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387B1 -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387B1
KR100756387B1 KR1020060082080A KR20060082080A KR100756387B1 KR 100756387 B1 KR100756387 B1 KR 100756387B1 KR 1020060082080 A KR1020060082080 A KR 1020060082080A KR 20060082080 A KR20060082080 A KR 20060082080A KR 100756387 B1 KR100756387 B1 KR 100756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ail
air lift
concre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왕섭
Original Assignee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1Vibration-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moved in succession past one or more shap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moved in succession past one or more shaping stations
    • B28B2005/041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moved in succession past one or more shaping stations with compacting of the material
    • B28B2005/04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moved in succession past one or more shaping stations with compacting of the material only by vibrating or j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제품의 제작을 위한 몰드(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성형 및 양생 시키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질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되어 일측에 형성된 전동차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송대차, 상기 이송대차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측에 결착부가 형성되는 몰드, 상기 레일의 외부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레일의 내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에어 리프트, 상기 에어 리프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진동모터와 하나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고무판이 형성된 진동철판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CONCRETE MOLDING}
도 1a 내지 도 1b는 종래의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중 바닥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일 20 ……. 이송대차
21 ……. 전동차 30 ……. 몰드
31 ……. 결착부 41 ……. 에어 리프트
42 ……. 진동판 42a ……. 삽입홈
42b ……. 고무판 42c ... 진동모터
43 ……. 지지부재 43a ……. 삽입부
43b ……. 스프링
본 발명은 콘크리트제품의 제작을 위한 몰드(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 시키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질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되어 일측에 형성된 전동차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송대차, 상기 이송대차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측에 결착부가 형성되는 몰드, 상기 레일의 외부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레일의 내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에어 리프트, 상기 에어 리프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진동모터와 하나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고무판이 형성된 진동철판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제품(PC암거, 맨홀, 수로관, 호안블록, 옹벽블록 등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제작하는 제품)을 제작함에는 몰드를 사용함이 주지된 사실인데, 이러한 몰드는 알려진 바와 같이 외형몰드와 이 외형몰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형몰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형몰드는 바닥면과 사방면이 분리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면을 조립하여 외형몰드를 형성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완성된 제품 즉, 콘크리트제품을 탈형시에 각각의 면을 분리하여 콘크리트제품을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몰드는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레일(1)을 형성하고 이 레일(1)에 올려져 일측이 전동차(미도시)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이송대차(2)가 형성되며 이 이송대차(2)의 상부에 여러 개의 몰드(3)를 적재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재된 여러 개의 몰드(3)는 상부에 형성되는 호퍼(미도시)에서 낙하하는 콘크리트가 몰드(3)의 내부로 타설되고 일정량 타설된 후에는 전동차를 동작시켜 다음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이송대차에 실린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몰드(3)는 유입되는 콘크리트를 다짐하기 위하여 몰드에 진동을 주는데, 이는 레일(1)의 내측에 형성된 철판(4)에 의하여 가능하며 상기 철판(4)은 지면과 연결된 에어 리프트(5)에 의하여 상/하이동하며 하부면에 통상의 진동모터(6)를 부착하고 상부면에는 몰드(3)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3a)에 삽입되는 돌기(4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철판(4)과 이송대차(2) 및 몰드(3)는 먼저, 철판(4)과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호퍼(미도시)를 동일 수직선상에 형성한 후 이송대차(2)를 이 동시켜 몰드(3)에 형성된 홈(3a)에 철판(4)에 형성된 돌기(4a)가 삽입되는 위치까지 몰드(3)를 이동시킨 후 하부의 에어 리프트(7)를 이용하여 철판(4)을 상승시켜 철판(4)의 상부가 몰드(3)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몰드(3)를 들어 올려 이송대차(2)에서 이격시킨 상태에서 하부의 진동모터(6)를 