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551A - 아가콩을 이용한 기능성 탁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가콩을 이용한 기능성 탁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551A
KR20100012551A KR1020080074013A KR20080074013A KR20100012551A KR 20100012551 A KR20100012551 A KR 20100012551A KR 1020080074013 A KR1020080074013 A KR 1020080074013A KR 20080074013 A KR20080074013 A KR 20080074013A KR 20100012551 A KR20100012551 A KR 20100012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a
water
takju
soybean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7132B1 (ko
Inventor
황영현
Original Assignee
소이벤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이벤쳐(주) filed Critical 소이벤쳐(주)
Priority to KR102008007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1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1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 C12G3/02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of botanical family Poaceae, e.g. wheat, millet, sorghum, barley, rye, or corn of botanical genus Oryza, e.g. ri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리 역사적으로 이미 고려 전기에 서민 생활에 정착되었고 여러 술중에서 식품학적으로 가장 우수한 전통주로 여겨지는 탁주를 제조함에 있어서 밭의 고기이라고 부르는 콩을 특히 천연 기능성 물질로 갱년기 이후 여성들의 장해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아이소플라본(일반콩의 3~4배)의 함량이 높은 아가 콩을 이용하여 기존의 탁주의 품질과 달리 현대의 소비자 기호성에 부합한 기능성 탁주를 전통 주( 탁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탁주를 제조 중 최종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성 콩인 아가콩을 처리하여 발효 과정중 2단 사입에 사용하여 최종 제품의 맛과 품질을 증대시켜 전통 주를 제조함으로써 현대의 소비자 기호도에 부응하는 동시에 제품의 고(高)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할 수 있는 고 (高)품질의 기능성 탁주 제조에 관한 것이다
아가콩( 노란콩, 검은콩), 흑미추출물 ,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전통 주 (탁주)

Description

아가콩을 이용한 기능성 탁주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functional takju ( Korean turbid rice wine) fermented by using AGA-soybean}
본 발명은 아가콩을 이용한 기능성 탁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는 탁주를 제조 중 최종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성 콩인 아가콩을 처리하여 발효 과정중 2단 사입에 사용하여 최종 제품의 맛과 품질을 증대시켜 전통 주를 제조함으로써 현대의 소비자 기호도에 부응하는 동시에 제품의 고(高)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할 수 있는 고 (高)품질의 아가콩을 이용한 기능성 탁주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탁주를 제조 중 최종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성 콩인 아가콩을 처리하여 발효 과정중 2단 사입에 사용하여 최종 제품의 맛과 품질을 증대시켜 소비자 기호도에 맞춘 탁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술의 제조 시 밭의 고기이라고 부르는 콩을 특히 아이소플라본의 함량이 높은 아가 콩을 전(前)처리 후 2단 담금 적용하였고, 이때 아가콩의 색소와 향기의 안정화를 위하 여 흑미 추출물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기존의 탁주의 품질과 달리 현대의 소비자 기호성에 부합한 기능성을 가지는 술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콩 과 탁주에 관련 한 특허로는 등록 번호 “10-0760379-0000 호” “검은콩 탁주의 제조방법”과 탁주에 관한 특허로써 등록 번호 “10-0586801-0000호” “산마를 이용한 탁주 제조방법 ”등록 번호“10-0610154-0000호” “탁주의 제조 방법”등과 같이 나와 있지만 이들 모두 기술적면과 최종 제품의 제조 비용문제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대량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식품학적으로 가장 우수한 전통주로 여겨지는 탁주를 제조함에 있어서 기능성 콩을 이용하여 현대인의 기호도와 타 여러 주류와 품질과 가격 면에서 경쟁력을 가진 현대의 소비자 기호성에 부합한 기능성 탁주 제조 하였다. 