 지폐의 선단이 저항 롤러측의 2매째의 지폐의 선단보다 먼저 삽입된 상태)이면, 저항 롤러가 반송 방향으로 회전 불 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송출 롤러측의 1매째의 지폐만이 송출 롤러와 분리형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외국 지폐에 있어서는, 일본 지폐보다도 금종의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금종에 따라 사이즈(장변 길이나 단변 길이)가 크게 상이하다. 그리고, 사이즈가 다른 지폐를 동일기로 취급할 경우에는 집적된 지폐의 선단 위치가 불일치 상태로 되어, 2매 이상의 지폐를 같이 반송해 버릴 가능성이 발생한다. 또한, 사이즈가 작은 지폐의 선단이 비스듬한(skew) 상태로 되어 지폐를 비스듬한 상태 그대로 반송해 버릴 가능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 지엽류의 선단을 소정 위치로 조출하여 정렬하는 1단계째의 조출 수단(예비 이송 수단)과, 이 소정 위치로 조출된 지엽류의 선단을 송출 롤러와 저항 롤러 사이에 삽입되도록 조출하는 2단계째의 조출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 제창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참조). 특허 문헌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3개의 조출 롤러 각각이 2단계째의 조출 수단으로서의 고무부를 갖고, 그들 조출 롤러 중 축 방향 중앙의 조출 롤러만이 1단계째의 조출 수단으로서의 예비 이송 부재를 갖고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10719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축 방향 중앙의 조출 롤러만이 1단계째의 조출 수단으로서의 예비 이송 부재를 갖고 있어, 즉 예비 이송 부재가 1개밖에 없다. 그로 인해, 지엽류 수정 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지는 1단계째의 조출력의 분포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축 방향 양 외측의 조출 롤러에도 예비 이송 부재를 설치하여 대응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축 방향 양 외측의 조출 롤러는 지엽류의 돌입 저항이 되는 송출 롤러보다 축 방향 외측(바꿔 말하면, 지엽류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1단계째의 조출 시에 지엽류의 폭 방향 외측을 밀어내어 폭 방향 중앙측을 되돌리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오히려 지엽류를 비스듬하게 만들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엽류 수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엽류 분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측 일부에 고마찰이 되는 송출부를 갖고,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송출 롤러와,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에 대하여 차례로 끼워 넣어지도록 배치되고, 반송 방향으로 회전 불능한 복수의 저항 롤러와,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저항 롤러에 대하여 전단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에 대하여 반송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조출 롤러를 구비하고, 집적된 지엽류를 1매씩 분리하여 반송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출 롤러 각각은, 집적된 지엽류로부터 분리되도록 지엽류를 소정 위치로 조출하는 제1 조출부와, 상기 송출 롤러의 송출부와 동일 위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조출부에 의해 소정 위치로 조출된 지엽류를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와 상기 복수의 저항 롤러 사이에 삽입되도록 조출하는 제2 조출부를 갖고, 축 방향 양 외측의 상기 조출 롤러는 축 방향 양 외측의 상기 송출 롤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저항 롤러에 대하여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조출 롤러 각각이 제1 조출부를 갖고 있어, 즉 복수의 제1 조출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조출부를 1개만 갖는 경우와는 달리, 1단계째의 조출력을 지엽류의 폭 방향으로 분포시킬 수 있어, 지엽류 수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조출부를 갖는 축 방향 양 외측의 조출 롤러는 축 방향 양 외측의 송출 롤러보다 내측(바꿔 말하면, 지엽류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비스듬한 상태의 지엽류를 조출하는 1단계째의 조출 시에 지엽류의 폭 방향 외측을 되돌리고 폭 방향 중앙측을 밀어내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지엽류의 비스듬한 상태를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엽류 수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엽류 수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인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 도 1에 있어서,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이용자가 지폐를 입출금하는 입출금구(101)와, 입금 지폐를 거래 성립까지 동안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일시 보류 고(102)와, 입금 지폐를 수납하거나 출금 지폐를 방출하거나 하는 금종별 환류고(103)와, 환류고(103)에 대하여 지폐를 장전하거나 회수하거나 하는 장전 회수고(104)와, 지폐의 진위 판정이나 금종 판정 등을 행하는 지폐 감별기(105)와, 이 지폐 감별기(105)에 의해 출금 지폐로서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지폐를 수납하는 입금고(10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입출금구(101), 환류고(103) 및 장전 회수고(104)에는 지엽류 분리 기구가 각각 탑재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다.
