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032Y1 - 클리어화일 - Google Patents

클리어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032Y1
KR200466032Y1 KR2020100005702U KR20100005702U KR200466032Y1 KR 200466032 Y1 KR200466032 Y1 KR 200466032Y1 KR 2020100005702 U KR2020100005702 U KR 2020100005702U KR 20100005702 U KR20100005702 U KR 20100005702U KR 200466032 Y1 KR200466032 Y1 KR 200466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ransparent vinyl
clear file
documents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323U (ko
Inventor
마기형
Original Assignee
마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기형 filed Critical 마기형
Priority to KR2020100005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032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3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0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6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 B42F7/065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21/00Indexing means; Indexing tabs or protectors therefor
    • B42F21/02Tabs integral with sheets, papers, cards, or suspension fil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리어화일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동 등분 접철되는 커버(12)의 내면에 서류 수납을 위한 투명한 비닐로 된 수납 수단을 구비하는 클리어화일(10)에 있어서, 적층된 상태로 상기 커버(12)의 일 단부를 따라 그 일 단부(138)가 적어도 1개의 융착부(15, 16)에 의해 융착되고, 펼쳐지는 경우 상기 일 단부(138)가 서로 붙어있는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커버(12)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납 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투명비닐포켓(13)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A3 규격의 서류와 같은 대형 서류를 그 절반의 크기인 A4 규격으로 보관 및 운반 가능할 뿐만 아니라 A3 크기 그대로 읽을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리어화일{Clear File}
본 고안은 클리어화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A3 규격의 서류와 같은 대형 서류를 그 절반의 크기인 A4 규격으로 보관 및 운반 가능할 뿐만 아니라 A3 크기 그대로 읽을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클리어화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어화일(clear file)(1)은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수지 재질의 커버(2)를 동 등분으로 접철할 수 있게 접철부(4)를 마련하고, 그 내면에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여러 장의 투명비닐포켓(3)을 적층상태로 초음파 융착 또는 클립과 같은 고정구(5)를 이용하여 접철부(4)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접혀진 상태의 클리어화일(1)의 규격은 사무용지의 규격들 중 A4(297mm × 210mm)을 채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는 사용자들의 가방 크기나 서류보관함의 크기가 모두 A4 규격을 따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비록 펼쳐진 상태의 클리어화일(1)의 크기가 A4의 두배 크기인 A3(297mm × 420mm)임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서류 보관을 위한 투명비닐포켓(3)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A4 크기의 서류만이 접히지 않은 상태로 수납될 수 있었다.
그 결과 예컨대 A3 용지를 이런 클리어화일(1) 내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A3 용지를 절반의 크기로 접어서 A4 크기의 투명비닐포켓(3) 내에 끼워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단순 보관을 위해서는 아무 문제가 없을지라도, 예컨대 서류에 기재된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서류를 투명비닐포켓(3)에서 꺼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서류 및/또는 투명비닐포켓(3) 자체에 손상을 가할 염려가 크다. 더구나 서류를 접었다 펼쳤다 해야 하므로 종이로 된 서류의 경우 오래 보관하기 힘들게 되고, 더욱이 꺼낸 서류를 둘 장소가 마땅치 않을 경우도 많다는 문제들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 A4 크기의 클리어화일에 A3 크기의 서류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려는 제안이 있었다. 