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899B1 - 의료 기기 - Google Patents

의료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899B1
KR101121899B1 KR1020107003719A KR20107003719A KR101121899B1 KR 101121899 B1 KR101121899 B1 KR 101121899B1 KR 1020107003719 A KR1020107003719 A KR 1020107003719A KR 20107003719 A KR20107003719 A KR 20107003719A KR 101121899 B1 KR101121899 B1 KR 101121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information
base material
prot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435A (ko
Inventor
마사유키 구보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3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85Electrical and electronic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for physical analysis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e.g. user interface or 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8Sensors provided with means for identification, e.g. barcodes or memory ch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95Calibrating or testing of in-vivo probes

Abstract

생체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1)이다. 의료 기기(1)는, 측정 장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본체(2)와, 시트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부재(3)는, 한쪽의 주면에 사용자에 관한 정보(4)를 표시하고, 다른쪽의 주면이 본체(2)의 외표면에 부착된다. 시트 부재(3)는, 시트형상의 기재(6)와, 기재(6)의 한쪽의 주면(6a)에 형성된 보호층(5)과, 기재(6)의 다른쪽의 주면(6b)에 형성된 점착재층(7)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보호층(5)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재(6)의 한쪽의 주면(6a)에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4)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의료 기기{MEDICAL DEVICE}
본 발명은, 의료 기기, 특히 휴대형 의료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의료 기기의 소형화가 촉진되고, 예를 들면, 혈당치계, 혈압계, 심박계 등에 있어서는, 휴대가 가능한 정도로까지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 중, 특히, 혈당치계는, 당뇨병 환자에게 필수의 의료 기기이며, 항상 환자가 가지고 다님으로써, 매우 퍼스널성이 높은 의료 기기이다.
또, 이 퍼스널성이 높음으로써, 혈당치계와 같은 휴대형 의료 기기에 있어서는, 외관으로부터, 그것을 사용하는 환자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은, 환자의 성명 등의 정보가 표시된 보호 커버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보호 커버를 의료 기기에 부착하면, 간단하게 외관으로부터 의료 기기의 사용자가 특정된다. 또, 특허 문헌 2도, 특허 문헌 1과 같은 보호 커버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보호 커버에 환자의 성명 등을 표시함으로써도, 특허 문헌 1의 보호 커버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2003-107092호 공보(제5 페이지, 제2 도)]
[특허 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 2004-313269호 공보(제5 페이지, 제6 도)]
그러나, 상기의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된 보호 커버는, 의료 기기의 전면 및 측면을 모두 덮는 구조를 구비하고, 그 제작에는 금형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코스트가 높고, 환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게 된다. 또, 상기의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보호 커버는, 구조상,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의료 기기의 소형화에 지장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의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된 보호 커버는, 부착 대상이 되는 의료 기기의 외형에 맞추어 제작된 전용품이다. 따라서, 환자가 다른 의료 기기나 새로운 기기로 변경했을 경우는, 거기에 맞추어, 보호 커버도 새롭게 할 필요가 있고, 이 점으로부터도, 상기의 보호 커버는 환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 코스트의 증대화 및 기기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외관에 표시할 수 있는, 의료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생체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로서, 측정 장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본체와, 시트형상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는, 한쪽의 주면에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다른 쪽의 주면이 상기 본체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는, 정보는 시트형상의 부재에 표시되므로, 종래와 같은 보호 커버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또, 본 발명은, 의료 기기의 본체의 형상에 좌우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 기기의 코스트의 증대화가 억제되고,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경감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 기기의 대형화의 억제도 도모된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의 한쪽의 주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형성되고,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가, 그 배치, 형상,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당해 의료 기기의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현하고 있는 형태(제1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형태에 의하면, 특히, 사용자인 환자의 시력이 약한 경우에, 환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상기 측정 장치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한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형태(제2 형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제2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의료 기관은, 환자로부터, 사용하고 있는 의료 기기의 시트형상의 부재만을 모음으로써, 환자의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 그 때, 환자에게, 새로운 시트형상의 부재를 의료 기기에 붙이도록 하면, 환자는, 의료 기기를 맡기지 않고, 계측을 속행할 수 있다. 이것은, 환자가 당뇨병 환자이며, 의료 기기가 혈당치계인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시트형상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보호층과, 상기 기재의 다른쪽의 주면에 형성된 점착재층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층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형태(제3 형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제3 형태에 의하면, 표시된 정보의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제3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상기 보호층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형상의 식별 부재를 가지며, 상기 식별 부재는, 그것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상기 기재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보와 겹치지 않도록 분산되고, 한편, 발광성 재료, 열변색성 재료, 및 광반사성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시트형상의 부재에 표시되는 정보가 외부로부터 눈에 띄기 때문에, 사용자에 있어서, 정보의 위치의 파악이 용이해진다. 또, 정보의 인식이 곤란한 환경하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있어서의 정보의 인식이 보조된다.
또한, 제3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층의 사이에 식별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식별층은, 발광성 재료 또는 광반사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시트형상의 부재에 표시되는 정보가 외부로부터 눈에 띄기 때문에, 사용자에 있어서, 정보의 위치의 파악이 용이해진다. 또, 정보의 인식이 곤란한 환경하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있어서의 정보의 인식이 보조된다.
또, 제3 형태에서는,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상기 보호층을 덮는 식별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식별층은,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보와 겹치는 개소에 개구를 구비하고, 또한, 발광성 재료, 열변색성 재료, 및 광반사성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도, 시트형상의 부재에 표시되는 정보가 외부로부터 눈에 띄기 때문에, 사용자에 있어서, 정보의 위치의 파악이 용이해진다. 또, 정보의 인식이 곤란한 환경하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있어서의 정보의 인식이 보조된다.
또, 제3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무선 또는 광에 의해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전자 회로를 가지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의료 기관은, 환자(사용자)의 병동에서의 입퇴출이나 위치를 관리할 수 있다. 또, 의료 기관은, 환자 각각의 의료 기기의 병동 내에서의 이동의 이력을 관리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가 자기의 의료 기기를 어디엔가 잊고 와도, 즉석에서, 잊고 온 장소의 특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시트형상의 부재에, 전자 화폐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제3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 성분 함침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향 성분 함침층은, 상기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방향 성분 함침층을 덮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방향 성분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통기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사용자는, 방향 성분에 의해, 릴렉스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질환을 앓는 환자인 경우는, 방향 성분에 의해, 고통의 완화가 도모된다.