이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지엽류 분리 기구는, 집적된 지엽류(도 2에서 상측으로부터 순서대로 P1, P2, …, 이들을 총칭하여 P라고 한다)를 1매씩 분리하여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이 지엽류 반송 장치는, 예를 들어 6개의 송출 롤러(피드 롤러)(11)와, 이들 송출 롤러(11)에 대하여 차례로 끼워 넣어지도록 배치된, 예를 들어 4개 저항 롤러(게이트 롤러)(12)와, 송출 롤러(11) 및 저항 롤러(12)의 전단측(도 2 및 도 3에서 좌측)에 배치된, 예를 들어 2개의 조출 롤러(픽업 롤러)(13)와, 집적된 지엽류(P)를 밀어 올리는 누름판(14)과, 지엽류(P)의 집적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경로 폭 방향 양측(도 3에서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측판(15)을 구비하고 있다.
송출 롤러(11)는 마찰 계수가 충분히 낮은 금속이나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스부(11a)와, 외주측 일부에 설치되고 마찰 계수가 큰 고무 등으로 형성된 송출부(11b)를 갖고 있다. 송출 롤러(11)는 회전축(16)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엽류(P)의 반송 방향(즉, 도 2에서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저항 롤러(12) 및 송출 롤러(11)는 차례로 끼워 넣어지도록[상세하게는, 일정량(δ)만큼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지엽류(P)의 돌입 저항이 되는 오버랩부(OV)를 형성하고 있다. 저항 롤러(12)는 회전축(17)에 장착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원웨이 클러치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지엽류(P)의 반송 방향(즉, 도 2에서 우측 방향)으로 회전 불능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2매 이상의 지엽류(P)가 동시에 오버랩부(OV)를 통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조출 롤러(13)는 마찰 계수가 충분히 낮은 금속이나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스부(13a)와, 외주측 일부에 설치되고 마찰 계수가 큰 고무 등으로 형성된 제1 조출부(예비 이송부)(13b)와, 외주측 일부에 설치되고 마찰력이 큰 고무 등으로 형성된 제2 조출부(13c)를 갖고 있다. 조출 롤러(13)는 회전축(18)에 장착되어 있으며, 회전축(18)은 타이밍 벨트 등을 통해 회전축(16)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출 롤러(13)와 송출 롤러(11)는 동기 회전하여 조출 롤러(13)의 제2 조출 부(13c)와 송출 롤러(11)의 송출부(11b)가 동일 위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출 롤러(13)의 제1 조출부(13b)는, 예를 들어 2매의 가요성의 고무판 날개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동작을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압박 검지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한 압박이 검지될 때까지, 누름판(14)을 이동시켜 지엽류(P)를 조출 롤러(13)의 보스부(13a)에 압박한다[도 4의 (a) 참조]. 그리고, 일정한 압박이 검지된 후, 조출 롤러(13) 및 송출 롤러(11)를 회전시킨다. 조출 롤러(13) 및 송출 롤러(11)가 회전하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조출 롤러(13)의 제1 조출부(13b)가 최상위의 1매째의 지엽류(P1)에 접촉하여 지엽류(P1)의 선단을 오버랩부(OV)까지 조출하여, 지엽류(P1)의 선단 위치를 맞춘다(예비 이송 동작). 이때, 조출 롤러(13)의 제1 조출부(13b)에 의한 조출력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지엽류(P1)가 오버랩부(OV)를 통과하는 일은 없다. 또한 조출 롤러(13) 및 송출 롤러(11)가 회전하면, 도 4의 (c) 및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러(13)의 제2 조출부(13c)와 송출 롤러(11)의 송출부(11b)가 지엽류(P1)에 접촉하여 지엽류(P1)를 송출한다. 이때, 예를 들어 1매째의 지엽류(P1)와 함께 2매째의 지엽류(P2)가 같이 끌려나가 버린다 하더라도 회전하지 않는 저항 롤러(12)에 의해 2매째의 지엽류(P2)가 오버랩부(OV)를 통과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은 동작이 반복적으로 행하여져 집적된 지엽류(P)를 1매씩 분리하여 반송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롤러 배치 구성을 설명한다.
(1) 조출 롤러(13)의 반송 방향 배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러(13)는 송출 롤러(11)에 대하여 반송 방향(도 2에서 좌우 방향)으로 랩량(L)만큼 오버랩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조출 롤러(13) 및 송출 롤러(11)를 동일한 회전 속도로 동기 회전시킬 경우, 조출 롤러(13)의 직경[상세하게는, 보스부(13a)의 회전 직경](DP)과 송출 롤러(11)의 직경(DF)은 동등해진다. 또한, 조출 롤러(13) 및 송출 롤러(11)의 1회전으로 1매의 지엽류(P)를 송출할 경우, 조출 롤러(13) 및 송출 롤러(11)의 회전 원주는 취급하는 지엽류(P)의 단변 길이(반송 방향 길이)의 최대값(SLmax)보다 크게 해야 한다. 이들 조건으로부터 하기의 수학식 1이 얻어진다.