예컨대, 국내 실용 등록번호 20-0248870 "에이3용지 수용부가 구비된 비닐파일"에는 화일이 펼쳐진 상태에서 A3용지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A3용지를 수납하고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는 것뿐이어서, 서류가 수납된 상태로는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라는 단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한편, 국내 실용 등록번호 20-0385201 "화일"에서는 서류를 꺼내지 않은 상태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즉, 동 등분되는 커버의 내면 중앙부분에 여러 장의 투명비닐포켓을 적층하여 융착시킨 구조에서, 이 투명비닐포켓의 좌우 크기가 각각 A4 크기가 아니라 A3 크기를 가지며, 좌우의 투명비닐포켓은 다시 절반씩 접혀 커버 내에 들어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좌우측에 서류가 수납된 상태에서 투명비닐포켓이 밑으로 쏠려 커버 외측으로 밀려나올 염려가 크다. 더욱이 서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커버를 펼친 상태에서 또 다시 투명비닐포켓을 더 펼쳐야 되기 때문에, 단순히 서류를 읽기 위하여 너무 많은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화일을 펼친 주변 분위기가 지나치게 어수선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클리어화일 구조에 있어서,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면서도 형태적으로 안정하게, A3 규격의 서류와 같은 대형 서류를 그 절반의 크기인 A4 규격으로 보관 및 운반 가능할 뿐만 아니라 A3 크기 그대로 읽을 수 있게 하는 새로운 구조에 대한 절실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클리어화일을 개선 및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예컨대 A3 규격의 서류와 같은 대형 서류를 그 절반의 크기인 A4 규격으로 보관 및 운반 가능할 뿐만 아니라 A3 크기 그대로 읽을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클리어화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서류를 수납하는 투명비닐포켓의 하단부가 커버에 융착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투명비닐포켓이 서류나 자체의 무게 때문에 커버 외측으로 밀려나올 염려가 없어 형태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새로운 클리어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더 나아가 서류를 수납하는 투명비닐포켓의 하단이 커버에 융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를 마련함으로써, 커버를 펼친 상태에서도 투명비닐포켓이 서류나 자체의 무게 때문에 앞으로 쏠려 쓰러질 염려가 없어, 사용자가 예컨대 도표나 표 등의 참고용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하여 투명비닐포켓 내에 수납된 서류를 커버를 펼친 상태로 안정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클리어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클리어화일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클리어화일은, 동 등분 접철되는 커버의 내면에 서류 수납을 위한 투명한 비닐로 된 수납 수단을 구비하는 클리어화일에 있어서, 적층된 상태로 상기 커버의 일 단부를 따라 그 일 단부가 적어도 1개의 융착부에 의해 융착되고, 펼쳐지는 경우 상기 일 단부가 서로 붙어있는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커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납 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투명비닐포켓을 구비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투명비닐포켓의 상기 융착부에 의해 융착되어 있는 일 단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부를 끼울 수 있도록, 대응하는 단부에서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홀더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화일.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리어화일은, 예컨대 A3 규격의 서류와 같은 대형 서류를 그 절반의 크기인 A4 규격으로 보관 및 운반 가능할 뿐만 아니라 A3 크기 그대로 읽을 수 있게 한다.
특히 서류를 수납하는 투명비닐포켓의 하단부가 커버에 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비닐포켓이 서류나 자체의 무게 때문에 커버 외측으로 밀려나올 염려가 없어 형태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
더 나아가 서류를 수납하는 투명비닐포켓의 하단이 커버에 융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커버를 펼친 상태에서도 투명비닐포켓이 서류나 자체의 무게 때문에 앞으로 쏠려 쓰러질 염려가 없어, 사용자가 예컨대 도표나 표 등의 참고용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하여 투명비닐포켓 내에 수납된 서류를 커버를 펼친 상태로 안정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클리어화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화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서 투명비닐포켓 하나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커버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화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커버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화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커버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화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서 커버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화일(1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어화일(10)은 커버(12) 및 투명비닐포켓(13)을 구비한다.
