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448B1 - 콘크리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448B1
KR100526448B1 KR10-2003-0027331A KR20030027331A KR100526448B1 KR 100526448 B1 KR100526448 B1 KR 100526448B1 KR 20030027331 A KR20030027331 A KR 20030027331A KR 100526448 B1 KR100526448 B1 KR 10052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mold
vibrator
fixing fram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908A (ko
Inventor
이병호
민병소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대청 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대청 씨앤씨 filed Critical 합자회사 대청 씨앤씨
Priority to KR10-2003-0027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44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93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directly acting on the material, e.g. by cores wholly or partly immersed in the material or elements a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 B28B1/093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directly acting on the material, e.g. by cores wholly or partly immersed in the material or elements a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using only elements wholly or partly immersed in the material, e.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동이 몰탈(moltar) 내부에서 가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고정되어 몰탈이 투입되는 몰드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에 투입된 몰탈에 함침되어 직접 접촉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구동부가 고정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진동되는 몰탈의 접촉면을 수평으로 넓힐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고리가 형성된 플랙시블 호스를 구비하며, 케이블이 상기 연결고리와 상기 고정틀을 연결시켜 상기 플랙시블 호스가 절곡되게 형성된다.
종래 콘크리트 성형장치는 진동을 외부에서 몰드와 진동기능을 가진 고정틀을 통해 가함으로써 환경기준치를 웃도는 소음이 발생되었다. 그 결과 근로자들에게 청각장애를 유발시키고 생산능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콘크리트 성형장치는 몰탈 내부에서 가진되도록 하는 내부진동 시스템을 사용하여 소음을 현저히 줄이고, 생산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성형장치 {Concrete forming system}
본 발명은 콘크리트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몰탈(moltar) 내부에서 가진하여 소음을 줄이도록 한 콘크리트 성형장치에 관한것이다.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각종 블록이나 성형물을 만드는 기술은 이미 오래전부터 건축, 토목분야등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성형물은 성형물과 동일한 형상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충진시켜고 이를 양생하여 완성된다. 이 때, 거푸집에 충진시킨 콘크리트 내에 기포가 포함되게 되면 성형물의 내구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므로 이를 외부로 방출시켜야 한다. 또한,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가 구석구석까지 잘 충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충진된 콘크리트에 진동을 가하여 흔들어 주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장치로는 도 1에서와 같은 콘크리트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가 있다. 이는 1997년 3월 4일 실용신안등록 출원된 공개번호 실1998-059923호에 따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진동 테이블(116) 저면 양측에 각각 저주파 진동 발생기(124)와 고주파 진동 발생기(128)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 테이블(116)은 탄성체(134)가 부착 고정된 브라켓(132)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된다. 상기 고주파 진동 발생기(128)는 전원공급부와의 사이에 인버터(Inverter)를 접속한다.
상기 진동 테이블(116)의 상측에는 몰드(118)의 하측과 상하 서로 마주할 수 있는 받침편(160)을 돌출 형성하여 진동 작동시 몰드(118)가 상하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장치는 진동 테이블(116)에 저주파 및 고주파 진동기능을 부여하여 진동테이블을 진동시킴으로써 그 위에 위치한 콘크리트 몰드(118)가 진동되게 하여 충진된 콘크리트 내의 기포 등을 방출시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기본적으로 진동 테이블(116)을 진동시켜 이에 따른 몰드(118)의 이차적 진동의 전달로써 콘크리트를 진동시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제조 공정상 몰드(118)를 진동 테이블(116)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진동 테이블(116)과 몰드(118)는 상하 진동시 서로 미세 이격되어 상쇄충돌하여 역시 기준치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게 되어 이로 인해 근로자들에게 청각장애 및 환경소음을 유발시키고 진동 테이블(116) 및 스프링 현가장치 등 그 설치공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기포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이브레이터(9)이다. 상기 바이브레이터(9)는 몸체가 분리되어 있으며 나사식으로 결합(8)되어 형성된 원통형캡(1) 및 원통형 몸체(2)와, 상기 원통형 몸체(2) 내부에 설치되는 샤프트(4)와, 상기 샤프트(4)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0)와, 상기 샤프트(4)의 외주연부에 설치되어 진동효과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 진동자(5)와, 상기 샤프트(4)가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작용을 상승시키며 베어링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형성한 여러 개의 스냅링(6)과, 나사식으로 원통형 몸체(2)와 결합되어 있는 플랙시블 호스(3)와, 상기 플랙시블 호스(3)의 결합부(8')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리데나(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바이브레이터(9)를 사용하는 방법은 작업자가 콘크리트 타설부에 진동자(5)를 구비한 원통형 몸체(2)를 함침시킨 상태에서 플랙시블 호스(3)를 잡고 기포제거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늦으며 함침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되는 소음을 줄여 편안한 작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생산능률을 향상시키는 콘크리트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작업자의 도움 없이 자동식으로 기포제거작업을 수행토록 하는 콘크리트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고정되어 몰탈이 투입되는 몰드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에 투입된 몰탈에 함침되어 직접 접촉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구동부가 고정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진동되는 몰탈의 접촉면을 수평으로 넓힐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고리가 형성된 플랙시블 호스를 구비하며, 케이블이 상기 연결고리와 상기 고정틀을 연결시켜 상기 플랙시블 호스가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콘크리트 성형장치는 상기 고정틀의 측면에 홈을 형성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홈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래크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구동부가 고정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래크 기어와 치합되는 원형기어와, 상기 원형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모터지지대로 구성되는 수평이동수
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는 몰드(11)와, 상기 몰드(11)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틀(13)과, 상기 고정틀(13)에 장착되는 다수의 바이브레이터(12)와, 상기 고정틀(13)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호이스트(14)로 구성된다.
