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278B1 - 에어백 모듈, 스티어링 휠 및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 스티어링 휠 및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278B1
KR102577278B1 KR1020197033200A KR20197033200A KR102577278B1 KR 102577278 B1 KR102577278 B1 KR 102577278B1 KR 1020197033200 A KR1020197033200 A KR 1020197033200A KR 20197033200 A KR20197033200 A KR 20197033200A KR 102577278 B1 KR102577278 B1 KR 102577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ments
locking
contact
steering wheel
airba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051A (ko
Inventor
도미니크 슐츠
Original Assignee
제트에프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에프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에프 오토모티브 세이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3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60R21/21658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with integrated switches, e.g. horn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112) 위에 로킹 요소(130) 및 에어백 모듈(111) 위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 요소(131)를 배치하기 위한 에어백 모듈(111)에 관한 것으로, 로킹 요소(130)는 스티어링 휠(112) 위에 배치되어 있는 캐치 요소(120)와 함께 고정되게 설명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스티어링 휠(112)과 에어백 모듈(111)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로킹 요소(130)는 이동될 수 있으며, 언로킹 상태, 로킹 상태 및 이들 둘 사이의 중간 상태를 채택할 수 있다. 중간 상태에서는, 로킹 요소(130)와 캐치 요소(120) 사이에는 기구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나 전기적으로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반면, 로킹 상태에서는 로킹 요소(130)가 캐치 요소(120)에 기구적으로 체결되어 있고, 콘택트 요소(131)와 로킹 요소(130)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있다. 로킹 상태에서, 캐치 요소(120)와 로킹 요소(130)가 서로 고정되어 있을 때, 콘택트 요소(132), 로킹 요소(130) 및 캐치 요소(120)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콘택트 요소(131)가 혼 콘택트(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 및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 스티어링 휠 및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 스티어링 휠,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로 구성된 서브어셈블리 및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모듈은 차량 탑승객 통제 시스템의 일부이며, 예를 들면 운전자 보호를 개선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 모듈은 경적 신호를 발동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현대에서는 복잡한 스크류 연결부를 사용하지 않고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킹 연결로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을 서로에 대해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기저를 이루는 목적은 에어백 모듈과 용이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에어백 모듈을 올바르게 조립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신뢰성 있게 기능을 발휘하는) 신호 유닛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에어백 모듈과 관련된 본 발명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되고, 스티어링 휠과 관련된 본 발명 목적은 청구항 제2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되며, 신호 유닛 생성 방법과 관련된 본 발명 목적은 청구항 제12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 위에,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가 배치된다. 로킹 요소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되어 있는 캐치 요소와 함께 고정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콘택트 요소가 혼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가 서로 고정될 때, 콘택트 요소, 로킹 요소 및 캐치 요소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은 에어백 모듈에 연결되게 설계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 위에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가 배치되어 있다. 로킹 요소는 에어백 모듈 위에 배치되어 있는 캐치 요소와 함께 고정되게 설계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콘택트 요소가 혼 콘택트에 연결되어 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가 서로 고정되면, 콘택트 요소, 로킹 요소 및 캐치 요소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어셈블리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며,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은 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로킹 연결(locking connection)에 있어서, 로킹 요소가 에어백 모듈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캐치 요소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어셈블리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대응 스티어링 휠의 바람직한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로킹 연결에 있어서, 로킹 요소가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되고, 캐치 요소는 에어백 모듈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어셈블리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대응 스티어링 휠의 바람직한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 각각의 위에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가 배치되어 각각이 로킹 연결을 이루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어셈블리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바람직한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및 본 발명에 따른 서브어셈블리의 이점과 유리한 구성이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이 안전하고, 타이트하면서 올바르게 서로 연결될 수 있음이 용이하게 인지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 각각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이 올바른 위치에서 에러가 없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었을 때에만 즉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 사이에 견고하면서도 정확하고 에러-없는 방식으로 연결되었을 때에는 혼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혼 콘택트로부터 콘택트 요소 그리고 추가로 로킹 요소를 통해 캐치 요소로 올바르고 완전하게 로킹 연결됨으로써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로킹 연결 이에 따라 콘택트 요소, 로킹 요소 및 캐치 요소 간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때, 특히 각 혼 회로가 폐쇄될 수 있으며, 혼 신호가 특별하게 생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로킹 연결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혼 콘택트로부터 캐치 요소로 전기적 연결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각 혼 회로는 특히 폐쇄되지 않을 수 있으며, 혼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이 올바르게 서로 연결되었는지 특히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 사이에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지표(indicator)로 혼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올바르게 연결된 경우, 경적이 울리면 혼 신호가 울린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혼 신호가 울리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이 안전하면서도 타이트 하게 서로 연결되었는지를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 특히,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 간의 연결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필요가 없고 툴을 사용하여 각 요소들을 스캔하는 중에 복잡한 다른 검사도 필요가 없다.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은 통상적으로 정밀하게 상호 연결되기 때문에, 이러한 시각적인 검사는 매우 어렵고 통상적으로 적절한 공구를 삽입할 공간도 거의 없다.
본 발명은 어쨌든 존재하는 혼의 도움으로 로킹 연결을 음향적으로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러한 체크를 함에 있어서 독점적인 추가의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을 기구적으로 연결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요소들을 사용하여 체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로 이루어진 서브어셈블리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또는 서브어셈블리를 생산하는 중에 바로 상기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서브어셈블리가 이미 현장에 있고, 이미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체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차량의 수리 작업 또는 유지보수 중에 연결을 직접 체크할 수 있다.
반대로, 혼 및 특히 경적을 울렸을 때 혼 신호가 울리지 않으면, 혼은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 사이에 연결이 잘못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각 (예컨대 차량을 유지보수 및 수리 작업을 한 후) 차량의 운전자가 혼 기능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음을 인지할 때,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 사이에 연결을 올바르게 재-확립해야 하는 것에 운전자의 주의가 모아질 수 있다.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될 수 있는데, 특히 에어백 모듈이 스티어링 휠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특히 스티어링 휠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 특히 스티어링 칼럼의 종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로부터 고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으며, 에어백 모듈의 커버가 스티어링 휠을 향해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백 모듈 특히 커버가 이동할 수 있는 상기 방향을 이하에서는 일반성을 잃지 않고 경적소리 방향(honking direction)이라고 지칭한다. 상기 경적소리 방향으로 에어백 모듈의 이동은 콘택트 요소가 혼 콘택트와 폐쇄되거나 단락되어 혼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유리하다.
콘택트 요소는 특히 혼 콘택트에 대한 카운터-콘택트(counter-contact)로 기능한다. 이에 따라,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가 혼을 울리기 위해 접촉해야 하는 콘택트 면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콘택트 요소가 에어백 모듈 위에 배치되면, 혼 콘택트가 특히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되거나, 그 반대도 성립한다. 혼을 울리기 위해, 에어백 모듈 특히 에어백 모듈의 커버가 경적소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요소가 바로 혼 콘택트와 접촉할 수 있으며 단락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콘택트 요소가 추가의 요소들과 연결되고, 상기 요소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직접적으로 혼 콘택트와 접촉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택트 요소는 특히 혼을 울리기 위해 혼 콘택트와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상기 추가의 요소들을 통해 혼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콘택트 요소는 예컨대 플러그, 스냅-온 및/또는 클램핑 연결을 사용하여 실제 카운터-콘택트와 기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혼이 울릴 때, 이 경우에서 상기 카운터-콘택트가 혼 콘택트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락(short-circuited)될 수 있다.
