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035A - 의료 기기 - Google Patents

의료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035A
KR20100010035A KR1020097026654A KR20097026654A KR20100010035A KR 20100010035 A KR20100010035 A KR 20100010035A KR 1020097026654 A KR1020097026654 A KR 1020097026654A KR 20097026654 A KR20097026654 A KR 20097026654A KR 20100010035 A KR20100010035 A KR 20100010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ttachment member
medical device
adhesive
slip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542B1 (ko
Inventor
히데키 니시무라
마사유키 구보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10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Abstract

생체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1)에 있어서, 그 하우징(2)의 외면(면(6) 및 (7))에 오목부(8)를 설치한다. 오목부(8)의 내측에, 부착 부재(3)를 부착한다. 하우징(2)에, 계측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4)이 설치되는 경우는, 면(6) 및 (7)은, 표시 화면(4)이 설치된 면(5)에 인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부재(3)는, 점착재층과, 인쇄층과,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점착재층, 인쇄층, 및 미끄럼 방지층은,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의료 기기 {MEDICAL DEVICE}
본 발명은, 의료 기기, 특히 휴대형의 의료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 의료 기기의 소형화가 촉진되어, 예를 들면, 혈당치계, 혈압계, 심박계 등에 있어서는, 휴대가 가능한 정도로까지 소형화가 도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의료 기기는, 환자나 의료 관계자 등에 의해 가지고 다녀지는 일도 많으며, 그 사용 빈도는 높은 것이 되고 있다. 특히, 혈당치계는,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 필수의 의료 기기이고, 혈당치계에 있어서의 휴대 빈도 및 사용 빈도는 함께 매우 높으며, 그 퍼스널성은,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또, 이와 같은 퍼스널성이 높은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있어서는, 기기의 외관을 자기의 취향의 외관으로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함으로써, 자기의 개성을 주장하고 싶다고 하는 요망(要望)이 존재한다. 근년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의료 기기의 외관을 취향의 외관으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 커버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1에서는, 모양이나 도안이 인쇄된 보호 커버가 제안되어 있다. 사용자는, 취향의 디자인이 실시된 보호 커버를 이용함으로써, 기기의 외관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또, 이 결과, 사용자가 그 기종에 질리는 것 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동일한 기종을 길게 사용하는 도움이 된다. 또한, 이것에 의해, 기기의 라이프 사이클의 장기화가 촉진되며, 환경 부하의 축소화도 도모되게 된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2004-313269호 공보(제6페이지, 제6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보호 커버를 바꾸어 기기의 외관을 변경하는 경우는, 그 때에, 새로운 보호 커버를 구입할 필요가 있어, 사용자에 있어서의 경제적 부담이 커진다. 또, 의료 기기에 보호 커버를 부착하면, 보호 커버의 몫만큼, 의료 기기는 대형화하기 때문에, 의료 기기의 소형화의 촉진을 방해한다.
한편, 기기의 하우징에, 시일을 붙이는 등 하면, 소형화의 촉진을 방해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외관의 변경을 실현할 수 있지만, 시일은, 외부로부터의 접촉 등에 의해 간단하게 벗겨지는 일이 있다. 이 경우는, 미관을 해침과 더불어,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다시 붙이기라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 저비용으로, 소형화의 촉진을 방해하지 않고, 용이하게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의료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생체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로서, 하우징과 부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보호 커버를 이용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의료 기기의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의료 기기의 소형화의 촉진이 방해되는 일도 없다. 또, 부착 부재의 디자인을 눈에 띄는 것으로 했을 경우는, 의료 기기가 소형화하여, 분실하기 쉬워져도, 이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부착 부재가,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오목부에 부착 부재를 붙이는 것만으로 되며, 간단하게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 부재는 오목부의 내부에 붙여지며, 그 가장자리는 외부의 물체와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부착 부재는, 단순히 시일을 붙인 경우와 달리, 벗겨지기 어려워진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는, 상기 하우징에, 계측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표시 화면이 설치된 면에 인접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사용자의 손이 닿기 쉬운 위치에, 미끄럼 방지 효과를 갖는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상기 낙하 사고의 발생이 더 억제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오목부가, 그 개구(開口) 가장자리와 상기 부착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로 했을 경우는, 부착 부재의 바꿔 붙이기가 필요한 때에,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간극에 끼워 넣음으로서, 간단하게 낡은 부착 부재를 박리할 수 있다.
