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698A -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698A
KR20100006698A KR1020080067014A KR20080067014A KR20100006698A KR 20100006698 A KR20100006698 A KR 20100006698A KR 1020080067014 A KR1020080067014 A KR 1020080067014A KR 20080067014 A KR20080067014 A KR 20080067014A KR 20100006698 A KR20100006698 A KR 2010000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flator
housing
horn
termin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140B1 (ko
Inventor
정태욱
이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140B1/ko
Priority to JP2008289664A priority patent/JP5364922B2/ja
Priority to US12/391,913 priority patent/US7671288B2/en
Priority to CN2009101270454A priority patent/CN101624031B/zh
Publication of KR2010000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B62D1/105Non-rotatable hubs, e.g. the central part of the steering wheel not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인플레이터를 절연 상태로 수용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부의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제1접점구 및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연결된 제2접점구가 구비된 단자부;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이격되어 절연된 탄성구로 연결설치된 스위칭 플레이트; 및 인플레이터선과 상기 제1접점구를 연결하는 제1연결구 및 혼선이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통전되도록 그 혼선과 상기 제2접점구를 연결하는 제2연결구가 구비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가 소개된다. 그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혼선이 인플레이터선과 함께 케이블에 포함되어 단선의 위험이 없고 작업공수가 줄어든다. 또한 혼선이 인플레이터와 간섭되지 않아 작업시 에어백 들뜸 현상이 개선된다.
혼, 에어백 커넥터, 인플레이터 커넥터

Description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 FOR A HORN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마련되는 에어백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에어백을 가압한 경우 내측의 플레이트가 접점을 형성하며 혼이 울리도록 하는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스티어링휠에는 에어백이 장착된다. 그 에어백의 후면에는 스티어링휠의 내측으로 혼(horn) 장치 스위치가 마련된다. 혼 장치는 차량의 후드 전방에 설치되고 차량 실내에서 운전자가 에어백을 가압한 경우 스위치가 접점을 형성하여 혼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티어링휠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스티어링휠은 크게 운전자의 조타각 조정을 위한 핸들(10)과 핸들 중앙부의 에어백부(30)로 구성된다. 그 에어백부(30)의 내측에는 에어백 하우징이 마련되고, 에어백 하우징의 내측에는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가 설치된다.
인플레이터(31)에는 에어백의 전개를 위해 인플레이터에 폭발신호를 인가하는 인플레이터선(34)이 커넥터(35)를 통하여 연결되고, 인플레이터(31)의 후면에는 차량의 혼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장치가 마련된다.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의 에어백부(30)를 가압할 경우 에어백이 눌려지면서 동시에 인플레이터(31) 후면의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고 혼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혼 신호용 스위치는 두 개의 플레이트(32,33)로 이루어지고, 두 플레이트(32,33)는 각각 반력을 가지고 마주보게 결합 되어있다. 각각의 플레이트(32,33)는 혼 장치에 연결되어 접점의 형성여부로 스위칭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하나의 플레이트(32)는 인플레이터(31) 후면에 결합되고, 또 다른 플레이트(33)는 탄성 스프링을 통하여 설치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측 플레이트(32)에는 혼 장치와 연결되는 혼선(36)을 커넥터(37)를 이용하여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혼 신호용 스위치에 따를 경우 혼 장치의 스위칭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혼선을 마련하고, 그 연결을 위해 커넥터를 사용하여 부품의 원가가 상승되고 작업공수가 증가되었다.
또한, 혼선이 인플레이터 후면의 플레이트와 스티어링휠 사이에서 가압되어 단선이 되거나 커넥터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조립시에도 그 혼선으로 인하여 에어백부가 스티어링휠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고 조립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혼선과 커넥터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조립의 어려움, 부품수 및 작업공수의 증대, 커넥터의 분리 등을 해결하기 위한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설치되며 내부에 에어백 인플레이터를 절연 상태로 수용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내부의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제1접점구 및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연결된 제2접점구가 구비된 단자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가압된 경우 그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접점을 이루어 혼이 작동되도록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이격되어 절연된 탄성구로 연결설치된 스위칭 플레이트; 및 단부에 인플레이터선과 혼선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단자부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인플레이터선과 상기 제1접점구를 연결하는 제1연결구 및 혼선이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통전되도록 그 혼선과 상기 제2접점구를 연결하는 제2연결구가 구비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홈 형상이고, 단자부의 제1접점구는 단자부의 내측에 마련된 핀이며, 커넥터의 제1연결구는 제1접점구가 삽입되도록 커넥터에 매설된 클립일 수 있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홈 형상이고, 단자부의 제2접점구는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연결된 도체 패널이며, 커넥터의 제2연결구는 일단이 혼선과 연결된 상태에서 연장되며 타단이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접점구와 접하는 클립일 수 있다.