Figure 112009046026034-PAT00001
또한, 조출 롤러(13)의 제2 조출부(13c)에 의한 지엽류(P)의 이중 조출을 방지하기 위해 조출 롤러(13)와 송출 롤러(11)의 중심간 거리(FPL)와 조출 롤러(13)의 제2 조출부(13c)의 둘레 방향 길이(θP)의 총합(FPL+θP)은 취급하는 지엽류(P)의 단변 길이의 최소값(SLmin)보다 작게 해야 한다. 즉,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제1 비교예와 같이 조출 롤러(13)와 송출 롤러(11)의 중심간 거리(FPL)와 조출 롤러(13)의 제2 조출부(13c)의 둘레 방향 길이(θP)의 총합(FPL+θP)이 지엽류(P)의 단변 길이의 최소값(SLmin)보다 큰 경우에는 조출 롤러(13)의 제2 조출부(13c) 에 의한 지엽류(P1, P2)의 이중 조출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조건으로부터 하기의 수학식 2가 얻어진다.
Figure 112009046026034-PAT00002
그리고, 예를 들어 취급하는 지엽류(P)의 단변 길이의 최대값(SLmax)과 최소값(SLmin)의 차가 큰 경우에, 상기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시키기 위해, 조출 롤러(13)과 송출 롤러(11)는 반송 방향으로 랩량(L)(=DF-FPL)만큼 오버랩시켜야 한다. 구체예로서, 취급하는 지엽류(P)의 단변 길이의 최대값 SLmax=85㎜, 최소값 SLmin=60㎜로 한 경우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조출 롤러(13)의 직경(DP) 및 송출 롤러(11)의 직경(DF)은 수학식 1로부터 27㎜보다 크게 해야 하므로, 예를 들어 30㎜로 설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조출 롤러(13)의 제2 조출부(13c)의 둘레 방향 길이(θP)를 35㎜로 설정하면 조출 롤러(13)와 송출 롤러(11)의 중심간 거리(FPL)는, 수학식 2로부터 25㎜ 이하로 해야 하므로, 예를 들어 25㎜로 설정한다. 그 결과, 조출 롤러(13)와 송출 롤러(11)는 반송 방향으로 랩량(L)(=(DP/2)+(DF/2)-FPL)=5㎜만큼 오버랩하게 된다.
(2) 조출 롤러(13)의 축 방향 배치
우선, 조출 롤러(13)의 간격 치수[바꿔 말하면, 축 방향 양 외측의 조출 롤러(13)의 간격 치수](WP)와 측판(15)의 간격 치수(WS)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제2 비교예와 같이 조출 롤러(13)의 간격 치수(WP)가 극단적으로 길면, 1매째의 지엽류(P1)가 일측(도 6에서 상측)의 측판(15)에 치우쳐 버린 경우, 이 측판(15)과 동일 측의 조출 롤러(13)는 지엽류(P1)에 접촉하기는 하나, 반대측(도 6에서 하측)의 조출 롤러(13)는 1매째의 지엽류(P1)에 접촉하지 않고 2매째의 지엽류(P2)에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2개의 조출 롤러(13)는 2매의 지엽류(P1, P2)를 조출하게 된다. 그로 인해,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엽류(P1)가 일측 또는 반대측의 측판(15)에 치우친 경우에도 2개의 조출 롤러(13)는 모두 지엽류(P1)에 접촉되도록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조출 롤러(13)의 간격 치수(WP)는 취급하는 지엽류(P)의 장변 치수(폭 방향 치수)의 최소값(LLmin)을 고려하여 하기의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 들어 지엽류(P1)가 일측의 측판(15)에 치우친 경우, 지엽류(P1)와 반대측의 측판(15)의 간극 치수는 (WS-LLmin)이 되고,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지엽류(P1)가 반대측의 측판(15)에 치우친 경우 지엽류(P1)와 일측의 측판(15)의 간극 치수는 (WS-LLmin)이 된다. 따라서, 조출 롤러(13)의 간격 치수(WP)는 이들 2개의 간극 치수를 측판(15)의 간격 치수(WS)로부터 뺀 값보다 작게 해야 한다.