또, 상기 양태로 하는 경우는, 당해 의료 기기가 상기 간극을 막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탄성체를 통해 상기 오목부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커버가 외력에 의해 상기 오목부의 내측을 향해 가압되면 탄성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착 부재의 박리가 행해지지 않는 경우는, 간극은 막아지기 때문에, 외부의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 부착 부재가 박리되는 사태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오목부의 외주(外周)를 따라 홈이 설치되어 있는 양태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양태로 했을 경우는, 홈을 통해 부착 부재를 가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부착 부재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부착 부재와 오목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며, 부착 부재의 박리 작업이 용이한 것이 된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오목부의 단면의 바닥측이 V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태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양태로 했을 경우는, 부착 부재는 탄성변형한 상태로, 부착된다. 이 때문에, 이후에 부착 부재를 박리할 필요성이 발생했을 경우에, 부착 부재를 간단하게 박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인쇄층과,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재층, 상기 인쇄층, 및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태에 의하면, 부착 부재에, 여러 가지의 모양, 도형 및 문자를 인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의료 기기의 외관을 한층 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외관으로 할 수 있고, 사용자의 기기에 대한 애착도 더 깊어지게 된다. 또, 상기 양태에서는, 부착 부재가 미끄럼 방지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잘못해서 의료 기기를 낙하시키는 사태의 발생이 억제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광투과성을 가지며, 또한,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그 내부에서 분산되어 있는 입상(粒狀)의 식별 부재를 가지며, 상기 식별 부재는, 발광성 재료, 열변색성 재료, 및 광반사성 재료의 어느 하나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부착 부재가 눈에 띄는 것이 되어, 의료 기기에 있어서는, 식별 기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식별층과, 광투과성을 가지며, 또한,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재층, 상기 식별층, 및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식별층은, 발광성 재료 또는 광반사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의료 기기에 있어서는, 부착 부재에 의해, 식별 기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과, 식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재층, 상기 미끄럼 방지층, 및 상기 식별층은,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식별층은, 발광성 재료, 열변색성 재료, 및 광반사성 재료의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의료 기기에 있어서는, 부착 부재에 의해, 식별 기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 성분 함침층과, 다공성을 가지며, 또한,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향 성분 함침층은, 상기 점착제층의 한쪽측에 배치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상기 점착제층의 한쪽측에, 상기 방향 성분 함침층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양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의료 기기는, 사용자를, 방향 성분에 의해 릴랙스(relax)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압력 센서 및 스피커를 실장(實裝)하는 회로 기판과,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점착제층의 한쪽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상기 점착재층의 한쪽측에,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스피커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양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는, 소리에 의해, 의료 기기의 유지가 충분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층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에 의한 의료 기기의 파지(把持)가 용이한 것이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소형화의 촉진을 방해하지 않고, 용이하게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의료 기기의 하우징에 부착 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의료 기기의 하우징에 부착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 중에 나타낸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해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B-B'를 따라 절단해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C-C'를 따라 절단해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D-D'를 따라 절단해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0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E-E'를 따라 절단해 얻어지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0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F-F'를 따라 절단해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2(a) 및 (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2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a)는 점착재층측에서 본 평면도, 도 12(b)는 도 12(a) 중의 절단선 G-G'를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3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4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5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6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7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8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9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료 기기(실시 형태 1) 2 : 하우징
3 : 부착 부재 4 : 표시 화면
5 : 하우징의 주면(主面) 6, 7 : 주면에 인접하는 면(측면)
8 : 오목부 8a : 개구 가장자리
9 : 미끄럼 방지층 10 : 인쇄층
11 : 점착재층 12 : 간극
13 : 커버 14 : 탄성체
15 : 홈 16 : 벽부(壁部)
17 : V형 부분 18 : 부착 부재
19 : 부착 부재 19a, 19b : 관통 구멍
20 : 의료 기기(실시 형태 2) 21 : 의료 기기(실시 형태 3)
22 : 의료 기기(실시 형태 4) 23 : 의료 기기(실시 형태 5)
24 : 봉(棒)부재 h : 홈과 오목부의 거리(벽부의 두께)
H : 홈의 폭 i : 홈의 깊이
I : 오목부의 깊이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은, 의료 기기의 하우징에 부착 부재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의료 기기의 하우징에 부착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해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는, 생체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 예를 들면, 혈당치계(glucose meter), 혈압계, 락트산치계(lactate meter), 케톤체(ketone body) 측정 장치, 체온계, 뇨시험지계(urine analyzer), 지질(lipid) 측정 장치 등이다. 또, 의료 기기(1)는, 손바닥 사이즈로 구성되어 있고, 환자 등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의료 기기(1)는,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2)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면에 오목부(8)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하우징(2)의 외면 중, 한쪽의 주면(5)에는, 계측 결과, 예를 들면, 혈당치나 혈압치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면(5)에 인접하는 면(측 면)(6) 및 (7)에, 각각 오목부(8)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8)의 내측에는, 부착 부재(3)가 부착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외면(7)에 설치된 오목부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부착 부재(3)는, 점착재층(11), 인쇄층(10), 및 미끄럼 방지층(9)을 차례로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단,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부착 부재(3)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끄럼 방지층(9)은, 수지 재료나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수지 재료 및 고무 재료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인쇄층(10)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 수지 재료 및 고무 재료는, 광투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층(10)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는, 이들 수지 재료 및 고무 재료는, 광투과성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또, 미끄럼 방지층(9)은, 표면에 요철을 마련함으로써 마찰 계수를 높인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는, 수지 재료나 고무 재료 이외의 재료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방지층(9)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AS 수지, 에폭시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라고 하는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 미끄럼 방지층(9)을 형성하기 위한 고무 재료로서는, 실리콘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불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라고 하는 고무 재료를 들 수 있다.