또한, 제3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상기 보호층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지 가능한 압력 센서와, 스피커와, 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스피커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환자(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소리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손끝의 촉각이 둔해져 버린 환자에 대해서 유효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의하면, 코스트의 증대화의 억제와, 기기의 대형화의 억제를 도모하면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외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의료 기기에 구비된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2(a) 중의 절단선 X-X'에 따라 얻어진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나타낸 의료 기기에 구비된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 중의 절단선 Y-Y'에 따라 얻어진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c)는, 각각 다른 예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다른 예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 중의 절단선 Z-Z'에 따라 얻어진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의료 기기에 구비된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단면은, 도 7 중의 절단선 W-W'에 따라 얻어지는 단면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의료 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 중의 절단선 A-A'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b)는, 도 10 중의 절단선 B-B'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제작 방법의 일례(제1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a)~도 12(c)는 각각 주된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a)~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제작 방법의 다른 예(제2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3(a)~도 13(c)는 각각 주된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 중의 절단선 C-C'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b)는, 도 14 중의 절단선 D-D'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a)은, 도 16 중의 절단선 E-E'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7(b)는, 도 16 중의 절단선 F-F'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a)는, 도 20 중의 절단선 G-G'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1(b)는, 도 20 중의 절단선 H-H'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의료 기기에 구비된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2(a) 중의 절단선 X-X'에 따라 얻어진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료 기기(1)는, 생체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 예를 들면, 혈당치계, 혈압계, 젖산치계, 케톤체 측정 장치, 체온계, 뇨시험지계, 지질 측정 장치 등이다. 의료 기기(1)의 본체(2) 내부에는, 용도에 따른 측정 장치(도 1에 있어서 도시 생략)가 수납되어 있다. 또, 의료 기기(1)는, 손바닥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고, 환자, 의사, 간호사 등의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의료 기기(1)는, 휴대형의 혈당치계이며, 환자의 혈액의 혈당치를 측정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환자의 혈액은, 센서(9)에 의해 제공되고, 본체(2)는, 직사각형형상의 센서(9)를 삽입하기 위한 센서 삽입구(8)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9)는 내부에 시약을 가지고 있고, 혈액은 미리 센서(9) 내부에서 시약과 반응한다. 본체(2) 내부의 측정 장치는, 비색 방식 또는 전기화학 방식에 의해, 시약과 반응한 혈액으로부터 혈당치를 측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측정 장치에 의한 측정은, 센서(9)가 센서 삽입구(8)에 삽입되면 바로 개시된다. 측정 결과는, 본체(2)에 설치된 표시 화면(10)에 표시된다.
또, 도 1,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료 기기(1)는, 이와 같은 종래부터의 구성에 더하여, 또한 시트형상의 부재(이하, 「시트 부재」라고 한다.)(3)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부재(3)는, 한쪽의 주면(3a)에 있어서 사용자에 관한 정보(4)를 표시하고, 다른쪽의 주면(3b)이 본체(2)의 외표면(2a)(도 2(b) 참조)에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에 관한 정보(4)로서는, 사용자가 되는 환자의 성명, 환자의 병원에서의 ID번호, 환자가 통원하고 있는 병원명, 병원에 있어서의 담당 병동, 담당 의사의 성명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에 관한 정보(4)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는, 특허 문헌 1 및 2가 개시하는 보호 커버를 이용하지 않고, 환자의 성명 등의 정보를 기기의 외부를 향해 표시할 수 있다. 또, 시트 부재(3)는,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된 보호 커버에 비해, 싼 코스트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3)는, 그 바닥 면적에 상당하는 평면이면 어디에라도 부착할 수 있으므로, 의료 기기(1)의 본체(2)의 형상이 바뀌어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에 의하면, 의료 기기의 코스트의 증대화를 억제할 수 있고, 환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에 의하면, 의료 기기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 부재(3)는,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된 보호 커버와 달리, 부피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복수개를 관리하는 경우의 관리 공간이 작아도 되고, 그 관리는 용이하다.
또,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3)는, 시트형상의 기재(6)와, 기재(6)의 한쪽의 주면(6a)에 형성된 보호층(5)과, 기재(6)의 다른쪽의 주면(6b)에 형성된 점착재층(7)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관한 정보(4)는, 기재(6)의 한쪽의 주면(6a)에 표시되고, 보호층(5)에 의해 덮인다. 그리고, 보호층(5)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므로, 사용자에 관한 정보(4)는, 시트 부재(3)의 주면(3a)에 표시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보호층(5)은, 수지 재료나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5)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AS 수지, 에폭시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와 같은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 보호층(5)을 형성하기 위한 고무 재료로서는, 실리콘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부틸 고무, 불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같은 고무 재료를 들 수 있다.
기재(6)로서는, 시트 부재(3)에 가요성을 부여하는 경우는,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필름과 같은 수지 필름, 또는 종이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부재(3)에 가요성을 부여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기재(6)로서는, 가요성이 부족한 재료, 예를 들면, 금속, 유리, 또는 경질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시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관한 정보(4)는, 레이저 프린터나 잉크젯 프린터 등을 이용한 인쇄에 의해, 기재(6)에 표시할 수 있다. 인쇄된 정보(4)는, 보호층(5)에 의해 보호되므로, 그 내구성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점착재층(7)의 형성 재료, 그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재층(7)의 형성 재료로서는, 본체(2)의 형성 재료에 따라, 기존의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택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점착재층(7)의 두께는, 요구되는 점착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한, 표시해야 할 정보(4)에 변경이 생긴 경우는, 시트 부재(3)를 박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점착재층(7)의 형성은, 그 점착력이 너무 강해지지 않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시트 부재(3)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시트 부재(3)는, 기재(6)와 점착재층(7)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시트 부재(3)는, 점착재 이외의 것, 예를 들면, 매직 테이프(등록상표) 등에 의해, 본체(2)의 외표면(2a)에 붙여져 있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서, 도 3~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나타낸 의료 기기에 구비된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 중의 절단선 Y-Y'에 따라 얻어진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1)는, 휴대형 혈당치계이며,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단, 의료 기기(11)는, 시트 부재(12)의 구조의 점에서,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도 1 및 도 2 참조)와 다르다.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12)의 한쪽의 주면(12a)에는, 볼록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볼록부(13)는 복수개 형성되고, 그 배치에 의해, 의료 기기(11)의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볼록부(13)는, 그것들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지각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부재(12)는, 볼록부(13)가 형성하는 화살표가 센서 삽입구(8)측을 향하도록 하여, 본체(2)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의료 기기(11)의 조작에 관한 정보는, 센서 삽입구(8)의 위치이다. 사용자는 시트 부재(12)로부터 센서 삽입구(8)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사용자가 되는 환자는, 시트 부재(12)를 만졌을 때의 감촉으로부터 센서 삽입구(8)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1)는, 특히, 환자의 시력이 약한 경우에 유효하고, 이 경우에 있어서의 환자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12)에 있어서, 볼록부(13)는, 시트형상의 기재(14)의 한쪽의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재층(15)은, 기재(14)의 볼록부(13)가 설치되지 않은 측의 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에 관한 정보(4)는, 기재(14)의 한쪽의 면에 있어서의, 볼록부(1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인쇄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복수개의 볼록부(13)의 배치는, 도 4(a)에 나타낸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 부재(12)의 다른 예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5(a)~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c)는, 각각 다른 예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c)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복수개의 볼록부(13)를 사용자가 만졌을 때에, 사용자는, 임의의 방향을 지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a)~(c)에 나타난 시트 부재(12)가 본체(2)(도 3 참조)에 붙여진 경우도, 사용자가 되는 환자는, 시트 부재(12)를 만졌을 때의 감촉으로부터 센서 삽입구(8)의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런데, 도 4(a)~도 5(c)에 나타낸 예에서는, 볼록부(13)의 배치에 의해, 의료 기기(11)의 조작에 관한 정보가 표현되어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 2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볼록부(13)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서, 의료 기기(11)의 조작에 관한 정보(센서 삽입구(8)의 위치)가 표현되어 있어도 된다. 이 점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c)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다른 예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 중의 절단선 Z-Z'에 따라 얻어진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볼록부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서 정보를 표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에서는, 시트 부재(12)의 한쪽의 주면(12a)에는, 형상 및 크기가 다른 4종류의 볼록부, 즉, 볼록부(16a), 볼록부(16b), 볼록부(16c), 및 볼록부(16d)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16a)는, 도 4(a)~도 5(c)에 나타낸 볼록부(13)와 같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6b)~볼록부(16d)는, 반구와 원주를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각각의 원주형상의 부분의 높이가 다르다. 원주형상의 부분의 높이는, 볼록부(16b)에 있어서 가장 낮고, 볼록부(16d)에 있어서 가장 높게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16a~16d)는, 형상 및 크기의 점에서 다르다.