Figure 112009046026034-PAT00003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큰 특징으로서, 전술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러(13)의 간격 치수(WP)는 축 방향 양 외측의 송출 롤러(11)의 간격 치수(WF)보다 작게 되어 있다[바꿔 말하면, 조출 롤러(13)는 축 방향 양 외측의 송출 롤러(11)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제2 비교예와 같이 조출 롤러(13)의 간격 치수(WP)가 축 방향 양 외측 의 송출 롤러(11)의 간격 치수(WF)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출 롤러(13)의 제1 조출부(13b)에 의해 지엽류(P1)를 조출하면 지엽류(P1)의 폭 방향 외측을 밀어내어 폭 방향 중앙측을 되돌리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도 7 참조), 지엽류(P1)가 비스듬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조출 롤러(13)의 간격 치수(WP)가 축 방향 양 외측의 송출 롤러(11)의 간격 치수(WF)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출 롤러(13)의 제1 조출부(13b)에 의해 비스듬한 상태의 지엽류(P1)를 조출하면 지엽류(P1)의 폭 방향 외측을 되돌리고 폭 방향 중앙측을 밀어내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지엽류(P)의 비스듬한 상태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출 롤러(13)는 축 방향 양 외측의 송출 롤러(11)의 내측에 인접하는 저항 롤러(12)에 대하여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도록 배치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출 롤러(13)를 저항 롤러(12)에 대하여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은 서로 인접하는 저항 롤러(12)의 간격 치수(WG)를 크게 하는 것으로 이어진다(도 9 참조). 저항 롤러(12)의 간격 치수(WG)가 커지면 오버랩부(OV)의 돌입 저항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적어도 축 방향 양 외측의 조출 롤러(13)는 저항 롤러(12)에 대하여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도록 배치하는 편이 좋다.
(3) 저항 롤러(12)의 폭 치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의 (a) 및 그 부분 확대도인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출 롤러(13)와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는 저항 롤러(12)의 폭 치 수(GH1)는 다른 저항 롤러(12)[바꿔 말하면, 조출 롤러(13)와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지 않는 저항 롤러(12)]의 폭 치수(GH2)보다 크게 하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로서, 조출 롤러(13)와 송출 롤러(11)의 축 방향 간극에 지엽류(P)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19)의 리브(19a)를 배치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다른 이유로서, 지엽류(P)의 통과를 검지하는 통과 검지 센서[상세하게는, 발광측 센서(20a)와 수광측 센서(20b)의 사이]의 광축(도면에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이 통과 검지 센서에 의해 지엽류(P)의 체류가 검지된 경우에는 운전을 정지하여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조출 롤러(13) 각각이 제1 조출부(13b)를 갖고 있으며, 즉 복수의 제1 조출부(13b)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조출부(13b)를 1개만 갖는 경우와는 달리, 지엽류(P)의 선단을 오버랩부(OV)까지 조출하기 위한 1단계째의 조출력을 지엽류(P)의 폭 방향으로 분포시킬 수 있어 지엽류 수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조출부(13b)를 갖는 2개의 조출 롤러(13)는 축 방향 양 외측의 송출 롤러(11)보다 내측[바꿔 말하면, 지엽류(P)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비스듬한 상태의 지엽류(P)를 오버랩부(OV)까지 조출하는 1단계째의 조출 시에 지엽류(P)의 폭 방향 외측을 되돌리고 폭 방향 중앙측을 밀어내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지엽류(P)의 비스듬한 상태를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엽류 수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6개의 송출 롤러(11), 4개의 저항 롤 러(12) 및 2개의 조출 롤러(13)를 구비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와 같이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2개의 조출 롤러(13) 사이에 조출 롤러(13)를 1개 추가 설치하고,이 추가 설치한 조출 롤러(13)는 저항 롤러(12)에 대하여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와 같이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2개의 조출 롤러(13) 사이에 조출 롤러(13)를 2개 추가 설치하고, 이 추가 설치한 조출 롤러(13)는 저항 롤러(12)에 대하여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도록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 제2 변형예에 있어서는, 4개의 저항 롤러(12)의 폭 치수는 모두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하는 제3 변형예와 같이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6개의 송출 롤러(11) 중 축 방향 중앙의 1개를 감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들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인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제1 비교예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제2 비교예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제2 비교예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수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9는 제3 비교예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저항 롤러의 간격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좌굴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부분 확대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구조를 도시 하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지엽류 분리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부호의 설명>
11 : 송출 롤러
11b : 송출부
12 : 저항 롤러
13 : 조출 롤러
13b : 제1 조출부
13c : 제2 조출부

Claims (2)

  1. 외주측 일부에 고마찰이 되는 송출부를 갖고,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송출 롤러와,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에 대하여 차례로 끼워 넣어지도록 배치되고, 반송 방향으로 회전 불능한 복수의 저항 롤러와,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 및 상기 복수의 저항 롤러에 대하여 전단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에 대하여 반송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조출 롤러를 구비하고, 집적된 지엽류를 1매씩 분리하여 반송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출 롤러 각각은 집적된 지엽류로부터 분리되도록 지엽류를 소정 위치로 조출하는 제1 조출부와, 상기 송출 롤러의 송출부와 동일 위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조출부에 의해 소정 위치로 조출된 지엽류를 상기 복수의 송출 롤러와 상기 복수의 저항 롤러 사이에 삽입되도록 조출하는 제2 조출부를 갖고,
    축 방향 양 외측의 상기 조출 롤러는 축 방향 양 외측의 상기 송출 롤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저항 롤러에 대하여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 롤러에 대하여 축 방향 위치가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기 저항 롤러는, 다른 상기 저항 롤러보다도 폭 치수를 넓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분리 기구.