일반 콩은 콩에 들어있는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며, 특히 단백질의 양은 농작물 중에서 최고이며, 구성 아미노산의 종류도 육류에 비하여 뒤지지 않은데, 여기에다 아가 콩은 천연 기능성 물질로 갱년기 이후 여성들의 장해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아이소플라본 (일반 콩의 3~4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특징을 가지고 있는 아가콩을 전통주인 탁주 제조에 적용함으로써 소비자가 만족하는 기능성 전통 주( 탁주)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구체적으로 말하면, 탁주의 최종 제품 품질 중 맛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성 콩인 아가 콩을 전(前)처리하여 탁주를 제조함에 있어서 발효 과정 중 2단 사입에 사용하고, 또한 아가 콩의 고유 향과 색을 최종 제품에 잘 전이 되게 하기 위해 흑미 추출물과 베타사이클로 덱스트린 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맛과 기능성이 기존의 탁주보다 월등한 전통 주(탁주)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통상의 전구의 내부에 LED가 내장되며, 후부로 소켓부(40)에 결착될 수 있는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이루어지는 수나사부(20)로 구성되는 집어등 구(10)와, 하부로 집어등 구(10)의 수나사부(20)가 결착되는 암나사 뭉치(50)가 구성되고 암나사 뭉치(50)의 상부로 연장되는 하중강화기(80)와 결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나사산으로 이루어지는 결착부(60)가 구성되고 결착부(60)의 상부로 지그(120)의 회동조절부(150)와 결착되는 회동조절부 홈(70)이 구성되는 소켓부(40)와, 하부로 집어등 구(10)가 수용되는 집어등 구 홈(90)이 구성되고 상부로 소켓부(40)의 결착부(60)와 대응되는 나사산을 가지는 결착부 홈(100)이 구성되고 하부 양측으로 지그(120)의 고정대 홈(130h)과 일치되어 고정구(180)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홈(80h)으로 이루어지는 하중강화기(80)와, 양측에 마주하여 하측에 하중강화기(80)의 고정 홈(80h)과 일치하는 가이드 홈(130h)을 가지는 가이드(130)와 상기 양측 가이드(130)의 일측을 연결하고 어선의 지지대(170)가 삽입되는 지지대 홈(140h)을 다수 개 구성되는 고정부(140)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40)의 하부로 소켓부(40)의 회동조절부 홈(70)에 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 하 이동에 따라 소켓부(40)가 회동되어 집어등 구(10)의 불빛 방향이 조절되는 회동조절부(150)로 이루어지는 지그로 이루어지는 집어등을 제공한다.
상기 회동조절부(150)는 고정부의 일측에 구성된 돌출판(160)에 삽입되는 전산볼트(200)와 상기 돌출판(160)으로 기준으로 전산볼트(200)를 상, 하로 고정하는 나비너트(210)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집어등 구(10) 외주면 측으로 방열판(30)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하중강화기(80)의 집어등 구 홈(90)과 집어등 구(10) 사이로 패킹(110)이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LED 광원으로 구성되는 집어등 구는 상기 LED의 파장을 480 내지 490 nm로 한정하여 LED의 발광색상이 청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통주로 탁주를 제조함에 있어서 기존의 탁주 맛을 현대의 소비자 기호성에 부합한 기능성 탁주로 접근하기 위하여 기능성 콩인 아가 콩을 전(前) 처리하여 전통 탁주 제조과정에 첨가하고 이때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 기 위하여 흑미 추출물과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고(高)품질의 전통 기능성 탁주를 제조 하는 것이다. 따라서 , 품질의 기능성, 식품학적 가치가 향상된 전통 탁주를 항상 접할 수 있게 되어서, 소비자의 기호도에 맞춘 최종 제품을 생산하여 경제적 고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도1은 술(탁주) 제조 공정도로서 본 발명은 처리된 아가 콩을 첨가한 탁주 제조 및 그 제조 시 원료 세척, 주모 담금, 발효 과정, 흑미 추출 혼합물 처리, 2 단 담금 시 처리된 아가 콩 분말을 첨가하여 발효한 탁주 제조 방법으로 그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콩은 일명 밭의 고기라고 불리 우지며, 우리나라 품종의 대부분은 재래종이며, 몇 가지의 도업 품종이 있다. 한편 콩의 육안적 색상으로는 대표적으로 검정콩과 노란 콩이 있는데 이들의 성분이 대동소이하다 .