동작시키고, 동시에 몰드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유입되는 콘크리트가 다져지며 타설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진동철판의 돌기와 몰드 바닥면의 홈이 맞닿은 상태로 진동하는데 이때 진동에 의하여 몰드가 들썩거리므로 각각의 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몰드의 연결부위가 불량해지고 이는 몰드의 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몰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둘째, 또한, 상기와 같이 진동판과 몰드가 직접 연결된(진동철판의 돌기와 몰드 바닥면의 홈만 결착된) 상태는 몰드뿐만 아니라 진동철판에 부착된 진동모터의 수명까지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셋째, 진동모터를 동작 시 철판과 몰드의 떨림에서 발생하는 작업장의 소음이 90~95DB 정도로 허용기준 80DB을 초과 발생하여 작업자의 난청이나 심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넷째, 진동철판에 형성된 돌기와 몰드에 형성된 홈이 결합상태를 식별할 수 없어 작업자는 감으로 홈에 돌기를 삽입시켜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심한 진동으로 인하여 진동철판의 돌기가 쉽게 마모되고 몰드 바닥면의 홈이 넓어져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몰드와 진동판의 결합부위에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여 몰드와 진동판이 밀착된 상태로 진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몰드 및 진동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작업장의 소음을 허용기준이하로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난청등과 같은 산업재해를 방지하며 진동철판과 몰드의 정확한 결합위치를 작업자가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레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안착되어 일측에 형성된 전동차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송대차, 상기 이송대차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측에 결착부가 형성되는 몰드, 상기 레일의 외부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스프링으로 연결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레일의 내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에어 리프트, 상기 에어 리프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진동모터와 하나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고무판이 형성된 진동철판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로관의 제조를 예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중 바닥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100)는 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10)과, 이 레일(10)에 안착되며 일측에 연결된 전동차(21)에 의하여 전/후진하는 이송대차(20) 및 상기 이송대차(20)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측에 결착부(31)가 형성된 몰드(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레일(10)의 내측 지면으로는 여러 개의 에어 리프트(41)를 형성하고 상부에 이 에어 리프트(41)의 상부가 삽입되는 홈(42a)과 고무판(42b) 및 진동모터(42c)가 일체로 형성된 진동판(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10)의 외부측에는 몰드(30)의 결착부(31)가 미끄럼 삽입될 수 있도록 "ㄷ"자형의 삽입부(43a)가 형성된 지지부재(43)가 형성되며 이 지지부재(43)와 삽입부(43a)는 스프링(43b)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의 작동관계를 도 4a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이송대차의 상부에 여러 개의 몰드를 안착하는 단계
지면에 레일(10)을 형성하고, 일측에 전동차(21)가 연결된 이송대차(20)를 상기 레일(10)상부에 위치시켜 전/후진 이동하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송대차(20)의 상부에 여러 개의 몰드(30)를 안착시켜 형성하는데, 상기 몰드(30)의 양측면에는 돌출되는 결착부(31)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지면에는 한 쌍의 레일(10)을 형성하고 이 레일(10)의 내측에 여러 개의 에어 리프트(41)에 의하여 상/하이동하는 진동판(42)을 형성하고, 외부측에는 상기 결착부(41)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ㄷ"자형의 삽입부(43a)가 형성된 지지부재(43)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3)의 일측에 삽입부(43a)가 스프링(43b)으로 연결된다.
2. 몰드를 지지부재와 호퍼가 형성된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몰드의 결착부와 지지부재의 삽입부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전동차(21)에 전원을 인가하여 이송대차(20)를 전/후진시켜 상부 몰드(30)에 형성된 결착부(31)가 삽입부(43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한다.
3. 지면에 형성된 여러 개의 에어 리프트에 공기를 주입하여 진동판을 상승 시켜 몰드를 이송대차와 이격시키는 단계
상기와 같이 형성한 후 지면에 형성한 에어 리프트(41)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려 연결된 진동판(42)을 상승시켜 몰드(30)의 하부면에 밀착시키고 더 상승시켜 몰드(30)를 이송대차(20)에서 이격시킨다.
이때, 몰드(30)의 양측에 형성된 결착부(31)가 지면에 형성된 지지부재(43)의 삽입부(43a)에 삽입되며, 삽입부(43a)상부에 형성된 스프링(43b)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몰드(30)에 전해진 진동을 스프링(43b)이 흡수하여 진동을 조절한다.
그럼으로 진동판과 몰드가 밀착된 상태로 진동함으로써 진동모터를 보호하며, 스프링에 의하여 몰드가 지지됨으로써 몰드는 진동판(42)과 스프링(43b)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하로 연결된 상태로 진동한다.
4. 진동철판의 하부에 형성된 진동모터를 동작시켜 몰드를 진동시킴과 동시에 몰드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몰드(30)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데, 이때 진동판(43)의 하부면에 형성된 진동모터(43c)가 동작하며 몰드(30)를 진동시켜 유입되는 콘크리트를 다짐한다.
상기의 동작에서 진동판(43)의 고무판(43b)부분과 몰드(30)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소음을 감소시켜서 몰드(30) 및 모터(43c)를 보호한다.