상기 몰드(11)는 제품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곳으로 몰탈(20)이 투입되어 양생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12)는 그 구동부(10)가 상기 고정틀(13)에 고정되며, 타측인 진동부(12a)는 상기 몰탈(20)에 함침된다. 함침 깊이(d)는 몰탈(20)이 일정한 속도로 투입되고 이에 따라 호이스트(14)가 상기 몰탈(20)의 상승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승하도록 제어기와 센서 등을 설치하여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함침 깊이(d)는 15cm정도이다.
상기 고정틀(13)은 다수의 바이브레이터(12)가 양쪽으로 정렬되어 장착되며, 몰드 규격에 따라 상기 바이브레이터(1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13a)을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구멍(13a)를 대신하여 슬롯(미도시)을 형성하여 위치선택의 폭을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틀(13)은 상기 몰드(1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호이스트(14)는 상기 고정틀(13)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고리(13b)와 결합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승강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몰드(11)의 빈공간에 몰탈 투입장치(미도시)에 의해 몰탈이 채워진다. 다음으로, 호이스트(14)에 의해 다수의 바이브레이터(12)가 장착된 고정틀(13)이 상기 몰드(11) 위로 이송된다. 상기 호이스트(14)가 하강하여 바이브레이터(12)의 진동부(12a)가 몰드(11) 내부의 몰탈(20)에 15cm 정도 함침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12)를 작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면 상기 몰탈(20)이 진동하며 내부의 기포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이후 몰탈(20)의 투입에 따라 몰드(11)내에 몰탈(20)이 점점 채워지게 되면 상기 바이브레이터(12)도 몰드(11) 내부의 몰탈(20)에 15cm 정도 함침되도록 승강시키며 계속 몰탈 내부에서 진동시킨다. 즉, 몰탈(20) 투입과정에서 몰드(11)의 구석까지 몰탈(20)이 잘 충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콘크리트를 더욱 잘 다져지게 하여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호이스트(14)를 작동시켜 상기 바이브레이터(12)를 상승시키고, 몰드는 양생단계로 이송시키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면에 따르면 몰탈(30)이 투입된 몰드(20)와, 상기 몰탈(30)을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22)와, 상기 바이브레이터(22)가 고정되는 고정틀(23)과, 상기 고정틀(23)을 상승시키는 호이스트(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브레이터(22)는 플랙시블 호스(22a)와, 연결고리(22b)와, 구동부(22c)로 구성된다. 상기 플랙시블 호스(22a)는 고무재질로써 잘 구부러지기 때문에 연결고리(22b)에 케이블(25)의 일단을 연결시키고 그 타단을 상기 고정틀(23)에 연결시키면 도시한 바와 같이 'ㄴ'형태로 변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함침 깊이(d')는 15cm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는 다수의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넓은 범위를 진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의 수평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수평이동수단은 상기 고정틀을 변형하여 그 측면에 홈(40a)이 형성된 지지프레임(40)과, 상기 지지프레임(40)의 홈(40a)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래크 기어(45a)가 형성되며 바이브레이터(46)의 구동부(48)가 고정되는 이동프레임(45)과, 상기 이동프레임(45)의 래크 기어(45a)와 치합되는 원형기어(43)와, 상기 원형기어(4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2)와, 상기 구동모터(42)를 상기 지지프레임(40)에 지지시키는 모터지지대(41)로 구성된다.