인쇄층(10)에는, 여러 가지의 모양이나, 도형, 문자 등이 인쇄되어 있다. 인쇄된 모양, 도형, 문자 등은,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미끄럼 방지층(9)을 통해, 외부로부터 시인(視認)된다. 인쇄층(10)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종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11)의 형성 재료, 그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재층(11)의 형성 재료로서는, 하우징의 형성 재료에 따라, 기존의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점착재층(11)의 두께는, 요구되는 점착력이 얻어지도록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미끄럼 방지층(9)이 열화나 파손된 경우나, 사용자가 인쇄층(10)의 디자인의 변경을 희망했을 경우는, 부착 부재(3)를 박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점착재층(11)의 형성은, 그 점착력이 너무 강해지지 않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의료 기기(1)에 있어서, 현재 부착되어 있는 부착 부재(3)를, 인쇄층(10)에 인쇄되어 있는 모양이나 미끄럼 방지층(9)의 색채가 상이한 다른 부착 부재(3)로 바꿔 붙이면, 의료 기기(1)의 외관은 변화한다. 의료 기기(1)에 의하면, 종래와같이 보호 커버를 이용하지 않아도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의 외관의 변화가 가능해지고, 또한, 의료 기기(1)의 소형화가 방해되는 일도 없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부착 부재(3)의 하우징(2)에의 부착은, 점착재층(11)에 의해 행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하게 부착 부재(3)를 바꿔 붙일 수 있으므로, 의료 기기의 외관을 자기의 취향에 맞추거나, 외관의 변화를 즐기 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 사용자는, 의료 기기(1)에 대한 애착이 깊어지거나, 기분을 리프레쉬하거나 할 수 있다. 또, 부착 부재(3)의 디자인을 눈에 띄는 것으로 하면, 의료 기기(1)가 소형화해, 분실하기 쉬워져도, 이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 부재(3)에 미끄럼 방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잘못해서 기기를 낙하시키는 사태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사용자가 의료 기기(1)를 조작할 때에, 그 손이 가장 닿기 쉬운 측면, 즉, 면(6) 및 (7)에 부착 부재(3)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부착 부재(3)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는 효율 좋게 발휘된다. 또, 부착 부재(3)는, 오목부(8)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의 외면에, 단순히 붙였을 경우와 달리, 사용중에 부착 부재(3)가 외부의 다른 물체에 접촉하여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B-B'를 따라 절단해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20)에서는, 오목부(8)는, 그 개구 가장자리(8a)와 부착 부재(3)의 사이에 간극(12)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8)는, 그 개구 면적 이, 부착 부재(3)의 부착 면적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의 예에서는, 개구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간극(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의료 기기(20)를 측방에서 보면, 부착 부재(3)의 주위에 측홈이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4 참조). 의료 기기(20)는, 상술한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의료 기기(20)를 이용했을 경우는,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손톱 등을 간극(12)에 끼워 넣을 수 있으며, 부착 부재(3)를 간단하게 벗길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부착 부재(3)의 바꿔 붙이기가 필요한 때에 간단히 낡은 부착 부재(3)를 박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한층 더 외관의 변화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간극(12)이 너무 커지면, 부착 부재(3)가 외부의 물체와 접촉하기 쉬워져,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간극(12)은 너무 커지지 않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C-C'를 따라 절단하여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21)도,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20)와 마찬가지로, 오목부(8)는, 그 개구 가장자리(8a)와 부착 부재(3)의 사이에 간극(12)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단,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실시 형태 2와 달리, 오목부(8)는, 일부의 개구 가장자리(8a)와 부착 부재(3)의 사이에만, 간극(12)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21)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20)와 달리, 또한, 간극(12)을 막는 커버(13)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13)는, 판형상을 나타내고, 탄성체(14)를 통해 오목부(8)에 고정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는, 커버(13)에는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hatched).
도 7의 예에서는, 이 탄성체(14)로서는, 코일 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이 코일 스프링(탄성체(14))의 일단은 커버(13)에 고정되고, 타단은 오목부(8)의 저면(底面)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체(14)는, 커버(13)가 외력에 의해 오목부(8)의 내측을 향해 가압되면(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커버(13)를 누르면) 탄성변형한다. 그리고, 탄성체(14)에 주어져 있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체(14)는, 커버(13)를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실시 형태 2와 달리, 간극(12)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커버(13)에 의해 막혀 있다. 즉, 사용자가 부착 부재(3)의 박리를 결정하여, 커버(13)가 눌릴 때까지는, 간극(12)의 존재는 감추어진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실시 형태 2에 비해, 부착 부재(3)의 끝이 외부의 물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부착 부재(3)의 박리의 발생은 억제된다. 또한, 의료 기기(21)는, 상술한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 서의 의료 기기(1)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2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4)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D-D'를 따라 절단해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22)에서는, 하우징(2)에, 오목부(8)의 외주를 따라 홈(15)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2)에 있어서의, 홈(15)과 오목부(8)의 사이의 부분은, 부착 부재(3)에 면하는 벽부(16)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사용자는, 홈(15)의 내부로부터 부착 부재(3)를 향해(도 9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향해), 벽부(16)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가압에 의해, 부착 부재(3)는 변형하고, 점착재층(11)의 오목부(8)에 대한 접착 면적이 작아지고, 부착 부재(3)는 벗겨지기 쉬운 상태가 된다.
