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009A - 대형 패널 보도블럭 및 이연복식(二連復式) 제조장치와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대형 패널 보도블럭 및 이연복식(二連復式) 제조장치와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7009A KR20100007009A KR1020080067408A KR20080067408A KR20100007009A KR 20100007009 A KR20100007009 A KR 20100007009A KR 1020080067408 A KR1020080067408 A KR 1020080067408A KR 20080067408 A KR20080067408 A KR 20080067408A KR 20100007009 A KR20100007009 A KR 201000070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block
- mortar
- mold
- bogi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assembled from preformed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anchoring or fastening elements for the shap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패널(Panel)형 보도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과거의 벽체용 패널블럭들은 벽의 창문틀과 여러 구조물들이 복잡하게 얽힌 건물 외벽체 전용의 판넬블럭 이었던데 반해서 본 보도블럭 전용 패널블럭은 구조와 쓰임새에서 전혀 다른데,
이의 차이점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선 용도에 있어서 건물의 외벽과 보도 블럭으로서 차이가 있고,
2. 구조에 있어서 보도용 판넬블럭은 창틀이 없는 평면구조이고,
3. 과거의 판넬블럭은 건물 외벽에 조립하기 위한 얼개 구조물(철 또는 철근)이 뒷벽에 모아저 있는데 반해 본 판넬블럭은 표면(도 1의 사시도)에 네 군데의 걸개고리 홈에 걸개고리봉(도 2의3)이 있고 운반과 현장 시공이 끝나면 이홈을 매꾸는 매꿈블럭(도 2의1-1)이 있어서 이것을 이용하여 깔끔한 마감처리를 할 수가 있는데 이의 사용에 대해서는 후미에서 상세히 기술 할것이며,
4. 판넬에 밖혀 있는 타일(도1의1, 도 2의1, 도3의 1) 또한 건물 외벽 판넬은 표면이 매끄러운 시유 타일이거나 유광타일인데 반해 보도블럭 전용의 타일은 미끄럼을 타지 않는 엠보싱 석재타일이어야 하는 등의 차이점이 있고,
5. 시공 장비는 건물 외벽 판넬의 경우 고공 T 타워 크레인을 쓰는데 반해 본 보도용 판넬블럭은 이동용 카고 크레인이나 소형 포크레인을 써서 편의성이 뛰어나며,
6. 벽체용 판넬블럭은 블럭과블럭 연결 이음새에 스펀지 로프나 고무를 끼워 넣고 그위에 실란트나 시리콘으로 매꾸어 마감을 하며, 본 보도블럭은 보도블럭과 블럭 사이의 연결 부위에 침하방지용 19미리 스텐레스봉(도 1의 5)을 끼우는 구조가 기존의 판넬과 전혀 다르고,
7.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외벽용 판넬블럭은 이동하는 대차의 형틀(창틀, 철근, 철구조물, 등이 삽입된) 표면의 4 방향의 슈트 안쪽 스크류가 돌면서 몰탈을 공급하고 이동하면 다음단계에서 대차 밑의 진동롤러가 대차를 약간 치켜올려 받친체 진동을 주고 이 진동이 끝나면 이 진동 롤러는 다시 내려가고 이어 이 대차는 다시 움직여서 양생실로 옮겨지는 공정인데 반해서,
8. 본 보도용 패널블럭의 제조방법은 몰탈 공급이 4곳의 스크류 공급방식이 아닌 몰탈 저장통(도 7의 14) 방식에 의해 표면처리(외벽 판넬과 달리 이면 노출 구조물이 없어서)를 깔끔하게 하기 위한 가래판(도 7의 20, 21)과 미장 롤러(도 7의 18, 19)가 있고 대차밑위에 일체형으로 진동판을 얹어서 몰탈의 공급, 진동, 표면처리, 등이 일괄 처리되어 과거 판넬 제조 방식보다 훨씬더 진보 되고 생산성도 높여진 새로운 제조방식인 것이며,
9. 현장 시공 방법 또한 카고 크레인이나 소형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초 스피트 시공과 경제성과 하자가 적은 시공방법으로서 과거의 건물 외벽판넬과 본 판넬블럭의 차이점이 현저하게 다르고.
규격 또한 기존의 여러 종류의 보도블럭들 보다 더욱 큰 규격의 일체형 보도블럭을 패널타입으로 제작하고 또한 이를 시공하는 중대형 규격(통상 표준규격 가로 2.4X세로4.8, 1.2X2.4, 0.6X1.2M 두께10∼15Cm)으로서 이 블럭의 표면에는 일정 규격의 미끄럼을 타지않는 석재타일이 정열되어 박혀있고 내부에는 균열을 방지하기위한 철근(6)이 배열되어 고강도의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현장에서 내리고 시공하는데 편리하도록 크레인 갈고리를 걸수 있는 네 군데의 홈(도 1의 2)이 있는데 이 네군데의 홈은 패널을 내리고 시공이 끝난 후에는 (도 2의 절개 확대도)의 1-1 블럭을 에폭시나 몰탈을 이용하여 감쪽같이 메꾸고 도16의 시공도 에서 보는바와 같이 큰 패널을 카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내리고 정밀 시공하고 나서 모서리나 가장자리들의 빈공간은(도17의 46, 47) 소형 타일블럭(표준규격 30X30Cm 두께 6∼8 Cm)을 사용하여 가장자리를 메꾸어 가면서 정밀 시공하면 되는데 통상 인도에는 가로등, 전신주, 신호등, 상하수도, 개스관, 가로수 및 가로수 밭침틀 등 수많은 시설물과 매설물 등이 있는데 이 공간들은 위의 소형 타일 블럭을 이용하여 자르고 메꾸어 가면서 공사를 마무리하는 것인데 이 패널과 공법은 재래식 수작업의 타일공사 공법에 비해 빠르고, 경제적인 타일의 떨어짐이나, 꺼짐이나, 깨짐이 적은 혁신적인 신공법인 것이다.
인도의 꺼짐이나 깨짐이 가장 많은 곳은 인도의 중앙부이며 이곳이 인도의 피로도가 가장 많은 곳이다.
따라서 패널 중앙부가 철근으로 견고하게 제작된 대형 블럭을 사용하고 가장자리를 동일자재로 매꾸어 마무리한 공법은 당연히 깨짐이나 침하가 거의없는 반영구적인 패널 블럭일 수밖에 없고. 또한 위의 내용 외에 이 타일들은 줄이 잘 맞고 정교하고 아름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2008년 3월 20일 매일경제 신문에 서울시장이 발표한 내용에 의하면 기존의 인도블럭은 깨짐과 침하가 많아서 여성 보행인들의 하이힐 뒤꿈치가 떨어지는 등의 불편함과 민원이 너무 많아서 앞으로는 과거의 I.L.P 시멘트블럭 사용을 자재하고 신소재를 써서 이와같은 불편이 더 이상 없도록 하겠다고 발표한바가 있었는데 이 패널블럭은 위에 열거한 단점들을 보완하고 개량한 혁신적인 보도블럭 으로서 이의 출현은 많은 보행인의 바램과 건설인 들의 열망이기도 한 것이다.
