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402Y1 - 표지 삽입형 커버 - Google Patents

표지 삽입형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402Y1
KR200447402Y1 KR2020090007324U KR20090007324U KR200447402Y1 KR 200447402 Y1 KR200447402 Y1 KR 200447402Y1 KR 2020090007324 U KR2020090007324 U KR 2020090007324U KR 20090007324 U KR20090007324 U KR 20090007324U KR 200447402 Y1 KR200447402 Y1 KR 200447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abel
rear portion
incision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중
송일국
Original Assignee
김의중
송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중, 송일국 filed Critical 김의중
Priority to KR2020090007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4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4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6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in which the fillings and covers are united by o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04Devices for protecting or reinforcing edges or corners of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20Protecting; Reinforcing; Preventing deform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를 보관하는 문서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속지에 보관되는 문서의 내용에 따라 표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표지 삽입형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속지를 보호하는 커버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표지가 보관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전면부와 후면부가 이중으로 구비되며, 상기 후면부의 일측에 상기 표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는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는 보관중인 문서의 내용에 따라 표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문서의 분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표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표지의 오염을 방지하여 문서철의 커버가 손상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지, 삽입, 문서, 바인더, 절개

Description

표지 삽입형 커버{COVER OF INSERTING INDEX}
본 고안은 서류를 보관하는 문서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속지에 보관되는 문서의 내용에 따라 표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표지 삽입형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를 철하여 보관하는 바인더는 문서를 보관하고 또 보기 쉽게 하기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바인더는 내용이 기입된 문서를 보관하는 수십매의 속지가 구비되고, 그 양측에 커버가 구비되어 내부의 속지에 문서를 삽입하여 보관 및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바인더 커버는 기본적으로 크기를 달리하는 합지가 별도로 준비되고, 이들 합지가 특정의 시트위에 적층된 후, 그 위에 쿠션시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금형을 이용한 고주파 열융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바인더는 통상 열람 및 보관의 편의를 위해 비슷한 내용 또는 같은 주제를 갖는 여러 장의 문서가 상기 속지에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바인더에 보관된 문서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바인더를 펼쳐보기 전에는 확인할 수 없어 필요한 문서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바인더를 일일이 펼쳐서 확인해 야 하는 번잡함이 수반되었다.
이와 같은 번잡함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자들은 바인더의 커버에 보관중인 문서의 제목이나 날짜 부서 등의 내용을 프린트하여 잘라붙이거나 라벨지 등을 부착하여 원하는 문서가 보관된 바인더를 찾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 역시 사용자가 일일이 제목이나 날짜 부서 등을 프린트하거나 라벨지 등을 부착해야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고, 바인더에 보관중인 문서의 내용이 바뀔 때마다 이에 맞게 다시 프린트하거나 라벨지 등을 부착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인더 커버에 사용자가 직접 필기구를 사용하여 기입할 수 있는 바인더 커버가 제안되었으나 한번 기입하고 나면 수정이 불가능하여 문서의 내용이 바뀔시에는 결국 별도의 라벨지 등을 부착하여 사용해야하고, 기입하는 과정에서 글씨가 번져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지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바인더 커버의 손상 및 훼손이 발생하여 바인더 전체를 교체해야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문서를 장기간 보관하게 되는 경우, 바인더의 커버에 부착되어 있는 라벨지 등이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어 변색되거나 글자 자체가 흐릿하게 되어 필요한 문서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펼쳐서 확인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중인 문서의 내용에 따라 표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표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지 삽입형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속지를 보호하는 커버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표지가 보관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전면부와 후면부가 이중으로 구비되며, 상기 후면부의 일측에 상기 표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는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표지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절개부의 상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표지의 일단이 길이중간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개편이 구비되어 상기 표지가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부는 그 상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표지의 일단이 길이중간에 배치되도록 절개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이 구비되어 상기 표지가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는 상기 절개부와 동일선상에 절개형성되는 적어 도 하나의 고정편이 구비되어 상기 표지가 상기 내부공간에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부는 그 테두리를 따라 보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는 보관중인 문서의 내용에 따라 표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문서의 분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표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표지의 오염을 방지하여 문서철의 커버가 손상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는 적어도 하나의 속지가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문서철이나, 앨범, 노트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가 바인더나 파일철과 같은 문서철에 적용된 것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가 적용된 문서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 고, 도 2는 도 1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표지 삽입형 커버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정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보강부재가 구비된 표지 삽입형 커버의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지 삽입형 커버가 적용된 문서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가 다른 형태로 적용된 문서철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표지 삽입형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100)가 적용된 문서철(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문서철(10)은 접이선을 매개로 경계가 지어지는 두 개의 커버(100,20) 및 측부(25)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접이선을 매개로 접혀져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문서철(10)에는 상기 측부(25)의 내측에 고정구(35)가 결합되어 고정구에 다수개의 속지(30)가 접착제, 봉제 또는 바인더에 의해 편철된 후 상기 속지(30)내에 서류 등이 삽입되거나, 측부(25)의 상,하부 또는 전,후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커버(100,20) 중 어느 한 개의 커버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구(35)에 서류가 편철되어 보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100)는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서류를 주제별로 보관하는 문서철(10)의 일측 커버(100) 또 는 양측 커버에 적용되는 것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대략 사각판상의 부재로 구비되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는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쇄용지의 크기 즉, A4,B4,B5 등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큰 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전면부(110)와 후면부(120)의 사이에 표지(130)가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내부공간(102)을 형성하도록 그 외측 테두리를 따라 금형을 이용한 고주파 열융착되는 밀착부(104a,104b,104c,104d)가 소정폭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는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후면부(120)가 전면부(110)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후면부(12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밀착부(104a,104b,104c,104d)가 소정폭으로 구비되어 열융착되어 일체화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밀착부(104a,104b,104c,104d)가 그 외측 테두리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전면부(110)와 후면부(120)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102)에 삽입되는 표지(130)가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표지(130)가 상기 내부공간(102)에 삽입되어 보관될 때 전면부(110) 및 후면부(120)에 밀착되어 내부공간(102)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후면부(1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102)은 