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923U -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923U
KR19980059923U KR2019970003918U KR19970003918U KR19980059923U KR 19980059923 U KR19980059923 U KR 19980059923U KR 2019970003918 U KR2019970003918 U KR 2019970003918U KR 19970003918 U KR19970003918 U KR 19970003918U KR 19980059923 U KR19980059923 U KR 199800599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ld
high frequency
concrete water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제
Original Assignee
이상춘
주식회사 동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춘, 주식회사 동서정공 filed Critical 이상춘
Priority to KR2019970003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923U/ko
Publication of KR19980059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923U/ko

Links

Landscapes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수관의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1대의 진동테이블에 저주파 및 고주파 진동기능을 부여함과 아울러 성형물의 크기나 무게에 따른 최적의 진동으로 진동효과를 극대화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능률의 향상 및 진동소음을 억제토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저주파와의 고주파 진동이 별도의 진동테이블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중간형태의 진동발생기가 설치된 1대의 진동테이블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몰드는 단순히 고정핀과 고정공의 결합에 의해 사방으로만 지지토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진동테이블(16) 저면 양측에 각각 저주파 진동발생기(24)(26)와 고주파 진동발생기(28)(30)를 균형있게 설치 고정하되 고주파 진동 발생기(28)(30)는 전원 공급부(40)와의 사이에 접속된 인버터(42)에 의해 진동수를 최적으로 조정토록 하는 진동테이블(16) 양측지면으로부터는 탄성체(54)(56)가 부착 고정된 지지브라켓(46)(48)을 직립 고정하고 각 몰드(8)양측에는 탄성체(54)(56) 하방에서 상하 서로 마주할 수 있는 받침편(62)(64)을 돌출 형성하여 진동 작동시 몰드(8)가 상하로도 지지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제1도: 본 고안의 측면 구성도.
제2도: 본 고안 진동테이블의 승하강 상태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제3도: 본 고안의 블록도.
제4도: 본 고안이 설치된 성형라인의 평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대기실(4)--양생실
(6)--횡레일(8)--몰드
(10)--트렌스퍼카(TRANSFER CAR)(12)--종레일
(14)--몰탈공급대차(16)--진동테이블
(18)(20)(22)--고정핀(24)(26)--저주파진동발생기
(28)(30)--고주파진동발생기(32)--받침대
(34)(36)(38)--에어스프링(40)--전원공급부
(42)--인버터(44)--속도제어부
(46)(48)--지지브라켓(50)(52)--지지판
(54)(56)--탄성체(58)(60)--고정공
(62)(64)--받침편
본 고안은 콘크리트 수관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 진동장치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류별 크기나 형태가 다양한 콘크리트 수관의 성형라인에는 몰탈공급대차로부터 공급된 몰탈이 몰드내에 신속하게 공급되게 하기 위한 저주파 진동발생기(약2000∼3000RPM)와 몰탈내의 기포제거 및 고른 표면 유지를 위한 고주파 진동발생기(약6000∼7000RPM)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도 저주파와 고주파 진동발생에 의한 기능을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거의 대부분이 각 성형라인별 2대의 진동테이블을 설치하여 저주파 및 고주파 진동이 별도의 진동 테이블로부터 발생토록 하므로서 2대의 진동테이블을 설치 운용하는데 따른 경비가 추가소요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며 그만큼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2대의 진동테이블을 설치운용하는데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저주파와 고주파 중간형태의 진동발생기(약5000RPM)가 설치된 1대의 진동테이블에 의해 진동기능을 갖도록한 것도 있었으나 이는 진동이 약해 몰탈의 신속한 투입은 기대할 수 없고, 또 기포제거 및 표면작업을 위한 진동은 강해 그만큼 작동시간을 늘려 주어야 하므로 오히려 작업시간이 지체되고, 강한 진동으로 기포제거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강도에도 큰 영향을 주게 되며, 특히 이러한 중간형태의 진동발생기를 포함한 저주파 및 고주파 진동발생기는 성형하고자 하는 성형물의 크기나 무게 등에 관계없이 상시 일정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최적의 진동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없어 결국 몰탈의 밀도차이로 종류별 강도가 서로 상이하여 제품으로서의 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따르게 된다.