그리고, 볼록부(16a)~볼록부(16d)는, 높이의 순서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볼록부(16a, 16b, 16c 및 16d) 각각 한개씩으로 구성된 각 열은, 서로 평행하며, 또한, 높이가 같은 볼록부가 서로 이웃하도록, 복수조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볼록부(16a)~볼록부(16d)를 만진 경우도, 사용자는, 임의의 방향을 지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난 시트 부재(12)가 본체(2)(도 3 참조)에 붙여진 경우도, 사용자가 되는 환자는, 시트 부재(12)를 만졌을 때의 감촉으로부터 센서 삽입구(8)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도 4(a)~도 6(c)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12)의 한쪽의 주면(12a)에 볼록부가 설치된 예가 설명되어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 2는,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의 형태 2는, 시트 부재(12)의 주면에, 볼록부 대신에 오목부가 설치된 형태나, 볼록부와 오목부가 설치된 형태이어도 된다. 이러한 형태이어도, 사용자는, 손가락 등으로 접촉함으로써 정보를 지각할 수 있다.
또, 도 4(a)~도 6(c)는, 높이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이 원형인 볼록부만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볼록부나 오목부의 단면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의 형태 2는, 예를 들면, 높이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이 화살표 모양이나 별 모양으로 된 볼록부나 오목부가, 시트 부재(12)에 형성된 모양이어도 된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서, 도 7~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의료 기기에 구비된 시트 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단면은, 도 7 중의 절단선 W-W'에 따라 얻어지는 단면이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단면에 나타난 선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7)는 휴대형 혈당치계이며,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 부재(18)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도 1 및 도 2 참조)와 같이, 한쪽의 주면(18a)에 사용자에 관한 정보(4)를 표시하고 있다.
단, 의료 기기(17)에 있어서, 시트 부재(18)의 구조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의 구조와 다르다. 또, 그에 따라, 의료 기기(17)는, 그 본체(2)의 내부에 구비된 측정 장치의 기능의 점에서도,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1)(도 1 및 도 2 참조)와 다르다.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18)는, 그 내부에, 측정 장치(28)(도 9 참조)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한 기억 장치(23)을 구비하고 있다. 기억 장치(23)에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4)의 전자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료 기기(17)의 본체(2)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18)의 부착이 예정된 영역에는, 기억 장치(23)와 본체(2)의 내부의 측정 장치(28)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19)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18)는, 기억 장치(23)와, 시트형상의 기재(21)와, 수지층(20)과, 기재(21)를 붙이기 위한 점착재층(22)을 구비하고 있다. 수지층(20)은, 기억 장치(23)와 함께 기재(21)를 피복하고 있다. 사용자에 관한 정보(4)는, 수지층(20)의 외측의 면에 인쇄되어 있다. 또, 도 8에 있어서, 수지층(20), 기재(21) 및 점착재층(22)의 해칭(hatching)은 생략하고 있다.
기재(21)는, 그것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도통로(25)를 구비하고 있다. 도통로(25)는, 기재(21)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도전성의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재(21)에는, 도통로(25)대신에, 도전성을 가지는 스루홀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억 장치(23)는, 기재(21)의 한쪽의 면상에, 그 전극 패드(26)가 도통로(25)의 일단에 접촉하도록 하여 탑재된다. 또, 기재(21)의 다른쪽의 면상에는, 도통로(25)의 타단에 접촉하도록 외부 전극(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전극(24)이, 본체(2)에 설치된 단자(19)에 접속되면, 측정 장치(28)(도 9 참조)와 기억 장치(23)의 사이에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점착재층(22)은, 기재(21)의 면상의 외부 전극(24)이 설치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9를 이용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장치(28)의 구성 및 기능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의료 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 장치(28)는, 측정부(126)와, 연산부(125)를 구비하고 있다. 측정부(126)는 센서(9)로부터 혈당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측정 장치(28)의 측정 방식으로서, 전기 화학 방식이 채용되고 있는 경우는, 센서(9)에 있어서, 혈액과 시약의 반응에 의해 페로시안이온이 발생한다. 그리고, 측정부(126)는, 혈당치 특정을 위한 정보로서, 페로시안이온의 산화 전류의 전류치를 측정한다. 측정된 전류치는, 측정부(126)로부터 연산부(125)로 출력된다.
연산부(125)는, 측정된 전류치로부터 혈당치를 산출한다. 이 때, 혈당치의 산출은, 검량선을 이용해 전류치를 혈당치로 변환함으로써 행해진다. 검량선은, 전류치와 혈당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며, 미리 실험에 의해 구해져 있다. 또, 연산부(125)는, 캘리브레이션에 의해 얻어진 보정치를 이용해, 산출된 혈당치에 대해서 보정을 행한다. 그리고, 연산부(125)는, 산출한 혈당치를 표시 화면(10)(도 7 참조)에 표시하기 위해, 표시부(27)에, 표시용 데이터를 출력한다. 표시부(27)는, 표시 화면(10)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또, 연산부(125)는, 산출한 혈당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기억 장치(23)에 출력한다.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연산부(125)는, 측정 일시, 산출에 이용한 검량 선, 보정치, 캘리브레이션를 행한 시기, 의료 기기(17)의 제조 번호(또는 기기에 설정된 ID 번호), 및 측정시에 생긴 에러 등을 특정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의료 기기(17)가, 고장 진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연산부(125)는, 고장 진단에 관한 정보를 기억 장치(23)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측정 장치(28)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에 의해, 기억 장치(23)는, 측정치를 포함하고, 의료 기기(17)에 관한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의료 기관의 관리 장치(관리용의 컴퓨터)(29)가, 기억 장치(23)로부터 정보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면, 의료 기관은, 환자로부터, 사용하고 있는 의료 기기(17)의 시트 부재(18)만을 모음으로써, 환자의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 그 때, 환자에게, 새로운 시트 부재(18)를 의료 기기(17)에 붙이도록 하면, 환자는, 의료 기기(17)를 맡기지 않고, 측정을 속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3)는, 의료 기관이, 관리 장치(29)를 통해, 예를 들면, 검량선이나 보정치에 수정을 더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는, 수정된 검량선이나 보정치를 격납하는 기억 장치(23)가, 측정 장치(28)에 접속되면, 연산부(125)가, 수정된 검량선이나 보정치를 독출하고, 독출한 정보를 이용해 측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로 하면, 의료 기기(17)에 있어서의 측정 정밀도의 향상이 한층 용이한 것이 된다.