또, 도 8 및 도 9의 예에서는, 홈(15)은, 부착 부재(3)의 각 장변(長邊)을 따라 2개씩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한쪽의 장변에 인접하는 홈(15)과 다른쪽의 장변에 인접하는 홈(15)은 대향하고, 부착 부재(3)는, 벽부(16)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예를 들면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벽부(16)를 통해 부착 부재(3)를 집을 수 있고, 부착 부재(3)를 간단하게 변형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에 비해, 부착 부재(3)의 박리 작업은 용이한 것이 된다. 또, 부착 부재(3)의 끝은, 외부에 노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착 부재(3)의 끝이 외부의 물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부착 부재(3)의 박리의 발생도 억제된다. 또한, 의료 기기(22)는, 상술한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벽부(16)를 개재한 부착 부재(3)의 가압을 용이한 것으로 하기 위해, 하우징(2)의 형성 재료로서는, 다음의 수지나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염화비닐 수지, 페놀 수지, 나일론 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 이미드 수지, 폴리설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고무로서는, 실리콘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불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 홈(15)의 깊이 i는, 예를 들면, 오목부(8)의 깊이 I의 2배~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15)과 오목부(8)의 거리(벽부(16)의 두께) h는, 예를 들면, 홈(15)의 폭 H의 0.3배~0.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5)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0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E-E' 를 따라 절단하여 얻어지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0에 나타낸 의료 기기를 절단선 F-F'를 따라 절단하여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0, 도 11(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23)에서는, 오목부(8)의 단면의 바닥측이 V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착 부재(3)는, 탄성변형한 상태로 오목부(8)의 내측에 부착되고, 부착 부재(3)의 점착재층(11)의 점착면의 일부는, 오목부(8)의 내측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후에 부착 부재(3)를 박리할 필요성이 발생했을 경우에, 사용자는, 부착 부재(3)를 간단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 박리하기 쉬움의 정도는,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V형 부분(17)의 각도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도 10, 도 11(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8)는, 그 V형 부분(17)의 각도가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단선 E-E'의 단면으로부터 절단선 F-F'의 단면을 향함에 따라, V형 부분(17)의 각도는 작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부착 부재(3)의 오목부(8)에 대한 접착 면적도 일정하지 않고, 절단선 E-E'의 단면으로부터 절단선 F-F'의 단면을 향함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부착 부재(3)의 점착력은, 절단선 F-F'의 단면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 5는, 부착 부재(3)의 점착력을 부분마다 제어하고 싶은 경우에 유효하다. 또, 이와 같이, 부착 부재(3)는, 저면이 평탄하지 않은 부분에 부착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술의 실시 형태 1~5에 나타낸 양태 이외의 양태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부착 부재(3) 대신에, 도 12~도 19에 나타내는 부착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실시 형태 1~5에 있어서, 도 3, 도 5, 도 7, 도 9,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부착 부재(3)를 제1예로 하고, 도 12~도 19 각각 나타난 부착 부재를 제2예~제9예로 하여, 이하에 제2예~제9예의 부착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2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a)는 점착재층측에서 본 평면도, 도 12(b)는 도 12(a) 중의 절단선 G-G'를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는 부착 부재(18)에 있어서는, 점착재층(11)은, 도 3에 나타낸 예와 달리, 인쇄층(10)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 않다. 부착 부재(18)에 있어서의 점착재층(11)의 점착력은, 도 3에 나타낸 부착 부재(3)의 점착재층(11)의 점착력보다 약해져 있다. 즉, 제2예에서는, 점착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점착력이 약해져 있다. 제2예는, 부착 부재의 박리가 빈번하게 행해지는 경우에 유효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3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부착 부재(19)에 있어서는, 그것을 관통하도록, 관통 구멍(19a 및 19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관통 구멍(19a 및 19b) 각각에 봉(棒)부재(24)를 삽통(揷通)하고, 2개의 봉부재(24)를 파지수(把持手)로서 이용하면, 간단하게 부착 부재(19)를 박리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제3예의 부착 부재(19)를 이용하면, 사용자에 있어서, 부착 부 재(19)의 바꿔 붙이기의 손쉬움이 촉진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4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예의 부착 부재(30)는, 점착재층(11)과 미끄럼 방지층(32)을 구비하고 있다. 또, 입상(粒狀)의 식별 부재(31)가, 미끄럼 방지층(32)의 내부에서 분산한 상태로 있다. 그리고, 식별 부재(31)는, 발광성 재료나, 열변색성 재료, 광반사성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32)의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여기서, 발광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축광(蓄光) 재료나, 형광 재료를 들 수 있다. 축광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민산 스트론튬(SrAl204)으로 형성된 결정 모체에, 유로퓸(Eu)이나 디스프로슘(Dy) 등의 희토류 원소를 첨가해 얻어진 것, 황화 아연(ZnS)에 구리(Cu)를 첨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형광 재료로서는,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나, 테트라메틸로다민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열변색성 재료로서는, 로이코 염료(leuco dye) 등의 발색제와, 현색제와, 변색 온도 조정제를 함유하고, 어느 온도가 되면 발색제와 현색제가 결합하여 발색하는 재료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빠이롯트사(PILOT Corporation) 제조의 메타모 칼라(등록상표)를 들 수 있다. 반사성 재료로서는, 금속 재료, 유리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32)은, 도 3에 나타낸 미끄럼 방지층(9)의 형성 재료와 동일 한 형성 재료를 이용해 형성할 수 있다. 단, 미끄럼 방지층(32)은, 제4예에 있어서는, 식별 부재(31)에 외부로부터 광이 입사하도록, 광투과성을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또, 점착재층(11)은, 도 3에 나타난 점착재층(11)과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착 부재(30)는 외부로부터 잘 눈에 띄기 때문에, 의료 기기에 부착 부재(30)를 적용하면, 특히, 시력이 약한 환자에 있어서, 자기의 의료 기기의 식별이 용이한 것이 된다. 또, 식별 부재(31)의 형성 재료로서 상술의 열변색성 재료를 이용했을 경우는, 식별 부재(31)는, 사용자의 체온이나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여 변색한다. 그리고, 열변색성 재료가 변색을 개시하는 온도를, 의료 기기가 사용 가능한 온도의 상한(예를 들면 40℃)과 하한(예를 들면 10℃)으로 설정하면, 사용자는, 식별 부재(31)의 색에 의해, 의료 기기가 사용 가능한 온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5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예의 부착 부재(40)는, 점착재층(11)과 미끄럼 방지층(42)의 사이에, 식별층(41)을 구비하고 있다. 식별층(41)은, 발광성 재료나 광반사성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42)의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여기서, 발광성 재료로서는, 제4예에 있어서 기술한 것을 들 수 있다. 단, 제5예에 있어서는, 발광성 재료는 층형상으로 성형된다. 또, 광반사성 재료로서는, 금속 재료나 재귀성 반사 재료를 들 수 있다. 금속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이나 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재료는 박(箔)형상 또는 박막 형상으로 성형 된다. 또, 재귀성 반사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직경이 50μm~500μm 정도인 다수의 글라스 비드를 면 상에 배열하여 형성된 시트 재료를 들 수 있다.
