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966A - 전자장치를 적어도 2개의 다른 전자장치에 안전하게접속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를 적어도 2개의 다른 전자장치에 안전하게접속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966A
KR20080014966A KR1020077025519A KR20077025519A KR20080014966A KR 20080014966 A KR20080014966 A KR 20080014966A KR 1020077025519 A KR1020077025519 A KR 1020077025519A KR 20077025519 A KR20077025519 A KR 20077025519A KR 20080014966 A KR20080014966 A KR 20080014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wer
signal connector
securing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샤베리에
프레데릭 마르쉐
쟝-끌로드 몰레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80014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부속품(10)을 전원 및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부속품(10)을 전원에 접속시키기 위한 전원 커넥터(12), 자동차의 전자장치와 부속품(10)을 접속시키기 위한 신호 커넥터(14), 전원 커넥터(12)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20), 및 신호 커넥터(14)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원 커넥터 고정 수단(20) 및 신호 커넥터 고정 수단(22)은, 전원 커넥터(12)가 장착되는 위치에 고정된 후에 접속되는 위치로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력 조향 장치에 적합하다.
전원 커넥터, 신호 커넥터, 조향 장치, 자동차 부속품

Description

전자장치를 적어도 2개의 다른 전자장치에 안전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장치{ARRANGEMENT FOR SECURELY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TO AT LEAST TWO OTHER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자동차 부속품, 특히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power-assisted steering device)를 전원 및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장치와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접속 단절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한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자동차 부속품을 전원 및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에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안하며, 이러한 장치의 유형은 전원에 부속품을 접속시키기 위해 접속 위치에서 부속품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전원 커넥터, 자동차 부속품과 전자장치를 접속시키기 위해 접속 위치에서 부속품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신호 커넥터, 접속 위치에서 전원 커넥터를 부속품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 및 접속 위치에서 신호 커넥터를 부속품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장치는 한편으로는 자동차의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를 자동차의 배터리에 접속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동차에 정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 등에 전기 접속시키기 위해 특히 사용된다.
알려진 구현에 따르면, 전원 커넥터 및 신호 커넥터의 장착 및 고정은 오퍼 레이터에 의해 체계적으로 검사된다. 그러나, 사람에 의해 행해지는 검사는 때때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자동차 상에, 전원 커넥터가 접속 위치에 고정되지 않아 결국 전워 커넥터가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로부터 갑자기 접속 단절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전원 커넥터의 이와 같은 접속 단절은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가 멈추는 원인이 되고 운전자는 자동차의 조향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
전원 커넥터의 접속 단절은 자동차 운전자에게 큰 불편함을 줄 수 있고, 이런 상황은 자동차가 이동 중일 때 발생하게 되면 특히 위험한 상황을 가져올 수 있다.
커넥터들의 장착 및 고정을 단순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의 접속을 위한 많은 장치들이 있는데, 이와 같은 장치들은, 예를 들어 US-A-6.707.185 및 US-A-5.844.386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들은 커넥터들을 장착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켜주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한 방법으로 전원 커넥터의 고정을 획득할 수 있는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의 전기 접속을 위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원 커넥터가 장착 위치에 고정된 후에만 신호 커넥터가 접속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전원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 및 신호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공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술한 타입의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에 따르면,
-전원 커넥터, 신호 커넥터가 부속품 상에 장착되기 전에만 전원 커넥터가 부속품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전원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 및 신호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공동으로 형성된다;
-전원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신호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매칭 러그(matching lug)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러그를 포함한다;
-전원 커네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신호 커넥터에 의해 지지된다;
-신호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은, 신호 커넥터가 접속 위치에 장착되고 고정된 후에 전원 커넥터가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동으로 형성된다;
-부속품은 자동차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속되는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전원 커넥터 및 신호 커넥터가 부속품으로부터 접속 단절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커넥터들이 부속품에 접속되는 위치에 있지만 이 위치에 고정되지는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커넥터들이 부속품에 접속되는 위치에 있 고 이 접속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를 구성하는 자동차 부속품(10)을 보여준다.