(실시의 형태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서, 도 10~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는, 시트형상의 부재(시트 부재)(31)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실시의 형태 1, 2 또는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주로 시트 부재(3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 중의 절단선 A-A'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b)는, 도 10 중의 절단선 B-B'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에 있어서는, 단면에 나타난 선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도, 실시의 형태 1~3과 같이, 시트 부재(31)는, 한쪽의 주면에 사용자에 관한 정보(4)를 표시하고, 다른쪽의 주면이, 의료 기기의 본체의 외표면(2a)에 부착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31)는, 도 2(b)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와 같이, 시트형상의 기재(35)와, 광투과성을 가지는 보호층(34)과, 점착재층(3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호층(34)은, 기재(35)의 한쪽의 주면(상면)(35a)에 형성되고, 점착재층(36)은, 기재(35)의 다른쪽의 주면(하면)(35b)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부재(31)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이용되는 시트 부재(3)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31)에 있어서는, 입자형상의 식별 부재(37)가, 보호층(34)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부재(37)는, 그것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존재 영역)(32)이, 기재(35)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 시트 부재(31)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정보(4)를 둘러싸도록(즉, 정보(4)와 겹치지 않도록) 분산되어 있다. 또, 보호층(34)의 정보(4)와 겹치는 영역(정보 표시 영역)(33)에서는, 식별 부재(37)는 분산되어 있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정보(4)의 식별이 식별 부재(37)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는, 정보(4)는, 종이 또는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된 플레이트(38)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고, 플레이트(38)는, 기재(35)의 한쪽의 주면(35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레이트(38)의 인쇄면과 겹치는 영역이, 정보 표시 영역(33)으로 되어 있다(도 11(b) 참조). 또한, 도 11(a) 및 도 11(b)에 있어서, 보호층(34)의 단면의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식별 부재(37)는, 발광성 재료나, 열변색성 재료, 광반사성 재료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축광재료나, 형광 재료를 들 수 있다. 축광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민산 스트론튬(SrAl2O4)으로 형성된 결정 모체에, 유로퓸(Eu)이나 디스프로슘(Dy) 등의 희토류 원소를 첨가하여 얻어진 것, 황화아연(ZnS)에 동(Cu)을 첨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형광 재료로서는,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아네이트나, 테트라메틸로다민이소티오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열변색성 재료로서는, 로이코 염료 등의 발색제와, 현색제와, 변색 온도 조정제를 함유하고, 어느 온도가 되면 발색제와 현색제가 결합하여 발색하는 재료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일럿사제의 메타모칼라(등록 상표)를 들 수 있다. 반사성 재료로서는, 금속 재료, 유리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서는, 시트 부재(31)는, 거기에 표시되는 정보(4)가, 식별 부재(37)에 의해 외부로부터 눈에 띄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시력이 약한 경우라도, 정보(4)의 주변의 식별 부재(37)에 의해 정보(4)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시트 부재(31)에 있어서, 식별 부재(37)는, 사용자(특히 시력이 약한 사람)가 정보(4)의 개시 위치를 인식할 때의 보조가 된다.
또, 시트 부재(31)에 있어서, 식별 부재(37)는, 사용자가 정보(4)를 인식하기 어려운 환경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정보(4)의 인식을 보조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별 부재(37)가, 상술한 발광성 재료나 광반사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비교적 어두운 장소에서 자기의 의료 기기를 찾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 유효해진다. 이 경우는, 식별 부재(37)에서 반사한 광, 또는 식별 부재(37)로부터 방출된 광에 의해, 정보(4)의 인식이 보조되기 때문이다.
또, 식별 부재(37)의 형성 재료로서, 상술의 열변색성 재료를 이용한 경우는, 식별 부재(37)는, 사용자의 체온이나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여 변색한다. 그리고, 열변색성 재료가 변색을 개시하는 온도를, 의료 기기의 사용 가능한 온도의 상한(예를 들면 40℃)과 하한(예를 들면 10℃)으로 설정하면, 사용자는, 식별 부재(37)의 색에 의해, 의료 기기가 사용 가능한 온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해, 시트 부재(31)의 제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제작 방법의 일례(제1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a)~도 12(c)는 각각 주된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a)~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제작 방법의 다른 예(제2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3(a)~도 13(c)는 각각 주된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a)~도 12(c), 도 13(a)~도 13(c)에 나타낸 단면의 절단 위치는, 도 11(b)에 나타난 단면의 그것과 같다. 또, 도 12(a)~도 12(c) 및 도 13(a)~도 13(c)에 있어서는, 단면에 나타난 선만이 도시되어 있다.
최초로, 제1 예에 대해서 도 12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기재(35)의 한쪽의 주면(35a)상에, 정보(4)가 인쇄된 플레이트(38)가 배치되고, 계속해서, 플레이트(38)가 덮이도록, 광투과성을 가지는 보호층(34)이 형성된다. 이 때, 보호층(34)의 형성은, 가열에 의해 유동성이 부여된 형성 재료를 틀에 흘려 넣음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표시 영역(33)을 덮는 마스크(39)를 배치하고, 그리고, 보호층(34)을 가열하고, 그 상태로, 입자형상의 식별 부재(37)를 상방으로부터 주입하고, 식별 부재(37)를 보호층(34) 내에 분산시킨다. 계속해서,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층(34)이 식어 경화한 후, 기재(35)의 다른쪽의 주면(35b)에 점착재층(36)을 형성하면, 시트 부재(31)가 얻어진다.
또, 제2 예에서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기재(35)의 한쪽의 주면(35a)상의 플레이트(38)가 배치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만, 식별 부재(37)가 분산된 상태의 보호층(34)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플레이트(38)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38)가 설치되는 영역으로의 재료의 유입이 저지된 틀에, 식별 부재(37)가 분산된 상태의 재료를 흘려 넣어, 도 13(a)에 나타내는 오목부(34a)가 설치된 보호층(34)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4a)에, 오목부(34a)에 정합하는 충전 부재(40)를 끼워넣고, 플레이트(38)의 상방에도 보호층(34)을 형성한다. 그 후,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35)의 다른쪽의 주면(35b)에 점착재층(36)을 형성하면, 시트 부재(31)가 얻어진다.