특히, 캐치 요소, 로킹 요소 및 콘택트 요소 그리고 혼 콘택트는 혼 회로의 일부이다. 특히, 상기 요소들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 포텐셜들과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혼 회로에서, 혼 신호를 음향적으로 방출하는 신호 수단이 특별하게 추가로 통합된다. 로킹 연결이 이루어질 때, 특히 영구적으로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 간에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고 특히 균등하게 상기 두 요소들 간에 영구적인 기구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확립된 후, 에어백 모듈 또는 커버는 스티어링 휠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아이들 위치에 있게 된다. 유리하기로는, 스티어링 휠에서 및/또는 에어백 모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에 의해 에어백 모듈이 상기 아이들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스프링 요소들 또는 다른 유연하게 변형 가능한 요소들이 상기 스페이서로 제공될 수 있다. 혼이 울린 후,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특히 경적소리 반대 방향으로 에어백 모듈 또는 커버가 다시 아이들 위치에 놓일 때까지 에어백 모듈 또는 커버가 스티어링 휠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특별히 유리한 구성에 의하면, 콘택트 요소, 로킹 요소 및 캐치 요소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즉 특히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져 있을 때(특히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져 있을 때), 콘택트 요소와 혼 콘택트 간에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혼 기능이 작동할 수 있다. 콘택트 요소, 로킹 요소 및 캐치 요소의 전기적 상호 연결에 의해,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질 때, 콘택트 요소와 혼 콘택트 사이에 단락이 있는 경우, 각 혼 회로가 폐쇄되어 혼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확립되면, 이에 따라 혼 기능이 특별하게 작동되며, 혼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혼 기능이 작동되지 않고, 혼 신호가 생성될 수 없다. 특히 이렇게 로킹 연결에 오류가 있으면, 혼 콘택트가 캐치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되어, 각 혼 회로가 폐쇄되지 않고 혼 신호가 생성될 수 없다.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 간에 기구적 접촉이 없는 언로킹 상태(unlocked state)에서,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 간에 전기적 접촉이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언로킹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은 특히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다. 특히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로킹 요소가 상기 언로킹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이 서로 연결되기 전에,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간에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상기 언로킹 상태에서, 로킹 요소는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간에 전기적 접촉이 있는 초기 상태(initial state) 또는 초기 위치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 요소가 캐치 요소와 기구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로킹 상태(locked state)에서,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존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 사이의 기구적 체결은 특히 로킹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가 특별히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가 견고하게(positively) 및/또는 견고하지 않게(non-positively)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로킹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은 특히 타이트 하게 그리고 올바르게 서로 연결되어 있다. 로킹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후에 로킹 요소가 상기 로킹 상태에 있는 것이 적절하다. 특히, 상기 로킹 상태에서 로킹 요소는 초기 상태 또는 초기 위치에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 사이의 기구적 접촉이 있는 로킹 또는 언로킹의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에서, 콘택트 요소와 로킹 요소 간에 전기적 접촉이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러한 기구적 접촉은 특별히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가 서로 기구적으로 체결되도록 서로 고정되어 있도록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즉 로킹 요소가 언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상태로 가는 중에 로킹 요소는 특히 상기 중간 상태에 있다. 상기 중간 상태에서, 로킹 요소는 특히 초기 상태 또는 초기 위치에 있지 않다. 상기 중간 상태에서,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없기 때문에, 이 경우 특히 로킹 요소, 콘택트 요소 및 캐치 요소 어느 사이에도 전기적 접속이 있을 수 없다. 로킹 요소가 중간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 요소와 혼 콘택트가 접촉하고 있더라도, 대응하는 혼 회로는 폐쇄될 수 없고, 어떠한 혼 신호도 발생될 수 없다. 따라서, 로킹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혼을 통해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로킹 요소가 중간 상태에 있고,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이 올바르게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혼 기능의 상실에 의해 특히 인지할 수 있다. 혼 기능이 있으면,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가 탈부착이 가능한 기구적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면 유리하다. 탈부착이 가능한 기구적 연결을 통해 트기 이들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는 로킹 상태와 언로킹 상태에서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기구적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상태에서, 상기 기구적 연결이 특별하게 분리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은 플러그, 스냅-온 및/또는 클램핑 연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요소가 -언로킹 상태에서의 초기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향된 상태 또는 부분적으로 변위된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 요소와 로킹 요소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다. 초기 위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간에 전기적 접속이 존재한다. 유리하기로는, 로킹 요소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만, 대응 혼 회로가 폐쇄되어, 혼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로킹 요소가 초기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편향되어 있거나 부분적으로 변위되어 있다면, 콘택트 요소와 로킹 요소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누락됨으로 인해 혼 회로가 폐쇄될 수 없다. 따라서, 혼 콘택트와 콘택트 요소가 폐쇄되어 있을 때, 혼 그리고 특히 혼 신호 사운드의 누락은 로킹 요소가 초기 위치에 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지표가 된다.
로킹 요소가 논-로킹 상태에 있을 때 특히 언로킹 상태 및/또는 중간 상태에 있을 때, 혼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로킹 상태에서 콘택트 요소, 로킹 요소 및 캐치 요소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누락됨에 따라, 혼 회로가 특히 폐쇄될 수 없게 된다. 특히, 상기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고 혼 회로가 폐쇄될 수 있을 때에만 로킹 상태에서 혼 기능이 작동된다. 결과적으로, 혼 신호는 담금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는지 이에 따라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지표가 된다.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언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없는 중간 상태로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캐치 요소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로킹 요소가 이동되거나 변형될 수 있도록 로킹 요소가 에어백 모듈 위나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는 특히 탈부착이 가능한 기계적 연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호작용(interaction) 및 특히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의 기구적 접촉에 의해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사이의 상기 기구적 연결이 탈락되고 이에 따라 이들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진다. 따라서, 로킹 요소가 그 초기 위치에서 편향되고 이동되거나 또는 상호작용에 의해 중간 상태로 변형되는 것이 유리하다.
로킹 요소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질 때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로킹 요소가 중간 상태에서 로킹 상태로 이동되거나 변형될 수 있도록 에어백 모듈 위에 또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로킹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시점에서, 특히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의 상호작용 또는 기구적 접촉이 종료되고 상기 두 요소들이 기구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로킹 요소의 편향(deflection)이 종료되어 로킹 요소가 중간 상태에서부터 다시 초기 위치로 이동하거나 변형된다. 따라서,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때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는 다시 기구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이들의 전기적 접촉이 다시 확립된다.
특히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질 때 결과적으로 로킹 요소가 로킹 상태에 있게 된다.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확립되지 않고 로킹 연결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로킹 요소는 여전히 캐치 요소와 상호작용하고 있고 캐치 요소와 기구적으로 접촉하고 있게 되며, 여전히 중간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콘택트 요소, 로킹 요소 및 캐치 요소 간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 않고, 혼 회로는 폐쇄될 수 없다. 에어백 모듈 또는 커버가 경적소리 방향으로 이동할 때, 혼 신호 사운드의 누락은 특히 로킹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가리키는 지표가 된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특히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이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로킹 연결되어 있는 중에, 상기 전기적 접촉이 끊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때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전기적 접촉이 다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하기로는, 캐치 요소는 전기 포텐셜에 특히 그라운드 포텐셜에 특히 차량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혼 콘택트가 직접적으로 또는 신호 유닛을 통해 제2 전기 포텐셜에 예컨대 차량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혼 콘택트가 그라운드 포텐셜 특히 차량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는 점도 이해해야 한다. 이와 동일하게, 캐치 요소는 차량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로킹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때, 에어백 모듈 또는 커버가 경적소리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리고 콘택트 요소와 혼 콘택트의 단락에 의해, 제1 및 제2 포텐셜 사이에서 캐치 요소, 로킹 요소, 콘택트 요소, 혼 콘택트 및 필요에 따라서는 신호 유닛을 통해 대응하는 혼 회로가 폐쇄될 수 있다.
로킹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질 대 즉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이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특히 에어백 모듈이 아이들 위치에 있고 혼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콘택트 요소로부터 제1 전기 포텐셜로 영구적으로 전기적 접촉이 있게 된다. 에어백 모듈 또는 커버가 경적소리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킹 요소는 여전히 로킹 상태를 유지하며,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 사이에는 영구적으로 직접적인 기구적 그리고 전기적 접촉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로킹 요소는 에어백 모듈 또는 스티어링 휠 상의 제1 단부에 의해 고정된다. 로킹 요소의 제2 단부는 특히 경적소리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구부러지나 변위 특히 이동함에 따라 제1 단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로킹 요소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져 있을 때 캐치 요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2 단부가 이동함에 따라 초기 상태로부터 중간 상태로 편향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로킹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때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제2 단부의 이동에 의해 로킹 요소가 초기 상태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경적소리 방향은 특히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이 로킹 연결을 이루기 위해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장착 방향과 평행하다.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을 조립하는 동안에, 로킹 요소의 제2 단부는 캐치 요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이 유리하다.
로킹 요소는 제2 단부에 의해 특히 제2 단부가 콘택트 요소 위로 후킹(hooking)됨에 따라 콘택트 요소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제2 단부를 콘택트 요소에 유용하게 연결함으로써,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사이에 기구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제2 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이전에 콘택트 요소에 후킹되어 있던 제2 단부를 언후킹함으로써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사이의 기구적 그리고 전기적 연결이 탈락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로킹 연결이 이루어져 있을 때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제2 단부를 재-후킹함으로써, 콘택트 요소와 로킹 요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다시 확립될 수 있다.