문서철(10)에 보관되는 서류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서류의 제목이나 부서 종류 등이 기입된 표지(130)가 보관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쇄용지의 크기 즉, A4,B4,B5 등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100)가 전면부(110) 및 후면부(120)의 이중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구비되는 내부공간(102)에 표지(130)가 삽입된 후 보관되어 표지(1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표지(13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이 지나도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표지에 인쇄된 글자가 지워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02)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쇄용지의 크기에 맞게 구비됨으로써, 문서철(10)에 보관되는 서류의 내용이 바뀌거나 제목 등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별다른 추가 작업이나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컴퓨터와 연결된 프린터 등과 같은 인쇄기기를 통하여 변경된 제목이나 부서 등이 인쇄된 표지(130)를 상기 내부공간(102)에 삽입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면부(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비닐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표지 삽입형 커버(100)에 삽입되는 표지(130)의 내용이 보일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후면부(120)는 전면부(110)와 마찬가지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비닐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내부가 보이지 않는 불투명 소재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후면부(120)는 일측에 상기 표지(130)가 내부공간(10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부(12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절개부(122)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부(120)의 상부나 하부(두 변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부(120)의 측면 일측(두 변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개부(122)는 상기 내부공간(102)의 일측이 개구되어 표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표지(13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인쇄용지의 크기보다 약간 긴 길이와 소정의 폭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개부(122)가 후면부(120)의 일측에 내부공간(102)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내부공간(102)에 표지(130)를 용이하게 삽입 또는 취출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문서철(10)에 보관되는 서류의 종류가 바뀌거나 표지(130)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인쇄용지에 변경된 내용을 인쇄하여 표지(130)를 만들고 내부공간(102)에 삽입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부(122)는 표지(130)가 내부공간(102)에 삽입되어 일측단이 밀착부(104c)에 접하고 타측단이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공간(102)에 삽입된 표지(130)가 절개부(122)를 통하여 삽입된 후,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지(130)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된 표지(130)의 일부를 취부하여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표지(13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부(122)가 위치하여 절개부(122)에 의해 개방된 후면부(120)의 끝단부분(120a)이 표지(130)에 밀착되어 후면부(120)와 표지(130)사이에 마찰력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표지(130)가 내부공간(102)에 견고히 끼워진 후 유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개부(122)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측 테두리를 따라 보강부재(124)가 구비되어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강부 재(124)는 표지(130)의 삽입 및 취출시 마찰력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고 사용상 부주의로 인해 절개부(122)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22)의 상부 일측에는 내부공간(102)에 삽입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표지(130)의 일단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128)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절개홈(128)은 상기 절개부(122)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102)에 표지(130)가 삽입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표지는 상기 절개홈(128)의 일단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빈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해 표지(130)의 교체시 사용자가 상기 빈공간에 노출된 표지의 일단을 용이하게 취부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22)의 상부 일측에는 내부공간(102)에 삽입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표지(130)의 일단이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편(126)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절개편(126)은 하부가 밀폐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표지(130)의 교체시 사용자가 절개편(126)을 이용하여 후면부(120)에 밀착되어 있는 표지(130)의 일부를 후면부(120)로부터 들려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지의 일부를 용이하게 취부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부(110)는 후면부(120)에 구비되는 절개부(122)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편(112)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편(112)은 일측단이 상기 밀착부(104a,104b,104c,104d)에 연결되고 나머지 테두리가 개구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절개형성되는 것으로 절개부(122)가 형성되는 동일선상에 전 면부(110)의 좌,우측 부분에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정편(112)은 표지의 삽입 또는 취출 시 후면부(120)측으로 들어올려 표지가 내부공간(10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표지를 삽입한 후에는 탄성적으로 표지에 밀착되어 내부공간(102)에 보관된 표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112)은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의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0) 및 후면부(120) 사이에 구비되는 내부공간(102)을 후면부(120)의 하부 일측에 통상의 명함 크기로 작게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102)과 연통되는 절개부(122)를 형성하여 명함을 삽입하여 보관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절개부(122)가 후면부(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절개부(122)를 전면부(110)의 일측에 구비하여 표지를 삽입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은 명백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가 적용된 문서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표지 삽입형 커버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정면도 및 후면도.
도 4은 도 3에 보강부재가 구비된 표지 삽입형 커버의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지 삽입형 커버가 적용된 문서철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표지 삽입형 커버가 다른 형태로 적용된 문서철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표지 삽입형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후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서철 15a,15b : 접이선
20 : 커버 25 : 측부
30 : 속지 100 : 표지 삽입형 커버
102 : 내부공간 104 : 밀착부
110 : 전면부 112 : 고정편
120 : 후면부 122 : 절개부
124 : 보강부재 126 : 절개편
128 : 절개홈 130 : 표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적어도 하나의 속지를 보호하는 커버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표지가 보관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전면부와 후면부가 이중으로 구비되고, 상기 후면부의 일측에 상기 표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는 절개부가 구비되며,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절개부의 상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표지의 일단이 길이중간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개편이 구비되어 상기 표지가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 삽입형 커버.
  4. 적어도 하나의 속지를 보호하는 커버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소정 크기의 표지가 보관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전면부와 후면부가 이중으로 구비되고, 상기 후면부의 일측에 상기 표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폭을 갖는 절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절개부는 그 상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표지의 일단이 길이중간에 배치되도록 절개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이 구비되어 상기 표지가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 삽입형 커버.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절개부와 동일선상에 절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편이 구비되어 상기 표지가 상기 내부공간에서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 삽입형 커버.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그 테두리를 따라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 삽입형 커버.
KR2020090007324U 2009-06-08 2009-06-08 표지 삽입형 커버 KR200447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324U KR200447402Y1 (ko) 2009-06-08 2009-06-08 표지 삽입형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324U KR200447402Y1 (ko) 2009-06-08 2009-06-08 표지 삽입형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402Y1 true KR200447402Y1 (ko) 2010-01-25