상기 제2접점구는 단자부의 양측에 마련되며 제2연결구는 각각의 제2접점구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는 하우징 플레이트가 전기 전도되도록 설치되며, 스위칭 플레이트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가압된 경우 하우징 플레이트와 접점을 이루도록 하우징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절연된 탄성구로 연결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그 중공부를 통하여 노출된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스위칭 플레이트는 인플레이터선 및 혼선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우징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플레이터선과 혼선은 하나의 케이블에 수용되어 커넥터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혼선이 인플레이터선과 함께 케이블에 포함되어 단선의 위험이 없고 작업공수가 줄어든다. 또한 혼선이 인플레이터와 간섭되지 않아 작업시 에어백 들뜸 현상이 개선된다.
또한 별도의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아 부품수가 감소되며 커넥터가 떨어지는 내구성 문제가 보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설치되며 내부에 에어백 인플레이터를 절연 상태로 수용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22);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에 마련되며, 내부의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제1접점구 및 인플레이터 하우징(322)과 연결된 제2접점구가 구비된 단자부(324);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이 가압된 경우 그 인플레이터 하우징(322)과 접점을 이루어 혼이 작동되도록 인플레이터 하우징(322)과 이격되어 절연된 탄성구로 연결설치된 스위칭 플레이트(340); 및 단부에 인플레이터선과 혼선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단자부(324)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인플레이터선과 상기 제1접점구를 연결하는 제1연결구 및 혼선이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통전되도록 그 혼선과 상기 제2접점구를 연결하는 제2연결구가 구비된 커넥터(500);를 포함한다.
도 3은 스위치 장치의 후면 사시도로서, 조립 순서는 커넥터(500)를 단자부(324)에 결합한 후 뒤집어 스티어링휠에 결합하는 것이다. 혼 장치의 스위칭 방식은 인플레이터 하우징(322)과 스위칭 플레이트(340)가 접점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인플레이터 하우징(322)과 스위칭 플레이트(340)에는 (-)극과 (+)극의 도선이 연결된 상태로 이격되게끔 설치된다. 스위칭 플레이트(340)와 인플레이터 하우징(322) 사이에는 탄성구(342)가 마련되어 접점의 형성 후 가압을 해제할 경우 다시 원상복구되도록 한다.
이 중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에 연결되는 혼선(526)은 커넥터(500)를 통하여 인플레이터선(524)과 함께 연결된다. 인플레이터선(524)은 인플레이터에 직접 연결되고, 혼선(526)은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에 연결된다.