패널블럭, 패널고리 마감블럭, 와이어 메쉬, 걸개고리봉, 타일, 타일 파레트, 판넬블럭 형틀, 평면도, 판넬블럭 철근 형틀 사시도, 진동판 저면상세도, 몰탈공급 장치, 2연복식 제조장치(우방향), 2연복식 제조장치(좌방향), 제조공정 평면도, 양생실 평면도, 공장 전체공정의 흐름도, 양생실 입고 활차 정면도, 양생실 입고 내림 활차 정면도, 양생실 절개상세도, 카고 크레인 시공도, 소형 마감블럭,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존의 인도블럭 공법보다 빠르고, 하자가 없고, 경제적인 신공법인 패널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블럭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철근 구조물로 되어 있어 그 내구성과 견고성이 과거보다 월등히 향상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가 적게 들고(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수작업으로 타일공사를 할 때 보다), 아울러 하자가 적도록 개선되고 개발된, 일체형 패널블럭 및 이연복식(二連復式) 제조장치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행인의 증가에 따라 인도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인도 곳곳에 침하와 파손이 심해 보행인의 안전이 위협되고 불편하고 흉물스러워 지는것이 모든 인도의 공통된 현실이어서 많은 보행인과 건설인 들은 보다 견고하고, 아름답고, 경제적이고, 하자 없는, 반영구적인 새로운 보도블럭의 출현을 간절히 바라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인 것인데.
인도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보도블럭은 벽돌크기의 시멘트 보도블럭(I.L.P), 또는 점토블럭, 석재등을 이용하여 재래식 공법으로 한 장 한 장 시공하였던바.
이로 인해 보도블럭의 낱장들이 풍화 작용에 부식되어 굵은 골재 입자가 튀어 나오고, 침하되고, 깨지고, 더러워 저서 많은 보행인에게 불쾌감과 불편을 주었던게 현실이었던 것이다.
일반적인 보도블럭의 시공예를 보면 사각, 직사각, 또는 육각형 등의 시멘트 보도블럭이나 점토블럭등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도 바닥에 흙다짐을 잘하고 모래를 포설하여 골고루 펼친후 낱장 하나하나를 일일이 줄맞추어 가면서 올려놓고 이후 콤펙터(흙다짐 진동롤러)로 블럭을 두드리고 다저서 면을 맞춘후 마지막으로 모래를 도포하고 빗자루로 쓸어 가면서 블럭 사이 사이에 빈 공간을 모래로 채우고 청소를하여 마감을 하는등의 복잡한 공정을 거처서 시공을 하는 관계로 당연히 인력을 많이 써서 공사비가 많이 들고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낱장이침하 되고 부식되고 변색되는 등의 하자가 많은 것이다.
또한 타일이나 석편(타일모양의 돌조각)을 인도 바닥에 붙일 때는 우선 인도 바닥에 흙다짐을 하고 레미콘을 골고루 깔고 펼처서 굳힌다음 또다시 면잡기 미장을 하고 가로 세로 줄을 띄우고 타일이나 석편을 한 장 한 장 붙이고 보행인이 밟지 않도록 통행을 제한하고 이 타일이 굳은 다음 또다시 타일의 사이 사이에 줄눈(메지)을 넣어 마감하는 등 공정과 절차가 심히 복잡하고, 까다롭고, 공기가 많이 걸리는 등 참으로 단점이 많았던 것이다.
또한 계절적인 요건으로서 동절기에 불가피하게 공사를 할 경우 타일이 굳기 전에 얼어서 떨어지지 않도록 보온재를 덮어 힘들게 공사를 하지만 사실상 동절기 공사는 거의 불가능 하지만 간혹 이러한 공사를 강행한다 해도 하자가 많은게 현실 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은 견고하며, 하자없고, 빠르고, 공사비가 절감되는 혁신적인 신소재의 보도블럭을 개발하기 위해서 과거 본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발명특허 제 0430694호를 개량하고 변형 시키고 대형화해서 이 패널블럭 을 탄생시킨 것인데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에서도 설명한바와 같이 이 대형 패널블럭(도 1 참조)의 표준규격은 보통 2.4MX4.8, 1.2X2.4, 0.6X1.2 M 두께 10∼15Cm의 크기이지만 현장 여건과 용도에 따라 이 규격보다 더 크게도 적게도 제작 공급할 수가 있는데 이의 상세한 제조공정 은 말미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보도블럭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블럭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패널구조의 인도 블럭을 사용함 으로서 그 내구성이 향상되고 외관이 미려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공사비를 절감 할 수 있도록 고안된 패널블럭 및 제조장치와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형크기의 규격을 갖는 일체형의 패널로 이루어저 노면에 설치되는 패널블럭 (표준규격 2.4X4.8, 1.2X2.4, 0.6X1.2 M외 두께 10∼20Cm 등 다양한 규격)의 몸체 상부면 에는 소형 석재타일 또는 석편(보통 가로10x세로10, 15x15, 20x20 Cm 두께 15∼20T 등 다양)이 일정한 규 격으로 정열되어 견고하게 박혀있고 연결부 옆면에는 침하 방지용 스텐레스 환봉(19)이 여러 개가 배열되어 패널과 패널끼리 연결하여 끼울수가 있게 되어 있고 윗면의 네군데 에는 걸개고리 홈(도 1의 2 참조)이 있고 이 홈에 와이어 걸고리를 걸어 패널을 정 위치에 옮겨서 내려놓고 시공을 완료한 후에는 와이어 혹의 걸개고리 홈 구멍을 메꿈블럭(도 2의1-1)을 이용하여 에폭시 접착제로 감쪽같이 메꾸면 흔적을 구별할 수가 없는 새로운 개념의 혁신적인 패널 블럭으로서 이 패널블럭의 3대 특징은,
1. 공기가 빠르고,
2. 재래식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면잡기 미장을 하고, 타일을 붙이고, 줄눈(메지)를 넣어 시공하는 공법에 비해서 공사비가 저렴하고,
3. 공장에서 진동을 주어 완벽하게 제작되고 특수 양생된 패널 표면의 타일은 절대 떨어지지 않고 또한 패널내부에 와이어 메쉬로 인한 견고성 때문에 하자가 적어서 수명이 반 영구적 이다.
이 패널블럭은 위의 특성을 모두 충족시키도록 고안된 혁신적인 일체형의 패널블럭인 것이다.