또, 제5예에 있어서도, 제4예와 마찬가지로, 미끄럼 방지층(42)에는, 식별층(41)에 외부로부터 광을 입사시키기 위한 광투과성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지만, 그 이외의 점에서는, 미끄럼 방지층(42)은, 도 3에 나타난 미끄럼 방지층(9)과 마찬가지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점착재층(11)은, 도 3에 나타난 점착재층(11)과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착 부재(40)도 외부로부터 잘 눈에 띄기 때문에, 의료 기기에 부착 부재(40)를 적용했을 경우도, 특히, 시력이 약한 환자에 있어서, 자기의 의료 기기의 식별이 용이한 것이 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6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부재(50)는, 점착제층(11)과, 미끄럼 방지층(52)과, 식별층(51)을 차례로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다. 식별층(51)은, 도 14에 나타난 제4예의 식별층(41)과 마찬가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52)의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제6예에서는, 식별층(51)은, 도 14에 나타난 제4예의 설명에서 기술한 열변색성 재료를 이용해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는, 제4예와 마찬가지로, 식별층(51)은, 사용자의 체온이나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여 변색한다. 그리고, 열변색성 재료가 변색을 개시하는 온도를, 의료 기기의 사용 가능한 온도의 상한과 하한으로 설정하면, 사용자는, 식별부재(31)의 색에 의해, 의료 기기가 사용 가능한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6예에 있어서는, 미끄럼 방지층(52)에 있어서의 광투과성의 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미끄럼 방지층(52)으로서는, 도 3에 나타난 미끄럼 방지층(9)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11)은, 도 3에 나타난 점착재층(11)과 동일한 것이다. 제6예에서는, 식별층(51)이 최상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의료 기기에 부착 부재(50)를 적용했을 경우는, 사용자(특히, 시력이 약한 환자)에 있어서의 식별 용이성은 더 향상하게 된다.
또, 제6예는, 식별층(51) 대신에, 시트형상의 온도계가 부착된 양태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형상의 온도계로서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구비한 액정 온도계를 들 수 있다. 액정 온도계는, 예를 들면, 10℃, 15℃, 20℃, 25℃, 30℃, 35℃, 40℃와 같이, 대부분의 온도를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도, 식별층(51)이 열변색성 재료를 이용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의료 기기가 사용 가능한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7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제7예의 부착 부재(60)는, 제1예~제6예의 부착 부재와 달리, 사용자를 릴랙스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부재(60)는, 점착재층(11)과, 분리층(61)과, 방향 성분 함침층(62)과, 미끄럼 방지층(63)을 구비하고 있다. 분리층(61) 및 방향 성분 함침층(62)은, 차례로, 점착제층(11)의 한쪽측에 적층되고, 또한, 미끄럼 방지층(63)은, 점착제층(11)의 한쪽측에, 분리층(61) 및 방향 성분 함침층(62)을 덮도 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63)의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방향 성분 함침층(62)은, 다공질 재료에,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함침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다공질 재료로서는, 제1예의 미끄럼 방지층(9)의 형성 재료로서 든 수지 재료나 고무 재료를 출발 재료로 하여, 이것을 발포시켜 얻어지는 다공질 재료를 들 수 있다.
방향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로서는, 오렌지 오일(orange oil), 레몬 오일(lemon oil), 라임 오일(lime oil), 페티트그레인 오일(petitgrain oil), 유자 오일, 네롤리 오일(neroli oil), 베르가못 오일(bergamot oil), 라벤더 오일, 라반딘 오일, 아비에스 오일(abies oil), 베이 오일(bay oil), 일랑일랑 오일(ylang-ylang oil), 샌달우드 오일(sandalwood oil), 랍다넘 오일(labdanum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제라늄 오일, 페퍼민트 오일, 페퍼민트 오일, 스비어민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레몬그라스 오일(lemongrass oil), 배출리 오일, 자스민 오일(jasmine oil), 장미 오일, 시더 오일(cedar oil), 베티버 오일(vetiver oil), 갈바눔 오일(galbanum oil), 오크모스 오일(oakmoss oil), 바인 오일, 장뇌 오일(camphor oil), 백단 오일, 리날로올(linalool), 제라니올(gerani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l-멘톨(l-menthol), 보르네올(borneol), β-페닐에틸 알코올(β-phenylethyl alcohol), n-노닐 알데하이드(n-nonyl aldehyde), 시트랄(citral), 신남 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릴리알(lilial), 바닐린(vanillin), 장뇌, 이오논(ionone), 에틸렌 브라실레이 트(ethylene brassylate), 갈락솔리드(galaxolid),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등을 들 수 있다.