콘택트 요소와 로킹 요소가 에어백 모듈의 후방부 위에 또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콘택트 요소와 로킹 요소가 에어백 모듈의 후방부 위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의 후방부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콘택트 요소와 로킹 요소가 스티어링 요소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캐치 요소는 에어백 요소의 후방부 위에 배치되어, 에어백 모듈이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 또는 스티어링 휠은 특히 그 후방부 위에 개구를 포함한다. 개구를 통해 캐치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이 에어백 모듈 또는 스티어링 휠의 외각 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로킹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중에, 캐치 요소가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것이 유용하다. 특히, 로킹 요소는 상기 개구에 또는 상기 개구 근방에 배치되어서, 로킹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중에 캐치 요소와 함께 상호작용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에 따르면, 캐치 요소는 캐치 후크 또는 캐치 클립이다. 유리하기로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중에 캐치 후크 또는 캐치 클립의 경사면(slope)과의 상호작용으로 로킹 요소가 초기 상태로부터 편향된다.
로킹 요소가 스프링 요소 특히 레그 스프링 또는 와이어 스프링이면 유리하다. 이러한 스프링 요소 형태이면, 로킹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중에 로킹 요소가 편향될 수 있는데 특히 초기 상태로부터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콘택트 요소가 와이어 또는 시트 금속이다. 와이어 또는 시트 금속 형태인 경우, 콘택트 요소는 에어백 모듈 또는 스티어링 휠 위에 특히 복잡하지 않으면서 공간-절약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로킹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로킹 연결을 이루기 위해 복수의 로킹 요소들과 캐치 요소들이 에어백 모듈 또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특히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로 이루어진 쌍들 각각이 서로 로킹되게 설계된다. 특히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의 복수의 쌍 또는 유리하기로는 모든 쌍들이 본 발명의 설명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한 구성에 따르면, 정확하게 하나의 로킹 요소 또는 정확하게 2개의 로킹 요소 또는 정확하게 3개의 로킹 요소가 에어백 모듈 위에 또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된다. 유리하기로는 정확하게 하나의 캐치 요소 또는 정확하게 2개의 캐치 요소 또는 정확하게 3개의 캐치 요소가 에어백 모듈 위에 또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정확하게 하나의 혼 콘택트 또는 정확하게 2개의 혼 콘택트 또는 정확하게 3개의 혼 콘택트가 에어백 모듈 위에 및/또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복수의 로킹 요소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콘택트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각 로킹 요소에 있어서, 정확하게 하나의 콘택트 요소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콘택트 요소들 각각에 대해 하나의 개별적인 혼 콘택트가 제공된다. 각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 사이에 각각 로킹 연결이 이루어질 때, 각 콘택트 요소, 로킹 요소 및 캐치 요소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의 각 쌍에 대해, 개별적으로 콘택트 요소 및 개별적인 혼 콘택트 이에 따라 폐쇄 가능한 혼 회로 부분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각각의 혼 신호들이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 쌍의 각각의 로킹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때, 각 혼 기능이 작동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개별적인 혼 기능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의 복수의 쌍들 이에 다라 복수의 로킹 연결이 제공될 때, 상기 다른 로킹 연결들 각각이 개별적으로 체크될 수 있다.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의 각 쌍이 배치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의 특정 영역이 경적소리 방향으로 이동할 때, 혼 신호의 음향발생 또는 논-음향발생에 의해, 상기 쌍의 각 로킹 연결들이 올바르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폐쇄 기능한 혼 회로 부분은 직렬로(in series)로 연결되어서,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모든 로킹 연결들이 올바르게 이루어져 있는 때에만 혼 신호가 생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과 유리한 구성들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및 본 발명에 따른 서브어셈블리의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얻어지는 것과 유사하다.
방법의 범위 내에서, 에어백 모듈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스티어링 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바람직한 구성은 로킹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상기 로킹 연결에 있어서, 로킹 요소가 에어백 모듈 위에 배치되고 캐치 요소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로킹 연결에 있어서, 로킹 요소가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되고 캐치 요소는 에어백 모듈 위에 배치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복수의 로킹 연결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복수의 캐치 요소들과 로킹 요소들이 스티어링 휠 및/또는 에어백 모듈 위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단계. 로킹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중에, 바람직하게는 로킹 요소와 캐치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끊는 단계. 로킹 연결이 이루어져 있을 때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재확립하는 단계.
로킹 연결을 한 후, 다른 옵션 단계에서, 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에어백 모듈 또는 에어백 모듈의 커버가 스티어링 휠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적소리 방향으로 스티어링 휠을 향해 콘택트 요소와 혼 콘택트 간의 전기적 접촉에 근접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 연결 또는 로킹 연결들이 완전하게 즉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 연결을 이루기 전에, 특히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이 서로 분리되어 있을 때,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로킹 연결되어 있는 중에, 상기 전기적 접촉이 끊어져서 대응하는 혼 회로가 폐쇄될 수 있게 되며 혼 기능이 분리된다. 로킹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전기 접촉이 다시 이루어져서 혼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로킹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후에, 혼 기능이 활성화되고, 혼 신호가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이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를 이룬다.
도 1a 및 도 1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어셈블리 구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바람직한 구성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a 및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방법 단계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브어셈블리의 바람직한 구성의 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어셈블리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비고정 상태에 있는 도 5에 따른 서브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 위에 장착할 때 중간 상태에 있는 도 5에 따른 서브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고정 상태에 있는 도 5에 따른 서브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신호 유닛이 발동될 때 고정 상태에 있는 도 5에 따른 서브어셈블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고하여 예시적 실시형태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어셈블리의 제1의 바람직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서브어셈블리는 도면부호 110으로 지시되어 있다. 서브어셈블리(110)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111)의 바람직한 구성 및 스티어링 휠(112)을 포함한다.
스티어링 휠이 스티어링 칼럼(119)에 연결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111) 내에, 가스 발생기(113)와 가스 발생기(113)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에어백(114)이 배치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111) 및 스티어링 휠(112)이 추가의 다른 요소들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에어백 모듈(111) 및 스티어링 휠(112)은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로킹 연결에 의해 서로가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로킹 연결의 제1 컴포넌트는 스티어링 휠(112)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의 캐치 후크 형태의 캐치 요소(120)로 형성된다. 상기 로킹 연결의 제2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개별적인 레그 스프링 형태인 에어백 모듈(111)의 하부 사이드 또는 후방부(111a)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킹 요소(130)로 형성된다. 또는, 안쪽으로 캐치 요소(들)가 후크될 수 있는 스프링 와이어도 상정할 수 있다. 에어백 모듈(111)의 후방부 위의 리세스 또는 개구들(133)을 통해, 캐치 후크(1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에어백 모듈(111)의 외각 면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에어백 모듈의 내부 면 위에서 하부 사이드(111a) 반대편에 로킹 요소들을 배치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적어도 이 경우에서, 캐치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분이 후방 사이드(111a)를 통하는 개구(133)를 관통한다.
로킹 요소들(130)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로킹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분이 전기 전도성의 콘택트 요소(131)에 전기적 전도성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전도성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콘택트 요소(131)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컨덕터 경로 형태로 통합되어 있으며, 예비 성형된 전기 전도성의 평탄 소재 특히 (스탬핑된) 시트 금속으로 제작된다. 또는, 와이어 소재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요성) 와이어 부분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콘택트 요소(131)들이 제공된다.
콘택트 요소(131)들은 혼 회로(140)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들에서, 콘택트 요소(131)들의 각 단부는 핀(132) 형태인데, 예를 들어 리벳이다. 핀이 개별의 컴포넌트로 형성되고 에어백 모듈(111) 위에 배치되는 것도 상정할 수 있고, 콘택트 요소(131)와 핀(132)이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도 상정 가능하다.
콘택트 요소(131)들 중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요소 위에 바람직하게는 모든 콘택트 요소들 위에, 콘택트 포인트(132)가 특히 콘택트 돌기 또는 콘택트 연장부(134) 형태로 제공된다. 콘택트 포인트 위에서 로킹 요소(131)가 그 부분에서 전기적으로 인접하거나 로킹 요소(131)가 전기 전도성으로 콘택트 포인트에 연결된다.