통상적으로, 동력 보조형 장치(10)는 예컨대 자동차의 이동 속도와 같은 자동차의 다양한 동작 파라미터에 따라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해 어떤 액션이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운전자가 자동차 조향 휠 및 전자식 명령 장치(도시안됨) 상에 제공해야만 하는 동력을 감소시키도록 자동차의 조향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액츄에이터(도시 안됨)를 포함한다.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는 전원, 특히 자동차의 배터리(도시 안됨)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공급받고 자동차의 전자식 명령 장치(electronic command device)는, 자동차의 동작 파라미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속도 센서 및 조향 휠 위치 센서와 같은 자동차의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도시 안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는, 이후부터 "전원 커넥터"로 언급될 제1 커넥터(12)에 의해 전원에 접속되고, 이후부터 "신호 커넥터"로 언급될 제2 커넥터(14)에 의해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접속된다.
전원 커넥터(12)는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의 매칭 오목부(matching recess)(16) 또는 그 등가물 상에서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가 자동차의 배터리에 접속되는 접속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신호 커넥터(14)는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의 매칭 오목부(18) 또는 그 등가물 상에서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가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접속되는 접속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는, 커넥터들(12 및 14)이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로부터 접속 단절 되도록 할 수 있는 많은 진동들에 영향받기 쉽다.
전원 커넥터(12) 및 신호 커넥터(14)가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로부터 접속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 커넥터(12) 및 신호 커넥터(12) 각각은 접속 위치에서 그들을 고정해줄 수단(20 및 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 및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커넥터(12) 또는 신호 커넥터(14)에 대하여 상단부터 하단까지 수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된 링으로 주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 및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에 대한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 고정 수단들로만 단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알려진 방식으로, 신호 커넥터(14) 및 그것의 고정 수단(22)은, 고정 수단(22)이 고정 위치에 있지 않을 경우 신호 커넥터(14)가 접속 상태로 남아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출 스프링 시스템"이라 불리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커넥터(12)가 자신의 접속 위치에 고정된 후에만 신호 커넥터(14)가 자신의 접속 위치에 고정되도록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은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과 상호작용하도록 공동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이 자신의 고정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은 신호 커넥터(14)를 접속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그들의 위치로 이동될 수 없다.
또한, 신호 커넥터(14) 및 그것의 고정 수단(22)이 상기 기술한 "방출 스프링" 타입의 시스템을 포함할 때,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이 고정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신호 커넥터(14)는 접속 위치로 유지될 수 없다.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는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 수단은 신호 커넥터(14)가 자동차의 진단장치에 고정되었는지 또는 고정되지 않았는지에 관한 정보의 아이템을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신호 커넥터(14)가 연관된 오목부(18) 상에 접속 위치에 장착되고 고정된 후 전원 커넥터(12)가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이 공동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전원 커넥터(12)가 연관된 오목부(16) 상에 장착될 수 없기 때문에,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는 동작할 수 없고 전원 커넥터(12)의 이와 같은 장착 결함은, 심지어 자동차가 길 위로 나가기도 전에 자동차의 어셈블리 라인 상에서 즉시 검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원 커넥터(12)의 고정 수단(20)은,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에 의해 지지되는 제2 러그(26)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1 러그(2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이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그들의 위치 외의 위치에 있을 때, 제2 러그가 제1 러그와 정면으로 충돌함으로써,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이 그들의 고정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러그들(24 및 26)이 공동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이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그들의 위치에 있을 때, 제2 러그(26)는 제1 러그(24)와 더 이상 충돌하지 않고,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은 그들의 고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도시 안됨)에 따르면, 신호 커넥터(14)가 전원 커넥터(12)를 접속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그들의 위치 외의 위치에 있을 때,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의 연관된 오목부(18) 상에 신호 커넥터(14)가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이 공동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러그(26)는 신호 커넥터(1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2 러그(26)는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이 전원 커넥터(12)를 접속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그들의 위치 외의 위치에 있을 때 제1 러그(24)와 충돌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도시 안됨)에 따르면,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은 신호 커넥터(14)에 의해 지지되고, 신호 커넥터(14)가 고정되기 전 또는 고정됨과 동시에 전원 커넥터(12)가 고정되도록 공동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은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전원 커넥터(12)는 신호 커넥터(14)가 고정될 때 동시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커넥터(12) 및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들(20 및 22)의 장치는, 신호 커넥터(14)가 고정되지 않았을 때 전원 커넥터(12)의 잘못된 고정을 즉시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 전원 커넥터(12)가 연관된 오목부(16) 상의 접속 위치에 있지만, 이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는 않은 경우, 제2 러그(26)는 신호 커넥터(14)가 고정될 때 제1 러그(24)와 충돌하게 되는데, 이것은 신호 커넥터(14)가 고정되는 것을 방지한다.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신호 커넥터(14)의 고정의 부재, 결과적으로 전원 커넥터(12)의 고정의 부재에 관한 정보의 제1 아이템을 제공한다.