미끄럼 방지층(63)은, 방향 성분 함침층(62)에 포함되는 방향 성분이 통과 가능한 것이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방지층(63)으로서도, 상술의 다공질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단, 미끄럼 방지층(63)은, 사용자의 손이 닿는 부분이며,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방지층(63)을 형성하는 다공질 재료로서는, 구멍 직경이 300μm~3000μm 정도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층(61)은, 방향 성분 함침층(62)에 포함되는 방향 성분과, 점착제층(11)에 포함되는 점착재의 반응을 저지하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분리층(61)으로서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11)은, 도 3에 나타난 점착재층(11)과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부착 부재(60)가 부착된 의료 기기를 잡으면, 부착 부재(60)로부터 방향 성분이 발산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방향 성분에 의해, 릴랙스할 수 있다. 또, 특히, 사용자가 질환을 앓은 환자인 경우는, 방향 성분에 의해, 고통의 완화가 도모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사용자가 향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을 경우는, 사용자는, 부착 부재(60)로부터의 향기에 의해, 자기의 의료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8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제8예의 부착 부재(70)는, 제1예~ 제7예의 부착 부재와 달리, 압력을 받으면 소리를 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부재(70)는, 점착재층(11)과, 회로 기판(71)과, 미끄럼 방지층(73)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71)은, 압력 센서(72) 및 박형의 스피커(74)를 실장하고 있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73)의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회로 기판(71)은, 점착제층(11)의 한쪽측에 배치되고, 스피커(74)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스피커(7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이들 회로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 또, 전원 회로에는, 전지(도시하지 않음)도 구비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층(73)은, 회로 기판(71), 압력 센서(72) 및 스피커(74)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력 센서(72)는, 미끄럼 방지층(73)에 대한 가압을 검지(檢知) 가능한 것이면 된다. 도 18의 예에서는, 압력 센서(72)는, 피에조 저항 소자가 형성된 다이어프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미끄럼 방지층(73)이 가압되고, 그에 따라 다이어프램이 변형하면, 피에조 저항 소자의 전기 저항이 변화하며, 동시에, 압력 센서(72)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레벨도 변화한다.
회로 기판(71)에 구비된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는, 압력 센서(72)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레벨을 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미끄럼 방지층(73)이 가압된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구동 회로는, 미끄럼 방지층(73)의 가압을 검지하면, 전원 회로에, 스피커(74)로의 전력 공급을 행하게 하고, 스피커(74)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리를 출력시킨다.
미끄럼 방지층(73)으로서는, 도 3에 나타난 미끄럼 방지층(9)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17에 나타난 미끄럼 방지층(63)과 마찬가지로, 미끄럼 방지층(73)으로서도, 다공질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11)은, 도 3에 나타난 점착재층(11)과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부착 부재(70)가 부착된 의료 기기를 잡으면, 부착 부재(70)로부터 소리가 출력된다. 제8예의 부착 부재(70)는, 특히, 손가락끝의 촉각이 둔해진 환자에 대해서 유효하다. 또, 부착 부재(70)에 있어서는, 미끄럼 방지층(73)에 걸리는 압력에 역치를 설정하여, 설정된 역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는, 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환자는, 부착 부재(70)로부터의 소리에 의해, 의료 기기를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환자의 파지 기능의 강화 훈련에도 연결된다.
또, 출력되는 소리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부착 부재(70)로부터의 소리에 의해, 자기의 의료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부착 부재(70)로부터 음악이 출력되도록 하면, 사용자는, 그에 따라 릴랙스할 수 있다. 또, 특히, 사용자가 질환을 앓은 환자인 경우는, 음악에 의해, 고통의 완화가 도모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부착 부재(70)가 부착된 의료 기기는, 사용자가 잘못해서 낙하시켰을 경우도 소리를 출력한다. 따라서, 특히, 사용자가 난청이나 맹목인 경우에, 유효하다.
도 1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부착 부재의 제9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난 단면은, 부착 부재(80)를 장축 방향 을 따라 절단해 얻어지는 단면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제9예의 부착 부재(80)는, 제1예~제8예의 부착 부재와 달리,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오목부(82)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부재(80)는, 점착재층(11)과, 그 한쪽의 측에 배치된 미끄럼 방지층(81)을 구비하고 있다. 미끄럼 방지층(81)에는, 4개의 오목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층(81)의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각 오목부(82)는, 부착 부재(80)가 부착된 의료 기기를 사용자가 파지할 때에, 그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부착 부재(80)의 단축(短軸)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2)의 수, 폭, 깊이 등은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목부(82)가 설치된 미끄럼 방지층(81)은, 도 3에 나타낸 미끄럼 방지층(9)의 형성 재료와 동일한 형성 재료를 틀에 흘려 넣고, 이것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오목부(82)의 배치 및 형상을 사용자의 손의 형태에 맞추는 경우는, 다음의 절차로 미끄럼 방지층(81)을 형성하면 된다. 먼저, 사용자의 손의 형태를 실리콘 고무 등으로 본뜨고, 이 틀로부터 수틀(male mold)을 작성한다. 이어서, 이 수틀로부터 암틀(female mold)을 작성하여, 이 암틀에 형성 재료를 흘려 넣으면, 각 오목부(82)의 배치 및 형상이 사용자의 손의 형태에 정합한, 미끄럼 방지층(81)이 형성된다. 또, 도 17에 나타난 미끄럼 방지층(63)으로서도, 미끄럼 방지층(81)이라고 해도, 다공질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11)은, 도 3에 나타난 점착재층(11)과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착 부재(80)가 부착된 의료 기기는, 사용자에 있어서 유지하기 쉬운 것이 된다. 제9예의 부착 부재(80)도, 제8예의 부착 부재(70)와 마찬가지로, 특히, 사용자가, 손가락끝의 촉각이 둔해진 환자인 경우에 유효하다. 또, 사용자는, 손으로 더듬음으로써 확실히 의료 기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력이 약한 환자인 경우에도 유효하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 형태 1~실시 형태 5에 나타낸 의료 기기는, 각각 독자적인 기능도 구비하고 있고, 여러가지 사용자의 취향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실시 형태 5에 나타낸 의료 기기는, 사용자의 희망에 따른 커스터마이즈가 실시된 상태로, 판매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자기의 컴퓨터 장치의 화면 상에, 커스터마이즈된 상태의 가상의 의료 기기를 표시할 수 있고, 그리고, 표시된 의료 기기를 구입할 수 있는 판매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판매 시스템은, 판매용의 Web 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자기의 단말 장치로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면 된다. 이 판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는, 부착 부재의 종류(도 3, 도 12~도 19 참조), 하우징의 오목부의 형상, 하우징의 색 등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어 자신만의 의료 기기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의료 기기, 특히 휴대형의 소형의 의료 기기의 외관의 변경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의료 기기는,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14)

