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623U - 다목적 투명폴더 및 이를 구비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다목적 투명폴더 및 이를 구비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623U
KR20130004623U KR2020120000489U KR20120000489U KR20130004623U KR 20130004623 U KR20130004623 U KR 20130004623U KR 2020120000489 U KR2020120000489 U KR 2020120000489U KR 20120000489 U KR20120000489 U KR 20120000489U KR 20130004623 U KR20130004623 U KR 20130004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inyl
transparent folder
transparent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림
Original Assignee
최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림 filed Critical 최은림
Priority to KR2020120000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623U/ko
Publication of KR20130004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6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6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 B42F7/065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3/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involving perforations; Means therefor; Sheet details therefor
    • B42F3/003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 B42F5/06Corner-holding devices, e.g. for photograph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판의 전면으로 접혀지며 상기 후면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일측 모서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후면판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서류가 임의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측면의 일부 영역을 연결하여 서류의 흘림을 방지하는 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면판; 을 포함하며,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내측 또는 상기 전면판의 외측에는 다목적 투명폴더가 끼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투명폴더 및 이를 구비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Transparent folder and Hand carry Cas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다목적 투명폴더 및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공 투명폴더, 다공 투명폴더 등으로 구현되면서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투명폴더과, 상기 투명폴더를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는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서류를 철하기 위하여 파일 홀더가 사용된다. 파일 홀더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서류에 직접 구멍을 뚫어 분철하는 서류철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서류철은 서류에 직접적인 손상이 가해지게 되며, 서류를 철하거나 분리할 경우에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개별적으로 서류를 수납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투명폴더가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투명폴더는 비닐 소재로서, 두 가지의 경우로 사용된다.
첫 번째의 경우는 A4(210 x 297 mm)의 규격보다 약간 큰 직사각형 모folder더로서, 직사각형 모양의 좌측면과 하부면을 초음파 점착으로 봉합하고 상부면과 우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투명폴더는 서류를 1 ~ 20장 정도 넣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바인더에 철하지 않고 개별사용이 가능하다.
두 번째 경우는 투명파일 속지라 칭하는 것으로, 보통 2공 또는 3공의 바인에 철을 할 수 있으며 투명비닐 안에 A4 용지를 약 1 ~ 5장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투명파일 속지는 상부면만 열려있고 좌측면, 우측면, 하부면은 초음파 점착으로 봉합된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개별사용 투명폴더의 경우, 서류를 분류별로 철할 수 없고 서류를 철하려면 다시 서류를 꺼내서 정리를 한 다음을 구멍을 뚫어 철을 하거나 투명파일 속지에 넣어서 철을 해야하므로 서류를 분류별로 보관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투명파일 속지의 경우는 상부면만 개방되어 있으므로 서류를 넣고 빼기가 불편하고 비닐이 얇아서 다루기가 번거롭기 때문에 개별적인 서류 보관용으로 사용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첫째, 개별사용 용도의 투명폴더와 철 용도의 투명파일 속지의 기능을 합하여 개별적으로 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서류의 분류별로 손쉽게 분철할 수 있는 다목적 투명폴더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이 다목적 투명폴더를 담아서 휴대할 목적으로 고안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판의 전면으로 접혀지며 상기 후면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일측 모서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후면판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서류가 임의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측면의 일부 영역을 연결하여 서류의 흘림을 방지하는 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내측 또는 상기 전면판의 외측에는 다목적 투명폴더 끼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전면판의 상부 폭과 상기 전면판의 측면 폭은 상기 후면판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목적 투명폴더는 2공 또는 3공 투명폴더, 다공 투명폴더 등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투명폴더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면비닐판; 상기 후면비닐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비닐판의 전면으로 접혀지며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하부와 타측면이 상기 후면비닐판에 접착되도록 상기 후면비닐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비닐판; 및 상기 후면비닐판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면비닐판의 일측에 접혀지는 측면비닐판;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비닐판과 상기 측면비닐판에는 바인더 또는 다공 철이 가능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판의 전면으로 접혀지며 상기 후면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일측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후면판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서류가 임의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 및 상기 후면판의 하부와 상기 측면판의 측면의 일부 영역을 연결하여 서류를 수납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납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판과 상기 수납판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는 다목적 투명폴더가 끼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는 바인더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면비닐판; 상기 후면비닐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비닐판의 전면으로 접혀지며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하부와 타측면이 상기 후면비닐판에 접착되도록 상기 후면비닐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비닐판; 및 상기 후면비닐판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면비닐판의 일측에 접혀지는 측면비닐판; 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비닐판과 상기 측면비닐판에는 바인더 또는 다공 철이 가능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투명폴더를 제공한다.