또한, 신호 커넥터(14) 및 연관된 고정 수단(22)이 "방출 스프링" 시스템을 포함할 때, 그리고 전원 커넥터(22)가 접속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방출 스프링" 시스템은, 신호 커넥터(14)가 접속 위치에 고정될 수 없기 때문에 신호 커넥터(14)의 접속 단절의 원인이 된다. 그러면 동력 보조형 조형 장치(10)는 기능할 수 없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전원 커넥터(12)가 신호 커넥터(14) 전에 접속되지 않았을 때 제2 러그(26)가 전원 커넥터(12)가 연관된 오목부(16) 상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는 기능할 수 없게 된다.
전원 커넥터(12) 또는 신호 커넥터(14)가 접속 위치에 있지 않고 접속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가 기능할 수 없을 때, 이와 같은 결함은 쉽게 검출될 수 있고 자동차가 길에 나가기도 전에 수리될 수 있다.
기술된 본 발명은 전자식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10)와 연관되어 적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적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공급 회로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회로, 예를 들어 에어백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다른 전자 부속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Claims (6)

  1. 자동차 부속품(10)을 전원 및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에 전기 접속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과 상기 부속품(10)을 접속시키기 위해, 상기 부속품(10) 상에 접속 위치로 장착될 수 있는 전원 커넥터(12);
    -상기 부속품(10)과 상기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접속시키기 위해, 부속품(10) 상에 접속 위치로 장착될 수 있는 신호 커넥터(14);
    -상기 전원 커넥터(12)를 상기 부속품(10)에 접속 위치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20); 및
    -상기 신호 커넥터(14)를 상기 부속품(10)에 접속 위치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커넥터(12)가 장착 위치에 고정된 후에만 상기 신호 커넥터(14)가 접속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과 상기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이 공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커넥터(14)가 상기 부속품 상에 장착되기 전에만 상기 전원 커넥터(12)가 상기 부속품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커넥터(12), 상기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 및 상기 신호 커넥 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이 공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은 상기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의 매칭 러그(matching lug)(26)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러그(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넥터(12)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0)은 상기 신호 커넥터(1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커넥터(14)가 접속 위치에 장착되어 고정된 후 전원 커넥터(12)가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신호 커넥터(1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22)이 공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10)은 자동차 전자식 동력 보조형 조향 장치(electron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KR1020077025519A 2005-05-23 2006-05-10 전자장치를 적어도 2개의 다른 전자장치에 안전하게접속시키기 위한 장치 KR20080014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51327A FR2886065B1 (fr) 2005-05-23 2005-05-23 Agencement pour le raccordement securise d'un dispositif electronique a au moins deux autres dispositifs electroniques
FR0551327 2005-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966A true KR20080014966A (ko) 2008-02-15

Family

ID=3545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519A KR20080014966A (ko) 2005-05-23 2006-05-10 전자장치를 적어도 2개의 다른 전자장치에 안전하게접속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274628A1 (ko)
EP (1) EP1889336A2 (ko)
JP (1) JP2008542985A (ko)
KR (1) KR20080014966A (ko)
CN (1) CN101208839A (ko)
FR (1) FR2886065B1 (ko)
RU (1) RU2358364C1 (ko)
WO (1) WO200700380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5691A (zh) * 2017-02-28 2017-05-31 西安特锐德智能充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系统电子锁控制系统及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5776B1 (fr) 2007-12-21 2009-12-25 Renault Sas Agencement pour le raccordement securise d'un dispositif electronique
