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186B1 -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186B1
KR102125186B1 KR1020200037934A KR20200037934A KR102125186B1 KR 102125186 B1 KR102125186 B1 KR 102125186B1 KR 1020200037934 A KR1020200037934 A KR 1020200037934A KR 20200037934 A KR20200037934 A KR 20200037934A KR 102125186 B1 KR102125186 B1 KR 10212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recast
space
suppor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길 filed Critical 김종길
Priority to KR102020003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B28B1/0873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the mould being placed on vibrating or jolting supports, e.g. mou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는, 콘크리트 충진장치로부터 제공된 믹싱된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기 설정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제1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안착된 채, 상기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며 상기 기 설정된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리캐스트부, 상기 레일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측에 정차한 상기 프리캐스트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측에 정차한 상기 프리캐스트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레일편 및 제2 레일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 레일편 및 상기 제2 레일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된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측의 충진공간에 배치되면, 구동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부를 상기 레일부와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Apparatus for forming precast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충진장치로부터 제공된 믹싱된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기 설정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제품(PC암거, 맨홀, 수로관, 호안블록, 옹벽블록 등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제작하는 제품)을 제작함에는 몰드를 사용함이 주지된 사실인데, 이러한 몰드는 알려진 바와 같이 외형몰드와 이 외형몰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형몰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형몰드는 바닥면과 사방면이 분리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면을 조립하여 외형몰드를 형성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완성된 제품 즉, 콘크리트제품을 탈형 시에 각각의 면을 분리하여 콘크리트제품을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몰드는 바닥면에 레일을 형성하고 이 레일에 올려져 일측이 전동차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이송대차가 형성되며 이 이송대차의 상부에 여러 개의 몰드를 적재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적재된 여러 개의 몰드는 상부에 형성되는 호퍼(미도시)에서 낙하하는 콘크리트가 몰드의 내부로 타설되고 일정량 타설된 후에는 전동차를 동작시켜 다음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이송대차에 실린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진동철판의 돌기와 몰드 바닥면의 홈이 맞닿은 상태로 진동하는데 이때 진동에 의하여 몰드가 들썩거리므로 각각의 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몰드의 연결부위가 불량해지고 이는 몰드의 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몰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둘째, 또한, 상기와 같이 진동판과 몰드가 직접 연결된 상태는 몰드뿐만 아니라 진동철판에 부착된 진동모터의 수명까지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셋째, 진동모터를 동작 시 철판과 몰드의 떨림에서 발생하는 작업장의 소음이 90~95DB 정도로 허용기준 80DB을 초과 발생하여 작업자의 난청이나 심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2644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충진장치로부터 제공된 믹싱된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기 설정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는, 콘크리트 충진장치로부터 제공된 믹싱된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기 설정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제1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안착된 채, 상기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며 상기 기 설정된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리캐스트부, 상기 레일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측에 정차한 상기 프리캐스트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측에 정차한 상기 프리캐스트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레일편 및 제2 레일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 레일편 및 상기 제2 레일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된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측의 충진공간에 배치되면, 구동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부를 상기 레일부와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상기 승강부는, 바닥면과 평행한 제1 평면을 제공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압에 의해 부피가 변화되는 제1 부피변화부, 상기 제1 지지부와 나란히 배치되며, 바닥면과 평행한 제2 평면을 제공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압에 의해 부피가 변화되는 제2 부피변화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상기 프리캐스트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상기 공간형성부의 하부 측에 형성된 채, 상기 레일부에 안착되는 레일안착부, 상기 제1 부피변화부의 부피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에 안착되는 제1 지지안착부, 상기 제2 부피변화부의 부피 변화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에 안착되는 제2 지지안착부 및 상기 제1 부피변화부 및 상기 제2 부피변화부의 부피 변화에 따라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는 연결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상기 제1 지지부는, 상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안착부는, 하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안착부는, 하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부를 향해 상승하는 중에, 상기 제1 함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부를 향해 상승하는 중에, 상기 제2 함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된 기립부, 상기 기립부의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안착부는, 상기 프리캐스트부의 하면과 연결되는 연결탄성부 및 상기 연결탄성부의 하측단에 연결된 관통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형성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2 절곡부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중에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기 충진공간에 제1 거리 못 미친 제1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1 시간동안 정차한 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면, 대기위치에서 제1 높이 상승하여, 제1 상승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충진공간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상승위치에서 제2 높이 상승하여, 제2 상승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프리캐스트부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2 