또한, 충전 부재(40)는, 식별 부재(37)가 분산되어 있지 않는 보호층(34)의 형성 재료를 용융하고, 이것을 틀에 흘려 넣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충전 부재(40)의 형성 재료와, 도 13(a)에 나타내는 공정에서 흘려 넣어지는 재료와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다른 경우, 즉, 재료 자체가 다른 경우, 또는 중합도가 다른 경우로서, 도 13(a)의 공정에서 이용되는 재료의 융점이, 충전 부재(40)의 형성 재료의 융점보다 높은 경우는, 충전 부재(40)를 미리 형성해 둘 필요가 없다. 이 경우는, 충전 부재(40)의 형성 재료를 용융한 상태로, 오목부(34a)에 흘려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2(a)~도 12(c)에 나타내는 형성 방법, 또는 도 13(a)~도 13(c)에 나타내는 형성 방법에 의하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3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기재(35) 및 보호층(34)의 형성 재료로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서술한 기재(6) 및 보호층(5)의 형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36)의 형성 재료, 그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4에서는, 플레이트(38)는, 기재(35)에 접지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기재(35)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38)는, 보호층(34) 내에서 부유하고 있는 상태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4는, 시트 부재(31)가 플레이트(38)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형태이어도 된다. 이 경우는, 정보(4)는, 기재(35)의 한쪽의 면에 인쇄된다.
(실시의 형태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도, 시트형상의 부재(시트 부재)(41)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실시의 형태 1, 2 또는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주로 시트 부재(4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 중의 절단선 C-C'에 따라 얻어지는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b)는, 도 14 중의 절단선 D-D'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5(a) 및 도 15(b)에 있어서는, 단면에 나타난 선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도, 실시의 형태 1~3과 같이, 시트 부재(41)는, 한쪽의 주면에 사용자에 관한 정보(4)를 표시하고, 다른쪽의 주면이, 의료 기기의 본체의 외표면(2a)에 부착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41)는, 도 2(b)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와 같이, 시트형상의 기재(45)와, 광투과성을 가지는 보호층(44)과, 점착재층(4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호층(44)은, 기재(45)의 한쪽의 주면(상면)(45a)에 형성되고, 점착재층(46)은, 기재(45)의 다른쪽의 주면(하면)(45b)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부재(41)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이용되는 시트 부재(3)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14,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41)는, 기재(45)와 보호층(44)의 사이에, 식별층(42)과, 플레이트(43)를 구비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43)는, 기재(45)의 한쪽의 주면(45a)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표면에는,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플레이트(38)와 같이, 정보(4)가 인쇄되어 있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층(42)은, 기재(45)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정보(4)와 겹치지 않도록,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4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있어서, 식별층(42)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는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5는, 도 14,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난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식별층(42)이 기재(45)의 한쪽의 주면(45a)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고, 플레이트(43)가 식별층(42)의 상에 배치된 형태이어도 된다. 또, 도 15(a) 및 도 15(b)에 있어서, 보호층(44)의 단면의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또, 식별층(42)은, 발광성 재료나 광반사성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발광성 재료로서는,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설명한 것을 들 수 있다. 단, 본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는, 발광성 재료는 층형상으로 성형된다. 또, 광반사성 재료로서는, 본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는, 층형상으로 된 금속재료나 재귀성 반사 재료를 들 수 있다. 금속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이나 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재료는 박형상 또는 박막형상으로 성형된다. 또, 재귀성 반사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직경이 50㎛~500㎛ 정도의 다수의 유리 비즈를 면상에 배열하여 형성된 시트 재료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41)에 표시되는 정보(4)는, 식별층(42)에 의해 외부로부터 눈에 띄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 5를 이용한 경우도, 실시의 형태 4를 이용한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예를 들면 시력이 약해도, 정보(4)의 주변의 식별층(42)에 의해 정보(4)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시트 부재(41)에 있어서, 식별층(42)은, 사용자(특히 시력이 약한 사람)가 정보(4)의 개시 위치를 인식할 때의 보조가 된다.
또, 시트 부재(41)의 식별층(42)도, 실시의 형태 4에 나타낸 식별 부재(37)(도 10 참조)와 같이, 사용자가 정보(4)를 인식하기 어려운 환경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정보(4)의 인식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별층(42)이, 상술한 발광성 재료나 광반사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비교적 어두운 장소에서 자기의 의료 기기를 찾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 유효해진다. 이 경우는, 식별층(42)에서 반사한 광, 또는 식별층(42)로부터 방출된 광에 의해, 정보(4)의 인식이 보조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도, 기재(45) 및 보호층(44)의 형성 재료로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기재(6) 및 보호층(5)의 형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46)의 형성 재료, 그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5는, 시트 부재(41)가 플레이트(43)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형태이어도 된다. 이 경우는, 정보(4)는, 기재(45)의 한쪽의 면에 인쇄되고, 식별층(42)은, 기재(45)에 인쇄된 정보(4)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실시의 형태 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도, 시트형상의 부재(시트 부재)(51)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실시의 형태 1, 2 또는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주로 시트 부재(5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a)는, 도 16 중의 절단선 E-E'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7(b)는, 도 16 중의 절단선 F-F'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7(a) 및 도 17(b)에 있어서는, 단면에 나타난 선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도, 실시의 형태 1~3과 같이, 시트 부재(51)는, 한쪽의 주면에 사용자에 관한 정보(4)를 표시하고, 다른쪽의 주면이, 의료 기기의 본체의 외표면(2a)에 부착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51)는, 도 2(b)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와 같이, 시트 형상의 기재(55)와, 광투과성을 가지는 보호층(54)과, 점착재층(5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호층(54)은, 기재(55)의 한쪽의 주면(상면)(55a)에 형성되고, 점착재층(56)은, 기재(55)의 다른쪽의 주면(하면)(55b)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부재(51)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이용되는 시트 부재(3)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16,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51)는, 보호층(54)를 덮는 식별층(52)과, 플레이트(53)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53)는, 기재(55)의 한쪽의 주면(55a)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표면에는,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플레이트(38)와 같이, 정보(4)가 인쇄되어 있다. 또, 식별층(52)은, 기재(55)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정보(4)와 겹치는 개소에 개구(52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53)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정보(4)는 개구(52a)를 통해 외부로부터 관찰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도 17(a) 및 도 17(b)에 있어서, 보호층(54)의 단면의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식별층(52)은, 실시의 형태 5에 있어서 도 14에 나타낸 식별층(42)과 같이, 발광성 재료나 광반사성 재료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도, 실시의 형태 5와 같이, 발광성 재료로서는,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설명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광반사성 재료로서는, 실시의 형태 5와 같이, 층형상으로 된 금속재료나 재귀성 반사 재료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도, 시트 부재(51)에 표시되는 정보(4)는, 식별층(52)에 의해 외부로부터 눈에 띄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 6을 이용한 경우도, 실시의 형태 4 및 5를 이용한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비록 시력이 약해도, 정보(4)의 주변의 식별층(52)에 의해 정보(4)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시트 부재(51)에 있어서, 식별층(52)은, 사용자(특히 시력이 약한 사람)가 정보(4)의 개시 위치를 인식할 때의 보조가 된다.