커버(12)는 중앙의 접철부(14)에서 동 등분 접철되며 상대적으로 두껍고 경도가 있는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투명비닐포켓(13)은 커버(12)의 내면에 서류 수납을 위한 투명한 비닐로 된 수납 수단의 기능을 한다. 이는 커버(12, 22, 32)가 펼친 상태의 면적보다 상하좌우에서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진다. 예컨대 투명비닐포켓(13)은 접혀진 상태에서는 A4 규격의 서류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이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A3 규격의 서류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만 한정할 필요는 없고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특히 여러 장이 적층된 상태로 투명비닐포켓(13)은 커버(12)의 내면에 융착되는데, 커버(12)의 중앙부분에 융착되는 것이 아니라, 커버(12)의 일 단부를 따라 융착된다. 도시된 예에서 융착 부분은 커버(12)를 접어서 보관시 하단부를 형성하는 가장자리 단부측에 위치하지만, 이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고, 4개의 단부들 중 어느 단부라도 상관없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투명비닐포켓(13)의 하단부(138)인 일 단부가 이렇게 커버(12)의 하단부 측에 예컨대 초음파 융착 방식에 의하여 융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융착부(15, 16)는 하나로 쭉 이어진 라인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부(14)에서 서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융착부(15, 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융착부(15, 16)는 투명비닐포켓(13)들의 일단부(138)들이 커버(12)에 단단하게 고정되면 충분하므로, 3개 또는 4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투명비닐포켓(13)은 대체로 사각형으로 A3 규격의 서류(P)를 수납하는 투명비닐로서 서류 내용을 읽을 수 있게 하는 주표면(132)과 서류(P)를 수납하고 꺼낼 수 있게 개방된 상단부(134), 폐쇄된 양 측부(136), 및 커버(12)에 고정되는 하단부(138)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투명비닐포켓(13)이 펼쳐지는 경우가 된다. 도면에서 우측의 펼쳐진 투명비닐포켓(13)은 주표면(132)의 배면(132')이 전면에 보이며, 펼쳐지지 아니한 좌측의 투명비닐포켓(13)의 주표면(132)이 전면에 보인다. 이 상태로는 실제로 A2(A3의 두배) 크기의 서류 내용을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펼쳐진 투명비닐포켓(13)은 하단부(138)가 융착부(15, 16)에 의하여 커버(12)에 붙어있는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커버(12)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공간이 좁은 경우에, 사용자는 펼쳐진 투명비닐포켓(13)을 커버(12) 뒤로 돌아 접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관시나 운반시에 커버(12)를 접은 상태를 보여준다. 이 경우 내부의 투명비닐포켓(13)도 역시 커버(12)와 함께 접혀진다. 이때, 투명비닐포켓(13)의 하단부(138)가 커버(12)와 융착되어 있으므로, 투명비닐포켓(13)이 커버(12) 외부로 밀려 나올 염려가 전혀 없다.
도 5 내지 도 10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추가하여, 홀더부(29; 38, 39; 48, 49)를 더 구비하는 실시예들에 따른 클리어화일(20, 30, 4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 32, 42)는, 복수의 투명비닐포켓(23, 33, 43)의 융착부(25, 26; 35, 36; 45, 46)에 의해 융착되어 단부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부를 끼울 수 있도록, 대응하는 단부에서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홀더부(29; 38, 39; 48, 4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홀더부(29; 38, 39; 48, 49)에 투명비닐포켓(23, 33, 43)의 상단 부분 또는 모서리 부분이 끼워질 수 있으므로, 커버(22, 32, 42)가 접혀진 모습을 보여주는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2, 32, 42) 외측으로 투명비닐포켓(23, 33, 43)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부(23a, 33a, 43a)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노출부(23a, 33a, 43a)의 위치에 맞추어 대응하는 서류의 부위에 예컨대 제목 등을 포함하도록 하는 경우, 커버(22, 32, 42)에 별도의 제목을 표시할 필요가 없다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홀더부(29; 38, 39; 48, 49)는 도시된 예에서 투명비닐포켓(23, 33, 43)의 상단 부분 중 일부 및 모서리 등을 홀딩하는 것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 또는 두 개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수도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 홀더부(29; 38, 39; 48, 49)에 서류를 수납하는 투명비닐포켓(23, 33, 43)을 끼운 경우에는, 커버(22, 32, 42)를 펼친 상태에서도 투명비닐포켓(23, 33, 43)이 서류나 자체의 무게 때문에 앞으로 쏠려 쓰러질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예컨대 도표나 표 등의 참고용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하여 투명비닐포켓(23, 33, 43) 내에 수납된 서류를 커버(22, 32, 42)를 펼친 다음 클리어화일(20, 30, 40)을 세워놓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시공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 10, 20, 30, 40 : 클리어화일