그러나 콩은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한 식품인데, 단백질의 양은 농작물 중에서 최고이며, 구성 아미노산의 종류도 육류에 비해 뒤지지 않는다.
콩의 지방은 약 50%가 리놀산이고 리놀렌산이 6%나 들어있다. 이러한 불포화지방산은 동물성 지방의 과잉 섭취에서 오는 콜레스테롤을 씻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기름 중에는 비타민 E가 100mg%가량이나 함유되어있어 미용과 노화 방지, 심장병 · 동맥 경화 · 고혈압 등을 방지하는 효과 식품으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콩을 대대적으로 이용하기에 이르렀다. 콩에 들어 있는 단백질로 만든 인조육과 두유(豆乳)나 콩가루 등의 제조와 소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식품학적으로는 콩에는 비타민 B군이 특히 많고 A와 D도 들어 있으나 비타민 C만은 거의 없다. 콩은 날 것으로 먹으면 거의 소화가 안 되며 익혀 먹어도 65%가량 밖에는 소화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통 식품인 된장은 80%이상이, 두부는 95%이상의 소화율을 나타낸다. 이런한 콩중 기능성 물질을 엄청나게 함유하고 있는 아가콩은 천연물질로서 갱년기 이후 여성들의 장해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isoflavone의 함량이 세계에서 또한 아가콩은 추출 가공된 전립선 기능 강화 소재(isflavone+equol)를 in uitroin vivo 실험을 통하여 과학적으로 기능성을 입증함과 동시에 임상을 통하여 그 기능성과 효과가 입증되고 있는 실정이다
흑미는 역사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 재배역사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벼가 재배되기 시작된 시기부터 유색미가 재배되었으며 적갈색 유색 미는 벼의 선조로 판단되며, 중국에는 북위시대(286~534년) “제민요구”란 책에 흑미품종에 관한 기록이 있으며 ,그 이름을 장수 미, 보건 미, 보혈 미, 접골 미, 약미 등으로 불려졌고, “본초강목”(명나라의 이시진)에 그 효능으로 신장을 보하고 위를 튼튼하게 하며 혈액 순환을 왕성하게 한다는 기록이 있고 , 황제에게 진상하는 쌀로 “진상미”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는 11세기 후반 대당미(大唐米)라고 불려지는 적미가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한편, 국내 육성된 흑미 품종은 조생종인 흑진주 벼와 중만생종인 흑 남벼 2품종이며 특히 흑진주 벼는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고 과피에 색소 침적이 골고루 되어 흑미로서 품질과 착색율도 높으며 현미색택이 좋을 뿐 아니라 수량성도 높은 편이다. 또한, 흑미의 영양성분은 단백질, 지방, 섬유소, 철, 구리, 망간, 비타민 B군, D, E 함량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 국내육성 품종인 흑진주 벼는 단백질, 칼륨, 비타민 B군 함량이 백미에 비해 높았고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산의 함량이 높으며, 흑미의 색소는 주로 안토시아닌계 색소로 겨층에 분포되어 있어 현미상태로 주로 이용하고 있다.
베타사이클로 덱스트린은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루코 전이 효소로 당 전이 반응으로 전분에서 얻어지는 환상올리고당이다.
전분당은 포도당이 주성분이지만 이것을 이성화시킨 과당, 전이효소에 의해 알파-1, 6결합을 생성시킨 분지올리고당도 여기에 속한다. 효소반응을 받아 새로운 기능성을 가진 당류가 올리고당 또는 당알콜이라는 명칭으로 생산, 시판되고 있다. 다음과 같은 기능성을 갖는다.