  1. 생체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로서,
    하우징과 부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오목부가 설치되고,
    상기 부착 부재가,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는, 의료 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계측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가, 상기 표시 화면이 설치된 면에 인접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는, 의료 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그 개구(開口) 가장자리와 상기 부착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의료 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당해 의료 기기가 상기 간극을 막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탄성체를 통해 상기 오목부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커버가 외력에 의해 상기 오목부의 내측을 향해 가압되면 탄성변형하는, 의료 기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오목부의 외주(外周)를 따라 홈이 설치되어 있는, 의료 기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단면의 바닥측이 V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인쇄층과,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재층, 상기 인쇄층, 및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의료 기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광투과성을 가지며, 또한,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그 내부에서 분산되어 있는 입상(粒狀)의 식별 부재를 가지며,
    상기 식별 부재는, 발광성 재료, 열변색성 재료, 및 광반사성 재료의 어느 하나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식별층과, 광투과성을 가지며, 또한,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재층, 상기 식별층, 및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식별층은, 발광성 재료 또는 광반사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과, 식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재층, 상기 미끄럼 방지층, 및 상기 식별층은,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식별층은, 발광성 재료, 열변색성 재료, 및 광반사성 재료의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 성분 함침층과, 다공성을 가지며, 또한,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향 성분 함침층은, 상기 점착제층의 한쪽측에 배치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상기 점착제층의 한쪽측에, 상기 방향 성분 함침층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압력 센서 및 스피커를 실장(實裝)하는 회로 기판과,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점착제층의 한쪽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층은, 상기 점착재층의 한쪽측에,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스피커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가, 점착재층과, 수지 재료 또는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미끄럼 방지층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층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KR1020097026654A 2007-12-10 2008-11-26 휴대형의 의료 기기 KR101408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18327 2007-12-10
JPJP-P-2007-318327 2007-12-10
PCT/JP2008/003474 WO2009075066A1 (ja) 2007-12-10 2008-11-26 医療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35A true KR20100010035A (ko) 2010-01-29
KR101408542B1 KR101408542B1 (ko) 2014-06-17

Family

ID=4075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654A KR101408542B1 (ko) 2007-12-10 2008-11-26 휴대형의 의료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68526A1 (ko)
EP (1) EP2220998A4 (ko)
JP (2) JP4820906B2 (ko)
KR (1) KR101408542B1 (ko)
CN (1) CN101686813B (ko)
TW (1) TWI424833B (ko)
WO (1) WO20090750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90632B (zh) 2008-04-07 2013-12-04 爱科来株式会社 医疗设备及罩构造
BR112012023540B1 (pt) 2010-03-18 2019-07-09 Nokia Technologies Oy Um alojamento de um dispositivo eletrônico portátil
US8615849B2 (en) 2010-04-14 2013-12-31 Cjd Llc Cord management system
US9110580B2 (en) 2011-08-05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D803825S1 (en) 2016-08-11 2017-11-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CN106618657A (zh) * 2016-12-08 2017-05-10 河南威浦仕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带感染显示的伤口吻合装置
US11602278B2 (en) * 2017-12-27 2023-03-14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Apparatus for assessing user frailty
USD920970S1 (en) * 2018-01-25 2021-06-01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CN109567824B (zh) * 2019-01-18 2021-09-14 姬梅真 一种便携式血糖检测仪及其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483U (ja) * 1983-07-04 1985-01-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ケ−ス表面へのフエイスシ−ト取付構造
JPS61126283U (ko) * 1985-01-24 1986-08-08
JPS6235386U (ko) * 1985-08-21 1987-03-02
JPS6278690U (ko) * 1985-11-01 1987-05-20
JP2704202B2 (ja) * 1993-07-30 1998-01-26 日本プラパレット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H08178757A (ja) * 1994-12-20 1996-07-12 Pigeon Corp 体温計
DE69633361T2 (de) * 1995-05-12 2005-09-22 Seiko Epson Corp. Am Arm getragene Vorrichtung und Vorrichtung zur Messung von Pulswellen
US5795301A (en) * 1995-08-31 1998-08-18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method used in portable pulse measuring device
US6243651B1 (en) * 1996-12-17 2001-06-05 Omron Corporation Healthcare data acquisition device
JPH11252225A (ja) * 1998-02-27 1999-09-17 Kenwood Corp 移動体通信端末
