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947U -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 Google Patents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947U
KR20100007947U KR2020090001074U KR20090001074U KR20100007947U KR 20100007947 U KR20100007947 U KR 20100007947U KR 2020090001074 U KR2020090001074 U KR 2020090001074U KR 20090001074 U KR20090001074 U KR 20090001074U KR 20100007947 U KR20100007947 U KR 201000079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heet
document storage
inlay
band
stora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김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식 filed Critical 김광식
Priority to KR2020090001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947U/ko
Publication of KR20100007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9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2Filing appliances comprising only one pocket or compartment, e.g. single gussetted p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strip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03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03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42F3/006Perforated or punched sheets with edge reinforcing mean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나 악보 또는 광고물 등의 제반서류를 넣어서 비치하여 두고 필요시 마다 파일을 열어서 손쉽게 내용물을 확인해 볼 수 있는 파일용 속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용 속지의 서류보관부 내측에 경성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얇은 판 형을 이루는 베이스 시트를 착설하여, 베이스 시트에 의해 서류보관부가 평면방향으로 지지되어, 사이즈가 큰 서류 등이 파일링되어도 구겨지거나 접혀지지 않도록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파일용 속지의 서류보관부 내측에 경성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얇은 판 형을 이루는 베이스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베이스 시트에 의해 서류보관부가 평면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파일링된 서류 등이 구겨지거나 접혀지지 않으며, 사이즈가 큰 서류나 악보 등이 파일링된 상태에서 파일을 손으로 세워서 들거나 받침대 등에 기대어 세워놓아도 속지가 하방으로 휘어져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Transparent Envelope for File}
본 고안은 서류나 악보 또는 광고물 등의 제반서류를 넣어서 비치하여 두고 필요시 마다 파일을 열어서 손쉽게 내용물을 확인해 볼 수 있는 파일용 속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용 속지의 서류보관부 내측에 경성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얇은 판 형을 이루는 베이스 시트를 착설하여, 베이스 시트에 의해 서류보관부가 평면방향으로 지지되어, 사이즈가 큰 서류 등이 파일링되어도 구겨지거나 접혀지지 않도록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은 각종 서류 등을 철하여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겉표지와 표지 안쪽에 투명지로 된 여러 장의 속지를 끼우고 이 속지에 기록을 남기거나 또는 상기 속지를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한 후, 각각의 속지에 각종 서류나 스크랩된 자료를 보관하도록 구성된 것이 소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상적인 파일용 속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전면지(11)와 후면지(12)로 이루어지되, 그 측단 및 하단이 접합되고, 상단이 개방되어 삽입구(a)가 형성된 봉투형으로 제조된다.
상기 속지(1)는 일측단에 다수의 바인딩홀(H)이 세로로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 봉투형의 서류보관부(10)가 상단의 개구부인 삽입구(a)와 함께 형성된다. 상기 서류보관부(10)에는 각종 서류 등의 페이퍼(S)가 삽입된다.
이같은 속지가 형성된 파일은 특히 낱장으로 된 악보(樂譜)를 삽입하여 악보철(樂譜綴)로 사용하거나, 세미나용 문서철(文書綴), 강의록철(講義錄綴) 등으로 사용되곤 하는데, 단순히 서류를 보관하는 기능보다는 서류 등이 삽입된 상태에서 간단한 필기가 필요한 경우 서류에 메모를 추가적으로 기입하여 보관하거나, 악보나 문서 등의 서류가 보관된 상태에서 파일을 손으로 세워 들거나 받침대 등에 기대어 세워놓고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일용 속지는 첫째, 속지에 악보 등이 끼워진 상태에서 악보 등에 간단한 메모를 하고자 하면 속지 내에 있는 악보를 꺼내어 메모를 하고 다시 끼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매끄럽고 투명한 합성수지재인 속지가 표면을 형성하므로 빛 반사가 심하여 끼워진 악보가 반사광 때문에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파일용 속지는 합성수지재인 연유로 인하여 삽입된 페이퍼와의 사이에 정전기(靜電氣)가 발생되어 속지와 페이퍼 간에는 상호 흡착하는 힘이 작용되므로 끼워 보관하고자 하는 서류 등의 삽입이 상당히 까다롭고 번거롭다.