상기 일체형의 패널블럭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도 7)는 레일위의 성형기 대차(도 7의 23)위에 패널을 제작하는 형틀(도 5)이 있고 이 형틀의 고무 타일 파레트 (도 3의 6)위에 석재타일(도 3의1)을 뒤집어서 꼽아 끼우는데 이 작업 과정에서 시멘트 물 찌꺼기가 끼지 않게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타일 밑에 부직포를 깔아서 사용 했는데 이 경우 공정이 복잡하고 일이 많아서 작업성이 떨어지고 또한 이 부 직포로 인하여 타일이 종종 홈에서 이탈하는 경우가 많아서 비 효율적이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인이 개발한 파라핀 공법을 소개 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체 파라핀(Paraffin)을 철제용기에 넣고 섭씨75∼80도로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후 여기에다 유동파라핀(Paraffin Liquid)을 65를 넣어 35 : 65의 비율로 섞어서 식히면 약간 끈끈한 액체상태의 파라핀이 되는데 이 파라핀을 타일의 표면에 도포(Spray)를 하여 이 타일을 뒤집어서 (도 3의 6) 상세도 내유 고무 파레트 틀에 모두 꼽은후 시멘트 몰탈을 형틀에 붓고 진동을 주어 양생하고 탈형하여 회전 부러쉬로 시멘트 찌꺼기를 닦아 내면 표면에 파라핀 코팅이 되어 있어서 쉽고 깔끔하게 닦여저서 종래의 부직포 제조방법보다 작업성도 뛰어나고 매우효율적인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 이 형틀(도 5)안에서 뒤집어 끼운 타일위에는 미리 제작된 와이어 메쉬의 스페이서(도 3 의 4)로 받처진 (3) 철근이 배열되어 있는데 이렇게 작업대(도 12 의 3, 33)에서 1차 가공된 형틀이 천정의 호이스트에 의해 성형기 진동판(도 7의 24)위에 올려지고 가래판(도 7의 20, 21) 내부에 소요량 만큼의 정량 몰탈이 쏟아진후 성형기 대차(도 7의 23)가 우측으로 서서히 저속 이동하면서 면잡기 가래판(도 7의 20, 21)으로 쓸어가고 나면 동시에 밑에있는 4개의 진동모터(도 6의12)가 고속회전(RPM 3,600 60Hz)하면서 진동을 주고 동시에 미장롤러(도 7의 18,)가 몰탈의 표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다지면서 면을 고르게 되는데 이 성형기 대차가 우방향으로 갈때는 우측미장 롤러만 회전하고 좌측미장 롤러는 센서에 의해 작동하지 않 으며 또 대차가 반대로 이동 할 때는 좌측미장 롤러만 작동하고 우측 미장 롤러는 돌지 않는다.
또한 이때 정량외에 남는 몰탈은 진동판 끝 공간에 모아졌다가 남는 몰탈 배출구의 셔터(도 7의 26)를 열어서 배출구(도 7의 25)를 통해 밖으로 처리하며 또한 이 진동판(도 6) 밑에는 6개의 방진코일(도 6의 13개당 500Kg용)이 받치고 있어서 이 고속 의 진동은 진동판 위로만 작용하고 대차 아래로는 영향을 주지 않는데 이 방식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제품은 콘크리트의 밀도가 높아서 양질의 콘크리트 패널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1차 제작된 젖은 패널은 제조공정 평면도(도 10)의 "가" 화살표 방향으로 호이스트에 들려서 레일위에 대기하고 있는 대차위의 활차(도 15의 42)에 7단 높이로 차곡 차곡 쌓이게 되면 활차위의 4개의 유압잭(도 15의 35)을 올려 7매의 패널을 처든체로 양생실(도 11) 왼쪽칸의 안쪽 깊숙이 활차가 들어가 (도 13) 과 같은 단면도 형태가 되는데 정위치에 도달한 활차의 유압잭(도 13의 35)에서 판넬받침판(도 14의 37)을 유압잭이 내리면 이 7단의 판넬은 패널받침 H빔 (도 14의 36)에 안착하게 되며 이어 이활차의 유압잭을 최대한 더 내려서 활차는 밖으로 나와 밖에 대기하고 있는 양생실 대차(도 15 의 29)위에 올라타 대차와 활차가 일체가 되는데 이 양생실의 대차는 레일을 (도 12의 32)을 타고 좌우 양생실의 중앙부(도 12의 29)로 옮겨지고 이후 도 10의 완성된 "가" 패널을천정의 호이스트에 의해 대기하고 있는 (도 12의 29) 대차위에 7단 까지 층층이 쌓게 되는데 이 패널들을 층층이 쌓기 편리하도록 고안된 형틀 다리(도 5의 9)가 암수 물리면서 안정되게 균 형을 유지 할수가 있는 것이다.
이런 공정이 반복되어 양생실에 가득 채워진 패널은 수증기 차단막으로 완전히 밀폐 시킨후 수증기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증기에 의해 양생이 되는 것인데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수증기 분사는 처음 2시간은 섭씨 40도 미만의 약한 열로 가열하여 1차 양생하여 유동형의 몰탈을 고체화 시킨 다음 2차로 80도의 고열로 6시간을 추가로 가열하여 양생을 하고 차단막을 걷어낸후 3시간 지나 서서히 식힌후 탈형을 하고 표면 세척을 하여 야적을 하고 최소 15일 동안 자연 양생 한후 이 제품을 출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패널블럭을 시공하는 방법(도 16)에 있어서는 먼저 인도의 바닥 다짐을 진동 롤러에 의해 평탄작업을 한후 5 Cm(도 16의 44)의 모래를 살포 하고 가래질을 잘 한 다음 정량의 패널블럭을 실은 카고 크레인을 작업장의 인도에 바짝 붙여 고정한 후 이 패널블럭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4개의 걸고리봉(도 1의 2)에 와이어 혹크를 걸어 들어올려서 알맞은 중앙부의 위치에 제1판을 내려놓고 이어 제 2판을 내려 놓으면서 패널과 패널사이의 연결부위의 구멍(도 1 참조)에 침하방지용 직경 19미리의 스텐레스 봉(도 1의 5)을 끼워 가면서 정밀 시공하고 이어 같은 요령으로 크레인 차를 옮겨 가면서 패널 깔기를 마친후 인도의 화강석 경계석(도 16의 45)과, 페널블럭 사이 사이공간의 가로수 받침틀, 전신주, 신호등, 기타 시설물 등의 마무리 공사와 기타 바닥 여백의 공사는 소형 타일블럭(도 17의 46, 47)을 이용하여 공간을 메꾸어 가면서 공사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소형 타일블럭은 타일 의 크기나 모양이 동일한 재질이고 줄눈(메지) 또한 똑같은 모양으로서 이 시공이 끝난 후에는 대 소형 판넬이 전혀 구별이 안될 정도로 똑같고 완벽한데.
이 패널공법의 가장 큰 장점은 사람의 왕래가 가장 많아서 인도의 피로도가 가장 큰 인도의 중앙부에 견고한 철근 패널블럭이 자리잡고 있어서 침하나 깨짐이 거의 없는 반영구적인 소재와 공법이라는 점이다.
또한 재래식 공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손으로 일일이 타일을 붙이던 경우에는 빗물이 인도 밑으로 스며들지를 못해서 죽은땅이 되고 가로수가 고사 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 등이 있었던데 반하여,
본 패널블럭 공법은 중앙에 시공된 패널블럭 이음새와 양옆의 소형블럭으로 메꾼 사이사이 이음새 공간은 우천시 빗물이 스며들어 주변의 가로수의 생육에도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으며,
패널블럭과 패널블럭 사이의 연결부위는 자연스럽게 클랙확산 방지용 컷팅 라인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패널블럭 및 그 제조장치와 시공방법에 의하면 패널블럭 전체가 대형의 규격으로 이루어 짐으로서 내구성이 향상되어 반영구적인 인도블럭이 될 것이고 패널블럭의 표면은 사람의 손으로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타일이나 석편등 마감재를 붙인 재래식 공법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미려하고, 줄이 잘 맞고, 견고하고, 빠르고 하자 없는 혁신적인 신공법 으로서, 고품질의 이 패널블럭을 인도에 정밀 시공함으로서 보행인에게는 보다큰 만족감을 줄것이고 나아가서 국가에는 반영구적인 소재를 제공하고 시공함으로서 궁국적으로는 예산이 크게 절감이 되어 국가에 공헌할 것으로 사료됨.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명의 순서에 따라 생산공정을 겯들여 상세히 설명한다.