상승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레일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관통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중에,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서 상기 제2 상승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상기 관통형성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서 상기 제2 상승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관통형성부의 전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상기 관통형성부의 전면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상기 제1 지지안착부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하측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지지부로의 안착 시, 상기 공간형성부를 지지하는 제1 공간지지부, 상기 제1 공간지지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형성부의 제1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제1 장착부, 상기 제1 장착부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1 장착탄성부 및 상기 제1 장착부의 제2 측면과 상기 제1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2 장착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장착탄성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의 진동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진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2 장착탄성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진동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상기 레일안착부는, 상기 제1 레일편에 안착되는 제1 안착편 및 상기 제2 레일편에 안착되는 제2 안착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편은, 하부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1 연장부, 하부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1-2 연장부 및 상기 제1-1 연장부와 상기 제1-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일편이 삽입되는 제1 레일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연장부는,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레일삽입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1 굴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레일편과의 접촉 시, 상기 제1 레일편의 상기 제1 레일삽입부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제1-2 연장부는,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레일삽입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2 굴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레일편과의 접촉 시, 상기 제1 레일편의 상기 제1 레일삽입부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캐스트부에 인가된 진동의 충격이 각각의 부재 간에 형성된 탄성 부재에 의하여 완화된 상태로 전해짐으로써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부와 승강부 사이에 연계된 완충구조에 의하여, 진동부의 진동에 의한 작업장의 소음을 허용기준치 내로 저하시켜 작업자가 난청,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의 산업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승강부 및 프리캐스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프리캐스트부 및 레일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승강부 및 프리캐스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의 프리캐스트부 및 레일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1)는, 콘크리트 충진장치(R)로부터 제공된 믹싱된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기 설정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성형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1)는, 레일부(10), 프리캐스트부(20), 승강부(30) 및 진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캐스트부(20)는, 기 설정된 형상의 몰드로서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R)의 하부측에 배치된 채, 제공된 콘크리트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부(20)는, 복수개 일 수 있으며,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R)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R)의 하부측에 위치한 프리캐스트부(20)는, 믹싱된 콘크리트가 제공되는 중에 상기 진동부(40)에 의해 진동되어 제공된 콘크리트가 충진공간 내에 골고루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일부(10)는,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R)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제1 방향(D1)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10)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레일편(11) 및 제2 레일편(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부(20)는, 상기 레일부(10)에 안착된 채,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주행하며 상기 기 설정된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리캐스트부(20)의 하부 일측은 상기 제1 레일편(11)에 안착되고, 하부 타측은 상기 제2 레일편(12)에 안착된 채, 안정적으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레일부(10) 사이에 배치되며, 상측에 정차한 상기 프리캐스트부(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부(30)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압에 의해 부피 변화할 수 있으며, 부피 변화에 따라 상측에 배치된 프리캐스트부(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30)의 부피가 커지면서 높이가 높아지면, 상측에 배치된 프리캐스트부(20)가 상승하고, 상기 승강부(30)의 부피가 작아지면서 높이가 낮아지면, 상측에 배치된 프리캐스트부(20)가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압에 의해 부피 변화한 승강부(30)는 상기 진동부(40)에 의한 진동 시, 완충 및 진동 전달효과를 주어 상기 프리캐스트부(20)의 진동 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제1 레일편(11) 및 상기 제2 레일편(1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R)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부(10)를 따라 이동된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상측의 충진공간에 배치되면, 구동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부(20)를 상기 레일부(10)와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프리캐스트부(20)와 상기 레일부(10)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프리캐스트부(20)의 상기 진동부(40)에 의한 진동 시, 상기 프리캐스트부(20)와 상기 레일부(10)의 접촉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40)는, 상기 승강부(30)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측에 정차한 상기 프리캐스트부(20)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1)의 승강부(30)는, 제1 지지부(31), 제1 부피변화부(33), 제2 지지부(32), 제2 부피변화부(34), 연결부(35) 및 걸림부(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31)는, 바닥면과 평행한 제1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31)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면은, 후술할 제1 지지안착부(24)의 밑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지지안착부(24)의 상기 제1 지지부(31)로의 안정적인 안착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311)는, 상기 승강부(30)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31)가 상승하는 경우, 후술할 제1 함입부(249)에 삽입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지면과 수평한 진동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피변화부(33)는, 상기 제1 