US7112175B2 (en) * 1998-05-26 2006-09-26 Ineedmd.Com Tele-diagnostic device
JP2001017404A (ja) * 1999-07-09 2001-01-23 Koike Medical:Kk 医療用測定装置
US6458326B1 (en) * 1999-11-24 2002-10-01 Home Diagnostics, Inc. Protective test strip platform
US6393328B1 (en) * 2000-05-08 2002-05-21 International Rehabilitative Sciences, Inc.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o-medical device
JP2001329670A (ja) 2000-05-22 2001-11-30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滑り防止テープ
JP4723732B2 (ja) * 2000-07-12 2011-07-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脈検出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
JP2004515291A (ja) * 2000-10-26 2004-05-27 ヘルセ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身体に支持された活動及び状態モニタ
EP1399059B1 (en) * 2001-05-18 2006-08-30 Polymer Technology Systems, Inc. Body fluid test apparatus with detachably mounted portable tester
JP2002345979A (ja) * 2001-05-28 2002-12-03 Ya Man Ltd パルス健康器
US20030021729A1 (en) * 2001-07-26 2003-01-30 Bayer Corporation Removable cover for a glucose meter
US6962569B2 (en) * 2001-10-18 2005-11-08 Md Systems, Inc. Isometri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030204313A1 (en) * 2002-04-26 2003-10-30 Yao Ou-Yang Biosensing meter
US7103407B2 (en) * 2002-06-28 2006-09-05 Nokia Corporation Body fa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mobile terminal
JP2004313269A (ja) 2003-04-11 2004-11-11 Abbott Japan Co Ltd 医療機器のための保護カバー
JP2005046215A (ja) * 2003-07-30 2005-02-24 Omron Healthcare Co Ltd 携帯型心電計
DE10360786B4 (de) * 2003-12-23 2005-12-22 Roche Diagnostics Gmbh Analysehandgerät
JP2005185756A (ja) * 2003-12-26 2005-07-14 Omron Healthcare Co Ltd 携帯型心電計
US20070207554A1 (en) * 2004-02-26 2007-09-06 Lin Alex C C Medical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arameters
US20080051667A1 (en) * 2004-05-16 2008-02-28 Rami Goldreich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At The Hand
US8545415B2 (en) * 2004-05-26 2013-10-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ortable alveolar gas meter
JP4571824B2 (ja) * 2004-06-08 2010-10-27 日本精密測器株式会社 健康指標測定用電子機器
TWI279222B (en) * 2004-10-12 2007-04-21 Tyson Biores Inc Multifunctional portable medical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
US20060189871A1 (en) * 2005-02-18 2006-08-24 Ammar Al-Ali Portable patient monitor
TWM281598U (en) * 2005-04-15 2005-12-01 Taidoc Technology Corp Medical treatment device and system having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JP2007029702A (ja) * 2005-06-20 2007-02-08 Nippon Seimitsu Sokki Kk 光電式生体情報測定装置の指先クリップ
JP3121267U (ja) * 2005-11-18 2006-05-18 武夫 大森 健康確認又促進時使用器具
US7389870B2 (en) * 2005-12-05 2008-06-24 Robert Slappay Instrument caddy with anti-magnetic shield
CN101404933B (zh) * 2006-03-22 2010-12-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血液检查装置
US20070270909A1 (en) * 2006-05-22 2007-11-22 Saketkhou B Benjam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defibrillator
TWM312975U (en) * 2006-12-27 2007-06-01 Health & Life Co Ltd Medical measuring device
US20080221930A1 (en) * 2007-03-09 2008-09-11 Spacelabs Medical, Inc. Health data collection tool
EP1974658B1 (de) * 2007-03-28 2009-11-25 Roche Diagnostics GmbH Schlossmechanismus zum Verriegeln eines Analysegerätes in der Produktion
JP2009136607A (ja) * 2007-12-10 2009-06-25 Arkray Inc 医療機器
EP2448481A4 (en) * 2009-07-01 2013-05-15 Ind Res Ltd MEAS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10482B2 (ja) 2014-02-05
CN101686813B (zh) 2013-01-02
JPWO2009075066A1 (ja) 2011-04-28
US20100168526A1 (en) 2010-07-01
WO2009075066A1 (ja) 2009-06-18
EP2220998A4 (en) 2013-03-13
CN101686813A (zh) 2010-03-31
KR101408542B1 (ko) 2014-06-17
JP4820906B2 (ja) 2011-11-24
TW200924715A (en) 2009-06-16
JP2011235192A (ja) 2011-11-24
TWI424833B (zh) 2014-02-01
EP2220998A1 (en)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542B1 (ko) 휴대형의 의료 기기
JP4971306B2 (ja) タイマを有する積層ラベル構造
US8603032B2 (en) Medical device with membrane keypad sealing element,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JP2015503186A (ja) 感圧照明システム
CN104640674A (zh) 具有便携式电子设备外壳的内部凹陷区域的暴露玻璃制品
US20060057313A1 (en) Label having transparent and opaque areas
US20140158789A1 (en) Membrane air freshener with direct dome lable
JP2020534578A (ja) 微細突起文様を有する接着減少層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195410A (ja) まぶた装粧具とその製造方法
US20120095399A1 (en) Medical device and related assembly having an offset element for a piezoelectric speaker
KR101121899B1 (ko) 의료 기기
JP2007121974A (ja) 表面に摩滅防止用の皮膜層(1)をもうけた、大型文字等の印刷物(2)の下面に、非接着体の表面形状に応じて任意に変形する簡易変形素材(3)を圧着し、さらにその簡易変形素材(3)の下面に非接着体への密着を目的とする接着剤(4)を有する構造からなる、シ−ル形状物。
US20070235295A1 (en) Apparatus having user input device with changeable indicia
AU2003274255A1 (en) Customised multi-layer card comprising fracture initiation scores and method of producing one such card
JP2016006465A (ja) 表示装置
EP2220994A1 (en) Medical device
KR100843286B1 (ko) 라벨시트를 가지는 주사기
JP2008090430A (ja) 入力装置
CN211355967U (zh) 一种手环
JP2003022015A (ja) 二層タックラベル及び注射筒用タックラベル
KR200426942Y1 (ko) 주차 알림판
US200901981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ed operating instruction for physiological measuring instrument
US200600536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configurable switch
JP2018132543A (ja) 認識用ベルト
TW201825081A (zh) 具溫度或時間感測辨識之肌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822

Effective date: 201402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