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89Y1 - 접철식 서류꽂이 - Google Patents

접철식 서류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89Y1
KR200472689Y1 KR2020120011518U KR20120011518U KR200472689Y1 KR 200472689 Y1 KR200472689 Y1 KR 200472689Y1 KR 2020120011518 U KR2020120011518 U KR 2020120011518U KR 20120011518 U KR20120011518 U KR 20120011518U KR 200472689 Y1 KR200472689 Y1 KR 200472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dth
support portion
document holder
cu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성
Original Assignee
김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성 filed Critical 김영성
Priority to KR2020120011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4Boxes
    • B42F7/145Boxes for vertically stor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0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of variable capacity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철식 서류꽂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좌측판과 우측판, 앞판, 뒷판, 좌밑판 및 우밑판이 힌지연결부(K)에 의해서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좌밑판 및 우밑판을 서로 교차시켜 접으면 상면이 개방된 함체 구조를 형성하여 서류꽂이로 사용할 수 있고, 서류꽂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좌밑판과 우밑판을 간단하게 펼쳐서 좌측판과 우측판 및 앞판과 뒷판을 납작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접철식 서류꽂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철식 서류꽂이{Foldable file box}
본 고안은 접철식 서류꽂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좌측판과 우측판, 앞판, 뒷판, 좌밑판 및 우밑판이 힌지연결부(K)에 의해서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좌밑판 및 우밑판을 서로 교차시켜 접으면 상면이 개방된 함체 구조를 형성하여 서류꽂이로 사용할 수 있고, 서류꽂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좌밑판과 우밑판을 간단하게 펼쳐서 좌측판과 우측판 및 앞판과 뒷판을 납작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접철식 서류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낱장 서류나 얇은 책자 등을 손쉽게 정리,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류꽂이는, 대체로 전면이나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상태로 구성되고, 다수개를 책상이나 선반 위에 나란히 나열하여 각종 서류를 분류,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에도 여러 가지 구조의 서류꽂이들이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실용신안 공고공보 제20-1992-07150호(공고일자 1992.10.08.)에는 케이스 내부에 세로로 구획판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케이스 내부 공간을 좌우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류꽂이함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20-1993-17967호(공개일자; 1993.08.20.)에는, 통상적인 서류정리용 케이스의 배면 상단부에 손잡이편을 형성하여 이동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개선한 서류꽂이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류꽂이들은 케이스 자체를 접을 수가 없어서 서류꽂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 운송 및 보관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383628호(등록일자; 2005.04.28.)에는 접철 가능한 서류꽂이함이 소개되어 있다. 첨부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서류꽂이함은, 내부에 서류 또는 파일을 꽂아 정리 보관하도록 좌측부재(10)와 우측부재(11), 후측부재(20) 및 바닥부재(30)로 형성된 서류꽂이함에 있어서, 상기 후측부재(20)와 바닥부재(30)는 좌/우측부재(10,11)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좌/우측부재(10,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연결편(12)들에 의해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요입부(23,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서류꽂이함은 좌측부재(10)와 우측부재(11), 후측부재(20) 및 바닥부재(30)를 각각 따로 제조한 다음, 리벳과 같은 결합부재(40)를 사용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나아가 사용과정에서 사용자가의 의사와 상관없이 상기 요입부(23,33)가 내측으로 접힐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서류꽂이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이나 두꺼운 판지(板紙) 재질로 이루어지며, 판지 서류꽂이는 내구성이 취약한 반면 제조공정이 간편한 장점이 있고, 플라스틱 서류꽂이는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반면, 제조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 공고공보 제20-1992-07150호(공고일자 1992.10.08.)