지지부(31)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압에 의해 부피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32)는, 바닥면과 평행한 제2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32)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3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평면은, 후술할 제2 지지안착부(25)의 밑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2 지지안착부(25)의 상기 제2 지지부(32)로의 안정적인 안착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321)는, 상기 승강부(30)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32)가 상승하는 경우, 후술할 제2 함입부(251)에 삽입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지면과 수평한 진동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피변화부(34)는, 상기 제2 지지부(32)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압에 의해 부피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5)는, 상기 제1 지지부(31)와 상기 제2 지지부(3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7)는, 상기 연결부(3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7)는, 상기 승강부(30)에 의해 상기 연결부(35)가 상승하는 경우, 후술할 연결안착부(27)와 연결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지면과 수평 및 수직한 진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3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1)의 프리캐스트부(20)는, 공간형성부(21), 레일안착부(22), 제1 지지안착부(24), 제2 지지안착부(25) 및 연결안착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21)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기 설정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를 유지하는 철골 구조물이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철골 구조물은, 투입된 믹싱된 콘크리트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골고루 침투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진동부(40)에 의한 지속적인 진동 인가를 통해 제공된 콘크리트가 상기 철골 구조물 사이사이에 침투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빈 공간 없이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일안착부(22)는, 상기 공간형성부(21)의 하부 측에 형성된 채, 상기 레일부(1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안착부(22)는, 상기 승강부(30)에 의해 상기 레일부(10)에 안착되거나 상기 레일부(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안착부(24)는, 상기 제1 부피변화부(33)의 부피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3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안착부(25)는, 상기 제2 부피변화부(34)의 부피 변화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3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안착부(27)는, 상기 제1 부피변화부(33) 및 상기 제2 부피변화부(34)의 부피 변화에 따라 상기 걸림부(3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7)는, 상기 연결부(35)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된 기립부(371), 상기 기립부(371)의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373) 및 상기 제1 절곡부(373)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37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안착부(27)는, 상기 프리캐스트부(20)의 하면과 연결되는 연결탄성부(271) 및 상기 연결탄성부(271)의 하측단에 연결된 관통형성부(2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탄성부(271)는, 복수의 탄성체가 중첩된 구조로 형성되어 공간형성부(21)와 관통형성부(273)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탄성부(271)는, 상기 공간형성부(21)가 상기 진동부(40)에 의해 진동되는 경우, 상기 연결안착부(27)와 상기 공간형성부(21)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른 탄성 변형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공간형성부(21)가 상기 연결안착부(27)를 기준으로 요동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간형성부(21)의 진동이 더욱 더 무작위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형성부(21)의 무작위성 위치 이동은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믹싱된 콘크리트의 침투가 효율적으로 구현되도록 한다.
상기 관통형성부(273)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273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273a)는, 상기 제2 절곡부(375)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7)와 상기 연결안착부(27)의 연결 관계에 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지지안착부(24)는, 하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제1 돌출부(311)와 대응되는 크기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24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311)는,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부(20)를 향해 상승하는 중에, 상기 제1 함입부(249)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안착부(25)는, 하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제2 돌출부(321)와 대응되는 크기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25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321)는,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부(20)를 향해 상승하는 중에, 상기 제2 함입부(25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부(1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 중에,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상기 충진공간에 제1 거리 못 미친 제1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1 시간동안 정차한 후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부(37)의 상기 연결안착부(27)로의 연결을 위한 위치 이동이다.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면, 대기위치에서 제1 높이(H1) 상승하여, 제1 상승위치(도 3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절곡부(375)는 상기 관통부(273a)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시간이 경과 후,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상기 관통부(273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충진공간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상승위치에서 제2 높이(H2) 상승하여 제2 상승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부(20)는, 상기 승강부(30)가 상기 제2 상승위치(도 4 참조)에 위치하면, 상기 레일부(1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부(20)는, 상기 승강부(30)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일부(10)와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안착부(22)는 상기 공간형성부(21)의 하부측에 연결되되, 상기 공간형성부(21)와 일정 거리 이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공간형성부(21)의 제1 상승위치로의 위치 이동에도 상기 레일안착부(22)와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안착부(22)는, 상기 공간형성부(21)의 상승에도 자중에 의해 상기 레일부(10)에 안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형성부(21)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도 상기 레일부(1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위치 이동에 상기 공간형성부(21)가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형성부(21)가 상기 제2 상승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레일안착부(22)는 상기 레일부(10)와 이격되어, 상기 레일부(10)의 위치 이동에 