스위칭을 위한 접점의 형성은 인플레이터 하우징(322)과 스위칭 플레이트(340)가 직접 접점을 형성토록 할 수도 있고,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에 별도로 하우징 플레이트(320)를 결합하고, 그 하우징 플레이트(320)와 스위칭 플레이트(340)가 선택적으로 접점을 형성토록 할 수도 있다. 즉,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에는 하우징 플레이트(320)가 전기 전도되도록 설치되며, 스위칭 플레이트(340)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이 가압된 경우 하우징 플레이트(320)와 접점을 이루도록 하우징 플레이트(320)와 이격되어 절연된 탄성구(342)로 연결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320)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에 연결된 혼선(526)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을 통하여 전기가 전도되도록 한다. 혼선(5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우징 플레이트(320)는 스위칭 플레이트(340)와 접점을 이루며 혼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 플레이트(320)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324)는 그 중공부를 통하여 노출된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에 마련되며, 상기 스위칭 플레이트(340)는 인플레이터선(524) 및 혼선(526)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우징 플레이트(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주보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 하우징(322) 을 하우징 플레이트(320)의 중공부로 노출시키고 커넥터(500)를 연결하며, 스위칭 플레이트(340)는 그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의 외측을 따라 이격되어 하우징 플레이트(320)에 결합함으로써 스위칭시 또는 장착시 인플레이터선(524) 및 혼선(526)과 간섭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고하여 접점의 형성을 살펴본다. 에어백 하우징(300)에는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가 마련된다. 그 인플레이터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에는 하우징 플레이트(320)가 결합되고 인플레이터 하우징(322)과 하우징 플레이트(320)는 전기가 전도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하우징 플레이트(320)에는 스위칭 플레이트(340)가 탄성구(342)인 스프링을 매개로 이격되게끔 설치된다. 스프링은 절연된 상태로 고정되어 평상시에는 접점이 형성되지 않는다. 차량의 탑승자가 스티어링휠에 장착된 에어백을 가압할 경우 에어백 하우징(300)과 그 후면의 하우징 플레이트(320)가 이동되고, 탄성구(342)를 가압하며 스위칭 플레이트(340)에 닿게 되며 접점이 형성되는 것이다. 접점이 형성된 상태에서 혼 장치가 작동하여 혼이 울리게 되고, 가압을 해제할 경우 접점이 다시 떨어지며 원상복구된다. 보다 효율적인 접점의 형성을 위하여 하우징 플레이트(320)와 스위칭 플레이트(340)에는 각각 돌출된 접점구(321,346)를 형성하도록 한다. 스위칭 플레이트에는 고정부(344)가 형성되어 스티어링휠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5 내지 7은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커넥터(500)를 단자부(324)에 삽입하는 것이나, 이와 달리 단자부(324)가 커넥터(500)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넥터(500)에는 제1연결구(540)와 제1연결구(560)가 마련 되며, 단자부(324)에는 제1접점구(326)와 제2접점구(328)가 마련된다. 제1연결구(540)에는 인플레이터선(524)이 연결되고, 제1접점구(326)에는 인플레이터가 연결되어 커넥터(500)를 단자부(324)와 연결한 경우 인플레이터선(524)과 인플레이터가 연결되고, 에어백의 전개신호가 전달된 경우 인플레이터가 폭발하며 에어백이 전개되는 것이다. 제1연결구(560)는 혼선(526)과, 제2접점구(328)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22)과 연결되어 커넥터(500)를 삽입한 경우 혼선(526)과 인플레이터 하우징(322) 및 하우징 플레이트(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가 구성된 상태에서 에어백을 가압할 경우 하우징 플레이트(320)와 스위칭 플레이트(340)가 접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스위칭 플레이트(340)에 혼 장치의 다른 극이 연결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커넥터(500)에는 세 개의 선이 삽입되는데, 그 중 두 개는 인플레이터에 작동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인플레이터선(524)이며, 하나는 혼 장치와 연결된 혼선(526)이다. 혼 장치의 경우 나머지 하나의 선은 스위칭 플레이트(340)에 연결된다. 인플레이터선(524)은 제1연결구(540)와 커넥터(500)의 내측에서 연결되고, 제1연결구(540)는 클립형으로써 단자부(324)의 제1접점구(326)인 핀이 삽입된다. 클립에 핀이 삽입되어 인플레이터선(524)과 인플레이터가 연결되는 것이다. 혼선(526)의 경우는 커넥터(500) 내측의 제1연결구(560)에 연결(562)되고, 그 제1연결구(560)는 클립형상으로써 커넥터(500) 내측에서 연장(564)되어 외측으로 돌출(566)되도록 한다. 돌출부(566)는 커넥터(500) 중 단자부(324)에 삽입되는 삽입부(510)의 홀(512)을 통하여 커넥터(5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부(566)는 커 넥터(5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그를 위해 제1연결구(560)의 형상은, 내측에서 일단이 혼선(526)에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500)의 외측을 돌며 돌출(566)되고, 다시 연장되어 또 다른 측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도 8은 단자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500)가 삽입되는 단자부(324)는 홈 형상으로써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에 마련되는데, 그 단자부(324)는 인플레이터와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커넥터(500)의 제1연결구(540)인 클립에는 단자부(324)의 제1접점구(326)인 핀이 삽입되어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선이 연결된다. 