향기를 가지며, 식품의 물성 개량 등의 기능, 불안정한 물질을 공극 내에 포함하여 안정화, 휘발성 물질 즉 향료, 향신료 성분의 휘발을 억제, 난용성, 불용성, 유용성(油溶性) 물질을 가용화, 조해성(潮解性) 물질, 점착성 물질의 분체(粉體)등의 분야에 이용된다.
이에 단계별 제조 및 발효 방법을 상세히 보면
① 원료 쌀을 일반 수돗물로 3회 세척 단계이고,
② 세척된 쌀을 물에 8시간 침미(물에 담금) 단계와 이를 솥쿠리에서 2시간 물 빼기 단계이고,
③ 증미, 1단 담금 시에 찐쌀 2,000g, 누룩 50~60g, 효모30~40g, 일반 생수(물) 3,000mL로 하여 48시간 동안 26±1℃를 유지하며,
흑미 추출 혼합물 처리 단계이고,
④ 2단 담금 시에 찐쌀 8,000g, 누룩 150~300g, 전(前)처리한 아가 콩 분말 300g, 물 12,000mL로 하여 약5일간 25±1℃로 유지하여 발효 하였다.
⑤ 발효 후 제성, 조미, 제품 단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① 쌀 - 2007년산 의성군 안계산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② 누룩 및 효모 - 2007년 제조한 것으로 소맥피 50%, 밀가루 50%를 사용한 발효제로 바이오 누룩(㈜한국효소)을 사용하였다.
③ 고두밥 제조는 찜통을 미리 가열한 후 광목을 깔고 찹쌀을 넣은 뒤 다시 광목으로 덮어주고 뚜껑을 덮고 가열 후 김이 나기 시작하면 30 분간 쪄서 사용하였다.
④ 아가 콩 전(前)처리- 300g의 아가 콩을 20분 뽁은 후 물로 3회 세척 후 20~25℃에서 8시간 수침 후 1시간 물 빼고, 녹즙기에 갈아서 부직포에 싸서 2단 담금에 약300g을 첨가 하였다. 이때 아가콩의 색소와 향기의 안정화를 위하여 흑미 추출물: 베타 사이클로 덱스트린을 1:5의 비율로한 혼합물 3L에 검은 아가 콩 300 g을 침지하여 50~55℃유지하면서 5시간 수침 후 건져내어 사용하였다.
⑤ 흑미 추출물- 흑미 (2007년, 진도산) 3kg을 방앗간에서 한번만 갈은 후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프레타놀 A: 증류수의 비율을 5 : 5 ( W/W)한 혼합물 8L에 24시간 침지 후, 60℃에서 혼합물 800ml을 400ml로 1시간 증류 후 사용하였다.
⑥ 물은 식수로 사용되는 일반 생수를 사용하였다.
[표 1 .흑미 추출혼합물과 전(前)처리된 아가 콩 분말 처리추출물에 의한 탁주의 제조법]
술 종류 처리 법 제조 법
탁 주 탁-1 일반 탁주 ( 무처리 )
탁-2 1단 단금 후 흑미 추출혼합물 처리 탁주
탁-3 2단 단금 시 전(前)처리된 아가 콩 분말 첨가 탁주
탁-4 (탁-2)+(탁-3) 처리 탁주
⑦ 제조방법은 통상적인 술 제조 방법으로 하였고, 발효온도는 1단 단금 후 48시간 동안 26±1℃였고, 2단 단금 후 발효온도는 4~5일동안 온도는 25±1℃로 하였다.
⑧ 알콜 농도는 비중 측정법으로 실시하였다.
⑨ pH 미터는 Orion(model 410A, USA)미터기를 사용하였다.
⑩ 색차계는 Color Techno System(JS555, Japan)을 사용하여 L(lightness), a(hue), b(chroma)값을 측정하였다.