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20-1993-17967호(공개일자; 1993.08.20.)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20-0383628호(등록일자; 2005.04.28.)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종래 판지로 된 서류꽂이의 경우 내구성이 약한 단점이 있고, 플라스틱 서류꽂이의 경우에는 접을 수가 없거나 제조공정이 너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해결하고 하는 과제는 납작하게 접을 수 있어서 운송 및 보관이 편리하고, 제조공정도 간편한 플라스틱 재질의 서류꽂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직교하는 앞변과 밑변 및 뒷변을 갖는 좌측판 및 우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의 앞변과 뒷변을 서로 연결하는 앞판 및 뒷판과, 상기 좌측판의 밑변과 우측판의 밑변에서 각각 상기 앞판 및 뒷판과 같은 폭(W1)으로 확장되어 있는 좌밑판 및 우밑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힌지연결부(K)에 의해서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접철식 서류꽂이에 있어서; 상기 좌밑판에는 중앙 부위에 상기 폭(W1)의 절반이 직사각형 형태로 절삭 제거된 반폭절삭부와, 상기 반폭절삭부와 같은 너비(W2)로 좌밑판에 부착된 반폭지지부, 그리고 상기 반폭절삭부와 반폭지지부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된 사각지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우밑판에는 상기 반폭절삭부와 같은 폭(W1)과 너비(W2)로 돌출된 중앙지지부와, 상기 중앙지지부의 양쪽에서 상기 우측판의 밑변 모서리로 비스듬히 확장되는 삼각지지부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좌밑판과 우밑판을 서로 교차하도록 접으면, 상기 중앙지지부가 상기 반폭절삭부를 관통하여 상기 반폭지지부 위에 포개어지고, 사각지지부는 내측 모서리 부위가 상기 삼각지지부 위로 포개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앞판, 뒷판, 좌밑판 및 우밑판은 각각 보강판의 안팎으로 연질 합성수지 재질의 내피 및 외피가 덮인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연결부(K)와 전체 외곽 테두리 선은 상기 내피와 외피가 서로 융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서류꽂이는 전체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특히 서류꽂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적층 가능하게 접을 수 있어서 운송 또는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접철식 서류꽂이의 밑면을 구성하는 좌밑판 및 우밑판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상기 좌밑판과 우밑판을 접거나 펴는 과정이 매우 수월하고, 하중을 견디는 힘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접철식 서류꽂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서류꽂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접철식 서류꽂이에 대한 전개도,
도 4는 도 2의 접철식 서류꽂이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접철식 서류꽂이에서 좌밑판(50)과 우밑판(60)이 서로 교차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A)와 저면도(B),
도 6은 도 2의 접철식 서류꽂이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고안의 도시락 보온용기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 1과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독자적인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일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방향을 ‘앞뒤’ 또는 ‘좌우’로 구분하여 지칭한 것은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방향을 반대로 지칭해도 무방하다.
첨부 도 2는 상기 서류꽂이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서류꽂이는 서로 직교하는 앞변과 밑변 및 뒷변을 갖는 좌측판(10) 및 우측판(20)과, 상기 좌측판(10)과 우측판(20)의 앞변과 뒷변을 서로 연결하는 앞판(30) 및 뒷판(40)과, 상기 좌측판(10)의 밑변과 우측판(20)의 밑변에서 각각 확장되어 있는 좌밑판(50) 및 우밑판(6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좌밑판(50) 및 우밑판(60)은 앞판(30) 및 뒷판(40)과 같은 폭(W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판(10)과 우측판(20), 앞판(30), 뒷판(40), 좌밑판(50) 및 우밑판(60)은 각각 힌지연결부(K)에 의해서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의 전개도에서 뒷판(40)의 일변에 구비되어 있는 접착부(40a)를 좌측판(10)의 대응변에 부착하고, 좌밑판(50)과 우밑판(60)을 서로 교차하여 접으면 도 2의 서류꽂이가 완성된다.
상기 앞판(30)은 상기 측판(10,20)의 앞변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판(10,20)에는 각각 상기 앞판(30)을 향하여 비스듬히 절삭된 경사변(1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앞판(30)이나 뒷판(40)의 적소에는 예컨대 서류꽂이에 보관된 서류의 종류를 기재한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투명포켓(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도 있다.