KR1020090068610A 2008-07-29 2009-07-28 지엽류 분리 기구 KR101120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95337 2008-07-29
JP2008195337A JP4691586B2 (ja) 2008-07-29 2008-07-29 紙葉類分離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834A true KR20100012834A (ko) 2010-02-08
KR101120931B1 KR101120931B1 (ko) 2012-02-27

Family

ID=4161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610A KR101120931B1 (ko) 2008-07-29 2009-07-28 지엽류 분리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91586B2 (ko)
KR (1) KR101120931B1 (ko)
CN (1) CN1016381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4085B2 (ja) * 2011-11-14 2015-11-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CN103413373A (zh) * 2013-07-04 2013-11-27 河北工程大学 一种纸币进给分离装置
CN103886674B (zh) * 2014-03-27 2018-12-18 中钞长城金融设备控股有限公司 纸币高速清分输入装置及其方法
CN112741916A (zh) * 2021-01-13 2021-05-04 聚龙股份有限公司 杀菌消毒装置及金融设备
CN113256875B (zh) * 2021-04-28 2023-03-03 深圳怡化电脑科技有限公司 分选控制方法、装置、分选设备和存储介质
CN114506700B (zh) * 2022-04-01 2024-03-12 杭州萧山海峰印刷有限公司 一种不停机上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938U (ja) * 1983-03-30 1984-10-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出装置
JPS612341U (ja) * 1984-06-13 1986-01-09 オムロン株式会社 紙幣類繰り出し装置
JPH1087116A (ja) * 1996-09-17 1998-04-07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2179272A (ja) * 2000-12-12 2002-06-26 Fujitsu Ltd 紙葉搬送装置
JP3823790B2 (ja) * 2001-09-19 2006-09-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自動原稿送り装置
JP4040958B2 (ja) * 2002-11-18 2008-01-30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繰り出し装置
JP2004352402A (ja) * 2003-05-27 2004-12-16 Sharp Corp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239962B2 (ja) * 2004-12-15 2009-03-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集積機構
JP4708952B2 (ja) * 2005-10-24 2011-06-2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分離装置
JP2007210719A (ja) * 2006-02-08 2007-08-23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分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38185B (zh) 2015-07-22
JP2010030746A (ja) 2010-02-12
KR101120931B1 (ko) 2012-02-27
CN101638185A (zh) 2010-02-03
JP4691586B2 (ja)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582B1 (ko) 지엽류 순차 배출 기구
KR100808835B1 (ko) 다권종 지폐의 입금을 제어하기 위한 입금장치 및 입금방법
KR101120931B1 (ko) 지엽류 분리 기구
JP2008015831A (ja) 紙幣処理装置
KR20100080090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시트롤러
JP3690080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KR10103495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스토퍼
JP4415060B2 (ja) 紙葉類繰り出し機構
JPS61273449A (ja) 自動入出金機
JP2009211572A (ja)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JP2018088071A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6750466B2 (ja) 紙幣処理装置
JP5176739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KR20090076061A (ko)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US8267398B2 (en) Medium storing and advancing apparatus
KR10145540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저장장치
JP5852052B2 (ja) 出金装置
JPH05132183A (ja) 紙葉類分離繰出し装置とその制御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る現金自動取引装置
JP2012099150A (ja) 紙幣処理装置
JP2011123573A (ja) 紙幣処理装置
KR2010008018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저장부에서 분리되는 지폐의 정렬 방법
JP2913881B2 (ja) 紙葉類の搬送姿勢修正機構
KR10142354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JP2007284171A (ja) 紙葉状シートの繰り出し装置
JPH10143712A (ja) 紙葉類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