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906A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906A
KR20100007906A KR1020097024433A KR20097024433A KR20100007906A KR 20100007906 A KR20100007906 A KR 20100007906A KR 1020097024433 A KR1020097024433 A KR 1020097024433A KR 20097024433 A KR20097024433 A KR 20097024433A KR 20100007906 A KR20100007906 A KR 20100007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ylindrical portion
housing
outer conductor
coaxi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118B1 (ko
Inventor
유이치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0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7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저배화를 해치는 일 없이, 리셉터클에의 착탈에 요하는 하중이 적고, 복수회의 착탈이 가능하며 수명이 긴 동축 커넥터를 얻는다.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의 홈부에 압입하여 걸 수 있는 통형상부(24)를 가지는 하우징(21)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 통형상부(24)는 압입 방향(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의 C형으로 둥글려져서 양 단부가 근접한 갭부(29)를 가지고 있다. 또한, 통형상부(24)의 하부에는, 걸림용 돌출부(25a, 25b, 25c)를 가지며, 제1 걸림용 돌출부(25a)는 갭부(29)와는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걸림용 돌출부(25b) 및 제3 걸림용 돌출부(25c)는 제1 걸림용 돌출부(25a)보다도 원주 방향으로 90° 이상 떨어진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또한 각 돌출부의 원주 방향의 길이(L11)가 제1 걸림용 돌출부(25a)와 제2 또는 제3 걸림용 돌출부(25b, 25c)와의 원주 방향의 간격(L12)보다도 작다.
동축 커넥터, 저배화, 리셉터클, 통형상부, 하우징, 걸림용 돌출부

Description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동축(同軸) 케이블을 리셉터클(receptacle)에 접속하기 위한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기는 매우 소형이며 두께도 얇은 것이 보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전자부품도 소형이며 키가 낮은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도 소형이며 저배화(低背化)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동축 커넥터로서는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등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축 커넥터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100)의 외도체(outer conductor)(101)에 접속되는 동시에, 리셉터클(120)의 외부 도체(121)에 형성한 홈부(122)에 압입하여 걸 수 있는 통(筒)형상부(131)를 가지는 하우징(130)과, 동축 케이블(100)의 중심 도체(102)에 접속되는 동시에, 리셉터클(120)의 중심 도체(123)에 접속되는 소켓(135)과, 하우징(130)의 통형상부(131)에 장착되어 소켓(135)을 지지하는 절연성의 부싱(bushing)(136)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130)의 통형상부(131)는 도 12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거의 C형으로 둥글려져서 갭부(131a)를 가지며, 통형상 부(131)의 전체 둘레에 걸쳐 리셉터클(120)의 외부 도체(121)에 형성한 홈부(122)에의 돌출한 걸림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132)는 외부 도체(121)에의 착탈시에 있어서는, 갭부(131a)와는 대향하는 부분(C)을 지점(支點)으로 하는 캔틸레버 빔(cantilever beam)을 구성하고, 빔의 전체 길이(L) 전부가 역점(力點)(사선을 그은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캔틸레버 빔을 역학적으로 고찰하면, 역점이 지점(C)에 가까울수록 일정한 변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힘이 커진다. 따라서, 지점(C)의 근방을 압입시키기 위한 하중이 커지며, 또한 이 부위에서 탄성한계변위를 넘기 쉬워져, 결과적으로 걸림부(132)나 홈부(122)에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1회의 착탈로도 사용 불능이 될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상술한 저배화를 위해 통형상부(131)의 높이가 상당히 작아지고 있어, 통형상부(131)에 충분한 탄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5-50720호
[특허문헌 2] 국제공개 WO2006/087953호 팜플렛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배화를 해치는 일 없이, 리셉터클에의 착탈에 요하는 하중이 적고, 복수회의 착탈이 가능하며 수명이 긴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인 동축 커넥터는,
중심 도체와 외도체를 가지는 동축 케이블을, 중심 도체와 외도체를 가지는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외도체에 접속되는 동시에,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에 형성한 홈부에 압입하여 걸 수 있는 통형상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접속되는 동시에, 리셉터클의 중심 도체에 접속 가능한 소켓과,
하우징의 상기 통형상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소켓을 지지하는 절연성의 부싱을 구비하고,