서브어셈블리(110)가 체결된 상태 즉 스티어링 휠(112)의 캐치 후크(120)와 에어백 모듈(121)의 레그 스프링(130) 사이에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그 부분 위에서 전기 전도성 있는 로킹 요소(131), 레그 스프링(130) 및 캐치 후크(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캐치 후크(120) 각각은 제1 전기 포텐셜(121) 예를 들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차량 배터리의 포텐셜에 또는 차량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서브어셈블리(110)에서, 스티어링 휠(112) 위에 혼 콘택트(116)가 각각의 핀(132)과 마주보며 배치되되, 혼 회로(140)의 추가 부분으로 핀(132)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혼 콘택트(116) 각각은 제2 전기 포텐셜(118) 예를 들면 차량 그라운드에 또는 차량 배터리의 포텐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혼 회로(140)는 예를 들어 "혼(horn)" 및/또는 각각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 콘택트(116)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핀(132)과의 접촉(혼 회로(140)의 개폐)에 따라서 음성 신호 또는 다른 신호를 제어하고 음성 신호 또는 다른 신호를 발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전자장치인 신호 유닛(117)을 추가로 포함한다.
혼 회로(140)를 닫기 위해 (그리고 개방하기 위해)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111)이 (도시되어 있는) 경적소리 방향(H) 특히 스티어링 칼럼(119)과 평행한 방향으로 스티어링 휠(112)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112) 위에 에어백 모듈(111)이 배치되어 있다(소위 "플로팅 모듈"(floating module) 원리). 상기 경적소리 방향(H)은 특히 스티어링 휠(112)의 종축(A)과 평행한 방향으로도 정의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경적소리 방향(H)은 종축(A) 및 스티어링 칼럼(119) 각각과 최대 20도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최대 10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복수의 스페이서(115) 특히 스프링 요소 예컨대 스파이럴 스프링 형태의 스페이서에 의해, 에어백 모듈(111)이 스티어링 휠(112)을 향하는 아이들 위치에 유지되어서, 핀 또는 핀들(132)의 자유 단부가 혼 콘택트(들)의 대응되는 반대편 자유 단부 (각각) 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에어백 모듈(111)이 경적소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콘택트 요소들(131)의 핀들(132)이 혼 콘택트(116)와 접촉하여, 혼 회로(140)가 닫히고 그 결과로 경적이 발생될 수 있거나 발생된다.
도 1b에 본 발명에 따른 서브어셈블리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 서브어셈블리는 도면부호 110'로 지시되어 있다. 서브어셈블리(110')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112')과 에어백 모듈(111')의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 1a의 요소들에 상당하는 도 1b의 요소들은 아포스트로피가 제공된 도 1a의 대응되는 도면부호로 지시되어 있다.
도 1b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도 1a의 서브어셈블리(110)와는 대조적으로, 스티어링 휠(112') 위의 로킹 연결(들)의 제1 컴포넌트로, 예를 들어 개별적인 레그 스프링 형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킹 요소들(130')이 제공되어 있다. 로킹 연결(들)의 제2 컴포넌트로, 에어백 모듈(111')의 하부 사이드 또는 후방부(111a') 위에,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의 캐치 요소들이 캐치 후크(120')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112')의 외면 내의 개구들(133')을 통해, 캐치 후크(1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스티어링 휠(11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112') 위에, 핀들(132')을 구비하는 추가적인 콘택트 요소들(131')이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과 유사하게 구성되게 예를 들어 예비 성형된 전기 전도성의 평탄한 소재의 컨덕터 경로로 배치되어 있고, 특히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콘택트 요소들(131')은 혼 회로(140')의 (스티어링 휠-측) 일부를 형성한다. 혼 회로(140')의 다른 (모듈-측) 부분은 각각의 핀들(132')과 마주하며 이들과 이격되어 있는 혼 콘택트들(116')로 형성되어 있다. 도 1a의 서브어셈블리(110)와는 달리,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서브어셈블리(110')에 따른 혼 콘택트들(116')은 에어백 모듈(11')의 하부 사이드 또는 후방부(111a')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1a의 서브어셈블리(110)와 유사하게,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서브어셈블리(110')의 캐치 요소들(120')과 혼 콘택트(116') 각각은 전기 포텐셜(121') 및 전기 포텐셜(118')에 각각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또한, 혼 회로(140')는 신호 유닛(117)을 포함하거나 신호 유닛(117)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a의 서브어셈블리(110)와 유사하게,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혼 회로(140')를 폐쇄 및/또는 개방하기 위해 에어백 모듈(111')이 경적소리 방향(H)으로 스티어링 휠(112')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플로팅 모듈" 원리). 탄성 스페이서들(115')이 에어백 모듈(111')이 아이들 위치에 유지하도록 도와서, 핀(들)(132')의 자유 단부가 (각각) 혼 콘택트(들)(116')의 대응되는 반대편 자유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게 된다.
도 1b에 따른 상기 실시형태의 기능은 도 1a에 기재된 실시형태의 기능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며,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성에 따르면, 서브어셈블리는 소위 "플로팅 커버" 원리에 의해 작동하는 혼 장치를 포함하게 설계될 수 있다. 플로팅 커버 원리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이 움직이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로 스티어링 휠로부터 고정된 거리(장착된 상태)에 위치하며, 운전자 측을 향하는 에어백 모듈의 커버가 스티어링 휠을 향해 이동하여 혼 회로를 폐쇄시키도록, 에어백 모듈이 배치되어 있다. 즉, 커버와 하부 사이드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부분을 누르면 전자 혼 회로가 폐쇄되어 혼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플로팅 커버" 원리에 따라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러한 에어백 모듈의 바람직한 구성이 도 2에 개략적인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에어백 모듈은 도면부호 211로 지시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211)은 적당한 스티어링 휠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어셈블리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으로 설계되어 있다.
도 2에서, 도 1a의 요소들과 대응되는 유사한 요소들은 도 1a의 대응되는 도면부호에 100을 더한 수치로 지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111)과 유사하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211)은 하부 사이드(211a) 위에 로킹 요소들(23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킹 요소들은 2개의 레그 스프링 형태로 되어 있다. 로킹 요소들(230)은 대응하는 스티어링 휠에 배치되어 있는 캐치 요소들 예컨대 캐치 후크들과 로킹 연결되게 설계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211)의 후방부 또는 하부 사이드(211a) 위의 리세스 또는 개구들(233)을 통해, 각각의 전용 캐치 후크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각각의 로킹 요소(230)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사이드(211a) 위에, 콘택트 요소들(231, 231')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콘택트 요소들은 예비 성형된 전기 전도성 평탄형 소재 특히 (스탬핑된) 시트 금속의 컨덕터 경로 형태로 통합 형성되어 있다. 로킹 요소들(230) 각각은 콘택트 요소들(231, 231') 중 하나에 대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콘택트 요소들(231, 231') 각각에 개별적인 콘택트 포인트(234)가 제공된다. 콘택트 포인트는 특히 콘택트 돌기 또는 콘택트 연장부로, 이들 콘택트 포인트에 각각이 전기 전도성인 로킹 요소들(231, 23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레그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로킹 요소들(230)은, 레그 스프링(230)의 제1 단부(230a)가 에어백 모듈(110)의 하부 사이드(211a)에 고정되고, 레그 스프링(230)의 제2 단부(230b)가 제1 단부(230a)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제1 단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에어백 모듈(211) 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단부(230b)는 특히 에어백 모듈(211)의 하부 사이드(211a) 평면 내에서 (또는 에어백 모듈(211)에 평행하게 연장된 평면 내에서) 즉 경적소리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2에서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레그 스프링(230)은,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초기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레그 스프링의 제2 단부(230b)는 편향되어 있지 않고, 대응하는 좌측 콘택트 요소(2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로킹 요소(230)의 대응 제2 단부(230b)는 좌측 콘택트 요소(231)의 콘택트 포인트(234)와 당접하여 전기 전도성 연결된다.
도 2에서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레그 스프링(230)은,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중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중간 상태에서는, 레그 스프링이 변형되어 있는데, 특히 초기 상태로부터 편향되어 있다. 상기 중간 상태에서, 상기 우측 로킹 요소(230)의 제2 단부(230b)는 우측 콘택트 요소(231')의 콘택트 포인트(234) 위에 인접하지 않아서,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우측 로킹 요소(230)는 우측 콘택트 요소(2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스티어링 휠의 대응 캐치 후크들(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개구들(233)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로킹 연결을 이룰 때, 레그 스프링들(230)은 초기 상태에서 중간 상태로 편향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정확히 3개의 혼 콘택트들이 도시되어 있다(상부 좌측, 상부 우측 및 하부 중앙). 그러나 2개 또는 4개의 혼 콘택트들도 상정 가능하다. 3개의 혼 콘택트와 단 2개의 로킹 연결을 구비하는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혼 콘택트 중 2개에 대해서 콘택트 요소들(231, 231') 중 하나(여기서는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혼 콘택트가 4개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콘택트 요소들(231, 231') 각각이 2개의 혼 콘택트들에 대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콘택트 요소(231')는 2개의 단부(232)를 구비하며, 이들 각각은 핀(232) 형태 예컨대 리벳이다.