보도, 광장, 공원, 터미널, 빌딩의 주변등의 마감 처리에 사용되는 일체형 패널블럭을 (도 1)의 사시도를 참조로 설명을 하면, 이 패널블럭은 대략 대형크기(가로2.4x세로4.8, 1.2x2.4, 0.6x1.2M 두께 10∼15Cm)의 표면에 소형 크기의(10x10, 20x20Cm 두께 15∼20T) 석재타일이나 석편(돌조각)이 줄맞추어 정밀하게 박혀있고 이 타일과 타일 사이에는 10미리 간격의 줄눈(메지, 도 17의 48)이 정교하게 배열되어 있고 옆면에는 침하 방지용 19미리 스텐봉을 끼울수 있는 구멍(도 1 참조)이 있고,
또한 표면의 가장자리 네 곳에는 상차나 시공시에 크레인 줄을 걸 수 있는 걸게 고리봉(도 1의 2, 도 2의2)이 있고 또 이 콘크리트 판의 내부에는 균열 방지를 위한 6굵기의 철근이나 와이어 메쉬(도 3의 3)가 가로 세로 10 Cm 간격으로 촘촘히 배열되어 있어 견고한 구조로 되어있고,
또한 걸게고리 홈 밑으로는 19의 환봉(도 1 의2, 도 2의2)이 있으며 이 환봉에 와이어 혹을 걸어 시공 현장에 카고 크레인으로 걸고, 내리고 시공 하는데, 이 패널블럭을 원하는 작업 현장에 안착 시킨후 갈고리 혹을 빼어내고 그 구멍은 걸개고리 매꿈블럭(도 2의1) 옆면에 시멘트나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메꾸면 표면의 마감처리는 깔끔하게 끝나며, 이 걸개고리 환봉(도 2의 2)은 보통 19미리 철제를 쓰며 (도 2의 3)은 와이어 메쉬의 배근도를 단면으로 보여 준 것으로서 이 패널블럭의 구조와 소형 매꿈 블럭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했는데,
(도 1)은 판넬블럭의 사시도로서,
1 은 석편(타일 모양의 돌조각) 또는 석재타일로서 보통 표준 규격이 10X10, 15X15, 20X20, 등 다양하고 두께는 15∼20T 정도 이며 타일과 타일사이의 가로 세로 간격은 보통 10미리의 줄눈(메지 도 17의 48)으로 이루어지며 이 타일들은 바닥의 콘크리트 패널에 줄맞추어 견고하게 박혀 있다.
2. 는 크레인 작업시 와이어를 걸수있는 걸개고리 봉이 있는 홈으로서 내림과 시공 작업 완료후 패널블럭과 재질과 모양이 똑같은 걸개 고리 홈 마감블럭(도 2의 1)을 이용하여 시멘트 몰탈이나 에폭시 접착제를 마감블럭 옆면과 바닥에 발라 홈에 끼워 구멍을 매꾸어 마무리 하면 패널블럭 표면처리는 깔끔하게 끝나게 되는 것이며,
블럭과 블럭 연결부위의 이음새에는 도1의 사시도 우측 하단 구멍의 침하방지 구멍에 19 미리 스텐레스 연결봉(도 1의 5)을 끼워 가면서 블럭과 블럭의 연결 공사를 한다.
(도 2)는 패널표면 네 곳의 와이어 걸개 고리 홈의 절개 확대사시도 인데,
2. 는 와이어를 걸수 있는 환봉(작경 19미리)이고,
3. 은 패널블럭 내부에 배근된 와이어 메쉬의 절개도 인데 이 철근은 보통 용도나 규모에 따라 굵기가 5∼10 미리 까지 다양 하지만보통 6 미리의 와이어 메쉬를 많이 쓴다.
(도 3)은 패널형틀 위에 타일홈이 각인된 타일 파레트(6)를 깔고 다시 타일의 표면에 파라핀 코팅이 된 타일(1)을 뒤집어서 끼우고 다시 이 타일위에 와이어 메쉬(3)를 올리는데 이 와이어 메쉬에는 스페이서(4)가 붙어 있어서 타일과 철근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함으로서 이상적인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도 4)는 형틀에 철근이 배열된 평면도로서,
3. 은 직경 6미리의 와이어 메쉬이고.
7. 은 판넬블럭 외곽을 구성한 형틀 내벽면 이고.
8. 은 형틀을 탈부착 할 때 사용하는 조립 고리인데 이것은 도 5의 8에 잘 나타나 있으며.
9. 는 패널형틀을 층층이 쌓을 때 위아래 형틀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게 하는 다리 인데 이 다리의 구조는 도 5의 9에 잘나타나 있다.
(도 5)는 제 4도의 패널블럭의 형틀(도 4)을 사시도 로서 상세히 표현한 것인데,
3. 은 철근,
7. 은 형틀 이고,
8. 은 완성된 패널블럭을 탈형할 때와 4면벽(7)을 탈부착할 때 조립 해체하는 용도의 형틀 조립고리이며,
9. 는 양생실에서 이 형틀을 층층이 쌓기위한 4개의 다리(9)인데 이 다리 상단의 구멍(10)은 완성 판넬을 호이스트로 대차에서 활차로 옮길 때나 양생이 끝난 판넬을 밖으로 꺼낼때 와이어 고리를 걸기 위한 걸개 고리 구멍 이다.
(도 6)은 진동판 저면 사시도로서,
11. 은 진동판의 후레임이고,
12. 는 진동 모터인데 이의 사양은 3P 380V로서 일반 2극 모터 이고 RPM은 3,600이며 60Hz의 2마력 모터가 4개가 부착되어 있다.
13. 은 진동판의 진동이 위의 형틀에만 작용하고 아래의 대차에 는 최소로 전달되도록 하는 방진코일로서 개당 500Kg의 용량인데 이것이 6개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7)은 몰탈공급 성형기의 본체 사시도인데,
14. 는 시멘트 몰탈 저장통이고,
15. 는 혼합믹서(도 12의 49)로 부터 공급되는 몰탈을 이송하는 콘베어 벨트 이고,
16. 은 몰탈이고,
17. 은 가래판( 20, 21)을 올리고 내리는 공압 시린다 이고,
18. 은 우측 면잡기 미장 롤러 이고,
19. 는 좌측 면잡기 미장 롤러 이고,
20. 은 좌측 가래판 이며,
21. 은 우측 가래판 이고,
22. 는 진동판 위의 형틀인데 이 형틀의 바닥에는 타일이 꽂혀 있고 와이어 메쉬가 깔려 있으며,
23. 은 레일위의 성형기 대차로서 이 대차위에 진동판과 형틀이 올라간다,
24. 는 성형 대차위의 진동판이고,
25. 는 남는 몰탈 배출구 이고,
26. 은 남는몰탈을 밖으로 배출할 때 열고 닫는 셔터이다.