상기 통형상부는,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에의 압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의 C형으로 둥글려져서 상기 압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통형상부는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에 압입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홈부에 압입되어 걸리는 3개의 걸림용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부의 원주상에 있어서, 제1 걸림용 돌출부는 상기 갭부와는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걸림용 돌출부 및 제3 걸림용 돌출부는 제1 걸림용 돌출부보다도 원주 방향으로 90° 이상 떨어진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또한 제1, 제2 및 제3 걸림용 돌출부의 각각의 원주 방향의 길이가, 제1 걸림용 돌출부와 제2 또는 제3 걸림용 돌출부와의 원주 방향의 간격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통형상부를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에 걸 때, 통형상부의 전체 둘레가 리셉터클의 홈부에 압입되는 것은 아니며, 3개의 걸림용 돌출부가 압입되어 걸린다. 이 경우, 제1 걸림용 돌출부가 지점이 되고, 그것과는 소정의 빔 길이를 가지는 제2 걸림용 돌출부 및 제3 걸림용 돌출부가 역점이 되기 때문에, 그다지 강한 하중을 요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의 걸림용 돌출부가 착탈시에 있어서 탄성한계변위를 넘는 일이 없어, 복수회의 착탈에 아무런 지장도 없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그다지 강한 하중을 요하지 않고, 동축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착탈할 수 있으며, 복수회의 착탈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통형상부로서 압입 방향으로 큰 치수를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동축 커넥터의 저배화를 해치는 일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의 통형상부에 관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동축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동축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긴 변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동축 커넥터를 리셉터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짧은 변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하우징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동축 커넥터의 측면도, (B)는 동축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8의 (A)는 하우징의 통형상부에 형성한 돌출부가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에 형성한 홈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돌출부 이외의 영역과 홈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하우징의 통형상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변형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의 통형상부의 캔틸레버 빔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축 커넥터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1)는 동축 케이블(50)을 리셉터클(41)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 내에 장착되는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부싱(22), 상기 부싱(22)으로 지지되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소켓(2), 절연 시트(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1)은 리셉터클(41)의 외부 도체(42)에 압입되어 걸리는 통형상부(24), 상기 통형상부(24)의 상부 개구를 덮는 뚜껑부(26), 통형상부(24)로부터 인출되어 동축 케이블(50)의 외도체(51a)를 그 양측에서 각각 덮는 단면 원호형상 의 한쌍의 커버부(27), 뚜껑부(26)로부터 인출되어 커버부(27)의 위에 크림핑(crimping)되어 커버부(27)의 위로부터 동축 케이블(50)을 파지(把持)하는 크림핑부(28)를 가지고 있다. 크림핑부(28)는 그 일부가 동축 케이블(50)의 외피(51b) 위에 크림핑되는 클로우부(claw portion)(28a)로 되어 있다. 하우징(21)의 통형상부(24) 내에는 상부 개구로부터 부싱(22)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21)의 통형상부(24)에는 갭부(29)나 걸림용 돌출부(25a, 25b, 25c)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부싱(22)은 하우징(21)의 통형상부(24)에의 삽입 방향 선단측(하부측)의 외부 직경이 상부측의 외부 직경보다도 작으며,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부싱(22)의 상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돌출편(22a)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돌출편(22a)은 통형상부(24)의 상부 개구측에 형성된 컷아웃부(cutout portion)(24a)에 끼워맞춰진다. 이로 인해, 부싱(22)은 하우징(2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또한, 부싱(22)은 소켓(2)의 탄성 접촉부(3)의 지지부(3a)가 끼워맞춰지는 사각형상의 끼워맞춤 오목부(32)와, 부싱(22)의 중심축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소켓(2)의 탄성 접촉부(3)를 수용하는 탄성 접촉부 수용구멍(35)을 가지고 있다. 탄성 접촉부 수용구멍(35)에는 리셉터클(41)의 중심 도체(43)의 압입에 의해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변위한 소켓(2)의 탄성 접촉부(3)를 받아들이기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소켓(2)은 탄성 접촉부(3)와, 동축 케이블(50)의 중심 도체(51c)에 접속되는 접속부(9)를 가지고 있다. 탄성 접촉부(3)는 일정 폭을 가지는 판두께 0.1mm 정도의 판 스프링(인청동)을 둥글게 가공하여, 횡단면형상이 대략 C자형상이 되도록 만곡시킨 것이다. 탄성 접촉부(3)는 리셉터클(41)의 중심 도체(43)가 압입되면 그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변위하고, 중심 도체(43)의 외주면(外周面)과 소정의 부위에서 압접한다. 탄성 접촉부(3)의 내부 직경은 탄성한계 이하의 범위 내에서, 중심 도체(43)의 외부 직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한, 탄성 접촉부(3)의 하부측(3b)은 모따기(chamfering) 가공이 실시되어, 중심 도체(43)가 삽입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탄성 접촉부(3)는 그 상부에 지지부(3a)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3a)는 부싱(22)의 끼워맞춤 오목부(32)의 치수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으며, 탄성 접촉부(3)로부터 일체로 인출되어 있다. 지지부(3a)로부터는, 동축 케이블(50)의 중심 도체(51c)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9)가 일체로 인출되어 있다. 이 접속부(9)는 탄성 접촉부(3)의 중심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bending)되어 있다.