3개의 혼 콘택트를 구비하는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에서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 요소(231)의 일 단부는 핀(232) 형태이다. 핀(232)으로 형성되어 있는 단부들 각각은 에어백 모듈(211)의 하부 사이드(211a) 아래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211)의 하부 사이드(211a)와 각 핀(232) 사이에서, 개별적인 탄성 요소(235) 특히 전기 전도성이 있는 탄성 스프링(235)이 위치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탄성 요소들(235)은 리프 스프링 형태이다. 탄성 요소들(235)은 예컨대 와이어 또는 평탄형 금속으로 제작되는 전기 전도성 연결(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해 서로가 체결되어 있고, 제2 전기 포텐셜(218) 예컨대 자동차 그라운드 또는 차량 배터리의 포텐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탄성 요소들(235) 각각은, 에어백 모듈(211)의 하부 사이드(211)의 외각 측면 윤곽으로부터 돌출하며 에어백 모듈(211)의 운전자-측 커버(237)의 요소(여기서는 링 형상의 요소)와 중첩하는 자유 단부(236)를 구비하여, 커버(237)가 경적소리 방향(H)으로 눌리면 탄성 요소들(235)의 각 자유 단부(236)가 하부 사이드(211a)로부터 멀어지게 압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백 모듈(211)의 하부 사이드(211a)와 그 하부 사이드와 이격되어 있는 핀(23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혼 콘택트로 기능하는 자유 단부(236)에 인접한 탄성 요소(235)의 부분(216)이 핀(232)의 자유 단부에 대해 압박되어서 전기적으로 콘택트 되어 혼 회로(240)가 폐쇄된다.
도 1a 및 도 1b와 연계하여 전술한 부분과 유사하게, 에어백 모듈(211)이 스티어링 휠과 고정되어 있는 상태 즉 에어백 모듈(211)의 레그 스프링(230)과 스티어링 휠의 대응하는 캐치 후크 사이에 로킹 연결이 이루어질 때, 콘택트 요소(231), 레그 스프링(230) 및 전기 전도성의 캐치 후크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캐치 후크들은 특히 제1 전기 포텐셜 예를 들면 차량 배터리의 포텐셜이나 차량 그라운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에어백 모듈(211)은 "플로팅 커버" 원리에 따라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 주위에 배치되어 운전자를 향하고 있는 커버(237)는 에어백 모듈(211)의 하부 사이드(211a)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에어백 모듈(211)과 대응되는 스티어링 휠 사이가 로킹 상태에 있을 때, 커버(237)가 경적소리 방향으로 스티어링 휠을 향해 이동하여 혼 회로(240)를 폐쇄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와 연계하여 전술한 부분과 유사하게, 경적소리 방향(H)은 특히 대응 스티어링 휠의 종축 방향과 평행하거나 종축에 대해 최대 20도 바람직하게는 최대 10도의 각도를 이룬다.
콘택트 요소들, 로킹 요소들 및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바람직하는 구성의 캐치 요소들의 특정 배치 및 구성에 의해, 각 캐치 요소와 로킹 요소 간에 로킹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또한, 로킹 연결을 이루고 있는 중에,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 간에 전기적 연결이 분리되고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재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d 각각에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방법의 다양한 단계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브어셈블리의 바람직한 구성의 개별 요소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아래의 설명은, 도 1a, 도 1b 및 도 2 각각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 각각의 바람직한 구성에 유사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에 따라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요소들은 도 1a, 도 1b 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바람직한 구성에서의 각각의 유사한 요소들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 도 1a의 요소들에 유사하게 대응되는 요소들은 도 1a에서 사용된 도면부호에 300을 더한 도면부호로 지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 도 2의 요소들에 유사하게 대응되는 요소들은 도 2에서 사용된 도면부호에 200을 더한 도면부호로 지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에어백 모듈이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어 서브어셈블리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로킹 요소들과 캐치 요소들 사이에 로킹 연결이 형성된다.
방법 단계 301에서, 로킹 연결이 확립되기 전에, 에어백 모듈 위 또는 스티어링 휠 위에 배치되어 있는 로킹 요소들과 콘택트 요소들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단계 301에서,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 서로는 연결되지 않고,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 4a에, 상기 방법 단계 301이 수행되는 중 즉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캐치 후크(420) 형태의 캐치 요소, 레그 스프링(430) 형태의 로킹 요소 및 와이어 또는 평탄형 금속(431) 형태의 콘택트 요소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로킹 요소(430)와 캐치 요소(420)는 기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로킹 요소와 콘택트 요소가 에어백 모듈 위에 배치되어 있고, 캐치 요소는 스티어링 휠 위에(도 1a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응되게) 또는 그 반대편(도 1b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431)는 레그 스프링(430)에 기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레그 스프링(430)의 제2 단부(430b)는 탄성적으로 인접하면서, 와이어(431)의 콘택트 포인트(434)로 편향되어 있다. 레그 스프링(430)은 초기 상태에 있으며, 로킹 상태에 있지 않다(캐치 후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
로킹 연결을 이루기 위해, 캐치 후크(420)가 특히 경적소리 방향에 대응되는 장착 방향으로 레그 스프링(430)을 향해 상대 이동한다.
방법 단계 302에서,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로킹 요소(430)와 콘택트 요소(431)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끊어진다. 도 4b에, 상기 방법 단계 302가 수행되는 동안 즉 로킹 연결이 이루어져 있는 동안의 캐치 후크(420), 레그 스프링(430) 및 와이어(431)가 도시되어 있다.
방법 단계 302에서, 로킹 요소(430)와 캐치 요소(420)는 상호 작용한다. 상기 상호 작용 및 캐치 후크(420)와 레그 스프링(430) 사이의 상기 대응 기구적 콘택트에 의해 레그 스프링의 제2 단부(430b)가 편향되거나 이동된다. 제2 단부(430b)는 더 이상 콘택트 포인트(434)에 인접하지 않아서 레그 스프링(430)과 와이어(431)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끊어진다. 이에 따라, 로킹 요소(430)는 캐치 요소(420)와의 상호 작용 또는 기구적 접촉에 의해 초기 상태로부터 즉 로킹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중간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중간 상태에서, 레그 스프링(430)과 와이어(431)의 전기 접속이 끊어져서 전기 포텐셜들(418, 421) 사이의 회로가 폐쇄되지 않게 됨에 따라 경적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방법 단계 303에서, 로킹 연결이 이루어질 때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로킹 요소(430)와 콘택트 요소(431) 간의 전기적 접촉이 다시 이루어진다. 도 4c에,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방법 단계 303이 수행되는 중의 캐치 후크(420), 레그 스프링(430) 및 와이어(431)가 도시되어 있다.
이제 로킹 요소(430)와 캐치 요소(420)는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로킹 요소(430)는 로킹 상태에 있다. 레그 스프링(430)의 스프링 힘에 의해,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제2 단부(430b)가 다시 초기 상태로 이동되어 다시 와이어(431)에 대해 압박하고, 이에 따라 제2 단부(430b)가 콘택트 포인트(434) 위에 인접하며 레그 스프링(430)과 와이어(431)가 전기적으로 재연결된다. 이제 와이어(431), 레그 스프링(430), 캐치 후크(420) 및 포텐셜(421)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있다. 이제 경적 기능이 작동되며, 혼 회로가 폐쇄될 수 있다.
옵션 단계인 방법 단계 304에서, 예를 들어 각각의 에어백 모듈(111, 111') 또는 각 에어백 모듈(211)의 커버(237)가 경적소리 방향(H)으로 이동함에 따라 핀(132, 132', 232) 및 혼 콘택트(116, 116', 216)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혼 신호가 발생된다. 도 4d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와이어(431)의 핀(432)은 혼 콘택트(416)에 연결되어 전기 포텐셜들(418, 421) 사이에 혼 회로를 폐쇄하게 된다. 혼 신호가 발생되고 신호 유닛(117)에 의해 경적소리가 발생된다.
도 5는 스티어링 휠(512) 위에 배치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512) 및 에어백 모듈(511)을 구비하는 대안적이며 특히 바람직한 서브어셈블리(510)를 도시하고 있다.