먼저, 호이스트(미도시)를 상측으로 작동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46)의 진동부가 몰탈과 분리되는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4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원하는 곳에 위치시키고, 상기 호이스트(미도시)를 하측으로 작동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46)의 진동부를 몰탈에 함침시킨후 다시 가진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평방향의 모든 위치에서 가진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는 바이브레이터가 몰탈(moltar)에 함침시켜 직접 진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작업환경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틀에 다수의 끼움구멍을 형성하여 바이브레이터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규격의 몰드에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바이브레이터를 'ㄴ'형으로 구부려서 넓은 면적을 가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브레이터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수단과 수평이동수단을 구비하여 바이브레이터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의 상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성형장치의 수평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11. 몰드
12. 바이브레이터 13. 고정틀
14. 호이스트 20. 몰탈
41. 모터지지대 42. 구동모터
45. 이동프레임

Claims (6)

  1.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고정되어 몰탈이 투입되는 몰드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에 투입된 몰탈에 함침되어 직접 접촉되는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구동부가 고정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을 상하로 이송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진동되는 몰탈의 접촉면을 수평으로 넓힐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고리가 형성된 플랙시블 호스를 구비하며, 케이블이 상기 연결고리와 상기 고정틀을 연결시켜 상기 플랙시블 호스가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성형장치는 상기 고정틀의 측면에 홈을 형성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홈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은 래크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구동부가 고정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래크 기어와 치합되는 원형기어와, 상기 원형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모터지지대로 구성되는 수평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3-0027331A 2003-04-29 2003-04-29 콘크리트 성형장치 KR10052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331A KR100526448B1 (ko) 2003-04-29 2003-04-29 콘크리트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331A KR100526448B1 (ko) 2003-04-29 2003-04-29 콘크리트 성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379U Division KR200322015Y1 (ko) 2003-04-29 2003-04-29 콘크리트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908A KR20040092908A (ko) 2004-11-04
KR100526448B1 true KR100526448B1 (ko) 2005-11-08

Family

ID=3737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331A KR100526448B1 (ko) 2003-04-29 2003-04-29 콘크리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186B1 (ko) 2020-03-30 2020-06-19 김종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5135A (zh) * 2018-09-05 2019-07-30 安阳振动器有限责任公司 一种pc构件成型组合振源
CN110722679B (zh) * 2019-10-18 2021-09-07 广东草根民墅房屋制造有限公司 移动式成组立模生产预制件的方法
CN113187242B (zh) * 2021-04-06 2022-11-25 中核华辰建筑工程有限公司 多联混凝土振捣装置及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186B1 (ko) 2020-03-30 2020-06-19 김종길 콘크리트 구조물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908A (ko)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846802B (zh) 一种装配式免拆模板构造柱的施工设备
KR100526448B1 (ko) 콘크리트 성형장치
CN110919815A (zh) 一种轻质节能建材混凝土多孔砖、成型设备和成型方法
CN210705244U (zh) 一种复合墙板生产用震动成型装置
KR200322015Y1 (ko) 콘크리트 성형장치
CN212859815U (zh) 加气砌块下料装置
CN209903494U (zh) 一种混凝土墙板浇筑装置
KR101132557B1 (ko) 깊이가 깊은 콘크리트성형기용 진동장치
KR100864593B1 (ko) 거푸집 탈형 및 이동 장치
KR20190111476A (ko) 유압식 코어 탈형 장치
CN213005796U (zh) 一种pc构件浇筑装置
CN211967866U (zh) 一种提高大坝预制块合格率的振捣器装置
CN211541634U (zh) 一种工程施工用混凝土振捣装置
KR101421966B1 (ko) 콘크리트 파이프 제조장치
CN210086056U (zh) 一种板桥梁墩柱混凝土振捣设备
CN103213182A (zh) 一种生产混凝土砌块振动器
CN210308310U (zh) 振捣台结构
CN218053216U (zh) 一种预制叠合板拆模辅助装置
CN216328975U (zh) 一种土木建筑工程用混凝土墙板浇筑设备
CN215702545U (zh) 一种新型台模共振振台结构
CN217046829U (zh) 一种混凝土预制件加工用振捣生产装置
CN216840661U (zh) 一种保证自卸混凝土浇筑质量的溜槽
CN210414918U (zh) 一种矩形混凝土检查井生产装置
CN220464235U (zh) 一种用于混凝土预制构件的振动装置
CN217257075U (zh) Grc装饰板成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