연동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절곡부(375)는, 상기 승강부(30)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관통부(273a)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1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 중에, 상기 관통부(273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곡부(373)는, 상기 승강부(30)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서 상기 제2 상승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관통부(273a)를 규정하는 상기 관통형성부(273)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부(375)는, 상기 승강부(30)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서 상기 제2 상승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관통형성부(273)의 전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곡부(375)는,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위치 이동이 상기 관통형성부(273)의 전면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지안착부(24)는, 제1 공간지지부(241), 제1 장착부(243), 제1-1 장착탄성부(245) 및 제1-2 장착탄성부(24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지지부(241)는, 상기 공간형성부(21)의 하측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지지부(31)로의 안착 시, 상기 공간형성부(2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243)는, 상기 제1 공간지지부(241)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형성부(21)의 제1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장착탄성부(245)는, 상기 제1 장착부(243)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공간형성부(21)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장착탄성부(245)는,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의 진동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2 장착탄성부(247)는, 상기 제1 장착부(243)의 제2 측면과 상기 제1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공간형성부(21)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장착탄성부(247)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진동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프리캐스트부(20)가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1 장착탄성부(245) 및 상기 제1-2 장착탄성부(247)는, 상기 공간형성부(21)가 상기 진동부(40)에 의해 진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31)와 상기 공간형성부(21)의 수평 위치 변화에 따른 탄성 변형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공간형성부(21)가 상기 제1 지지부(31)를 기준으로 요동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간형성부(21)의 진동이 더욱 더 무작위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형성부(21)의 무작위성 위치 이동은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믹싱된 콘크리트의 침투가 효율적으로 구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안착부(22)는, 상기 제1 레일편(11)에 안착되는 제1 안착편(221) 및 상기 제2 레일편(12)에 안착되는 제2 안착편(2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편(221)은, 하부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1 연장부(221a), 하부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1-2 연장부(221b) 및 상기 제1-1 연장부(221a)와 상기 제1-2 연장부(221b)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일편(11)이 삽입되는 제1 레일삽입부(221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연장부(221a)는,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레일삽입부(221c)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1 굴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레일편(11)과의 접촉 시, 상기 제1 레일편(11)의 상기 제1 레일삽입부(221c)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1-2 연장부(221b)는,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레일삽입부(221c)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2 굴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레일편(11)과의 접촉 시, 상기 제1 레일편(11)의 상기 제1 레일삽입부(221c)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R: 충진장치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10: 레일부 11: 제1 레일편
12: 제2 레일편 20: 프리캐스트부
21: 공간형성부 22: 레일안착부
24: 제1 지지안착부 25: 제2 지지안착부
27: 연결안착부 30: 승강부
31: 제1 지지부 32: 제2 지지부
33: 제1 부피변화부 34: 제2 부피변화부
35: 연결부 37: 걸림부
40: 진동부

Claims (8)

  1. 콘크리트 충진장치로부터 제공된 믹싱된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기 설정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제1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안착된 채, 상기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며 상기 기 설정된 형상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리캐스트부;
    상기 레일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측에 정차한 상기 프리캐스트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측에 정차한 상기 프리캐스트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레일편 및 제2 레일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1 레일편 및 상기 제2 레일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충진장치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된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측의 충진공간에 배치되면, 구동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부를 상기 레일부와 이격되도록 하며,
    바닥면과 평행한 제1 평면을 제공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압에 의해 부피가 변화되는 제1 부피변화부, 상기 제1 지지부와 나란히 배치되며, 바닥면과 평행한 제2 평면을 제공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채,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압에 의해 부피가 변화되는 제2 부피변화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상기 공간형성부의 하부 측에 형성된 채, 상기 레일부에 안착되는 레일안착부, 상기 제1 부피변화부의 부피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에 안착되는 제1 지지안착부, 상기 제2 부피변화부의 부피 변화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에 안착되는 제2 지지안착부 및 상기 제1 부피변화부 및 상기 제2 부피변화부의 부피 변화에 따라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는 연결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안착부는,
    하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안착부는,
    하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제2 돌출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부를 향해 상승하는 중에, 상기 제1 함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된 상기 프리캐스트부를 향해 상승하는 중에, 상기 제2 함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된 기립부, 상기 기립부의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 및 상기 제1 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안착부는,