셋째, 종래의 파일용 속지는 투명한 연질의 합성수지재이기 때문에 그 특성상 소비자가 파일을 사용하던 중 자칫하면 속지가 구겨지거나 접혀서 망실되는 취 약점이 상존하고 있었으며, 또한 재질의 특성상 긴장감이 없기 때문에 서류를 파일링한 상태에서 파일을 손으로 세워 들거나 받침대 등에 기대어 세워놓을 경우, 속지 및 그 내측에 파일링된 서류가 하단 중앙으로 휘어져 쏠리는 등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파일용 속지 및 서류가 B4 사이즈의 악보와 같이 커질수록 휘어져 쏠리는 현상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밴드형 파일용 속지”를 출원하여 등록받았고(10-0661734),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일용 속지가 갖고 있던 첫째 및 둘째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임은 분명하나, 파일용 속지의 재질상 사용중 구겨지거나 접혀서 망실되고, 서류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파일을 세워놓을 때, 휘어져 쏠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용 속지에 경성 재질로 얇은 판 형을 이루는 베이스 시트를 착설하여 파일링된 서류 등이 구겨지거나 접혀지지 않으며, 사이즈가 큰 서류나 악보 등이 파일링된 상태에서 파일을 손으로 세워서 들거나 받침대 등에 기대어 세워놓아도 속지가 하방으로 휘어져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서류가 끼워지는 투명재질의 서류보관부와 상기 서류보관부의 일측부에 다수 형성되는 바인딩홀 및 별도의 얇은 경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서류보관부를 평면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서류보관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베이스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류보관부는 전면지와 후면지로 이루어져 상방이 개방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류보관부의 일측 표면 또는 양측 표면 상에 구비되되,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서류보관부 표면 상의 상,하 단부 또는 좌,우 단부에 상호 대칭되도록 각각 위치되는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류보관부와 밴드 사이에 철하고자 하는 서류의 상,하 단부 또는 좌,우 단부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는 소정의 폭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서류보관부의 상,하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가로형밴드 또는 상기 서류보관부의 좌,우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세로형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형밴드 또는 세로형밴드 각각의 양단이 상기 서류보관부에 접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로형밴드 또는 한 쌍의 세로형밴드 각각의 사이에 중간밴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상기 서류보관부와 동일한 면적의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측부에는 상기 서류보관부의 바인딩홀과 상응하는 바인딩홀이 형성되어 상호 겹쳐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는 합성수지 재질 중 PP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상기 서류보관부에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파일용 속지의 서류보관부 내측에 경성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얇은 판 형을 이루는 베이스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베이스 시트에 의해 서류보관부가 평면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파일링된 서류 등이 구겨지거나 접혀지지 않으며, 사 이즈가 큰 서류나 악보 등이 파일링된 상태에서 파일을 손으로 세워서 들거나 받침대 등에 기대어 세워놓아도 속지가 하방으로 휘어져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플랙시블(flexible)한 파일용 속지의 특성상 긴장감이 없기 때문에, 내측에 경성 재질의 판 형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어 지지함으로써, 서류 등을 신속하게 파일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파일용 속지가 결합된 상태의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일용 속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파일용 속지에 서류 등의 페이퍼가 내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각종 서류나 악보 등의 페이퍼(S)를 철하여 보관하게 되는 파일은 겉표지와 그 안쪽에 투명지로 된 여러장의 파일용 속지(1)를 끼우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겉표지와 파일용 속지(1)의 일측부에는 동일한 위치에 겹쳐지는 다수 개의 바인딩홀(H)이 관통형성되고, 결속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파일용 속지(1)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파일에 끼워지는 본 고안의 파일용 속지(1)는 서류보관부(10)과 바인딩홀(H) 및 베이스 시트(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류보관부(10)는 전면지(11)와 후면지(12)로 이루어져 측 단부와 하측 단부가 상호 접착되고, 상방이 개방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서류 등의 페이퍼가 끼워지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바인딩홀(H)은 상기 서류보관부(10)의 일측부에 일렬로 다수 형성되는데, 다수의 파일용 속지(1) 및 표지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바인딩홀(H)로 링 형태의 통상적인 결속부재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다수의 파일용 속지(1) 및 표지를 체결시키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서류보관부(10)가 플랙시블(flexible)한 연성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에 반해서, 베이스 시트(20)는 별도의 얇은 경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상기 서류보관부(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시트(20)는 합성수지 재질 중에서 소정의 탄력성과 견고성을 갖는 PP(폴리플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시트(20)는 상기 서류보관부(10)와 동일한 면적의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서류보관부(10)의 내측에 열융착의 방식으로 착설됨으로써, 상기 서류보관부(10)를 평면방향으로 지지하여, 구겨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서류보관부(10)에 형성되는 상기 바인딩홀(H)과 상응하도록 상기 베이스 시트(20)의 일측부에도 바인딩홀(H')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부재가 상기 서류보관부(10)의 바인딩홀(H) 및 베이스 시트(20)의 바인딩홀(H')에 동시에 체결된다.