특히 트렌스퍼카(TRANSFER CAR)에 의해 이송되어 온 몰드에 몰탈을 공급한 뒤 진동테이블을 이용한 진동작동시 진동테이블과의 지지수단은 단순히 진동테이블의 고정핀이 몰드의 고정공에 삽입되어 사방으로만 지지토록 하므로서 상하 진동은 몰드에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진동시간은 더욱 길어지게 되고, 진동시 언바란스로 어느한 제품에 대하여도 부위별 다른 강도를 나타내게 되며, 또한 상하 진동시에는 진동테이블과 몰드의 마찰로 심한 소음을 발생시켜 작업환경을 저해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에 제반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1대의 진동테이블을 이용하여 저주파와 고주파 진동에 의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성형물의 크기나 무게 등에 따른 적절한 진동수로 조정하여 최적의 진동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상하진동까지도 서로 일체감 있는 진동상태를 유지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키고 진동소음의 억제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몰드진동장치를 제공토록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진동테이블의 저면 양측에 각각 저주파 진동발생기와 고주파 진동발생기를 균형있게 설치고정하되 고주파 진동발생기는 전원공급부와의 사이에 인버터(Inverten)를 접속하고 진동테이블의 양측 지면으로부터는 탄성체가 부착된 브라켓을 고정설치하여 상기 탄성체가 트렌스퍼카를 따라 이송되어온 각 몰드의 양측 받침편과 상하 일정간격으로 마주하도록 하여 진동발생기에 의한 진동시 상부로부터 몰드를 지지토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 지지브라켓의 탄성체는 각종 스프링이나 또는 내마모성이 강한 연질의 합성수지 등 종류에 구분없이 이용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실(2)과 양생실(4)을 연결하는 횡레일(6)상에 몰드(8)의 이송수단인 트랜스퍼카(TRANSFER CAR)(10)를 활주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횡레일(6)을 가로지르는 종레일(12)상에는 몰탈 공급대차(14)를 활주가능케 설치하여 종레일(12)과의 교차지점에 해당하는 횡레일(6) 사이에 진동테이블(16)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수관 성형라인을 구성하되 상기 진동테이블(16)은 상판에 수개의 고정핀(18)(20)(22)을 돌출형성하고 그 저면 양측에는 저주파진동발생기(24)(26)와 고주파진동발생기(28)(30)를 좌우 균형있게 설치하여 받침대(32)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 에어스프링(34)(36)(38)에 의해 승하강 작동토록 한다.
상기에 있어 고주파 진동발생기(28)(30)는 전원공급부(40)와의 사이에 인버터(42)를 접속하고 인버터(42) 일단에는 인버터(42)의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속도제어부(44)를 접속한다.
한편 진동테이블(16)의 양측에는 지면의 고정대로부터 지지브라켓(46)(48)을 직립고정하여 그 상단의 수평 지지판(50)(52) 저면에 스프링이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탄성체(54)(56)를 부착 고정한다.
또한 트렌스퍼카(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얹혀 이동되는 각 몰드(8)의 저면에는 진동테이블(16)의 고정핀(18)(20)(22)과 대향되게 고정공(58)(60)을 형성하고 몰드(8)의 양측에는 지지브라켓(46)(48)의 탄성체(54)(56)보다 낮은 적정위치에 받침편(62)(64)을 돌출 형성하여 진동테이블(16) 상에 이송된 몰드(8)가 진동테이블(16)에 의한 상승시 그 양측 받침편(62)(64)이 탄성체(54)(56) 하방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토록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660은 골재공급대, (68)은 믹서부, (70)은 크레인, (72)는 구동대차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진동테이블(16)이 하강한 상태에서 각 몰드(8)가 트렌스퍼카(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어느 한 몰드(8)가 진동테이블(16)상에 이르게 되면 제1도에서와 같이 에어스프링(34)(36)(38)에 의한 진동테이블(16)의 승강작동으로 고정핀(18)(20)(22)이 고정공(58)(60)에 삽입되어 몰드(8)가 사방으로 지지되고 몰드(8) 양측의 받침편(62)(64)은 지지브라켓(46)(48)의 탄성체(54)(56) 저부로부터 약간의 간격으로 위치하여 상하로도 지지력을 얻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저주파 진동발생기(24)(26)에 전원을 인가하여 몰드(8)에 저주파 진동을 가해줌과 동시에 몰탈공급대차(14)로부터 몰탈을 공급하여 몰탈이 몰드(8) 내에 신속히 공급되게 한다.
상기에 의한 작동으로 몰탈(8)의 공급이 완료되면 저주파 진동발생기(24)(26)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고주파 진동발생기(28)(3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몰드(8)에 고주파 진동을 가해줌과 따라 몰탈내부의 기포가 제거되고 고른 표면을 형성해 주게 된다.