(도 8)은 혼합믹서(도 10의 49)로부터 잘 비벼진 몰탈이 콘베어벨트(도 7의 15)를 타고 몰탈 저장통(도 7의14)에 채워지고 성형기 대차(23)가 성형기밑의 정위치에 오면 면잡기 미장 가래판(20, 21)이 20Cm 하강하고 이어 가래판 안쪽으로 정량의 몰탈이 투입되는데 이때 몰탈의 공급을 원활히 하게 하기위하여 몰탈 공급통 하단의 공급 진동모터(대차위의 진동모터와 별개)가 동시 작동하면서 몰탈을 공급하는데 이때 공급되는 몰탈은 저장통 하단에 내장되어 있는 로드셀(무계측정 센서)에 의해 몰탈 공급통 내부의 셧터가 닫치면서 필요한 정량만큼만 공급되고 동시에 서서히 우로 이동하는 성형기 대차위의 형틀에 몰탈이 모두 채워지면서 면잡기 가래판(20, 21)이 형틀면을 모두 훑어가면서 동시에 미장롤러(18)가 화살표 방향으로 돌면서 면을 고르는데 이 미장롤러는 대차가 우측으로 갈때는 근접센서의 감지에 의해 우측롤러만 돌고 좌측 미장롤러는 돌지 않는데 이과정에서 형틀밑의 진동판 (24)은 충분한 성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진동하는데 이 진동과정이 끝나면 내장된 타이머가 작동 하면서 진동이 끝나며 이 진동은 통상 15초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타이머를 조작하여 더 길게도 짧게도 할수있다.
이 공정이 모두 끝난 형틀블럭이 도10의 "가"위치까지 가는 동안 "나"는 앞 공정과 같은 요령으로 몰탈이 채워지고, 가래질을 하고, 진동을 주고 이어서 "가"의 완성된 판넬이 호이스트에 실려 나간후 타일과 철근이 꽂혀진 새로운 "다"형틀이 "가"의 빈자리에 놓여지고 대차가 좌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면 면잡기 가래판은 공압시린다 에 의해 20Cm 상승하고 좌측의 몰탈이 채워진 대차는 가래판 밑을 그냥 통과하고 우측 철근 대차가 성형기 정위치에 오면 가래판이 다시 하강하고 정량 몰탈이 공급되고 가래질로 면을 잡고, 진동을 주고, 같은 요령으로 작업이 진행 되는 것이다
(도 9)는 대차(도 7, 도 9의 23)가 화살표 방향인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가래판(20, 21)에 의해 1차로 몰탈의 윗면을 곱게 쓸어가고 동시에 형틀 상단의 근접 센서가 미장롤러의 정 위치에 오면 좌측 미장롤러(18)가 화살표 방향으로 돌면서(RPM 150) 2차로 표면을 곱게 마감하는데 이때 우측 롤러(19)는 작동을 안하고 근접 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한 좌측 롤러만이 회전을 하는 것이며 이 앞쪽의 대차가 가래판(20, 21)을 통과 하고 나면 이때 남은 몰탈은 대차 좌측끝 남는 몰탈 처리공간에 떨어지고 이 몰탈은 남는 몰탈 처리구(25)에 의해 밖으로 배출되어 1차 공정이 끝나고 이어 우측의 철근만 있는 대차가 몰탈공급 성형기 위치에 오면 다시 몰탈이 공급되고 가래판으로 면을 곱게 쓸어내고, 진동을 주고, 이동하여 이 공정이 모두 끝나면 리미트가 이를 감지하여 좌우대차가 일시 정지 하고,
좌측의 완성된 형틀판넬은 호이스트에 들려 양생실 전면(도11의29)에 대기하고 있는 대차위 활차에 차곡차곡 7단까지 쌓이게 되는데,
이렇게 하여 좌측의 빈 대차위에 철근 형틀을 다시 올려놓고 가래판이 올라가고 우측 몰탈 작업이 완료된 형틀은 가래판 밑을 그냥 통과하고 좌측의 빈 철근형틀이 성형기 밑의 정위치에 도달하면 가래판이 내려오고 정량의 몰탈이 공급되고, 가래질을 하고, 진동을 주고, 하는 공정이 좌우 방향만 다를뿐 모두가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 1차 성형이 완료된 판넬블럭들은 호이스트에 의해 (도 11의 29) 위치로 옮겨저 같은 요령으로 대차위에 얹혀진 일체형의 활차에 7단까지 쌓여 저서 좌측 레일(32) 끝까지 대차에 의해 옮겨지고 이어 양생실(도 11의 28) 왼쪽 끝칸 안쪽부터 활차에 실린 7단의 판넬블럭이 대차를 직각으로 이탈하여 양생실 롤러 레일을 타고 끝쪽에 정지하면(도 13) 유압잭(35)을 내리게 되면(도 14의 36) 이 7단의 패널블럭은 패널받침용 H빔( 도 14의 36)에 안착이 되고 이어 이활차는 유압잭을 끝까지 내려 밖으로 나와 대차에 올라타고 양생실 중앙의 원래 위치로 가서 대기하는 것이다.
(도 10)은 이연복식(二連復式)제조 공정을 일목요연하게 표현하기위한 제조공정의 평면도로서 몰탈 혼합믹서(도 10의 49)에서 시멘트, 석분, 모래(중사), 후레쉬(Fly Ash 화산재나 화력발전소 굴뚝에서 배출되는 미세분말), 물을,1 : 2 : 3 : 0.5 : 1.5의 비율로 충분히 잘 혼합된 몰탈이 콘베어 벨트(16)에 의해 저장통(도 7의 14)에 이송되어 저장되고 이어서 대차위에 정량의 몰탈이 투입되고 하는 이 이후의 생산 공정과 과정은 (도 8) (도 9)로서 앞에서도 상세히 설명한바 있는데 이 이연복식(二連復式)의 대차 제조방식은 두 대의 대차를 연결하여 전진, 후진, 양방향 생산으로서 하나의 형틀에 몰탈이 채워지는 성형작업을 하는 동안 다른 한쪽 에서는 완성된 판넬을 동시에 옮기고 다시 이 빈대차 위에 형틀을 올려놓고 다음 작업 공정을 대비함 으로서 시간 손실을 최대한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고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판넬블럭의 제조공정을 도면으로서 표시한 것이다.