DE102008022840B3 (de) * 2008-05-08 2009-10-22 Johnson Controls Hybrid And Recycling Gmbh Akkumulator für Hybrid-Fahrzeuge mit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zum Unterbrechen eines Hochspannungskreises
DE102008043404A1 (de) * 2008-11-03 2010-05-06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WO2010076585A1 (en) * 2008-12-30 2010-07-08 Datalogic Mobile S.R.L. Data collection apparatus and portable data collection device
JP5395681B2 (ja) * 2010-01-08 2014-01-22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子機器装置
US8628344B2 (en) 2011-10-12 2014-01-14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nd terminal positioning mechanism
US8398415B1 (en) 2011-11-18 2013-03-19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ssembly for assembling/disassembling four connectors using a staged-release member
FR3065588B1 (fr) 2017-04-25 2019-06-21 Jtekt Europe Procede de cablage incluant une etape d’enrobage de connecteurs non etanches dans une resin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311B2 (ja) * 1988-04-06 1995-04-26 アンプ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4914062A (en) * 1989-02-15 1990-04-03 W. L. Gore & Associates, Inc. Shielded right angled header
JPH0545063Y2 (ko) * 1989-05-15 1993-11-17
US5575690A (en) * 1994-10-28 1996-11-19 Tvm, Inc. Hybrid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H08315927A (ja) * 1995-05-19 1996-11-29 Yazaki Corp 低挿入力コネクタ
US5951306A (en) * 1996-03-29 1999-09-14 The Whitaker Corporation Modular connector assembly
US5913691A (en) * 1996-08-20 1999-06-22 Chrysler Corporation Dual power/control connector
AU2003292959A1 (en) * 2003-02-21 2004-09-17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Plug-in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5691A (zh) * 2017-02-28 2017-05-31 西安特锐德智能充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系统电子锁控制系统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42985A (ja) 2008-11-27
US20080274628A1 (en) 2008-11-06
WO2007003803A2 (fr) 2007-01-11
WO2007003803A3 (fr) 2007-02-22
FR2886065B1 (fr) 2007-08-03
RU2358364C1 (ru) 2009-06-10
FR2886065A1 (fr) 2006-11-24
EP1889336A2 (fr) 2008-02-20
CN101208839A (zh)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4966A (ko) 전자장치를 적어도 2개의 다른 전자장치에 안전하게접속시키기 위한 장치
US8824151B2 (en) Mounting system for an electronic control module housing in a vehicle
US4973859A (en) Electric connecting device
JP6103145B2 (ja) 車両用緊急通報装置
KR100844427B1 (ko) 시트벨트 착용여부 감지시스템 및 방법 및 방법
JP2001001865A (ja) 動力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の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のロックのための装置
US10434876B2 (en) Active accelerator pedal
JP5952282B2 (ja) 強化型電子アセンブリ
CN110869246B (zh) 用于感测车辆状况的系统
US8593011B2 (en) Rotary push-button ignition switch
CN111572553B (zh) 车辆系统
US6768314B2 (en) Method for detecting improper connection of connector
JP7314486B2 (ja) カメラ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
CN110546042B (zh) 气囊模块、方向盘和用于将气囊模块与方向盘连接的方法
JP2006003146A (ja) シート荷重計測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乗員保護システム
KR20100095607A (ko) 전자 장치의 안정된 연결을 위한 구조체
JP4636007B2 (ja) 衝突安全制御装置
JP2007320462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および乗員保護システム
US20040174001A1 (en) Generator carrier for a driver's gas bag module and function module for a steering wheel of a motor vehicle
JP2009509846A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をトリガ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6341794A (ja) 自動車用電源監視装置
KR19990027856U (ko) 에어백 모듈을 위한 전기배선 점검용 지그
KR19980016636U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의 에러코드발생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