상기 후면비닐판, 상기 전면비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0.1mm 내지 0.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비닐판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손가락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투명폴더에 따르면 개별사용 용도의 투명폴더와 철 용도의 투명폴더 속지의 기능을 합하여 개별적으로 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서류를 분류별로 손쉽게 철할 수 있다.
또한, 서류를 넣고 빼기가 편리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를 통해 다목적 투명폴더의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도로서, 전면판이 이탈방지판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면판이 이탈방지판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에 3공 투명폴더가 삽입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의 이탈방지판에 3공 투명폴더의 일측이 끼워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에 수납되는 3공 투명폴더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도로서, 3공 투명폴더가 개방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은 본 고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에 수납되는 다공 투명폴더의 조립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폴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조립 사시도로서, 바인더로 사용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본 실시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어 있는 하나의 투명 또는 불투명 비닐 또는 판지를 통해 제작할 수 있다.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는 크게 후면판(200), 전면판(100), 측면판(110), 하면판(120), 이탈방지판(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면판(20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의 후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후면판(200)은 A4 용지의 크기보다 다소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판(100)은 후면판(200)과 대응되도록 후면판(200)의 전면으로 접혀지며 후면판(200)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경계 부위, 즉 접는 선(101, 201)들은 보관될 다목적 투명폴더(300,300a, 도 6 내지 도 8 참조)의 장수를 고려하여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부위, 즉 접는 선(101, 201)들은 바로 접힐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폭을 갖지 않거나 10 mm 이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측면판(110)은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을 상호 연결하면서 후면판(200)과 전면판(100)의 측면의 일부를 밀폐하여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사이에 위치한 다목적 투명폴더(300,300a, 도 6 내지 도 8 참조)이 측면 방향을 통해 임의로 이탈되거나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측면판(110)은 전면판(100) 또는 후면판(200)에서 연장될 수 있는데 편의상 전면판(100)에서 연장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이때, 측면판(110)과 전면판(100)의 경계부위, 즉 접는 선(111, 113)들은 마찬가지로 보관될 다목적 투명폴더(300,300a, 도 6 내지 도 8 참조)의 장수를 고려하여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부위, 즉 접는선(111, 113)들은 바로 접힐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폭을 갖지 않거나 10 mm 이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면판(120)은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을 상호 연결하면서 후면판(200)과 전면판(100)의 하부 전체를 밀폐하여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사이에 위치한 다목적 투명폴더(300, 300a, 도 6 내지 도 8 참조)이 하부 방향을 통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다목적 투명폴더(300, 300a, 도 6 내지 도 8 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하면판(120)과 전면판(100)의 경계부위, 즉 접는 선(121, 123)들은 마찬가지로 보관될 다목적 투명폴더(300,300a, 도 6 내지 도 8 참조)의 장수를 고려하여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부위, 즉 접는 선(121, 123)들은 바로 접힐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폭을 갖지 않거나 10 mm 이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탈방지판(210)은 전면판(100)의 일측 모서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후면판(200)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모서리 끼움판과 후면판(200)의 경계부위, 즉 접는 선(211, 212, 213, 214)들은 역시 전면판(100) 또는 다목적 투명폴더(300,300a, 도 6 내지 도 8 참조)의 개수를 고려하여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부위 즉 접는 선(211, 212, 213, 214)들은 바로 접힐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폭을 갖지 않거나 10 mm 이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이탈방지판(210)에 전면판(100)이 쉽게 끼워지도록 전면판(100)의 상부 폭과 전면판(100)의 측면 폭은 후면판(20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형상에 의해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에 더 쉽게 다목적 투명폴더(300,300a, 도 6 내지 도 8 참조)을 수납하거나 빼낼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판(210)은 다목적 투명폴더 등 내부에 보관된 서류가 임의로 빠져나오지 않게 하는 서류 흘림 방지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술한 측면판(110), 하면판(120), 이탈방지판(210)은 접착제 또는 초음파 접착 등을 이용하여 후면판(200)에 결합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는 조립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조립도로서, 전면판(100)이 이탈방지판(21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전면판(100)이 이탈방지판(210)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에 3공 다목적 투명폴더(300)이 삽입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의 이탈방지판(210)에 3공 투명폴더(300)의 일측이 끼워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는 필요에 따라 전면판(100)이 이탈방지판(210)에 끼워지거나 끼워지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의 전면판(100)이 이탈방지판(210)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일 경우, 상부와 측면 일부가 개방되므로 개방된 공간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목적 투명폴더(300)이 쉽게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00)이 이탈방지판(210)에 끼워지면,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사이에 수납된 다목적 투명폴더(300)은 이탈방지판(210)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목적 투명폴더(300)은 노출된 형태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의 이탈방지판(210)에만 끼워진 형태로 다목적 투명폴더(300)에 포함된 서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에 수납되는 3공 투명폴더(300)의 전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도로서, 3공 투명폴더(300)이 개방되는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은 본 고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에 수납되는 다공 투명폴더(300a)의 조립도이다.