(도 11)은 양생실의 평면도로서,
28. 은 양생실,
30. 은 형틀안의 판넬블럭,
31. 은 양생실 바닥에 깔려 있는 활차 롤러레일,
32. 는 양생실 전면에 깔려있는 대차 레일인데,
이 양생실 전면의 레일(32)위에 양생대차(29)가 좌측끝으로 가고 이어 양생 대차위의 활차가 롤러레일(31)을 타고 직각으로 꺽어저 끝쪽의 양생실 안쪽부터 7단의 판넬블럭 형틀을 채워 나오고 다시 두 번째 세 번째 네번째 양생실을 채우고 나면 다섯 번째 끝칸에서 1. 2. 3. 4. 5. 순서대로 모두 채우고 끝나면 이 빈 활차는 대차위(29)에 올라타고 이 대차는 좌우 양생실의 중앙부로 이동하여 정지하고서 다음 호이스트에 실려오는 형틀 판넬을 기다리며 대기한다
(도 12)는 생산공정 전체를 공정도로서 표현한 평면도인데,
3. 은 와이어 메쉬
14. 는 몰탈 저장통,
16. 은 콘베어로 이송되는 몰탈,
28. 은 양생실,
29. 는 대차위의 활차,
30. 은 형틀 판넬블럭,
32. 는 양생실 대차 레일,
33. 은 작업대,
34. 는 작업대 의자,
36. 은 양생실 바닥의 H빔,
49. 는 혼합 믹서,
먼저 혼합믹서(도 12의 49)에서 앞서 제시한 배합비율에 의해 잘 비벼진 몰탈을 저장통(14)에 공급 받은후 성형기(도 7)앞의 레일을 타고 2연식 연결 대차가 왕복운동으로 생산하는 과정은 앞서 (도 8)과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한바가 있고,
(도 13)은 양생실에 활차가 들어가 7판의 판넬블럭 형틀을 받침 H빔(36)위에 놓을수 있는 구조를 설명 하기위한 단면상세도의 정면도인데,
9. 는 형틀에 붙어 있는 4개의 다리이고 이 다리가 판넬블럭 형틀의 위 아래 간격을 이상적으로 띄워주는 역할을 하며,
10. 은 다리(9)에 뚫려있는 구멍으로서 이 구멍을 이용하여 호이스트 걸고리를 끼워 운반할수가 있고,
35. 는 활차위의 7개 판넬블럭 형틀을 올리고 내릴 때 사용하는 4개의 유압 잭이며,
36. 은 7개의 판넬블럭을 내릴 때 이를 받치는 받침 H빔이고,
37. 은 7개의 판넬블럭 형틀을 받처주는 유압잭위의 받침판이고,
38. 은 활차의 롤러바퀴 이고,
39. 는 활차의 롤러 레일이다.
(도 14) 도면의 활차위 4개의 유압잭(35)이 하강하면 활차 받침판(37)도 따라서 하강하고 동시에 7개의 판넬블럭 형틀이 내려와서 양생실의 받침 H빔(36) 위에 안착하고 이어서 그 유압잭은 최대한 내려가 활차만 양생실 밖으로 나와 밖에 대기하고 있던 대차 위 롤러 레일을 타고 대차와 일체가 되어 다음 공정을 기다리게 되는 것이다.
(도 15)는 양생실에 판넬블럭 형틀이 채워진 모습과 활차가 나올수 있는 구조와 밖의 대차위의 레일 롤러(39)등을 절개 사시도로서 표현한 도면인데 (29)는 양생 전용대차 (30)은 판넬블럭을 층층이 쌓아 놓은 것이고, (32)는 대차레일 (35)는 유압잭 (37)은 유압잭 위의 판넬 받침판 (38)은 활차 롤러 (39)는 대차위의 롤러 레일 (40)은 대차 구동모터 (41)은 대차바퀴 (42)는 활차 (43)은 활차 구동 모터인데 이 활차의 유압 콤프레셔와 구동모터에 쓰이는 전원은 3P 380V로서 천정에 수평으로 깔려있는 와이어에 걸친 트로일 바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양생실 내부에 층층이 쌓여 있는 패널블럭 형틀에서 수증기의 유입과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이 형틀에는 각각 4개의 다리(도 5의9)가 있어서 형틀과 형틀 사이의 간격이 20Cm가 유지되며 바닥에는 두줄의 수증기 양생 노 즐이 있는데 이 양생노즐 파이프의 초입 구경은 35 미리이고 이 파이프이 구경은 1.5미터 마다 5미리씩 가늘어지다가 끝은 밀봉된 구조이고 노즐의 구멍의 구경은 3.5미리 인데 평균 15Cm 간격으로 번갈아 V자 형태로 배열 되어 있다.
또한 이 양생실의 온도는 최초 2시간은 섭씨 40도의 예열로 2시간을 양생하고 이후 6시간은 섭씨 80도로서 양생 하는데 초기 공급 열이 높으면 제품에 크렉이 가고 일그러지며 또한 강도도 떨어지기 때문에 예열과 고열의 양생 과정과 기술이 꼭 필요한 것이다.
이후 이렇게 내열 합섬으로 밀봉되어 양생된 패널은 양생이 끝난후 차단막을 걷어내고 충분히 최소 3시간 이상 식힌 다음 탈형을 하고 이 탈형된 패널은 야적하여 최소한 15일 이상 자연 양생하여 출하 하면 최적의 패널블럭이 되는 것이다.
(도 16)은 카고 크레인 트럭을 이용한 현장 시공도로서,
30. 은 패널블럭 이고,
44. 는 잘 다저지고 펼처진 5 Cm 두께의 중사 모래이고,
45. 는 인도의 화강석 경계석인데,
야적장에서 실려온 패널블럭 트럭을 인도옆의 적당한 공사 현장에 세우고(도 16),
진동롤러로 미리 흙다짐을 하고 모래(44)를 잘 펄처놓은 인도의 중앙부에 도 1의 2홈에 와이어의 갈고리를 걸어서 크레인으로 적절한 위치에 첫 번째의 패널(30)을 안착 시킨후 사시도 좌측 하단의 구멍에 19미리 침하 방지용 스텐레스봉(도1의 5)을 끼우고 이어 다음 패널의 구멍에 이 봉을 끼워 밀착하여 연결하여 가면서 같은 요령으로 다음 패널을 시공하는데 인도의 피로도가 가장높은 중앙부만을 먼저 시공하면서 깔아가고 이어 나머지 가장자리의 남은 공간에는 전신주, 가로수 받침틀, 버스 정류장, 상하수도, 맨홀, 휀스등 수많은 구조물과 시설물들이 있는데 이 공간은 소형 마감블럭(도 17의 46,47)을 이용하여 채우고, 잘라 가면서 남은 공간을 마무리 한다.
(도 17)은 마무리 공사용 소형 마감블럭 으로서,
1. 은 석재타일이나 석편.
48. 은 줄눈(일명 메지로서 보통 10미리).
46. 은. 30X30Cm 두께 6∼10Cm의 소형블럭
47. 은 30X30Cm 두께 6∼10Cm의 소형블럭 인데
이 블럭은 도 1의 대형 패널블럭과 자재, 줄눈등 모든게 똑 같으며 단지 크기만 적을 뿐인데,
인도 중앙부에 대형 판넬블럭을 모두 시공하고 나서 시설물 구조물 가로수 받침틀 버스 정류장 등을 제외한 여백의 공간들은 이 크기의 소형 마감블럭을 이용하여 자투리 공간을 채우고 잘르고 하면서 마무리 공사를 하는데,
인도의 중앙부가 직선이 아니고 완만한 곡선인 경우는 미리 설계한 내용에 따라 공장에서 제작한 휨 판넬을 쓰고 또한 경우에 따라 현장에서 각을 계산하여 판넬을 잘라가면서 시공도 한다.