상기에 있어 고주파 진동발생기(28)(30)는 작동시 인버터(42)의 속도제어부(44)를 통하여 성형물의 크기나 무게 등에 따라 인버터의 주파수를 적절히 가변하여 진동수를 최적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주파 진동 발생기(24)(26)나 고주파 진동발생기(28)(30)의 작동시 몰드(8)는 고정핀(18)(20)(22)과 지지브라켓(46)(48)의 탄성체(54)(56)에 의해 진동테이블(16)과는 사방 및 상하로 연결 지지되고 특히 진동이 심한 상하로는 탄력지지되게 하므로서 진동테이블(16)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몰드(8)에 일체감있게 전달됨은 물론 마찰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1대의 진동테이블(16)에 저주파 및 고주파 진동기능을 부여함과 아울러 고주파 진동시에는 성형물의 크기나 무게에 따른 최적의 진동상태를 유지하여 진동효과를 극대화하고, 진동작동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진동소음의 억제로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 수관 성형라인중 종레일(12)이 교차하는 횡레일(6) 사이에 에어스프링(34)(36)(38)에 의해 승하강 기능을 하는 진동테이블(16)을 설치하고 상기 진동테이블(16) 상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핀(18)(20)(22)은 각 몰드(8)의 고정공(58)(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에 있어서, 진동테이블(16)의 저면 양측에 각각 저주파 진동발생기(24)(26)와 고주파 진동 발생기(28)(30)를 좌우 균형있게 설치 고정하되 고주파 진동발생기(28)(30)는 전원공급부(40)와의 사이에 인버터(42)를 접속하고 인버터(42) 일단에는 속도제어부(44)를 접속하여서 된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진동장치.
  2. 콘크리트 수관 성형라인중 종레일(12)이 교차하는 횡레일(6) 사이에 에어스프링(34)(36)(38)에 의해 승하강 기능을 갖는 진동테이블(16)을 설치하고 상기 진동테이블(16) 상부로 돌출 형성된 고정핀(18)(20)(22)은 각 몰드(8)의 고정공(58)(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콘트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테이블(16)의 양측 지면으로부터 지지브라켓(46)(48)을 직립 고정하여 그 상단 지지판(50)(52)에 탄성체(54)(56)를 부착 고정하고 각 몰드(8)의 양측에는 상기 탄성체(54)(56) 하방에서 서로 마주하는 받침편(62)(64)을 돌출 형성하여서 된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KR2019970003918U 1997-03-04 1997-03-04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KR199800599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918U KR19980059923U (ko) 1997-03-04 1997-03-04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918U KR19980059923U (ko) 1997-03-04 1997-03-04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923U true KR19980059923U (ko) 1998-11-05

Family

ID=6967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918U KR19980059923U (ko) 1997-03-04 1997-03-04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92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917B1 (ko) * 2000-04-07 2003-03-15 주식회사 삼성산업 콘크리트 성형용 금형 진동장치
KR100756387B1 (ko) * 2006-08-29 2007-09-10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CN108247817A (zh) * 2018-01-24 2018-07-06 济南恒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混凝土楼梯振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917B1 (ko) * 2000-04-07 2003-03-15 주식회사 삼성산업 콘크리트 성형용 금형 진동장치
KR100756387B1 (ko) * 2006-08-29 2007-09-10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제품 제조장치
CN108247817A (zh) * 2018-01-24 2018-07-06 济南恒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混凝土楼梯振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249248U (zh) 一种用于条形地基浇筑施工的振捣装置
CN201295745Y (zh) 一种消失模铸造用三维振实台
CN111941592A (zh) 一种轨枕混凝土振捣抹平装置
CN216000866U (zh) 一种盾构管片浇筑用振动台
CN209999396U (zh) 一种摇摆振动台
KR19980059923U (ko) 콘크리트 수관 성형용 몰드 진동장치
KR20000037088A (ko) 콘크리트 성형용 금형 진동장치
CN113715133A (zh) 用于生产预制构件的振动台及预制构件生产线
CN104923743A (zh) 铸造造型用振实台
US6663473B1 (en) Wide-wheel grinding machine
CN212888125U (zh) 一种轨枕混凝土振捣抹平装置
CN210308310U (zh) 振捣台结构
CN203570915U (zh) 一种电梯曳引机的减振降噪结构
CN216765892U (zh) 一种水利施工用混凝土输送装置
CN204817943U (zh) 铸造造型用振实台
US6743077B2 (en) Wide-wheel grinding machine
CN210372595U (zh) 一种用于稻谷生产线的螺杆式空压机固定结构
CN109719260A (zh) 一种振实台
CN216152635U (zh) 振动台及振动台系统
CN220278220U (zh) 一种消失模振动造型装置
CN220329917U (zh) 一种铸造用砂箱振实台
CN218325999U (zh) 用于电器控制箱的运输支撑辅助装置
CN220135139U (zh) 一种可调节安装底座
CN213829458U (zh) 一种高频模台振荡器
CN212732546U (zh) 一种高效减震选矿摇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