⑪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10명의 패널 요원에 의하여 맛(신맛,쓴맛, 단맛, 청량감, 종합적인 맛),냄새(시큼한 냄새, 알코올 냄새, 군냄새, 종합적인 냄새)등을 5점 강도 법 (아주 약하다:1점, 약하다:2점, 보통이다:3점, 강하다:4점, 아주 강하다:5점)으로 평점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2. 결과 및 요약
[표 2. 흑미 추출혼합물과 전(前)처리된 아가 콩 분말 처리추출물에 의한 탁주의 알콜 도수, pH와 색상]
종목 제조법 알콜도수 (%) pH 색상
L(lightness) a(hue) b(chroma)
탁 주 탁-1 6.0 4.32 76.96 20.32 13.38
탁-2 6.2 4.39 73.34 22.24 14.33
탁-3 6.3 4.30 65.12 21.18 15.33
탁-4 6.5 4.26 69.96 22.49 15.39
1)주어진 값은 3회 실험 평균값임.
<결과>
① 알콜 도수는 탁-2,탁-3,탁-4 처리 구에서는 6.2~6.5%였고 나머지 처리구에서는 6%였다
② pH는 4.26∼4.39의 범위를 나타냈었다
③ L값은 처리 구중 탁-1 처리구가 다른 처리 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 었고, b값과 a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표 3. 흑미 추출혼합물과 전(前)처리된 아가 콩 분말 처리추출물에 의한 탁주의 관능검사]
(a) 맛
종목 처리 처리 신맛 쓴 맛 단 맛 청량감 종합적인 맛
탁 주 탁-1 3.31 1.33 2.92 2.32 3.20
탁-2 3.10 1.21 2.92 3.41 3.86
탁-3 2.98 1.12 3.45 3.29 3.92
탁-4 3.11 1.11 3.83 3.57 4.52
1) 주어진 값은 3회 실험 평균값
<결과 및 고찰>
① 신맛, 쓴맛, 청량감 : 처리 구에 있어서는 탁-2, 탁-3,탁-4 값이 탁-1 처리 구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② 단맛 : 처리 구에 있어서는 탁-3, 탁-4 처리 구 값이 다른 처리 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③ 종합적인 맛 : 탁-4> 탁-3> 탁-2> 탁-1의 처리 구 순서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b) 냄새
종목 처리 처리 시큼한 냄새 알코올 냄새 군 냄새 종합적인 냄새
탁 주 탁-1 2.31 3.22 2.12 3.04
탁-2 1.21 3.53 1.11 3.73
탁-3 1.22 3.72 1.21 3.97
탁-4 1.11 3.88 1.11 4.62
<결과 및 고찰>
① 시큼한 냄새와 군 냄새 : 처리 구에서는 탁-2 와 탁-4 처리구의 값이 다른 처리 구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② 알콜올 냄새 : 탁-4 처리구의 값이 다른 처리 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③ 종합적인 냄새 : 탁-4의 처리구가 다른 처리 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제조 공정도

Claims (3)

  1. 세척, 침미, 증미, 1단 담금, 2단 담금하여 전통주(탁주)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쌀 10kg을 증미한 후, 1단 담금 시에 찐쌀 2,000g, 누룩 50~60g, 효모30~40g, 일반 생수 (물) 3,000mL로 하여 48시간 동안 26±1℃로 하고,
    2단 담금시 찐쌀 8,000g, 누룩 150~300g, 전(前)처리된 아가콩을 20분 뽁은 후, 물로 세척 후 20~25℃에서 8시간 수침 후 1시간 물 빼고, 녹즙기에 갈아서 부직포에 싼 아가콩 300g, 물 12,000mL로 하여 약5일간 25±1℃로 유지하여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가콩을 이용한 탁주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전처리된 아가콩은 아가콩의 색소와 향기의 안정화를 위하여 흑미 추출물: 베타 사이클로 덱스트린을 1:5의 중량 비율로 한 혼합물 3L에 검은 아가 콩 300 g을 침지하여 50~55℃로 5시간 수침한 후 건져낸 것을 포함하는 아가콩을 이용한 탁주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흑미추출물은 갈은 3kg 흑미를 프레타놀 A: 증류수의 중량 비율이 5 : 5 ( W/W)한 혼합물 8L에 24시간 침지 후, 60℃에서 400ml가 되도록 1시간 증류한 것을 포함하는 아가콩을 이용한 탁주 제조방법
KR1020080074013A 2008-07-29 2008-07-29 아가콩을 이용한 기능성 탁주 제조방법 KR10103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13A KR101037132B1 (ko) 2008-07-29 2008-07-29 아가콩을 이용한 기능성 탁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13A KR101037132B1 (ko) 2008-07-29 2008-07-29 아가콩을 이용한 기능성 탁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51A true KR20100012551A (ko) 2010-02-08