또한 19미리 스텐레스 연결봉은 길다란 인도의 경우 이음새의 양면만 사용하고 좁은 쪽의 봉은 끼우지 않으며,
패널블럭의 4면에 침하방지 스텐레스봉을 끼우는 경우는 넓은 광장시공시 4면의 침하방지 스텐레스 봉을 모두 끼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그 기능이 향상된 본 판넬블럭 제조장치를 통해 과거의 건물벽체 판넬블럭 보다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 시킬수가 있고. 또 시공방법과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명을 하고자 한다,
1. 국내외의 모든 인도는 인도의 중앙부에 유독 보행인이 많이 몰리는 관계로 중앙부의 피로도가 가장 크고 특히 재래식의 I,L,P시멘트 보도블럭은 거의가 다 중앙부 부터 망가지고, 꺼지고, 파손되는 것이 모든인도의 공통적인 현상인데 이 패널블럭은 타일이나 석편을 재래식으로 붙이던 과거의 공법과는 달리 철근이나 와이어 메쉬를 넣어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아주 견고하며 특히 인도 중앙부의 침하에 아주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하자가 적고,
2. 재래식으로 타일이나 석편을 한 장 한 장 붙이던 과거의 타일공법과는 달리 이 패널블럭은 특수 진동공법과 최상의 양생방법에 의해 제작 되었기 때문에 타일이나 석편의 떨어짐이 거의 없는 반영구적인 혁신적인 공법이어서 수명이 길고 하자가 적으며.
3. 미끄럼을 타지않는 석편이나 석재타일로 이루어저 미끄럼도 타지 않을뿐만 아니라 표면이 대단히 아름답고.
4. 패널블럭 조립식 방법이므로 공사기간이 빨라서 공자비가 절약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특허 제 0430694호의 블럭을 개량하고 대형화하여 보다 유익한 보도용 패널로 개량하고, 제조방법과 생산성을 향상 시키고, 시공방법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혁신적인 제품임을 쉽게 이해하고 또한 위에 열거한 4가지의 특성에 대해서도 충분히 이해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패널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우측 하단을 절개하여 상세도로 나타낸 절개상세도이고,
도 3은 성형기(도 7)와 대차(도 7의 23)에서 판넬을 제조할때 이의 전 단계에서 형틀(도 5)에 타일과 와이어 메쉬를 삽입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으로서,
타일 파레트(6) 위에 타일(1)을 꼽는 과정과 이 타일위에 와이어 메쉬(3)가 들어가고 이 와이어 메쉬가 타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4)등을 표시했으며,
도 4는 형틀의 평면도로서 (3)은 와이어 메쉬(또는 철근)이고 (7은)형틀의 내벽면이고 (8)은 형틀 조립고리이고 (9)는 형틀 다리이다.
도 5는 판넬 블럭의 형틀인데 (3)은 와이어 메쉬 이고 (7)은 형틀의 내벽면 이고 (8)은 형틀 조립고리 이며 (9)는 형틀의 다리이고 (10)은 형틀 다리에 뚤려 있는 걸개 구멍이다.
도 6은 진동판을 뒤집어본 저면 사시도로서,
(11)은 뼈대를 이루고 있는 진동판 후레임 이고 (12)는 진동 모터이며 (13)은 방진 코일이다.
도 7은 몰탈 공급통과 성형기의 사시도 인데,
(14)는 몰탈 저장통 이고 (15)는 콘베어 벨트 이며 (16)은 시멘트 몰탈이고 (17)은 가래판 공압시린다 이고 (18)은 우측 미장롤러이고 (19)는 좌측 미장롤러이며 (20)은 좌측 가래판이며 (21)은 우측 가래판이고 (22)는 형틀이고 (23)은 성형 기 대차이고 (25)는 남는 몰탈 배출구 이며 (26)은 남는 몰탈 배출구 셔터이다.
도 8은 성형기와 대차가 레일 위에서 활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조하는 원리를 설명한 제조공정의 사시도로서,
(3)은 와이어 메쉬 또는 철근 (9)는 형틀의 다리 (16)은 시멘트 몰탈 (17)은 가래판 공압 시린다 (18)은 우측 미장롤러이며 (19)는 좌측 미장롤러이고 (20)은 좌측 가래판이고 (21)은 우측 가래판 이며 (22)는 판넬블럭의 형틀이고 (23)은 성형기 대차이고 (24)는 성형기 진동판이며 (25)는 남는 몰탈 배출구이고 (27)은 성형기 대차 구동와이어 이다.
도 9는 좌우 이동 방향만 다를뿐 모든 것이 도 8과 동일 하며.
도 10은 우방향으로 움직이는 제조 공정을 평면도로서 나타낸 도면인데,
(3)은 철근 (7)은 형틀 (9)는 형틀의 다리 (16)은 시멘트 몰탈이고 (18)은 우측 미장 롤러이고 (19)는 좌측 미장롤러이며 (20)은 좌측 가래판 이고 (21)은 우측 가래판 이고 (49)는 시멘트 몰탈 혼합 믹서 이다.
도 11은 양생실의 평면도로서 (28)은 양생실 바닥 (29)는 양생실 대차 인데 이위에 활차가 올라타 있어 대차와 활차가 일체형이며 (30)은 양생되기 전의 판넬 내의 젖은 시멘트 몰탈(31)은 양생실 바닥 롤러 레일 (32)는 양생실 대차 레일이다.
도 12는 생산동 전체를 평면도로서 표현한 생산 공정도인데,
(3)은 와이어 메쉬(또는 철근) (14)는 몰탈 저장통 (16)은 시멘트 몰탈 (28)은 양생실 바닥 (29)는 양생실 대차 (30)은 젖은 판넬 몰탈 (32)는 양생실 대차 레 일 (33)은 작업대 (34)는 작업대 의자 (36)은 양생실 바닥 H빔 (49)는 시멘트 혼합 믹서 이다.
도 13은 활차가 활차위에 7개의 판넬을 싣고 양생실에 들어 간 것을 단면도로서 표현한 정면도 인데,
(9)는 형틀 다리 이고 (10)은 9의 형틀 다리에 뚤린 걸게 구멍 이고 (30)은 젖은 판넬 몰탈의 형틀 이며 (35)는 이 7개의 판넬을 올리고 내리는 유압 잭이며 (36)은 양생실 바닥의 H빔인데 유압잭이 내려가면 이 빔위에 7개의 판넬이 안착 된다 (37)은 이 7개의 패널을 받치고 있는 패널 받침판 이고 (38)은 활차의 롤러 바퀴이고 (39)는 롤러 바퀴밑의 롤러 레일 이다.
도 14는 도 13의 유압잭이 내려가 양생실 바닥의 H빔 위에 7개의 판넬이 안착된 모습을 단면도로서 표시한 정면도로서, 도 13과 모두가 동일하며 단지 판넬이 내려간 것만 다를 뿐이다.