또한, 진동하는 몰드를 양측에서 삽입부(43a)가 잡아주고 스프링(43b)에 의하여 몰드의 진동을 유지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며 몰드를 이동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이 빨라지고 이는 생산속도가 빨라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5. 양생 후 몰드를 제거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성형 및 양생하고 몰드를 분리하여 콘크리트제품을 완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제품 몰드와 진동판에 형성된 진동모터에 진동의 충격이 고무판에 의하여 어느 정도 완화된 상태로 전해짐으로써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무판과 외부에 형성된 스프링과 연계된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몰드를 상/하로 잡은 상태에서 진동함으로써 작업장의 소음을 허용기준치 내로 저하시켜 작업자가 난청,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의 산업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외부로 노출된 별도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몰드를 잡아줌으로써 기존의 내부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몰드와 진동판의 결합이 식 별할 수 없는 문제점 해소함으로써 빠르게 몰드를 정해진 위치에 형성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이는 콘크리트제품의 생산속도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레일(10)과 ,상기 레일(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일측에 형성된 전동차(21)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송대차(20)와, 상기 이송대차(20)의 상부에 안착되며 양측에 결착부(31)가 형성되는 몰드(30)와, 상기 레일(10)의 내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에어 리프트(41) 및 상기 에어 리프트(41)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면에 진동모터(42)가 부착된 진동판(42)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42)의 하면에 에어 리프트(41)의 상부가 일부 삽입되는 삽입홈(42a)과 상면에 충격흡수용 고무판(42b)이 형성되며, 상기 몰드(30)와 대항되는 위치의 지면으로부터 직립되며 상부에 스프링(43b)으로 연결되는 "ㄷ"형상의 삽입부(43a)가 형성된 지지부재(43)를 포함되며,
    여기서, 상기 몰드(30)의 외부로 돌출된 결착부(31)가 지지부재(43)의 삽입q부(43a)의 위치에 이동한 상태에서 에어 리프트(41)에 의하여 상승하여 삽입ㅂ부43a) 내부로 삽입/연결되고 상기 진동판(42)의 고무판(42b)에 몰드하부가 밀착된 상태로 진동모터(42c)에 의하여 진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60082080A 2006-08-29 2006-08-29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KR100756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080A KR100756387B1 (ko) 2006-08-29 2006-08-29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080A KR100756387B1 (ko) 2006-08-29 2006-08-29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387B1 true KR100756387B1 (ko) 2007-09-10

Family

ID=3873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080A KR100756387B1 (ko) 2006-08-29 2006-08-29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3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24B1 (ko) 2008-07-11 2010-08-05 양영봉 보도용 대형 패널블럭
CN109895222A (zh) * 2019-03-29 2019-06-18 河北创天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轻钢承重板墙的成型机
KR102125186B1 (ko) * 2020-03-30 2020-06-19 김종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CN115256595A (zh) * 2022-08-08 2022-11-01 江苏和天下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c预制构件生产线及其固定模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923U (ko) * 1997-03-04 1998-11-05 이상춘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923U (ko) * 1997-03-04 1998-11-05 이상춘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24B1 (ko) 2008-07-11 2010-08-05 양영봉 보도용 대형 패널블럭
CN109895222A (zh) * 2019-03-29 2019-06-18 河北创天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轻钢承重板墙的成型机
KR102125186B1 (ko) * 2020-03-30 2020-06-19 김종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CN115256595A (zh) * 2022-08-08 2022-11-01 江苏和天下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c预制构件生产线及其固定模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387B1 (ko)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US2495100A (en) Apparatus for making precast concrete units
JP5473855B2 (ja) 鋳型造型方法および鋳型用造型材
KR100375917B1 (ko) 콘크리트 성형용 금형 진동장치
CN103538139A (zh) 混凝土预制件生产系统及其振动装置
KR10212518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US2779080A (en) Molding machine for forming concrete cribbing blocks
CN206874746U (zh) 一种连铸机机械振动装置
JP4427770B2 (ja) 鋳物砂の圧縮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682143B2 (en) Modular mounting device for concrete casting machines
CN201900229U (zh) 一种v法造型和消失模振实装置
DE69709787D1 (de) Giessereimaschinenaufbau, z.b. formmaschine und transportvorrichtung für grünsandformen
US3832119A (en) Vibratile mold with pallet clamping apparatus
US4323106A (en) Knock-out systems for foundries
NL1030838C1 (nl)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vormstukken.
JP4502319B2 (ja) ブロック製造方法
CN207522786U (zh) 轻震型水泥配重块振动平台
KR20100137244A (ko) 깊이가 깊은 콘크리트성형기용 진동장치
CN212551703U (zh) 一种砂箱翻转装置
CN217573402U (zh) 一种新型混凝土空心六棱砖脱模机
NL1030837C2 (nl)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vormstukken.
JPS61500258A (ja) 造型装置
JP2005334889A (ja) 鋳物の取り出し方法及び定盤
JP3121175U (ja) 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装置
CN219338024U (zh) 一种便于调节的叠合板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