상기 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 시트(20)가 일체로 지지되어 파일을 세워 사용하는 경우에도 파일용 속지(1) 및 그 내측의 페이퍼(S)가 하방으로 휘어져 쏠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시트(20)는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상에 문자나 도형 등을 인쇄하여 상기 서류보관부(10)에 페이퍼(S)가 끼워지지 않았을 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서류보관부(10)의 일측 표면 또는 양측 표면 상에는 밴드(100)가 구비된다.
상기 밴드(100)는 소정의 폭으로 된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페이퍼(S)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서류보관부(10)의 상,하 단부에 대칭되게 각각 부착되거나, 상기 페이퍼(S)의 너비에 대응하도록 상기 서류보관부(10)의 좌,우 단부에 대칭되게 각각 부착된다.
상기 서류보관부(10)와 밴드(100)의 사이에 상기 페이퍼(S)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져 보관 가능하므로, 상기 페이퍼(S)는 상기 밴드(100)의 폭에 해당하는 상,하 단부 또는 좌,우 단부를 제외한 주요부분의 전면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파일용 속지(1)에 철하고자 하는 페이퍼(S)를 끼우기가 용이하고, 상기 페이퍼(S)가 끼워진 상태로 필기나 메모가 가능하며, 빛의 반사에 의한 눈부심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파일용 속지에 구비되는 밴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밴드(1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파일용 속지(1)에 구비되는데, 가로형밴드(110), 세로형밴드(120), 대각선형밴드(140) 및 삼각형밴드(150)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따른 가로형밴드(110)가 도시된다.
상기 가로형밴드(110)는 상기 서류보관부(10)의 전면 또는 후면 상에 부착되되, 끼우고자 하는 상기 페이퍼(S)의 규격사이즈(A4 또는 B4 사이즈 등)에 따라, 그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하 측에 한 쌍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로형밴드(110)와 후술할 세로형밴드(120), 중간밴드(130), 대각선형밴드(140) 및 삼각형밴드(150)는 공지된 다양한 접착 수단이 강구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열압착에 의한 접합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명시된 도면부호 (L)은 열압착에 의한 열합선을 나타낸다.
한 쌍의 상기 가로형밴드(110) 중 하측의 가로형밴드(110)는 양측 단부 뿐 아니라, 하측 단부도 열압착되어, 상기 페이퍼(S)가 하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6에는 상기 한 쌍의 가로형밴드(110) 사이에 중간밴드(130)가 구비된 것이 도시된다. 상기 중간밴드(130)는 하나의 파일용 속지(1)에 서로 다른 사이즈 즉, B4 용지 크기와 A4 용지 사이즈의 페이퍼(S)를 끼울 수 있도록 그 용도를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따른 세로형밴드(120)가 도시된다.
상기 세로형밴드(120)는 상기 서류보관부(10)의 전면 또는 후면 상에 부착되되, 끼우고자 하는 상기 페이퍼(S)의 규격사이즈(A4 또는 B4 사이즈 등)에 따라, 그 너비에 대응되도록 좌,우 측에 한 쌍이 구비된다.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에 도시된, 대각선형밴드(140) 및 삼각형밴드(150)는 상기 서류보관부(10)의 전면 또는 후면 상에 부착되되, 끼우고자 하는 상기 페이퍼(S)의 규격사이즈(A4 또는 B4 사이즈 등)에 따라, 그 4 모서리부에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된다.