    상기 프리캐스트부의 하면과 연결되는 연결탄성부 및 상기 연결탄성부의 하측단에 연결된 관통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형성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2 절곡부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중에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기 충진공간에 제1 거리 못 미친 제1 위치에 배치된 경우, 제1 시간동안 정차한 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기 충진공간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면, 대기위치에서 제1 높이 상승하여, 제1 상승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충진공간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 상승위치에서 제2 높이 상승하여, 제2 상승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프리캐스트부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2 상승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레일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관통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중에,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서 상기 제2 상승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관통부를 규정하는 상기 관통형성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승강부가 상기 제1 상승위치에서 상기 제2 상승위치로 상승되면, 상기 관통형성부의 전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상기 관통형성부의 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안착부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하측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지지부로의 안착 시, 상기 공간형성부를 지지하는 제1 공간지지부, 상기 제1 공간지지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형성부의 제1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제1 장착부, 상기 제1 장착부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1 장착탄성부 및 상기 제1 장착부의 제2 측면과 상기 제1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2 장착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장착탄성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의 진동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진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1-2 장착탄성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진동 시,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프리캐스트부가 진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안착부는,
    상기 제1 레일편에 안착되는 제1 안착편 및 상기 제2 레일편에 안착되는 제2 안착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편은,
    하부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1 연장부, 하부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1-2 연장부 및 상기 제1-1 연장부와 상기 제1-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레일편이 삽입되는 제1 레일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연장부는,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레일삽입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1 굴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레일편과의 접촉 시, 상기 제1 레일편의 상기 제1 레일삽입부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하고,
    상기 제1-2 연장부는,
    하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레일삽입부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제2 굴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레일편과의 접촉 시, 상기 제1 레일편의 상기 제1 레일삽입부로의 위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KR1020200037934A 2020-03-30 2020-03-30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KR10212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934A KR102125186B1 (ko) 2020-03-30 2020-03-30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934A KR102125186B1 (ko) 2020-03-30 2020-03-30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186B1 true KR102125186B1 (ko) 2020-06-19

Family

ID=7113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934A KR102125186B1 (ko) 2020-03-30 2020-03-30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4594A (zh) * 2022-02-24 2022-05-06 福建群峰机械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生产方法
WO2024078130A1 (zh) * 2022-10-09 2024-04-18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摊铺成型模拟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2504A (ja) * 1986-09-16 1988-04-02 オリエンタル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ト型枠装置
KR20000037088A (ko) * 2000-04-07 2000-07-05 김동식 콘크리트 성형용 금형 진동장치
KR100526448B1 (ko) 2003-04-29 2005-11-08 합자회사 대청 씨앤씨 콘크리트 성형장치
KR100756387B1 (ko) * 2006-08-29 2007-09-10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KR101811555B1 (ko) * 2017-07-21 2017-12-21 서미애 압축 성형품의 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2504A (ja) * 1986-09-16 1988-04-02 オリエンタル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ト型枠装置
KR20000037088A (ko) * 2000-04-07 2000-07-05 김동식 콘크리트 성형용 금형 진동장치
KR100526448B1 (ko) 2003-04-29 2005-11-08 합자회사 대청 씨앤씨 콘크리트 성형장치
KR100756387B1 (ko) * 2006-08-29 2007-09-10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KR101811555B1 (ko) * 2017-07-21 2017-12-21 서미애 압축 성형품의 버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4594A (zh) * 2022-02-24 2022-05-06 福建群峰机械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生产方法
CN114434594B (zh) * 2022-02-24 2022-12-06 福建群峰机械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生产方法
WO2024078130A1 (zh) * 2022-10-09 2024-04-18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摊铺成型模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18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JP6442358B2 (ja) ブロック製造方法及びブロック製造装置
US9828053B2 (en) Vehicle assembly line
KR100847540B1 (ko) 블록성형장치
JP3770381B2 (ja) 土台支持体の形成方法
KR100756387B1 (ko)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DK3000571T3 (en) DEVICE FOR MANUFACTURING CONCRETE FORM
KR102186470B1 (ko) 다웰바 스틸폼
CN112248475B (zh) 多片式人造大理石板成型模具及成型方法
JP2974605B2 (ja) トンネル覆工用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KR102194848B1 (ko) 3차원 프린팅을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 제조방법
JP2015054769A (ja) エレベータ釣合おもり枠用連結部材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0526448B1 (ko) 콘크리트 성형장치
CN218506487U (zh) 一种装配式建筑构件运输装置
NL1030838C1 (nl)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vormstukken.
CN220362769U (zh) 一种混凝土试块脱模辅助装置
CN215618778U (zh) 一种混凝土预制件加工用改进型振动台装置
KR101696155B1 (ko) 더블 월 pc 제조장치
JP2019210750A (ja) ジャッキアップ装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CN118752579A (zh) 一种用于混凝土构件的低噪声振动台
CN216099606U (zh) 一种垫块及吊钩预埋组件
CN216152635U (zh) 振动台及振动台系统
KR101973796B1 (ko) 블록 성형 장치
CN214725053U (zh) 一种挡块混凝土预制件的振动台装置
CN215471990U (zh) 预制构件成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