에어백 모듈(511) 위에, 로킹 요소(530)와 콘택트 요소(531)가 배치되어 있으며, 에어백 모듈(511)과 스티어링 휠(512)이 서로 연결될 수 있어서, 로킹 요소(530)는 휠(512) 위에 배치되어 있는 캐치 요소(520)와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로킹 요소(530)는 가동형 탄성 스프링 요소이고, 언로킹 상태(unlocked state), 로킹 상태 및 강직한 캐치 후크 형태의 캐치 요소(5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언로킹 상태와 로킹 상태 중간의 중간 상태를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반적인 로킹 구조가 도 1a에 따른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설계된다. 또는 도 1b에 따른 서브어셈블리와 유사하게, 로킹 요소(530) 및 콘택트 요소(531)가 스티어링 휠(512) 위에 제공되고, 캐치 요소(520)가 에어백 모듈(511) 위에 제공되는 로킹 구조도 상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로킹 구조들의 혼합된 형태도 물론 채택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따른 실시형태와는 달리, 도 5에 따른 서브어셈블리(510)에서의 차량 혼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대 이동은 스티어링 휠(512)과 에어백 모듈(511) 사이의 로킹 연결 영역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에어백 모듈(511) 모듈 내에서 이루어지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로킹 요소(530)와 콘택트 요소(531)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측 모듈 플레이트(524)와 에어백 모듈(511)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대 이동이 예를 들어 탑승객-측 모듈 커버와 에어백 모듈(511)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도 5 내지 도 9에 따른 디자인은 서브어셈블리(510)가 올바르게 장착되었을 때 차량 혼의 높은 기능적 안전성을 특히 보증하며, 다른 구조적 구성 및 전반적인 작동 원리와 관련해서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된 전술한 사항들이 명백히 참고된다.
도 5에 따르면 장착되어 있되 작동하지 않는 초기 상태의 서브어셈블리(510)가 도시되어 있다. 로킹 요소(530)는 로킹 상태에 있어서 에어백 모듈(511)이 스티어링 휠(512) 내에 올바르게 체결되어 있다. 혼 콘택트(516)가 콘택트 요소(531)와 이격되어 있어서, (도 9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혼 회로(540)가 폐쇄되어 있지 않고 그 결과 신호 유닛(517)이 아무런 혼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9 각각은 도 5에 따른 서브어셈블리(510)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에어백 모듈(511)을 스티어링 휠(512)에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단계들을 설명하고 있다.
도 6에, 스티어링 휠(512) 위에 에어백 모듈(511)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서브어셈블리(510)와 로킹 요소(530) 각각은 로킹 요소(530)와 캐치 요소(520)가 기구적으로 접촉하고 있지 않는 언로킹 상태에 있다. 그러나 도 6에 따른 언로킹 상태에서, 로킹 요소(530)와 콘택트 요소(531)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있다. 특히, 와이어 또는 시트 금속 형태의 콘택트 요소(531)가 스프링 요소 형태의 로킹 요소(530)에 대해 압박되는 정지부를 형성한다.
도 7은 에어백 모듈(511)이 스티어링 휠(512)에 고정되어 있을 때, 스티어링 휠(512)의 캐치 요소(520)의 대부분이 강성 캐치 요소로 설계되어 있는 중간 상태를 도시한다. 에어백 모듈(511)을 축 방향으로 스티어링 휠(512) 위로 압박할 때, 로킹 요소(530)가 캐치 요소(520)의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탄성 변형하여 콘택트 요소(53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그 결과, 상기 중간 상태에서, 로킹 요소(530)와 캐치 요소(520) 사이에 기구적 접촉이 이루어지지만, 콘택트 요소(531)와 로킹 요소(530) 사이에 더 이상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즉, 로킹 요소(53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초기 위치에서 시작하여 편향되어 있는 상태 또는 부분 변위된 상태에 있을 때 혼 회로(540)가 단속(interrupt)된다.
로킹 요소(530)가 논-로킹 상태에 있을 때, 특히 언로킹 상태 및/또는 중간 상태에 있을 때,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혼 콘택트(516)가 콘택트 요소(531)의 단부(532)와 접촉하고 있을 때에서 혼 기능이 작동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도 8은 서브어셈블리(510)와 로킹 요소(530) 각각이 로킹 상태 즉 에어백 모듈(511)이 스티어링 휠(512) 위에 올바르게 체결되어 있으며 장착되어 있는 로킹 상태를 도시한다. 로킹 요소(530)는 캐치 요소(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적으로 연결 특히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로킹 요소(530)와 콘택트 요소(531) 사이에도 전기적으로 접촉이 있다. 올바르게 체결된 후, 도 8에 따른 로킹 상태에서 로킹 요소(530)는, 도 6에 따른 언로킹 상태에서와 같이 콘택트 요소(531)에 대해 상대적으로 동일한 위치를 채택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탄성 부분(541)을 구비하는 스페이서(515)가 제공되어 있다. 도 8에 지시되어 있듯이, 탄성 부분(541)은, 에어백 모듈(511)이 스티어링 휠(512) 내에 체결될 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로킹 연결에서 측 방향 바이어스가 축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전 작동 시에, 로킹 요소(530)와 캐치 요소(520) 사이의 래틀링 노이즈(rattling noise)가 예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별개의 혼 스프링(525)을 통해 스페이서(515)와는 독립적으로 차량 혼이 작동된다. 스페이서(515)에 의해 제공되는 축 방향 바이어스는 특히 혼 스프링(525)의 저항보다 커서, 혼이 작동할 때에도 로킹 요소(530)와 캐치 요소(520) 사이에서 상대 이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로킹 상태에서, 캐치 요소(520)와 로킹 요소(530) 사이에 영구적인 전기적 접촉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서브어셈블리(510)가 올바르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 혼의 기능적 안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서브어셈블리(510)의 로킹 상태에서, 로킹 요소(530)에 의해 캐치 요소(520)가 콘택트 요소(531)에 전기적으로 신뢰성 있게 연결된다. 또한, 콘택트 요소(531)는 혼 콘택트(5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혼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도 9에 개략적으로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치 요소(520)는 전기적 포텐셜(521)에 특히 차량 그라운드 같은 그라운드 포텐셜에 연결되어 있으며, 혼 콘택트(516)는 제2의 전기 포텐셜(518) 특히 차량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따르면, 에어백 모듈(511) 특히 에어백 모듈의 탑승객 측 모듈 커버 위에 작동하는 축 방향 압력은 콘택트 요소(531)와 혼 콘택트(516) 사이에 전기 접촉이 이루어질 때까지 혼 스프링(525)이 축 방향 경적소리 방향(H)으로 변형되게 하여, 신호 유닛(517)이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술한 서브어셈블리(510)의 구조적 구성에서, 결과적으로 차량 혼의 기능은 에어백 모듈(511)이 스티어링 휠(512) 위에 올바르게 조립되었는지를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체크할 수 있게 한다. 에어백 모듈(511)이 올바르게 체결되었을 때 즉 로킹 상태에서 로킹 요소(530)가 콘택트 포인트(534)를 통해 콘택트 요소(531) 위에 인접하고 있으며 캐치 요소(5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을 때에만, 혼 신호를 들을 수 있다. 혼이 기동될 때 차량 혼이 작동하지 않으면, 이는 에어백 모듈(511)이 올바르지 않게 체결되어 있거나 불충분하게 체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110, 110'     서브어셈블리(subassembly)
111, 111'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
111a, 111a'  에어백 모듈의 하부 부분 또는 후방부(lower side or rear of the airbag module)
112, 112'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113, 113'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
114, 114'     에어백(airbag)
115, 115'     스페이서, 스프링(spacer, spring)
116, 116'     혼 콘택트(horn contact)
117, 117'     신호 유닛(signal unit)
118, 118'     전기 포텐셜(electric potential)
119, 119'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
120, 120'     캐치 요소, 캐치 후크(catch element, catch hook)
121, 121'     전기 포텐셜(electric potential)
130, 130'     로킹 요소, 레그 스프링(locking element, leg spring)
131, 131'     콘택트 요소, 와이어(contact element, wire)
132, 132'     콘택트 요소의 단부, 핀(end of the contact element, pin)
133, 133'     개구(opening)
134, 134'     콘택트 포인트(contact point)
140, 140'     혼 회로(horn circuit)
A, A'          종축(longitudinal axis)
H              경적소리 방향(honking direction)
211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
211a           에어백 모듈의 하부 부분 또는 후방부(lower side or rear of the airbag module)
213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
216            탄성 요소 부분으로서의 혼 콘택트(horn contact as portion of the elastic element(235))
218            전기 포텐셜(electric potential)
230            로킹 요소, 레그 스프링(locking element, leg spring)
230a           로킹 요소의 제1 단부(first end of the locking element)
230b           로킹 요소의 제2 단부(second end of the locking element)
231, 231'     콘택트 요소, 와이어(contact element, wire)
232            콘택트 요소의 단부, 핀(end of the contact element, pin)
233            개구(opening)
234            콘택트 포인트(contact point)
235            탄성 요소, 리프 스프링(elastic element, leaf spring)