단자부(324)는 인플레이터와 절연되어 있어, 인플레이터는 인플레이터선을 제외하고는 다른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여 평상시의 안정성을 담보한다. 단자부(324)에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22)과 연결되는 도체 패널 형상의 제2접점구(328)가 양측으로 마련된다. 단자부(324)에 삽입된 커넥터(500)의 제1연결구(560)는 클립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단자부의 제2접점구(328)와 연결되어 통전되도록 한다. 혼선의 연결회로를 살펴보면, 혼선(526)은 커넥터(500)의 제1연결구(560)를 통하여 단자부(324)의 제2접점구(328)에 연결된다. 제2접점구(328)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22)과 연결되고, 그 인플레이터 하우징(322)은 하우징 플레이트(320)와 연결되는 것이다. 스위칭 플레이트(340)에는 혼 장치의 다른 극이 연결되어 있어, 하우징 플레이트(320)와 스위칭 플레이트(340)가 접점을 형성한 경우 혼 장치가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제1연결구(560)는 양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하여 커넥터(500)가 단자부(324)에 삽입된 경우 안정적으로 제1연결구(560)와 제2접점구(328)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에 따를 경우 혼선과 인플레이터선이 하나의 케이블(520)에 통합되어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결합되는바 별도의 혼선과 혼선용 커넥터를 따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별도의 부품을 줄여, 스위치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였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스티어링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2연결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의 단자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에어백 하우징 320 : 하우징 플레이트
322 : 인플레이터 하우징 324 : 단자부
326 : 제1접점구 328 : 제2접점구
340 : 스위칭 플레이트 342 : 탄성구
500 : 커넥터 520 : 케이블
524 : 인플레이터선 526 : 혼선
540 : 제1연결구 560 : 제2연결구

Claims (7)

  1. 차량의 스티어링휠에 설치되며 내부에 에어백 인플레이터를 절연 상태로 수용하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내부의 인플레이터와 연결된 제1접점구 및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연결된 제2접점구가 구비된 단자부;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가압된 경우 그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접점을 이루어 혼이 작동되도록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이격되어 절연된 탄성구로 연결설치된 스위칭 플레이트; 및
    단부에 인플레이터선과 혼선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단자부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인플레이터선과 상기 제1접점구를 연결하는 제1연결구 및 혼선이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통전되도록 그 혼선과 상기 제2접점구를 연결하는 제2연결구가 구비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홈 형상이고, 단자부의 제1접점구는 단자부의 내측에 마련된 핀이며, 커넥터의 제1연결구는 제1접점구가 삽입되도록 커넥터에 매설된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홈 형상이고, 단자부의 제2접점구는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연결된 도체 패널이며, 커넥터의 제2연결구는 일단이 혼선과 연결된 상태에서 연장되며 타단이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접점구와 접하는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구는 단자부의 양측에 마련되며 제2연결구는 각각의 제2접점구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에는 하우징 플레이트가 전기 전도되도록 설치되며, 스위칭 플레이트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가압된 경우 하우징 플레이트와 접점을 이루도록 하우징 플레이트와 이격되어 절연된 탄성구로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그 중공부를 통하여 노출된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스위칭 플레이트는 인플레이터선 및 혼선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우징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선과 혼선은 하나의 케이블에 수용되어 커넥터의 단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KR1020080067014A 2008-07-10 2008-07-10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KR10096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014A KR100962140B1 (ko) 2008-07-10 2008-07-10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JP2008289664A JP5364922B2 (ja) 2008-07-10 2008-11-12 車両ホーンスイッチ装置
US12/391,913 US7671288B2 (en) 2008-07-10 2009-02-24 Switch apparatus for horn device of vehicle
CN2009101270454A CN101624031B (zh) 2008-07-10 2009-03-13 用于车辆喇叭设备的开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014A KR100962140B1 (ko) 2008-07-10 2008-07-10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98A true KR20100006698A (ko) 2010-01-21
KR100962140B1 KR100962140B1 (ko) 2010-06-10

Family