각각의 상기 대각선형밴드(140)는 상호 평행하는 방향으로 두 쌍이 마주보도록 상기 서류보관부(10)의 모서리부에 각각 접합된다. 상기 대각선형밴드(140)의 양측 단부가 열압착에 의해, 상기 서류보관부(10)에 접착되어, 상기 페이퍼(S)의 각 모서리부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삼각형밴드(150)는 밑면이 상호 평행하는 방향으로 두 쌍이 마주보도록 상기 서류보관부(10)의 모서리부에 각각 접합된다. 상기 삼각형밴드(150)의 밑변을 제외한 양변 부분이 열압착에 의해, 상기 서류보관부(10)에 접착되어, 상기 페이퍼(S)의 각 모서리부가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일용 속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파일용 속지가 결합된 상태의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파일용 속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파일용 속지에 서류 등의 페이퍼가 내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파일용 속지에 구비되는 밴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파일용 속지 10: 서류보관부
20: 베이스 시트 100: 밴드
110: 가로형밴드 120: 세로형밴드
130: 중간밴드 140: 대각선형밴드
150: 삼각형밴드 S: 페이퍼

Claims (9)

  1. 서류가 끼워지는 투명재질의 서류보관부;
    상기 서류보관부의 일측부에 다수 형성되는 바인딩홀; 및
    별도의 얇은 경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서류보관부를 평면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서류보관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베이스 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류보관부는,
    전면지와 후면지로 이루어져 상방이 개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류보관부의 일측 표면 또는 양측 표면 상에 구비되되,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서류보관부 표면 상의 상,하 단부 또는 좌,우 단부에 상호 대칭되도록 각각 위치되는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류보관부와 밴드 사이에 철하고자 하는 서류의 상,하 단부 또는 좌, 우 단부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소정의 폭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서류보관부의 상,하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가로형밴드 또는 상기 서류보관부의 좌,우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세로형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형밴드 또는 세로형밴드 각각의 양단이 상기 서류보관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로형밴드 또는 한 쌍의 세로형밴드 각각의 사이에 중간밴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상기 서류보관부와 동일한 면적의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측부에는 상기 서류보관부의 바인딩홀과 상응하는 바인딩홀이 형성되어 상호 겹쳐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PP(polypropylen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상기 서류보관부에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KR2020090001074U 2009-02-02 2009-02-02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KR201000079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074U KR20100007947U (ko) 2009-02-02 2009-02-02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074U KR20100007947U (ko) 2009-02-02 2009-02-02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947U true KR20100007947U (ko) 2010-08-11

Family

ID=4445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074U KR20100007947U (ko) 2009-02-02 2009-02-02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94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842B1 (ko) * 2012-05-25 2013-12-30 전영찬 밴드형 파일 속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842B1 (ko) * 2012-05-25 2013-12-30 전영찬 밴드형 파일 속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1262B2 (en) Album slip case with display retainer
US8162204B2 (en) Pocket folder and blank for making same
JP4656532B2 (ja) バンド型ファイル用シート封筒
US20060081689A1 (en) Device for the content of folders
KR20100007947U (ko) 베이스 시트가 구비되는 파일용 속지
JP6725707B2 (ja) 折畳み式クリップボード
JP5461067B2 (ja) ファイル
US20060016862A1 (en) Expandable holder
JP3207893U (ja) 書類収納具
JP3140340U (ja) ファイルホルダー
JP6240836B1 (ja) 一覧性書類保持具
JP3113601U (ja) ホルダー兼用ファイリング用具
JP3169249U (ja) シートファイル具
JP2921447B2 (ja) リーフホルダー
KR20130004623U (ko) 다목적 투명폴더 및 이를 구비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KR200436691Y1 (ko) 서류 파일
KR200359935Y1 (ko) 서류 보관용 화일
KR100970902B1 (ko) 서류파일
KR200408758Y1 (ko) 신문 파일집
JP3185816U (ja) 名刺入れ付きファイル
KR20190120612A (ko) 서류 또는 악보용 화일
KR200466032Y1 (ko) 클리어화일
KR101424893B1 (ko) 서류철
JP3174234U (ja) ファイル差込用のシート及び書類入れファイル
JP3140793U (ja) 書類収納用ファ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