236            탄성 요소의 자유 단부(free end of the elastic element)
237            에어백 모듈의 커버(cover of the airbag module)
301 내지 304 방법 단계(method steps)
420            캐치 요소, 캐치 후크(catch element, catch hook)
430            로킹 요소, 레그 스프링(locking element, leg spring)
430b           로킹 요소의 제2 단부(second end of the locking element)
431            콘택트 요소, 와이어(contact element, wire)
432            콘택트 요소의 단부, 핀(end of the contact element, pin)
434            콘택트 포인트(contact point)
416            혼 콘택트(horn contact)
417            신호 유닛(signal unit)
418            전기 포텐셜(electric potential)
421            전기 포텐셜(electric potential)
510            서브어셈블리(subassembly)
511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
512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513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
514            에어백(airbag)
515            스페이서(spacer)
516            혼 콘택트(horn contact)
517            신호 유닛(signal unit)
518            전기 포텐셜(electric potential)
520            캐치 요소(catch element)
521            전기 포텐셜(electric potential)
524            모듈 플레이트(module plate)
525            혼 스프링(horn spring)
530            로킹 요소(locking element)
531            콘택트 요소(contact element)
532            콘택트 요소의 단부, 핀(end of the contact element, pin)
534            콘택트 포인트(contact point)
540            혼 회로(horn circuit)
541            탄성 부분(elastic portion)

Claims (20)

  1. 스티어링 휠(112, 512) 위에 배치하기 위한 에어백 모듈(111, 211, 511)로,
    - 로킹 요소(130, 230, 430, 530) 및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가 에어백 모듈(111, 211, 511) 위에 배치되어 있고,
    - 로킹 요소(130, 230, 430, 530)는 스티어링 휠(112, 512) 위에 배치되어 있는 캐치 요소(120, 420, 520)와 함께 로킹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에 의해 에어백 모듈(111, 211, 511)과 스티어링 휠(112, 512)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 로킹 요소(130, 230, 430, 530)는 이동할 수 있으며, 캐치 요소(120, 420, 520)와 관련하여 언로킹 상태, 로킹 상태 그리고 언로킹 상태와 로킹 상태의 중간 상태로 될 수 있으며,
    - 로킹 요소(130, 230, 430, 530)와 캐치 요소(120, 420, 520)가 기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중간 상태에서,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와 로킹 요소(130, 230, 430, 530) 사이에는 전기적 접촉이 없는 반면, 로킹 요소(130, 230, 430, 530)가 캐치 요소(120, 420, 520)에 기구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로킹 상태에서는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와 로킹 요소(130, 230, 430, 530)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존재하고,
    - 이에 따라,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 로킹 요소(130, 230, 430, 530) 및 캐치 요소(120, 420, 520)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 혼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해,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가 혼 콘택트(116, 216, 416, 5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2. 에어백 모듈(111')에 연결되게 설계되는 스티어링 휠(112')로,
    - 로킹 요소(130', 430) 및 콘택트 요소(131', 431)가 스티어링 휠(112') 위에 배치되어 있고,
    - 로킹 요소(130', 430)가 에어백 모듈(111') 위에 배치되어 있는 캐치 요소(120', 420)와 함께 로킹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에 의해 스티어링 휠(112')과 에어백 모듈(111')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 로킹 요소(130', 430)는 캐치 요소(120', 420)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며, 언로킹 상태, 로킹 상태 그리고 언로킹 상태와 로킹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로 될 수 있으며,
    - 로킹 요소(130', 430)와 캐치 요소(120', 420)가 기구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중간 상태에서, 콘택트 요소(131', 431)와 로킹 요소(130', 430) 사이에는 전기적 접촉이 없는 반면, 로킹 요소(130', 430)가 캐치 요소(120', 420)에 기구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로킹 상태에서는 콘택트 요소(131', 431)와 로킹 요소(130', 430)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존재하고,
    - 이에 따라, 콘택트 요소(131', 431), 로킹 요소(130', 430) 및 캐치 요소(120', 420)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 혼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해, 콘택트 요소(131', 431)가 혼 콘택트(116', 4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3.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 로킹 요소(130, 230, 430, 530) 및 캐치 요소(120, 420, 520)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을 때 경적 기능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 로킹 요소(130, 230, 430, 530)와 캐치 요소(120, 420, 520) 사이에 기구적 접촉이 없는 언로킹 상태에서,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와 로킹 요소(130, 230, 430, 530)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있고, 및
    - 언로킹 상태에서의 초기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로킹 요소(130, 230, 430, 530)가 편향된 상태 또는 부분 변위된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와 로킹 요소(130, 230, 430, 530)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없고, 및
    - 로킹 요소(130, 230, 430, 530)가 논-로킹 상태에 있을 때, 경적 기능이 작동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130, 230, 430, 530)가 에어백 모듈(111, 211, 511) 위에 배치되어서,
    -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캐치 요소(120, 420, 52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로킹 요소(130, 230, 430, 530)가, 로킹 요소(130, 230, 430, 530)와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언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요소(130, 230, 430, 530)와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없는 중간 상태로 움직이거나 변경될 수 있고, 및
    - 로킹 연결이 이루어질 때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로킹 요소(130, 230, 430, 530)가 중간 상태로부터 로킹 상태로 움직이거나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캐치 요소(120, 420, 520)가 전기 포텐셜(121, 121', 421, 5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및 혼 콘택트(116, 116', 216, 416, 516)가 직접적으로 또는 신호 유닛(117, 117', 417, 517)을 거쳐 제2 전기 포텐셜(118, 118', 418, 5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130, 230, 430, 530)가 제1 단부(230a, 430a)에 의해 에어백 모듈(111, 211, 511)에 고정되고, 및 로킹 요소(130, 230, 430, 530)의 제2 단부(230b, 430b)는 제1 단부(230a, 430a)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며, 및 로킹 요소(130, 230, 430, 530)는 제2 단부(230b, 430b)에 의해 콘택트 요소(131, 231, 431)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 및 로킹 요소(130, 230, 430, 530)가 에어백 모듈(111, 211, 511)의 후방부 위에 배치되어 있고, 및 에어백 모듈(111, 211, 511)이 개구를 포함하되, 그 개구를 통해 캐치 요소(120, 420, 5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에어백 모듈(111, 211, 511)의 외곽 면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캐치 요소(120, 420, 520)가 캐치 후크 또는 캐치 클립이고, 및 로킹 요소(130, 230, 430, 530)는 스프링 요소이며, 및 콘택트 요소(131, 231, 431, 531)는 와이어 또는 시트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정확하게 하나의 로킹 요소(130, 230, 430, 530) 또는 정확하게 2개의 로킹 요소(130, 230, 430, 530) 또는 정확하게 3개의 로킹 요소(130, 230, 430, 530)가 에어백 모듈(111, 211, 511) 위에 배치되어 있고, 및 정확하게 하나의 캐치 요소(120, 420, 520) 또는 정확하게 2개의 캐치 요소(120, 420, 520) 또는 정확하게 3개의 캐치 요소(120, 420, 520)가 에어백 모듈(111, 211, 511)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및 정확하게 하나의 혼 콘택트(116, 116', 416, 516) 또는 정확하게 2개의 혼 콘택트(116, 116', 416, 516) 또는 정확하게 3개의 혼 콘택트(116, 116', 416, 516)가 에어백 모듈(111, 211, 511)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11. 제1항에 따른 에어백 모듈 및 제2항에 따른 스티어링 휠(112, 112')을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110, 110', 510).