도 15는 양생실과 활차와 활차 밑의 대차를 알기 쉽게 절개도로서 표현한 투시도로서,
(29)는 양생실 대차 (30)은 젖은 몰탈의 파넬형틀 (32)는 양생실 대차의 레일 (35)는 유압잭이고 (36)은 양생실 바닥 H빔 이며 (37)은 패널 받침판이고 (38)은 활차 롤러 바퀴이며 (39)는 활차 바퀴의 롤러 레일이다 (40)은 이 대차의 구동모터이며 (41)은 대차 바퀴이고 (42)는 활차의 몸체이고 (43)은 활차의 구동 모터이다.
도 16은 카고크레인을 이용한 현장 시공도로서,
(30)은 완성 판넬이고 (44)는 모래(중사)이며 (45)는 화강석 경계석이다.
도 17은 마무리 공사용 소형 마감블럭으로서,
(1)은 타일 (46)은 30x30 Cm 규격의 블럭이고 (47)은 30x20 Cm 크기의 블럭이고 (48)은 줄눈(메지로서 통상 10미리)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일 1-1 : 메꿈블럭
2 : 걸개고리 봉 3 : 와이어 메쉬
4 : 와이어 메쉬 스페이서 5 : 침하 방지봉
6 : 타일 파레트 7 : 형틀 내벽면
8 : 형틀 조립 고리 9 : 형틀 다리
10 : 걸개 구멍 11 : 진동판 후레임
12 : 진동 모터 13 : 방진 코일
14 : 몰탈 저장통 15 : 콘베어 벨트
16 : 몰탈 17 : 가래판 공압 시린다
18 : 우측 미장 롤러 19 : 좌측 미장 롤러
20 : 좌측 가래판 21 : 우측 가래판
22 :형틀 23 : 성형기 대차
24 : 성형기 진동판 25 : 남는 몰탈 배출구
26 : 남는 몰탈 배출구 셔터 27 : 대차 구동 와이어
28 : 양생실 29 : 양생실 대차
30 : 젖은 판넬 몰탈 31 : 양생실 바닥 롤러레일
32 : 양생실 대차 레일 33 : 작업대
34 : 작업장 의자 35 : 유압잭
36 : 양생실 바닥 H빔 37 : 패널 받침판
38 : 활차 롤러 바퀴 39 : 활차 롤러 레일
40 : 대차 구동 모터 41 : 대차 바퀴
42 : 활차 43 : 활차 구동 모터
44 : 모래 45 : 화강석 경계석
46 : 소형 마감 타일블럭 47 : 소형 마감 타일블럭
48 : 줄눈(메지) 49 : 시멘트 혼합 믹서
Claims (3)
- 대형규격의 패널 표면에 다수의 석편이나 타일을 삽입하여 일체형 패널로 제작된 인도용 바닥제인 패널블럭을 제조할 때,몰탈공급 성형기 밑에 이연복식(二連復式) 두 대의 연결 대차로서 한 대가 성형작업을 하는동안 다른 한 대는 생산준비 작업을 함으로서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을 높이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연복식(二連復式)의 대차 왕복 패널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대차위의 진동판과 일체형의 대차와 활차의 운용방법.
- 제 1, 2항에 의해 제작된 패널블럭을 카고 크레인이나 소형 포크레인 장비를 이용하여 도 16과 같이 피로도가 많은 인도의 중앙부 부터 시공하고 나머지 여백의 공간을 소형 마감블럭(도 17의 46, 47)을 이용한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7408A KR100974424B1 (ko) | 2008-07-11 | 2008-07-11 | 보도용 대형 패널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7408A KR100974424B1 (ko) | 2008-07-11 | 2008-07-11 | 보도용 대형 패널블럭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5701A Division KR20100058430A (ko) | 2010-04-19 | 2010-04-19 | 보도용 대형 패널블럭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7009A true KR20100007009A (ko) | 2010-01-22 |
KR100974424B1 KR100974424B1 (ko) | 2010-08-05 |
Family
ID=4181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7408A KR100974424B1 (ko) | 2008-07-11 | 2008-07-11 | 보도용 대형 패널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442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9038B1 (ko) * | 2014-06-02 | 2015-03-05 | 최규웅 | 집성 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
CN109702850A (zh) * | 2018-12-20 | 2019-05-03 | 广东澳都家居有限公司 | 一种人造石材灶台面板生产工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6343B1 (ko) * | 2012-06-07 | 2012-11-05 |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
KR101870768B1 (ko) | 2017-10-16 | 2018-07-20 | 배기성 | 차도 및 보도를 위한 블럭격자틀 |
KR20190042153A (ko) | 2017-10-16 | 2019-04-24 | 배기성 | 차도 및 보도를 위한 블럭격자틀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7455Y1 (ko) * | 1988-08-12 | 1990-08-18 | 서도수 | 블럭 성형기의 몰탈 공급 장치 |
KR100624698B1 (ko) | 2004-11-08 | 2006-09-18 |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 타일블록의 제조방법 |
KR100756387B1 (ko) | 2006-08-29 | 2007-09-10 |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
-
2008
- 2008-07-11 KR KR1020080067408A patent/KR1009744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9038B1 (ko) * | 2014-06-02 | 2015-03-05 | 최규웅 | 집성 데크재 및 이의 제조방법 |
CN109702850A (zh) * | 2018-12-20 | 2019-05-03 | 广东澳都家居有限公司 | 一种人造石材灶台面板生产工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4424B1 (ko) | 2010-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817778B (zh) | 预制清水混凝土构件施工方法 | |
CN106346595A (zh) | 混凝土综合管廊立式成型模具、系统及其使用方法 | |
CN108457243B (zh) | 一种装配式混凝土挡浪墙的施工方法 | |
CN108505645B (zh) | Cl复合混凝土剪力墙现场浇筑施工方法 | |
CN108868063A (zh) | 一种地坪施工方法 | |
KR100974424B1 (ko) | 보도용 대형 패널블럭 | |
CN108824812A (zh) | 一种现浇饰面清水混凝土墙浇筑和养护方法 | |
CN106381980B (zh) | 一种地砖铺设工艺 | |
CN107881902A (zh) | 混凝土施工方法及镜面混凝土墩柱 | |
CN109338842A (zh) | 彩色透水路面及施工方法 | |
CN110230380B (zh) | 一种浇捣一体磨石地坪的施工方法 | |
CN101768908A (zh) | 钢纤维混凝土地坪施工方法 | |
CN113668928B (zh) | 超长大体积混凝土水池施工裂缝控制方法 | |
CN108755692A (zh) | 地下结构混凝土浇筑方法 | |
CN111622055A (zh) | 砼路面层摊铺振捣一体化施工工艺 | |
CN108277908B (zh) | 节能环保型cl墙体工程施工方法 | |
CN107151958B (zh) | 一种易维护永久性农村公路水泥路面 | |
KR20100058430A (ko) | 보도용 대형 패널블럭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CN211306754U (zh) | 一种预应力装饰混凝土栈道板 | |
CN113914530B (zh) | 一种斜屋面鱼鳞式混凝土结构及施工方法 | |
CN111335578B (zh) | 一种水泥豆石楼地面施工工艺 | |
CN107327117A (zh) | 平模彩色混凝土地面的制备方法 | |
CN209989660U (zh) | 一种临时地面设施 | |
CN113431072A (zh) | 一种超长厚型复杂基础底板混凝土无缝施工方法 | |
CN108532985B (zh) | 基础梁板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