전술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에 수납되는 다목적 투명폴더는 3공 투명폴더(300), 다공 다공 투명폴더(30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3공 투명폴더(300)이, 도 8에는 다공 다공 투명폴더(300a)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목적 투명폴더(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비닐판(320), 전면비닐판(310), 측면비닐판(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목적 투명폴더(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어 있는 하나의 투명 비닐을 통해 제작할 수 있다.
후면비닐판(32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목적 투명폴더(300)의 후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후면판(200)은 A4 용지의 크기보다 다소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비닐판(310)은 후면비닐판(320)과 대응되도록 후면비닐판(320)의 전면으로 접는 선(325)를 따라 접혀지며 후면비닐판(320)의 일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전면비닐판(310)과 후면비닐판(320)의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하부와 타측면이 서로 초음파 점착 등의 방법으로 밀착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다목적 투명폴더(300)은 좌측면과 상부면만 개방된 형태를 가지므로 서류를 쉽게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측면비닐판(330)은 후면비닐판(320)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전면비닐판(310)의 일측에 접혀지게 되는데, 후면비닐판(320)과 측면비닐판(330)에는 다수의 각각 구멍(321, 331)이 형성된다. 각각의 구멍(321, 331)들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분철구멍(340)을 형성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형태의 3공 투명폴더(300)은 3개의 분철구멍(340)을 통해 바인더에 철이 가능하며, 도 8에 도시된 형태의 다공 투명폴더(300a)은 다수의 분철구멍(340)들을 통해 다공 철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폴더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투명폴더(300b)은 전면비닐판(310)의 가장자리 영역에 손가락(미도시)이 끼워질 수 있는 손가락홈(312)이 형성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손가락홈(312)은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비닐판(310)의 측면 가장자리나 상부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홈(312)은 사람의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타원,반원 형태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손가락을 손가락홈(312)에 끼워서 전면비닐판(310)을 쉽게 잡으면서 후면비닐판(32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서류를 수납하고, 수납된 서류를 쉽게 꺼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투명폴더(300, 300a, 300b)들은 후면비닐판(320), 전면비닐판(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0.1mm 내지 0.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전개된 비닐로부터 조립되어 형성되는 투명폴더(300, 300a, 300b)들은 후면비닐판(320), 전면비닐판(310)의 비닐 두께가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이들 투명폴더를 형성하는 비닐 두께가 0.1mm 보다 작을 경우에는 두께가 매우 얇아 형태가 쉽게 변하므로 손에 쥐었을 때 서류를 온전하게 보호하기 어렵고 쉽게 찢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개별화일로 사용이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바인더 등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속지의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의 투명폴더(300, 300a, 300b)이 0.1mm 내지 0.3mm의 두께를 갖는다면 속지 뿐만 아니라 개별화일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들의 투명폴더는 개별보관용이나 다양한 형태의 바인더(미도시) 또는 다공 철에 의해 보관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의 전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조립 사시도로서, 바인더로 사용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처럼 하나의 투명 또는 불투명 비닐 또는 판지를 통해 제작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a)는 크게 후면판(200a), 전면판(100a), 이탈방지판(210) 및 수납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a)에서 이탈방지판(210a)은 후면판(200a)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서류가 임의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은 동일하다. 그러나 이탈방지판(210a)은 전면판(100a)의 일측과 접촉되는 점, 즉 이탈방지판(210a)을 전면판(100a)이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면에서 제1실시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a)가 이탈방지판(210)의 내측으로 삽입가능할 수 있는 점과는 차이가 있다.
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a)가 바인더 형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a)는 많은 양의 서류 또는 투명폴더들을 함께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납판(220)은 후면판(200a)의 하부와 후면판의 측면의 일부 영역을 연결하여 서류를 수납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수납판(220)의 내부 공간에는 서류 또는 투명폴더들이 수용되면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전면판(100a)과 후면판(200a)의 경계 부위, 즉 접는 선(101a, 201a)들은 많은 개수의 다목적 투명폴더(300,300a, 도 6 내지 도 8 참조)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제1 실시예의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1)에 비해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부위, 즉 접는 선(101a, 201a)들은 폭이 30mm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다른 접는 선(211a, 212a, 221, 222, 223, 224)들이 이루는 폭들도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다목적 투명폴더 케이스(1b)는 전면판(100a)의 내측에 서류가 수용될 수 있는 포켓(1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포켓(130)은 전면판(100a)의 측면 길이를 더 길게 구성하여 일체로 연장될 수 있고 다른 종이를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투명폴더에 따르면 개별사용 용도의 투명폴더와 철 용도의 투명폴더 속지의 기능을 합하여 개별적으로 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서류를 분류별로 손쉽게 철할 수 있다.