  12. 에어백 모듈(111, 111', 211, 511)을 스티어링 휠(112, 112', 512)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 제1항에 따른 에어백 모듈 및 제2항에 따른 스티어링 휠이 로킹 연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 상기 로킹 연결에서 로킹 요소(130, 230, 430, 530)가 에어백 모듈(111, 211, 511) 위에 배치되어 있고, 캐치 요소(120, 420, 520)는 스티어링 휠(112) 위에 배치되어 있고, 또는 상기 로킹 연결에서 로킹 요소(130', 430)가 스티어링 휠(112') 위에 배치되어 있고 캐치 요소(120', 420)는 에어백 모듈(111')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 로킹 요소(130, 130', 230, 430, 530)와 콘택트 요소(131, 131', 231, 431, 531) 사이에 전기적 콘택트를 확립하는 단계(301),
    -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로킹 요소(130, 130', 230, 430, 530)와 캐치 요소(120, 120', 420, 520)의 상호 작용에 의해 로킹 요소(130, 130', 230, 430, 530)와 콘택트 요소(131, 131', 231, 431, 531)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단락되는 단계(302),
    - 로킹 연결이 이루어질 때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로킹 요소(130, 130', 230, 430, 530)와 콘택트 요소(131, 131', 231, 431, 531) 사이에 전기적 콘택트가 재-확립하는 단계(303)를 포함하고,
    -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혼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해 에어백 모듈(111, 111') 또는 에어백 모듈(211, 511)의 커버(236)가 스티어링 휠(112, 112', 512)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적소리 방향(A, H)으로 콘택트 요소(131, 131', 231, 431, 531)와 혼 콘택트(116, 116', 416, 516) 사이의 전기적 콘택트에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는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콘택트 요소(131', 431), 로킹 요소(130', 430) 및 캐치 요소(120', 420)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을 때 경적 기능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14. 제2항에 있어서,
    - 로킹 요소(130', 430)와 캐치 요소(120', 420) 사이에 기구적 접촉이 없는 언로킹 상태에서, 콘택트 요소(131', 431)와 로킹 요소(130', 430)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있고, 및
    - 언로킹 상태에서의 초기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로킹 요소(130', 430)가 편향된 상태 또는 부분 변위된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 요소(131', 431)와 로킹 요소(130', 430)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없고, 및
    - 로킹 요소(130', 430)가 논-로킹 상태에 있을 때, 경적 기능이 작동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15. 제2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130', 430)가 스티어링 휠(112') 위에 배치되어서,
    -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에, 캐치 요소(120', 42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로킹 요소(130', 430)가, 로킹 요소(130', 430)와 콘택트 요소(131', 431)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언로킹 상태로부터 로킹 요소(130', 430)와 콘택트 요소(131', 431)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없는 중간 상태로 움직이거나 변경될 수 있고, 및
    - 로킹 연결이 이루어질 때 또는 로킹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로킹 요소(130', 430)가 중간 상태로부터 로킹 상태로 움직이거나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16. 제2항에 있어서,
    캐치 요소(120', 420)가 전기 포텐셜(121, 121', 421, 5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및 혼 콘택트(116, 116', 216, 416, 516)가 직접적으로 또는 신호 유닛(117, 117', 417, 517)을 거쳐 제2 전기 포텐셜(118, 118', 418, 5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17. 제2항에 있어서,
    로킹 요소(130', 430)가 제1 단부(230a, 430a)에 의해 스티어링 휠(112')에 고정되고, 및 로킹 요소(130', 430)의 제2 단부(230b, 430b)는 제1 단부(230a, 430a)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며, 및 로킹 요소(130', 430)는 제2 단부(230b, 430b)에 의해 콘택트 요소(131', 431)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18. 제2항에 있어서,
    콘택트 요소(131', 431) 및 로킹 요소(130', 430)가 스티어링 휠(112') 위에 배치되어 있고, 및 스티어링 휠(112')이 개구를 포함하되, 그 개구를 통해 캐치 요소(120', 4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스티어링 휠(112')의 외곽 면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19. 제2항에 있어서,
    캐치 요소(120', 420)가 캐치 후크 또는 캐치 클립이고, 및 로킹 요소(130', 430)는 스프링 요소이며, 및 콘택트 요소(131', 431)는 와이어 또는 시트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20. 제2항에 있어서,
    정확하게 하나의 로킹 요소(130', 430) 또는 정확하게 2개의 로킹 요소(130', 430) 또는 정확하게 3개의 로킹 요소(130', 430)가 스티어링 휠(112') 위에 배치되어 있고, 및 정확하게 하나의 캐치 요소(120', 420) 또는 정확하게 2개의 캐치 요소(120', 420) 또는 정확하게 3개의 캐치 요소(120', 420)가 스티어링 휠(112')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및 정확하게 하나의 혼 콘택트(116, 116', 416, 516) 또는 정확하게 2개의 혼 콘택트(116, 116', 416, 516) 또는 정확하게 3개의 혼 콘택트(116, 116', 416, 516)가 스티어링 휠(112')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KR1020197033200A 2017-04-11 2018-03-14 에어백 모듈, 스티어링 휠 및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는 방법 KR102577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7764.2A DE102017107764A1 (de) 2017-04-11 2017-04-11 Gassackmodul, lenkrad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hupsignals
DE102017107764.2 2017-04-11
PCT/EP2018/056432 WO2018188885A1 (de) 2017-04-11 2018-03-14 Gassackmodul, lenkrad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gassackmoduls mit einem lenkr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051A KR20190130051A (ko) 2019-11-20
KR102577278B1 true KR102577278B1 (ko) 2023-09-12

Family

ID=6168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200A KR102577278B1 (ko) 2017-04-11 2018-03-14 에어백 모듈, 스티어링 휠 및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30462B2 (ko)
JP (1) JP7074769B2 (ko)
KR (1) KR102577278B1 (ko)
CN (1) CN110546042B (ko)
DE (2) DE102017107764A1 (ko)
FR (1) FR3064957B1 (ko)
WO (1) WO2018188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841B1 (ko) * 2020-05-18 2022-09-23 주식회사 디에이치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열관리 장치의 리크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786A1 (en) 2000-10-12 2002-04-1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Vehicle steering wheel
US20040119582A1 (en) 2002-12-10 2004-06-2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Monitoring system for detent connections
JP2014015185A (ja) 2012-07-11 2014-01-30 Suzuki Motor Corp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WO2015125349A1 (ja) 2014-02-21 2015-08-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7032A1 (de) * 1999-06-04 2000-12-14 Petri Ag Anordnung zur Verrastung eines Airbagmoduls mit einem Lenkrad
KR100519231B1 (ko) * 2003-08-14 2005-10-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혼 스위치 어셈블리
DE202005018665U1 (de) 2005-11-29 2006-01-26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ahrzeuglenkrad
JP5104155B2 (ja) * 2007-09-20 2012-12-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5971213B2 (ja) * 2013-08-12 2016-08-17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P2910425B1 (en) * 2014-02-20 2020-08-05 Dalphi Metal España, S.A. Horn circu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3786A1 (en) 2000-10-12 2002-04-1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Vehicle steering wheel
US20040119582A1 (en) 2002-12-10 2004-06-2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Monitoring system for detent connections
JP2014015185A (ja) 2012-07-11 2014-01-30 Suzuki Motor Corp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WO2015125349A1 (ja) 2014-02-21 2015-08-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07764A1 (de) 2018-10-11
FR3064957A1 (fr) 2018-10-12
CN110546042A (zh) 2019-12-06
US20200122671A1 (en) 2020-04-23
CN110546042B (zh) 2022-04-19
US11130462B2 (en) 2021-09-28
KR20190130051A (ko) 2019-11-20
WO2018188885A1 (de) 2018-10-18
JP2020516533A (ja) 2020-06-11
FR3064957B1 (fr) 2021-04-30
DE112018001960A5 (de) 2020-02-13
JP7074769B2 (ja)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7775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装着される運転者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ガス発生器支持体
CN110789486B (zh) 方向盘
KR20030067565A (ko) 스위치 조립체
CN110116749B (zh) 用于机动车的方向盘总成及其装配方法和结构组件
US20130154242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driver seat airbag device
KR102577278B1 (ko) 에어백 모듈, 스티어링 휠 및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연결하는 방법
KR20080014966A (ko) 전자장치를 적어도 2개의 다른 전자장치에 안전하게접속시키기 위한 장치
US7114745B2 (en) Monitoring system for detent connections
EP3107761B1 (en) Horn system
KR20090062657A (ko)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스퀴브커넥터 연결구조
US9174588B2 (en) Mounting a microphone on a vehicle headliner
JP5543643B1 (ja) センサの固定構造及び固定用クリップ
CN109689434A (zh) 车辆喇叭激活装置
JP5364922B2 (ja) 車両ホーンスイッチ装置
CN210212512U (zh) 用于机动车的方向盘总成和用于方向盘总成的结构组件
KR200463254Y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US10044142B1 (en) Connector locking holder
JP4420340B2 (ja) コネクタ
JP2001310740A (ja) 車両のハンドル用スイッチユニット
KR20080026821A (ko) 혼 스위치
KR20200144749A (ko) 테스트핀 모듈을 구비하는 오버몰딩 전자 제어 장치
JP2015024704A (ja) エアバッグ装置
CN114401878A (zh) 转向柱
KR100587408B1 (ko) 차량의 혼 스위치 어셈블리
CN114502427A (zh) 车辆方向盘的声音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