(조립 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2)은 탄성 접촉부(3)의 지지부(3a)가 부싱(22)의 끼워맞춤 오목부(32)에 끼워맞춰지는 동시에, 탄성 접촉부(3)가 탄성 접촉부 수용구멍(35) 내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부싱(22)을 하우징(21)의 통형상부(24) 내에 수용한다. 소켓(2)의 접속부(9)상에, 단말 가공한 동축 케이블(50)의 중심 도체(51c)의 선단부가 배치되고, 중심 도체(51c)와 접속부(9)가 솔더링된다. 이로 인해, 소켓(2)이 동축 케이블(50)의 중심 도체(51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정형으로 잘린 절연 시트(20)가 부싱(22)의 상면에 형성한 오목부(22b)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21)의 뚜껑부(26)를 절곡하여 부싱(22)의 상면에 씌운다.
이로 인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2)과 동축 케이블(50)의 중심 도체(51c)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하우징(21)의 뚜껑부(26)와의 사이가 절연 시트(20)로 절연된다. 절연 시트(20)로는 얇은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동축 커넥터(1)의 저배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조립시에는 점착성이 있는 절연 시트(20)를 미리 하우징(21)의 뚜껑부(26)의 이면에 붙여 두어도 된다(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음).
다음으로 하우징(21)의 크림핑부(28)를 한쌍의 커버부(27)의 위에 크림핑하고 이들 커버부(27)의 위로부터 동축 케이블(50)을 파지한다. 나아가, 클로우부(28a)를 동축 케이블(50)의 외피(51b) 위에 크림핑한다.
(하우징의 통형상부의 형상)
도 6은 하우징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에 통형상부(24)의 전개 형상을 나타낸다. 한편, 도 2에서는 뚜껑부(26)와 크림핑부(28)를 생략하여 간략화하고 있다.
통형상부(24)는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형상으로부터 거의 C형으로 둥글게 가공하는 동시에, 커버부(27)를 점선(B)에서 절곡하여 가공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형상이 얻어진다. 통형상부(24)가 C형으로 둥글게 가공됨으로 인해, 통형상 부(24)의 양 단부(D)가 맞대져, 압입 방향(A)과 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부(29)가 형성된다(도 6 참조).
이 통형상부(24)의 하부 내주부(內周部)는, 리셉터클(41)의 외부 도체(42)의 외주부에 형성한 홈부(42a)(도 5 참조)에 화살표 A 방향으로 압입함으로써 걸린다. 이와 같이 걸기 위해, 통형상부(24)의 하부 내주에는 제1, 제2 및 제3 걸림용 돌출부(25a, 25b, 25c)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통형상부(24)의 안쪽으로 약간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24)의 원주상에 있어서, 제1 걸림용 돌출부(25a)는 갭부(29)와는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걸림용 돌출부(25b) 및 제3 걸림용 돌출부(25c)는 제1 걸림용 돌출부(25a)보다도 원주 방향으로 90° 이상 떨어진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돌출부(25a, 25b, 25c)의 원주 방향의 길이(L11)는 각 돌출부의 원주 방향의 간격(L1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각 돌출부의 길이(L11)는 통형상부(24)의 전체 둘레의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21)을 리셉터클(41)에 장착했을 때, 통형상부(24)의 각 돌출부(25a, 25b, 25c)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42)의 홈부(42a)에 들어가 걸리는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25d)은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42a)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이 경우,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걸림용 돌출부(25a)가 지점(C)이 되고, 상기 지점(C)으로부터 소정의 빔 길이를 가지는 제2 걸림용 돌출부(25b) 및 제3 걸림용 돌출부(25c)가 역점(C')이 된다. 역점(C')에 작용하는 하중은 캔틸 레버 빔의 하중 이론에 따르면 빔 길이의 3승에 반비례하므로, 제2 및 제3 걸림용 돌출부(25b, 25c)가 제1 걸림용 돌출부(25a)에 대하여 90°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돌출부(25a, 25b, 25c)의 하중은 상당히 작은 것이 된다. 그 때문에, 걸림용 돌출부(25a, 25b, 25c)가 착탈시에 있어서 탄성한계변위를 넘는 일이 없어, 복수회의 착탈에 아무런 지장도 없게 된다.