첨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서류꽂이의 부분 단면도로서, 상기 좌측판(10)과 우측판(20), 앞판(30), 뒷판(40), 좌밑판(50) 및 우밑판(60)은 각각 보강판(101)의 안팎으로 연질 합성수지 재질의 내피(102) 및 외피(103)가 각각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연결부(K)와 이들 전체의 외곽 테두리선은 상기 내피(102)와 외피(103)가 서로 융착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판(101)으로는 판지(板紙)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상기 내피(102)와 외피(103)로는 PVC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좌밑판(50)은 중앙 부위에서 폭(W1)의 절반이 직사각형 형태로 절삭 제거된 반폭절삭부(51)와, 상기 반폭절삭부(51)와 같은 너비(W2)로 상기 좌밑판(50)에 부착되어 있는 반폭지지부(52), 그리고 상기 반폭절삭부(51)와 반폭지지부(52)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된 사각지지부(53a,53b)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우밑판(60)은 상기 반폭절삭부(51)와 같은 폭(W1)과 너비(W2)로 돌출된 중앙지지부(61)와, 상기 중앙지지부(61)의 양쪽에서 상기 우측판(20)의 밑변 모서리로 비스듬히 확장되는 삼각지지부(62a,62b)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반폭절삭부(51)와 반폭지지부(52) 및 중앙지지부(61)는 모두 같은 폭(W1)과 너비(W2)를 갖는다.
그래서 상기 좌밑판(50)과 우밑판(60)을 서로 교차하도록 접으면, 상기 중앙지지부(61)가 상기 반폭절삭부(51)을 관통하여 상기 반폭지지부(52) 위에 포개어지고, 사각지지부(53a,53b)는 내측 모서리 부위가 상기 삼각지지부(62a,62b) 위로 포개어져서 지지된다. 첨부 도 5의 (A)는 상기 좌밑판(50)과 우밑판(60)을 서로 교차하여 접은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첨부 도 5의 (B)는 상기 좌밑판(50)과 우밑판(60)을 서로 교차하여 접은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좌밑판(50)과 우밑판(60)을 서로 교차하도록 접으면, 도 1과 같이 상기 좌측판(10)과 우측판(20), 앞판(30), 뒷판(40)이 서로 직각을 이루고, 상기 좌밑판(50)과 우밑판(60)이 그 밑면을 밀폐하는 사각함체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서류꽂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좌밑판(50)과 우밑판(60)을 각각 밑으로 펼친 상태에서 서류꽂이를 반으로 접어서 편리하게 보관 또는 이송한다. 도 6은 상기 서류꽂이를 반으로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좌측판(10)과 뒷판(40) 및 좌밑판(50) 위에 우측판(20)과 앞판(30) 및 우밑판(60)이 겹쳐진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앞판(30)과 뒷판(40)은 상하 위치가 반대로 배치되도록 접을 수도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서류꽂이는 도 3과 같이 전개된 상태로 제작하여 접착부(40a)만 대응변에 부착해 주면 되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철식 서류꽂이를 사용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좌밑판(50)과 우밑판(60)을 서로 교차하여 접으면, 상기 좌밑판(50)과 우밑판(60) 위에 상당한 하중이 부과되어도 상기 반폭지지부(52)와 중앙지지부(61), 그리고 사각지지부(53a,53b)와 삼각지지부(62a,62b)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좌밑판(50)와 우밑판(60)이 저절로 밑으로 쳐져 내릴 우려가 없다.