또, 시트 부재(51)의 식별층(52)도, 실시의 형태 4에 나타낸 식별 부재(37)(도 10 참조)와 같이, 사용자가 정보(4)를 인식하기 어려운 환경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정보(4)의 인식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별층(52)이, 상술한 발광성 재료나 광반사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비교적 어두운 장소에서 자기의 의료 기기를 찾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 유효해진다. 이 경우는, 식별층(52)에서 반사한 광, 또는 식별층(52)으로부터 방출된 광에 의해, 정보의 인식이 보조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는, 식별층(52)은, 실시의 형태 4에서 설명한 열변색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도, 상술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 이 경우는, 식별층(52)은, 사용자의 체온이나 주위의 온도를 감지하여 변색한다. 그리고, 열변색성 재료가 변색을 개시하는 온도를, 의료 기기의 사용 가능한 온도의 상한과 하한으로 설정하면, 사용자는, 식별층(52)의 색에 의해, 의료 기기가 사용 가능한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6에서는, 식별층(52)으로서, 시트형상의 온도계가 이용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형상의 온도계로서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구비한 액정 온도계를 들 수 있다. 액정 온도계는, 예를 들면, 10℃, 15℃, 20℃, 25℃, 30℃, 35℃, 40℃와 같이, 대강의 온도를 사용자에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도, 식별층(52)이 열변색성 재료를 이용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의료 기기가 사용 가능한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 6에 있어서, 기재(55) 및 보호층(54)의 형성 재료로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기재(6) 및 보호층(5)의 형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56)의 형성 재료, 그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6에서는, 플레이트(53)는, 기재(55)에 접지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기재(55)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53)는, 보호층(54) 내에서 부유하고 있는 상태여도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 6은, 시트 부재(51)가 플레이트(53)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 형태이어도 된다. 이 경우는, 정보(4)는, 기재(55)의 한쪽의 면에 인쇄된다.
(실시의 형태 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도, 시트형상의 부재(시트 부재)(61)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실시의 형태 1, 2 또는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주로 시트 부재(6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에 나타난 단면의 절단 위치는, 도 11(b), 도 15(b), 도 17(b)에 나타난 단면의 절단 위치와 같고, 도 18에 나타난 단면은, 직사각형형상의 시트 부재의 단변과 평행한 절단선에 의해 얻어져 있다. 또, 도 18에 있어서는, 단면에 나타난 선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도, 실시의 형태 1~3과 같이, 시트 부재(61)는, 한쪽의 주면에 사용자에 관한 정보(도 18에 있어서 도시 생략)를 표시하고, 다른쪽의 주면이 의료 기기의 본체의 외표면(2a)에 부착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61)는, 도 2(b)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와 같이, 시트형상의 기재(65)와, 광투과성을 가지는 보호층(64)과, 점착재층(6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호층(64)은, 기재(65)의 한쪽의 주면(표면)(65a)에 형성되고, 점착재층(66)은, 기재(65)의 다른 쪽의 주면(하면)(65b)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부재(61)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이용되는 시트 부재(3)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61)는, 기재(65)의 한쪽의 주면(65a)상에 배치된 IC칩(62)과, IC칩(62)의 상면에 배치된 플레이트(63)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63)의 표면에는,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플레이트(38)와 같이, 정보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보호층(64)의 단면의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IC칩(62)은, RFID(Radio Frequency ldentification)에 이용되는 RF태그를 실현하는 IC칩이며, 무선에 의해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전자 회로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IC칩(62)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부의 리더 라이터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안테나부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정보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행하는 제어부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IC칩(62)과 외부의 정보의 송수신은, 전파에 한정되지 않고, 적외선이나 가시광선 등의 광에 의해 행해져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 7에서는, 시트 부재(61)는, RFID에 있어서의 IC태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를 이용하면, 의료 기관은, 환자(사용자)의 병동에서의 입퇴출이나 위치를 관리할 수 있다. 또, 의료 기관은, 환자 각각의 의료 기기의 병동 내에서의 이동의 이력을 관리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가 자기의 의료 기기를 어디엔가 잊고 와도, 즉석에서, 잊고 온 장소의 특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61)에 전자화폐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실시의 형태 7에 있어서, 기재(65) 및 보호층(64)의 형성 재료로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기재(6) 및 보호층(5)의 형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66)의 형성 재료, 그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7에서는, 플레이트(63)는, IC칩(62)에 접지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IC칩(62)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63)는, 보호층(64) 내에서 부유하고 있는 상태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 7은, 시트 부재(61)가 플레이트(6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형태이어도 된다. 이 경우는, 정보는, IC칩(62)의 상면에 인쇄된다.
(실시의 형태 8)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도, 시트형상의 부재(시트 부재)(71)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실시의 형태 1, 2 또는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주로 시트 부재(7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9에 나타난 단면의 절단 위치는, 도 11(b), 도 15(b), 도 17(b)에 나타난 단면의 절단 위치와 같고, 도 19에 나타난 단면은, 직사각형형상의 시트 부재의 짧은 변과 평행한 절단선에 의해 얻어져 있다. 또, 도 19에 있어서는, 단면에 나타난 선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도, 실시의 형태 1~3과 같이, 시트 부재(71)는, 한쪽의 주면에 사용자에 관한 정보(도 19에 있어서 도시 생략)를 표시하고, 다른쪽의 주면이 의료 기기의 본체의 외표면(2a)에 부착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71)는, 도 2(b)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와 같이, 시트형상의 기재(75)와, 광투과성을 가지는 보호층(74)과, 점착재층(7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호층(74)은, 기재(75)의 한쪽의 주면(상면)(75a)에 형성되고, 점착재층(76)은, 기재(75)의 다른쪽의 주면(하면)(75b)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부재(71)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이용되는 시트 부재(3)와 같은 구성을 준비하고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71)는, 방향 성분을 함침하고 있는 방향 성분 함침층(72)과, 플레이트(73)와, 분리층(79)을 구비하고, 이것들은 보호층(74)에 의해 덮여 있다. 플레이트(73)는, 방향 성분 함침층(72)의 상방에 배치되고, 그 표면에는, 실시의 형태 4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플레이트(38)와 같이, 정보(4)가 인쇄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보호층(74)의 단면의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또, 방향 성분 함침층(72)이 보호층(74)에 의해 완전히 피복되면, 거기에 포함되는 방향 성분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보호층(74)에는, 통기 구멍(77 및 78)이 설치되어 있다. 분리층(79)은, 방향 성분 함침층(72)에 포함되는 방향 성분이 기재(75)나 점착재층(76)으로 스며나오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리층(79)으로서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 성분 함침층(72)은, 다공질 재료에,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함침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다공질 재료로서는,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보호층(5)의 형성 재료로서 나열된, 수지 재료나 고무 재료를 출발 재료로 하고, 이것들을 발포시켜 얻어지는 다공질 재료를 들 수 있다.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재료로서는, 오렌지유, 레몬유, 라임유, 페티그레인유, 유자유, 네롤리유, 베르가모트유, 라벤더유, 라반딘유, 아비에스유, 베이유, 일랑일랑유, 라브다눔유, 시트로넬라유, 제라늄유, 페퍼민트유, 스피아민트유, 유칼립투스유, 레몬글래스유, 파출리유, 쟈스민유, 로즈유, 시더유, 베티버유, 갈바눔유, 오크모스유, 파인유, 장뇌유, 백단유, 리랄로올, 게라니올, 시트로네롤, l-멘톨, 보르네올, β-페닐에틸알콜, n-노닐알데히드, 시트랄, 신나믹알데히드, 리리알, 바닐린, 캠퍼, 이오논, 에틸렌브라실레이트, 갈락소리드, 아세트산리날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시트 부재(71)를 가압 등을 하면, 시트 부재(71)에 설치된 통기 구멍(77 또는 78)으로부터 방향 성분이 발산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방향 성분에 의해, 릴렉스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질환을 앓는 환자인 경우는, 방향 성분에 의해, 고통의 완화가 도모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사용자가 향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경우는, 사용자는, 시트 부재(71)로부터의 향기에 의해, 자기의 의료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 8에 있어서, 기재(75) 및 보호층(74)의 형성 재료로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기재(6) 및 보호층(5)의 형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76)의 형성 재료, 그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8에서는, 플레이트(73)는, 방향 성분 함침층(72)에 접지해 있을 필요는 없고, 방향 성분 함침층(72)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73)는, 보호층(74) 내에서 부유하고 있는 상태이어도 된다.