그런데 걸림용 돌출부(25a, 25b, 25c)는 상술한 것과 같이, 내부에 약간 돌출한 상태로 통형상부(24)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며, 슬릿이나 홈부에 의해 통형상부(24)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 것은 아니다.
(통형상부의 변형예)
도 9 및 도 10에 하우징(21)의 통형상부(24)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통형상부(24)는 그 하부이자 제1 걸림용 돌출부(25a)와 제2 걸림용 돌출부(25b) 및 제3 걸림용 돌출부(25c)와의 사이에, 각각 하단으로 연장되는 세로 슬릿(25e)을 형성하고, 또한 갭부(29)로부터 압입 방향(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슬릿(25f)을 형성한 것이다.
이들 세로 슬릿(25e) 및 가로 슬릿(25f)을 형성함으로써, 통형상부(24)의 탄성이 커져, 리셉터클(41)에의 착탈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동축 커넥터(1)의 수명도 한층 길어진다. 한편, 세로 슬릿(25e)과 가로 슬릿(25f)은 어느 한쪽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의 정리)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동축 커넥터는, 통형상부의 원주상에 있어서, 제1 걸림용 돌출부가 갭부와는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걸림용 돌출부 및 제3 걸림용 돌출부가 제1 걸림용 돌출부보다도 원주 방향으로 90° 이상 떨어진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통형상부를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에 걸 때, 통형상부의 전체 둘레가 리셉터클의 홈부에 압입하는 것은 아니며, 제1 걸림용 돌출부가 지점이 되고, 그것과는 소정의 빔 길이를 가지는 제2 걸림용 돌출부 및 제3 걸림용 돌출부가 역점이 되기 때문에, 그다지 강한 하중을 요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통형상부의 걸림용 돌출부가 착탈시에 있어서 탄성한계변위를 넘는 일이 없어, 복수회의 착탈에 아무런 지장도 없게 된다.
이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은 하우징 및 소켓에 압입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어도 되고(라이트 앵글 형식), 혹은 압입 방향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스트레이트 형식).
제1, 제2 및 제3 걸림용 돌출부는 통형상부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통형상부의 하부이자 제1 걸림용 돌출부와 제2 및 제3 걸림용 돌출부와의 사이에 각각 통형상부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세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통형상부에 상기 갭부로부터 압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세로 슬릿이나 가로 슬릿의 존재에 의해 통형상부의 탄성이 커져, 리셉터클에의 착탈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수명도 한층 길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커넥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의 통형상부에 형성한 갭부는 단부를 근접시키고 있지만, 단부가 소정의 폭치수를 가지고 떨어져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을 리셉터클에 접속하기 위한 동축 커넥터에 유용하며, 특히 저배화를 해치는 일 없이, 리셉터클에의 착탈에 요하는 하중이 적고, 복수회의 착탈이 가능하여 장수명인 점에서 뛰어나다.

Claims (5)

  1. 중심 도체와 외도체(outer conductor)를 가지는 동축(同軸) 케이블을, 중심 도체와 외도체를 가지는 리셉터클(receptacle)에 접속하기 위한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외도체에 접속되는 동시에,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에 형성한 홈부에 압입하여 걸 수 있는 통형상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에 접속되는 동시에, 리셉터클의 중심 도체에 접속 가능한 소켓과,
    하우징의 상기 통형상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소켓을 지지하는 절연성의 부싱(bushing)을 포함하고,
    상기 통형상부는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에의 압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C형으로 둥글려져서 상기 압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갭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통형상부는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에 압입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한 상기 홈부에 압입되어 걸리는 3개의 걸림용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부의 원주상에 있어서, 제1 걸림용 돌출부는 상기 갭부와는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걸림용 돌출부 및 제3 걸림용 돌출부는 제1 걸림용 돌출부보다도 원주 방향으로 90° 이상 떨어진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또한 제1, 제2 및 제3 걸림용 돌출부의 각각의 원주 방향의 길이가, 제1 걸림용 돌출부와 제2 또는 제3 걸림 용 돌출부와의 원주 방향의 간격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 및 소켓에, 상기 통형상부가 리셉터클의 외부 도체에 압입하는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걸림용 돌출부는 각각 상기 통형상부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하부이자 제1 걸림용 돌출부와 제2 및 제3 걸림용 돌출부와의 사이에 각각 통형상부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세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에 상기 갭부로부터 상기 압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KR1020097024433A 2007-06-01 2008-03-21 동축 커넥터 KR101031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46980 2007-06-01
JPJP-P-2007-146980 2007-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906A true KR20100007906A (ko) 2010-01-22
KR101031118B1 KR101031118B1 (ko) 2011-04-27

Family

ID=4007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433A KR101031118B1 (ko) 2007-06-01 2008-03-21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58377B2 (ko)
EP (1) EP2154758B1 (ko)
JP (1) JP4770983B2 (ko)
KR (1) KR101031118B1 (ko)
CN (1) CN101682152B (ko)
TW (1) TW200908472A (ko)
WO (1) WO2008146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6963B2 (ja) * 2009-07-22 2013-1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434607B2 (en) * 2010-02-23 2013-05-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pact torque transmitting assembly