또한, 서류를 넣고 빼기가 편리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를 통해 다목적 투명폴더의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100 : 전면판
110 : 측면판 120 : 하면판
200 : 후면판 210 : 모서리 끼움판
300 : 3공 투명폴더 310 : 전면비닐판
320 : 후면비닐판 330 : 측면비닐판
321, 331 : 구멍 300a : 다공 투명폴더
340 : 분철구멍

Claims (8)

  1.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판의 전면으로 접혀지며 상기 후면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일측 모서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후면판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서류가 임의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측면의 일부 영역을 연결하여 서류의 흘림을 방지하는 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면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내측 또는 상기 전면판의 외측에는 다목적 투명폴더가 끼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상부 폭과 상기 전면판의 측면 폭은 상기 후면판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투명폴더는 2공 또는 3공 투명폴더, 다공 투명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폴더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면비닐판;
    상기 후면비닐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비닐판의 전면으로 접혀지며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하부와 타측면이 상기 후면비닐판에 접착되도록 상기 후면비닐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비닐판; 및
    상기 후면비닐판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면비닐판의 일측에 접혀지는 측면비닐판; 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비닐판과 상기 측면비닐판에는 바인더 또는 다공 철이 가능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5.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면판;
    상기 후면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판의 전면으로 접혀지며 상기 후면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일측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후면판의 일측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서류가 임의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 및
    상기 후면판의 하부와 상기 후면판의 측면의 일부 영역을 연결하여 서류를 수납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납판;
    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판과 상기 수납판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는 다목적 투명폴더가 끼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6.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면비닐판;
    상기 후면비닐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후면비닐판의 전면으로 접혀지며 상부와 일측면이 개방되고 하부와 타측면이 상기 후면비닐판에 접착되도록 상기 후면비닐판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전면비닐판; 및
    상기 후면비닐판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면비닐판의 일측에 접혀지는 측면비닐판; 을 포함하며,
    상기 후면비닐판과 상기 측면비닐판에는 바인더 또는 다공 철이 가능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투명폴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비닐판, 상기 전면비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0.1mm 내지 0.3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투명폴더.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비닐판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는 손가락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투명폴더.
KR2020120000489U 2012-01-19 2012-01-19 다목적 투명폴더 및 이를 구비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KR201300046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489U KR20130004623U (ko) 2012-01-19 2012-01-19 다목적 투명폴더 및 이를 구비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489U KR20130004623U (ko) 2012-01-19 2012-01-19 다목적 투명폴더 및 이를 구비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623U true KR20130004623U (ko) 2013-07-29

Family

ID=5135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489U KR20130004623U (ko) 2012-01-19 2012-01-19 다목적 투명폴더 및 이를 구비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62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333B1 (ko) * 2013-11-11 2014-12-02 이보라 그림연습용 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333B1 (ko) * 2013-11-11 2014-12-02 이보라 그림연습용 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6532B2 (ja) バンド型ファイル用シート封筒
US8141907B2 (en) Document protector
JP6770352B2 (ja) 書類ホルダ及びファイル
KR20130004623U (ko) 다목적 투명폴더 및 이를 구비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JP3177545U (ja) ファイル用ポ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ファイル
JP3164506U (ja) クリアフォルダー
JP2013237202A (ja) 紙挟み
KR200484539Y1 (ko) 서류 보관용 클리어 파일
JP5528220B2 (ja) シートファイル具
WO2011080846A1 (ja) ファイリング用具及び該ファイリング用具の製造装置
JP2019198992A (ja) ポケットファイル
JP3184301U (ja) クリアファイルブック
JP3113601U (ja) ホルダー兼用ファイリング用具
JP3174234U (ja) ファイル差込用のシート及び書類入れファイル
JP3121002U7 (ko)
JP2016120645A (ja) 紙挟み
KR200346885Y1 (ko) 서류 파일 구조
JP3121002U (ja) 紙類ホルダー
KR200447402Y1 (ko) 표지 삽입형 커버
JP3169249U (ja) シートファイル具
JP2017226091A (ja) 書類ホルダ
JP6852530B2 (ja) ファイル
KR200263216Y1 (ko) 포켓 서류철용 칼
JP4668142B2 (ja) ブック型透明ホルダー
KR200466032Y1 (ko) 클리어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