KR101037132B1 KR101037132B1 (ko) 2011-05-26

Family

ID=4208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013A KR101037132B1 (ko) 2008-07-29 2008-07-29 아가콩을 이용한 기능성 탁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1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734B1 (ko) * 2009-07-13 2012-03-23 신현길 대추 추출물을 이용한 대추 탁주 및 그 제조방법
CN105176740A (zh) * 2015-09-25 2015-12-23 湖南澳深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糯米酿的制作方法
CN105238636A (zh) * 2015-10-28 2016-01-13 湖北工业大学 一种淡清香型白酒的制备方法
KR102482326B1 (ko) * 2022-02-07 2022-12-29 전숙희 약콩을 이용한 기능성 막걸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371A (ko) * 1999-08-10 2001-03-05 김길용 포도 탁주 및 약주의 제조방법
KR20060013255A (ko) * 2004-08-06 2006-02-09 정화자 청국장이 함유된 술의 제조방법
KR100760379B1 (ko) 2006-07-26 2007-09-19 조국환 검은콩 탁주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734B1 (ko) * 2009-07-13 2012-03-23 신현길 대추 추출물을 이용한 대추 탁주 및 그 제조방법
CN105176740A (zh) * 2015-09-25 2015-12-23 湖南澳深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糯米酿的制作方法
CN105238636A (zh) * 2015-10-28 2016-01-13 湖北工业大学 一种淡清香型白酒的制备方法
KR102482326B1 (ko) * 2022-02-07 2022-12-29 전숙희 약콩을 이용한 기능성 막걸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7132B1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25660A (zh) 黄秋葵糯米酒及其制备方法
KR101001783B1 (ko) 대추 탁주 제조방법
KR101917115B1 (ko) 발아 현미 여주 흑초 제조 방법
KR101037132B1 (ko) 아가콩을 이용한 기능성 탁주 제조방법
CN112772900A (zh) 一种松茸酱及其制备方法
KR101145894B1 (ko) 인삼발효 홍삼 청국장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홍삼 청국장
JP6815035B2 (ja) 亜麻仁を原料とする食品の製造方法
KR102073393B1 (ko) 발효 차가버섯 분말과 죽염을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101781109B1 (ko) 유색 맥아를 이용한 유색 조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색 조청
KR20120134606A (ko) 양념 된장 및 그의 제조방법
JP4560431B2 (ja) クエン酸・酢酸含有飲料の製造方法
KR101764491B1 (ko) 고구마 첨가 증류주 제조 방법
KR102356983B1 (ko) 두유의 제조방법
KR101954907B1 (ko) 발아현미식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아현미식초
CN105901525A (zh) 一种蓝莓果酱调味品
CN112826034A (zh) 一种黑豆芝麻腐竹的制备工艺
KR20100120536A (ko) 고구마를 이용한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61337A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20210012487A (ko) 아로니아 조미액의 제조방법
KR102623612B1 (ko) 친환경 미강과 식물자원을 이용한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
KR102402530B1 (ko) 쌀발효액을 이용한 자연발효 뽕잎소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뽕잎소스
KR102450939B1 (ko) 아로니아 및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현미 누룽지 제조방법
KR102633320B1 (ko) 소고기무국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소고기무국
KR102498450B1 (ko) 타래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52027B1 (ko) 연잎을 활용한 약주 기호 향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