(실시의 형태 9)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에 대해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도, 시트형상의 부재(시트 부재)(81)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실시의 형태 1, 2 또는 3에 있어서의 의료 기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주로 시트 부재(8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 이용되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a)는, 도 20 중의 절단선 G-G'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1(b)는, 도 20 중의 절단선 H-H'에 따라 얻어진 시트형상의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1(a) 및 도 21(b)에 있어서는, 단면에 나타난 선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도, 실시의 형태 1~3과 같이, 시트 부재(81)는, 한쪽의 주면에 사용자에 관한 정보(4)를 표시하고, 다른쪽의 주면이 의료 기기의 본체의 외표면(2a)에 부착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81)는, 도 2(b)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시트 부재(3)와 같이, 시트형상의 기재(85)와, 광투과성을 가지는 보호층(84)과, 점착재층(8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호층(84)은, 기재(85)의 한쪽의 주면(상면)(85a)에 형성되고, 점착재층(86)은, 기재(85)의 한쪽의 주면(하면)(85b)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부재(81)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이용되는 시트 부재(3)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20,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81)는, 회로 기판(82)과, 보호층(84)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87)와, 스피커(88)와, 정보(4)가 표면에 인쇄된 플레이트(83)를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82)은 기재(85)의 한쪽의 주면(85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압력 센서(87)는, 보호층(84) 내에서 부유한 상태로 배치된다. 플레이트(83)도, 보호층(84) 내에 있어서, 회로 기판(82)의 상방에서 부유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1(a) 및 도 21(b)에 있어서, 보호층(84)의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회로 기판(82)은, 스피커(88)를 실장하고 있다. 또한, 회로 기판(82)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피커(8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및 압력 센서(8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스피커(88)를 구동하는 신호 처리 회로 등도 실장하고 있다. 전원 회로에는, 전지(도시 생략)도 구비되어 있다. 또, 보호층(84)에는, 스피커(88)로부터 발생된 소리를 외부에 전파하기 위해, 관통 구멍(89)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 압력 센서(87)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보호층(84)에 대한 가압을 검지 가능한 것이면 된다. 본 실시의 형태 9에서는, 압력 센서(87)로서는, 예를 들면, 피에조 저항 소자가 형성된 다이어프램(도시 생략)이 이용된다. 이 경우, 보호층(84)이 가압되고, 그에 따라 다이어프램이 변형하면, 피에조 저항 소자의 전기 저항이 변화하고, 동시에, 압력 센서(87)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레벨도 변화한다.
회로 기판(82)에 구비된 신호 처리 회로(도시 생략)는, 압력 센서(87)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레벨을 검지하고, 이것에 의해, 보호층(84)이 가압되었다고 판단 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 회로는, 전원 회로에, 스피커(88)로의 전력 공급을 행하게 하고, 스피커(88)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리를 출력시킨다.
또, 출력되는 소리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시트 부재(81)로부터의 소리에 의해, 자기의 의료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81)로부터 음악이 출력되도록 하면, 사용자는, 거기에 따라 릴렉스할 수 있다. 또, 특히, 유저가 질환을 앓는 환자인 경우는, 음악에 의해, 고통의 완화가 도모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시트 부재(81)가 붙여진 의료 기기는, 유저가 잘못해서 낙하시킨 경우도 소리를 출력한다. 따라서, 특히, 유저가 난청이나 맹목인 경우에 유효하다.