ID=4150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014A KR100962140B1 (ko) 2008-07-10 2008-07-10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71288B2 (ko)
JP (1) JP5364922B2 (ko)
KR (1) KR100962140B1 (ko)
CN (1) CN1016240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0143B1 (en) * 2010-05-31 2013-12-04 Volvo Car Corporation Connec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module
DE102015104570B4 (de) 2015-03-26 2019-07-11 Infineon Technologies Ag Leistungs-chip und chipanordnung
US20190066781A1 (en) * 2017-08-31 2019-02-28 Sandisk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emory cell end of life detection and operation
DE102018117954A1 (de) * 2018-07-25 2020-01-3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griff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09Y2 (ja) * 1988-04-21 1995-03-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5198629A (en) * 1989-10-30 1993-03-30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having insert molded membrane switch
JP3163747B2 (ja) * 1992-06-01 2001-05-08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パッド
US5508482A (en) * 1994-10-11 1996-04-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Horn activation and steering wheel assembly
US5593177A (en) * 1995-01-17 1997-01-14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electric component attachment using studs
JP3416413B2 (ja) 1996-08-19 2003-06-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H10308270A (ja) 1997-05-09 1998-11-17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968831B2 (ja) * 1997-07-25 2007-08-29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11297155A (ja) * 1998-04-07 1999-10-29 Takata Kk ステアリングデバイス
EP2489557B1 (en) * 1999-02-16 2015-05-2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apparatus
US6719323B2 (en) * 1999-08-06 2004-04-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apparatus and steering wheel
JP4023098B2 (ja) * 2000-11-29 2007-12-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ッチ
DE10241048B4 (de) * 2002-08-30 2004-07-08 Takata-Petri Ag Schalt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hupe
US7159897B2 (en) * 2003-07-21 2007-01-09 Delphi Technologies, Inc. Isolated ground for horn mechanism
JP2006044507A (ja) * 2004-08-05 2006-02-16 Takata Corp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114411A (ja) * 2004-10-15 2006-04-27 Tyco Electronics Amp Kk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
DE202006019196U1 (de) * 2006-12-15 2007-04-12 Takata Petri Ag Generatorbaugruppe für ein Airbagmodul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24031A (zh) 2010-01-13
JP5364922B2 (ja) 2013-12-11
KR100962140B1 (ko) 2010-06-10
US7671288B2 (en) 2010-03-02
JP2010018262A (ja) 2010-01-28
US20100006409A1 (en) 2010-01-14
CN101624031B (zh)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4103C (zh) 双工插头适配器模块
JP4809827B2 (ja) 無挿入力式電気コネクタ部品
KR100962140B1 (ko) 차량의 혼 신호용 스위치 장치
CA2352634A1 (en) Integrated i.d. module and terminal block for ecp brake application (ny-1084)
KR200303347Y1 (ko) 단락 전기 커넥터
JP2002343331A (ja) バッテリ
JPH01152799A (ja) 自動車の取付け穴にはめ込まれた音響装置特にラジオの盗難保護装置
JP3851613B2 (ja) フロントホルダ付きコネクタ
KR100765653B1 (ko) 자동차용 글래스 안테나 잭
JP2017506181A (ja) 警笛回路
JP3264297B2 (ja)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CA2153907A1 (en) Arrangement for indicating an interrupted electrical connection
KR20100037044A (ko) 전기 커넥터용 로우 프로파일 쇼팅 바아
JP4393996B2 (ja) ガスジェネレータ、及びガスジェネレータとの電気接触のための装置
JP2004055470A (ja) コネクタ
KR102577278B1 (ko) 에어백 모듈, 스티어링 휠 및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는 방법
JPH08153553A (ja) 端子ショート機構と嵌合確認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
KR20210024933A (ko) 접속단자 연결용 접속 커넥터
CN1998057A (zh) 电路板的电微接触器及装备这样的接触器的电断路器
CN212447297U (zh) 喇叭组件
JP2006049193A (ja) コネクタ
CN114600217B (zh) 触点开闭器及连接辅助销
US6302718B1 (en) Jack with microswitch for distributing digital signals
CN100461644C (zh) 移动通信终端
CN116315749A (zh) 接线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