Family

ID=4421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324U KR200447402Y1 (ko) 2009-06-08 2009-06-08 표지 삽입형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4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51Y1 (ko) 2010-03-23 2012-03-21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손톱소제용구 수납용 파우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060A (ja) 1999-03-04 2000-09-12 Sukeo Tejima カバー、手帳カバー及び手帳
KR200237810Y1 (ko) * 2001-03-21 2001-10-08 강성수 북커버
JP2003205693A (ja) 2002-01-10 2003-07-22 Reiko Ueno ブックカバー
KR20030083279A (ko) * 2002-04-20 2003-10-30 엄태봉 책표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7060A (ja) 1999-03-04 2000-09-12 Sukeo Tejima カバー、手帳カバー及び手帳
KR200237810Y1 (ko) * 2001-03-21 2001-10-08 강성수 북커버
JP2003205693A (ja) 2002-01-10 2003-07-22 Reiko Ueno ブックカバー
KR20030083279A (ko) * 2002-04-20 2003-10-30 엄태봉 책표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151Y1 (ko) 2010-03-23 2012-03-21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손톱소제용구 수납용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907B2 (en) Document protector
KR200447402Y1 (ko) 표지 삽입형 커버
US20020121775A1 (en) Expandable scrapbooking organizer
US7591093B2 (en) Pull-out index for file folders and the like
JP6770352B2 (ja) 書類ホルダ及びファイル
US6776437B1 (en) Folder index pocket structure
US7900814B2 (en) File folder
JP3176274U (ja) 紙製クリアファイル
KR200349481Y1 (ko) 홀딩 기능을 포함하는 서적
KR102410741B1 (ko) 포스트잇이 내장되는 필기장
KR200387802Y1 (ko) 상단의 절취된 홈이 있어 서류의 입출이 간편한 서류파일용속지
KR20190003267U (ko) 인덱스 기능이 구비된 클리어 파일
KR200494801Y1 (ko) 필기구 꽂이를 구비한 서책
JP5344998B2 (ja) クリアファイル
KR102248925B1 (ko) 양면 포켓이 형성되는 파일 커버
JP2010201725A (ja) ファイル
CN216579858U (zh) 一种分类文件套
KR200349127Y1 (ko) 표찰수용부가 형성된 문서 보관용 파일
JP3121002U7 (ko)
JP3129358U (ja) ペンケース付きクリアファイル
KR200350477Y1 (ko) 표찰 수용 스티커
KR200419516Y1 (ko) 직필 파일
JP3133858U (ja) 資料等の保存用のクリアファイル
JP3174234U (ja) ファイル差込用のシート及び書類入れファイル
KR200466032Y1 (ko) 클리어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