JP5218490B2 (ja) * 2010-07-26 2013-06-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
JP5209027B2 (ja) * 2010-11-01 2013-06-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5763007B2 (ja) * 2012-04-19 2015-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85608B2 (ja) * 2012-04-23 2014-09-10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CN102842838B (zh) * 2012-08-01 2015-01-0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线缆连接器的制造方法及其线缆连接器
TWM477077U (en) * 2013-01-18 2014-04-21 Speedtech Corp Coaxial cable end connector
WO2015049176A1 (en) * 2013-10-01 2015-04-09 Renishaw Plc Electronic device
JP6427840B2 (ja) * 2015-03-31 2018-1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DE102016109882A1 (de) * 2016-05-30 2017-11-30 Rema Lipprandt Gmbh & Co. Kg Schnell trennbar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sowie Verfahren zur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Kontaktelements mit einem elektrischen Leiter
TWI648922B (zh) * 2016-10-18 2019-01-2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Coaxial connector
TWI648927B (zh) * 2016-11-07 2019-01-2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L型同軸連接器及其製造方法
JP6751940B2 (ja) * 2016-11-15 2020-09-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圧接接続型コンタクト及び同軸コネクタ
JP6951200B2 (ja) * 2017-11-10 2021-10-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2519636B1 (ko) * 2018-02-28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407611B2 (ja) * 2020-02-10 2024-0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WO2023210747A1 (ja) * 2022-04-28 2023-11-02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の組み立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3424C3 (de) * 1971-08-30 1974-08-2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Rastverschluß für Koaxialsteckverbindungen
GB1587062A (en) * 1977-09-08 1981-03-25 Greenpar Eng Ltd Electrical connectors
JP3134082B2 (ja) * 1996-06-03 2001-02-13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ー
US6837743B2 (en) * 2002-04-05 2005-01-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having good insulation function
JP4076157B2 (ja) 2003-07-30 2008-04-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4139782B2 (ja) * 2004-01-20 2008-08-27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241488B2 (ja) * 2004-04-21 2009-03-18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06087953A1 (ja) * 2005-02-18 2006-08-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US7121883B1 (en) * 2005-06-06 2006-10-17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oax connector having steering insulator
DE202005009396U1 (de) * 2005-06-14 2006-10-19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7485000B2 (en) * 2006-10-20 2009-02-03 Jiangsu Famfull Electronics Co., Lt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8863B (ko) 2012-02-21
US7758377B2 (en) 2010-07-20
CN101682152B (zh) 2015-09-23
TW200908472A (en) 2009-02-16
US20100062641A1 (en) 2010-03-11
JP4770983B2 (ja) 2011-09-14
KR101031118B1 (ko) 2011-04-27
JPWO2008146521A1 (ja) 2010-08-19
EP2154758B1 (en) 2016-08-03
EP2154758A4 (en) 2013-02-06
EP2154758A1 (en) 2010-02-17
CN101682152A (zh) 2010-03-24
WO2008146521A1 (ja)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118B1 (ko) 동축 커넥터
US11394147B2 (en) Connecting plug with central pin and lamella sleeve, method for forming the connecting plug and connecting socket with lamella sleeve
US771775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EP3159970B1 (en) Cable assembly,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KR100996789B1 (ko) 커넥터 플러그
US7182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se
US7611363B2 (en) Connector
US20210057837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75374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tainer for securing terminals disposed therein
EP3657608A1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CN110911873B (zh) 连接端子
CN113258377A (zh) 用于大电流插入式连接的屏蔽弹簧壳
CN110649410B (zh) 端子金属配件
KR20130118258A (ko) 전기 커넥터
JP2006147359A (ja) コネクタ
US7530860B2 (en) Contact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JP2001110466A (ja) 圧接コネクタ
US8851922B2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used in th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CN114258614A (zh) 阴端子
KR102338051B1 (ko) 동축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
CN211238600U (zh) 一种应用于连接器的插套组件和连接器
CN212908261U (zh) 保持框架和具有这种保持框架的插接连接件
CN110768051B (zh) 连接器
JP2016024894A (ja) 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