2, 12, 22, 32, 42 : 커버
3, 13, 23, 33, 43 : 투명비닐포켓
132 : 주표면
132' : 배면
134 : 상단부
136 : 측부
138 : 하단부
23a, 33a, 43a : 노출부
4, 14, 24, 34, 44 : 접철부
5 : 고정구
15, 25, 35, 45 : 융착부
16, 26, 36, 46 : 융착부
29, 38, 39, 48, 49 : 홀더부

Claims (2)

  1. 동 등분 접철되는 커버(12)의 내면에 서류 수납을 위한 투명한 비닐로 된 수납 수단을 구비하는 클리어화일(10)에 있어서,
    적층된 상태로 상기 커버(12)의 하단부를 따라 하단부(138)가 적어도 1개의 융착부(15, 16)에 의해 융착되고, 펼쳐지는 경우 상기 하단부(138)가 서로 붙어있는 상태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커버(12)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수납 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투명비닐포켓(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화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투명비닐포켓의 상기 융착부에 의해 융착되어 있는 일 단부를 제외한 부분을 끼울 수 있도록, 대응하는 단부에서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홀더부(29; 38, 39; 48, 4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화일.
KR2020100005702U 2010-06-01 2010-06-01 클리어화일 KR200466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702U KR200466032Y1 (ko) 2010-06-01 2010-06-01 클리어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702U KR200466032Y1 (ko) 2010-06-01 2010-06-01 클리어화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23U KR20110011323U (ko) 2011-12-07
KR200466032Y1 true KR200466032Y1 (ko) 2013-03-25

Family

ID=5138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702U KR200466032Y1 (ko) 2010-06-01 2010-06-01 클리어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03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569A (ja) 1998-06-18 2000-01-11 Terauchi Bussan Kk クリアーファイル
KR200248870Y1 (ko) * 2001-06-20 2001-11-16 주식회사 금홍팬시 에이3용지 수용부가 구비된 비닐파일
KR200385201Y1 (ko) * 2005-02-25 2005-05-25 인현숙 화일
JP3144426U (ja) * 2008-06-18 2008-08-28 和行 久保田 ファイ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6569A (ja) 1998-06-18 2000-01-11 Terauchi Bussan Kk クリアーファイル
KR200248870Y1 (ko) * 2001-06-20 2001-11-16 주식회사 금홍팬시 에이3용지 수용부가 구비된 비닐파일
KR200385201Y1 (ko) * 2005-02-25 2005-05-25 인현숙 화일
JP3144426U (ja) * 2008-06-18 2008-08-28 和行 久保田 ファ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23U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13206A1 (en) Standing file folder
KR200466032Y1 (ko) 클리어화일
JP3209317U (ja) 書類ケース
JP3164980U (ja) 用紙ホルダー
JP3184301U (ja) クリアファイルブック
US9168780B1 (en) Removable insert for a file folder
JP3134445U (ja) ファイル
JP3204568U (ja) ファイルボックス
KR200472689Y1 (ko) 접철식 서류꽂이
KR200447402Y1 (ko) 표지 삽입형 커버
CN217574640U (zh) 一种双仓一体的档案盒
JP7480674B2 (ja) ファイル
US20070000850A1 (en) Storage box file organizer
JP3121002U (ja) 紙類ホルダー
KR20120097923A (ko) 명함케이스
JP5528220B2 (ja) シートファイル具
JP3121002U7 (ko)
JP3113601U (ja) ホルダー兼用ファイリング用具
KR20130004623U (ko) 다목적 투명폴더 및 이를 구비한 투명폴더 보관용 케이스
JPH09300872A (ja) ファイル
CN205416812U (zh) 一种多功能笔记本
JP3166193U (ja) 封筒用書類フォルダー
JP3197362U (ja) 表紙体
KR20240060275A (ko) 완충기능을 갖춘 수납 봉투
JP3180127U (ja) デスクトップ用間仕切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