그리고, 상기 접철식 서류꽂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좌밑판(50)과 우밑판(60)을 각각 밑으로 펼친 상태에서 반으로 접으면 부피가 크게 축소되면서 적재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보관 또는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우밑판(60)의 중앙지지부(61)가 좌밑판(50)의 반폭절삭부(51) 및 반폭지지부(52)와 같은 폭(W1)과 너비(W2)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밑판(50)과 우밑판(60)을 서로 교차시키거나 밑으로 펼쳐 내리기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10; 좌측판 11,21; 경사변
20; 우측판 30; 앞판
40,40a; 뒷판 50; 좌밑판
51; 반폭절삭부 52; 반폭지지부
53a,53b; 사각지지부 60; 우밑판
61; 중앙지지부 62a,62b; 삼각지지부
101; 보강판 102; 내피
103; 외피 K; 힌지연결부
W1; 폭 W2; 너비

Claims (3)

  1. 직교하는 앞변과 밑변 및 뒷변을 갖는 좌측판(10) 및 우측판(20)과, 상기 좌측판(10)과 우측판(20)의 앞변과 뒷변을 서로 연결하는 앞판(30) 및 뒷판(40)과, 상기 좌측판(10)의 밑변과 우측판(20)의 밑변에서 각각 상기 앞판(30) 및 뒷판(40)과 같은 폭(W1)으로 확장되어 있는 좌밑판(50) 및 우밑판(60)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힌지연결부(K)에 의해서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접철식 서류꽂이에 있어서,
    상기 앞판(30)은 상기 측판(10,20)의 앞변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판(10,20)에는 각각 상기 앞판(30)을 향하여 비스듬히 절삭된 경사변(1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밑판(50)에는 중앙 부위에 폭(W1)의 절반이 직사각형 형태로 절삭 제거된 반폭절삭부(51)와, 상기 반폭절삭부(51)와 같은 너비(W2)로 상기 좌밑판(50)에 부착되어 있는 반폭지지부(52), 그리고 상기 반폭절삭부(51)와 반폭지지부(52)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된 사각지지부(53a,53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우밑판(60)에는 상기 반폭절삭부(51)와 같은 폭(W1)과 너비(W2)로 돌출된 중앙지지부(61)와, 상기 중앙지지부(61)의 양쪽에서 상기 우측판(20)의 밑변 모서리로 비스듬히 확장되는 삼각지지부(62a,62b)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좌밑판(50)과 우밑판(60)을 서로 교차하도록 접으면, 상기 중앙지지부(61)가 상기 반폭절삭부(51)를 관통하여 상기 반폭지지부(52) 위에 포개어지고, 사각지지부(53a,53b)는 내측 모서리 부위가 상기 삼각지지부(62a,62b) 위로 포개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서류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10)과 우측판(20), 앞판(30), 뒷판(40), 좌밑판(50) 및 우밑판(60)은 각각 보강판(101)의 안팎으로 연질 합성수지 재질의 내피(102) 및 외피(103)가 덮여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연결부(K)와 전체 외곽 테두리 선은 상기 내피(102)와 외피(103)가 서로 융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서류꽂이.
  3. 삭제
KR2020120011518U 2012-12-07 2012-12-07 접철식 서류꽂이 KR200472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518U KR200472689Y1 (ko) 2012-12-07 2012-12-07 접철식 서류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518U KR200472689Y1 (ko) 2012-12-07 2012-12-07 접철식 서류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689Y1 true KR200472689Y1 (ko) 2014-05-16

Family

ID=5149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518U KR200472689Y1 (ko) 2012-12-07 2012-12-07 접철식 서류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8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26Y1 (ko) * 2001-08-11 2001-12-13 서민석 서류 보관용 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26Y1 (ko) * 2001-08-11 2001-12-13 서민석 서류 보관용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541B2 (en) Ready-to-assemble toilet
KR20110114967A (ko) 일회용 컵 캐리어
KR200472689Y1 (ko) 접철식 서류꽂이
JP4635105B1 (ja) クリアフォルダ
JP3167264U (ja) メモ用紙を備えた収納スタンド具
KR20130044415A (ko) 클리어 파일
KR102090299B1 (ko) 다단 접이식 문서 수납용 폴더
JP3204568U (ja) ファイルボックス
JP3140340U (ja) ファイルホルダー
JP3184301U (ja) クリアファイルブック
CA2809184A1 (en) Selectively deployable tab indicators
KR101462205B1 (ko) 절첩이 용이한 클리어파일
KR200466032Y1 (ko) 클리어화일
JP3147809U (ja) 紙製カタログスタンド
JP6288994B2 (ja) 組立式の容器、及び該容器で構成される組立式のゴミ箱
JP3154578U (ja) 書見台
JP2013237202A (ja) 紙挟み
JP3233569U (ja) シートセット
KR20190001058U (ko) 서류홀더
JP3227353U (ja) ファイル
KR101096153B1 (ko) 친환경 파일 폴더 및 책표지
JP6843507B2 (ja) ホルダ
KR20220001707U (ko) 홀더 일체형 캐리어
JP3194311U (ja) ブックケース兼包装箱用シート及びブックケース兼包装箱
JP3200352U (ja) 封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