본 실시의 형태 9에 있어서, 기재(85) 및 보호층(84)의 형성 재료로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기재(6) 및 보호층(5)의 형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재층(86)의 형성 재료, 그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9에서는, 플레이트(83)는, 회로 기판(82)에 접지해 있는 형태이어도 되고, 기재(85) 상의 회로 기판(82)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 9는, 시트 부재(81)가 플레이트(8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형태이어도 된다. 이 경우는, 정보(4)는, 기재(85) 상의 회로 기판(82)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인쇄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의료 기기, 특히 휴대 가능한 소형의 의료 기기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의료 기기는,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1:의료 기기(실시의 형태 1) 2:본체
3:시트 부재(실시의 형태 1) 3a, 3b:시트 부재의 주면
4:사용자(환자)에 관한 정보 5:보호층
6:시트형상의 기재 6a, 6b:시트형상의 기재의 주면
7:점착재층 8:센서 삽입구
9:센서 10:표시 화면
11:의료 기기(실시의 형태 2) 12:시트 부재(실시의 형태 2)
13:볼록부 14:시트형상의 기재
15:점착재층 16a, 16b, 16c, 16d:볼록부
17:의료 기기(실시의 형태 3) 18:시트 부재(실시의 형태 3)
18a:시트 부재의 주면 19:단자
20:수지층 21:시트형상의 기재
22:점착재층 23:기억 장치
24:외부 전극 25:도통로
26:전극 패드 27:표시부
28:측정 장치 29:관리 장치
31:시트 부재(실시의 형태 4) 32:존재 영역
33:정보 표시 영역 34:보호층
35:시트형상의 기재 35a, 35b:기재의 주면
36:점착재층 37:식별 부재
38:플레이트 41:시트 부재(실시의 형태 5)
42:식별층 43:플레이트
44:보호층 45:시트형상의 기재
45a, 45b:기재의 주면 46:점착재층
51:시트 부재(실시의 형태 6) 52:식별층
52a:개구 53:플레이트
54:보호층 55:시트형상의 기재
55a, 55b:기재의 주면 56:점착재층
61:시트 부재(실시의 형태 7) 62:IC칩
63:플레이트 64:보호층
65:시트형상의 기재 65a, 65b:기재의 주면
66:점착재층 71:시트 부재(실시의 형태 8)
72:방향 성분 함침층 73:플레이트
74:보호층 75:시트형상의 기재
75a, 75b:기재의 주면 76:점착재층
77, 78:통기 구멍 79:분리층
81:시트 부재(실시의 형태 9) 82:회로 기판
83:플레이트 84:보호층
85:시트형상의 기재 85a, 85b:기재의 주면
86:점착재층 87:압력 센서
88:스피커 89:관통 구멍

Claims (10)

  1. 생체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의료 기기로서,
    측정 장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본체와,
    한쪽의 주면에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다른쪽의 주면이 상기 본체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시트형상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는, 시트형상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보호층과, 상기 기재의 다른쪽의 주면에 형성된 점착재층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층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의 한쪽의 주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형성되고,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가, 그 배치, 형상, 및 크기 중 적어도 1개에 의해, 당해 의료 기기의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현하고 있는, 의료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상기 측정 장치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한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의료 기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상기 보호층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형상의 식별 부재를 가지며,
    상기 식별 부재는, 그것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상기 기재의 법선 방향에 서 상기 정보와 겹치지 않도록 분산되고, 또한, 발광성 재료, 열변색성 재료, 및 광반사성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층의 사이에 식별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식별층은, 발광성 재료 또는 광반사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상기 보호층을 덮는 식별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식별층은,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보와 겹치는 개소에 개구를 구비하고, 또한, 발광성 재료, 열변색성 재료, 및 광반사성 재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무선 또는 광에 의해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전자 회로를 가지고 있는, 의료 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 성분 함침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향 성분 함침층은, 상기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방향 성분 함침층을 덮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방향 성분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통기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의료 기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의 부재가, 상기 보호층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지 가능한 압력 센서와, 스피커와, 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기재의 한쪽의 주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회로 기판,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스피커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는, 의료 기기.
KR1020107003719A 2008-03-21 2009-03-02 의료 기기 KR101121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73476 2008-03-21
JP2008073476 2008-03-21
PCT/JP2009/000929 WO2009116234A1 (ja) 2008-03-21 2009-03-02 医療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435A KR20100033435A (ko) 2010-03-29
KR101121899B1 true KR101121899B1 (ko) 2012-03-20

Family

ID=4109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719A KR101121899B1 (ko) 2008-03-21 2009-03-02 의료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60741A1 (ko)
EP (1) EP2256712A4 (ko)
JP (1) JP5046344B2 (ko)
KR (1) KR101121899B1 (ko)
CN (1) CN101772793B (ko)
TW (1) TWI428599B (ko)
WO (1) WO2009116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7453B2 (ja) * 2011-04-25 2016-09-28 アークレイ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ユーザ端末
TWI793590B (zh) * 2021-05-05 2023-02-21 國立中山大學 紙基數位式微流體生物晶片及其操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1177U (ko) * 1989-02-22 1990-09-05
JP2007185351A (ja) * 2006-01-13 2007-07-26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4122U (ja) * 1982-02-15 1983-08-2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EP0466203B1 (en) * 1986-08-02 1994-06-01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Cleaning system for a printing press
US20010030020A1 (en) * 1998-04-29 2001-10-18 Subhashis Nandy Clear and opaque label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ing clear or opaque label stock laminated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JP2000189493A (ja) * 1998-12-25 2000-07-11 Unitec Japan Kk 常備薬箱
JP4046435B2 (ja) * 1999-04-01 2008-02-13 日本信号株式会社 駅務システム
EP1172652B1 (en) * 2000-02-18 2015-06-10 Panasonic Healthcare Co., Ltd. Measuring system
JP2001242788A (ja) * 2000-02-29 2001-09-07 Nakamura Label Inc 表示ラベル
US6814843B1 (en) * 2000-11-01 2004-11-09 Roche Diagnostics Corporation Biosensor
US20030021729A1 (en) * 2001-07-26 2003-01-30 Bayer Corporation Removable cover for a glucose meter
JP4688365B2 (ja) * 2001-08-09 2011-05-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測定装置
NL1022161C2 (nl) * 2002-12-13 2004-06-18 Karel Hero Mulder Urologisch instrument voor het beoordelen van een urinestroom.
JP2004313269A (ja) 2003-04-11 2004-11-11 Abbott Japan Co Ltd 医療機器のための保護カバー
TWI312319B (en) * 2003-08-28 2009-07-21 Toppan Forms Co Ltd Audio message transfe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udio information output sheet and audio information component
WO2005054846A1 (en) * 2003-12-03 2005-06-16 Lifescan Scotland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hand held anaytical devices
JP2005237497A (ja) * 2004-02-25 2005-09-08 Terumo Corp 血液点着補助部を備えた成分測定装置
US20070276209A1 (en) * 2004-04-30 2007-11-29 Fumiaki Emoto Blood-Sugar Level Measuring Device
US20060127155A1 (en) * 2004-12-14 2006-06-15 Eastman Kodak Company Continuous decorative thermal print
US7731686B2 (en) * 2005-02-01 2010-06-08 Intellije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ment delivery
JP4013960B2 (ja) * 2005-03-15 2007-11-2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耳式体温計
JP2007061568A (ja) * 2005-08-29 2007-03-15 Yoshiyuki Kumakawa 血圧計用ハンドポンプ球体カバー
US20070098148A1 (en) * 2005-10-14 2007-05-03 Sherman Kenneth N Aroma releasing patch on mobile telepho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1177U (ko) * 1989-02-22 1990-09-05
JP2007185351A (ja) * 2006-01-13 2007-07-26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6712A4 (en) 2015-04-08
TW200940988A (en) 2009-10-01
KR20100033435A (ko) 2010-03-29
JP5046344B2 (ja) 2012-10-10
TWI428599B (zh) 2014-03-01
EP2256712A1 (en) 2010-12-01
JPWO2009116234A1 (ja) 2011-07-21
US20100160741A1 (en) 2010-06-24
CN101772793B (zh) 2012-07-25
CN101772793A (zh) 2010-07-07
WO2009116234A1 (ja)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0482B2 (ja) 医療機器
US9971923B2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EP2844582B1 (en) A smart package and monitoring system with indic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5589592B (zh) 指纹辨识装置
KR102563192B1 (ko) 성형된 디스플레이 장착 구조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EP2650827B1 (en) Card with built-in electronic component
KR20180002297A (ko) 방수 구조의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121899B1 (ko) 의료 기기
DE102021207982A1 (de) Uhr mit abgedichtetem gehäuse und sensormodul
CN117315728A (zh) 具有包括复合盖元件的生物识别输入系统的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