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976U -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976U
KR20100001976U KR2020080010884U KR20080010884U KR20100001976U KR 20100001976 U KR20100001976 U KR 20100001976U KR 2020080010884 U KR2020080010884 U KR 2020080010884U KR 20080010884 U KR20080010884 U KR 20080010884U KR 20100001976 U KR20100001976 U KR 201000019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ane
bottom plate
control rod
regul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광수
Original Assignee
(주)엠 에스산업
위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 에스산업, 위광수 filed Critical (주)엠 에스산업
Priority to KR2020080010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976U/ko
Publication of KR20100001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9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규제봉에 형성된 반사체가 훼손되거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차선규제봉을 재차 설치할 필요없이 보조규제봉을 바닥판으로부터 신속하고 간단히 분리함으로써 메인규제봉이 새로운 규제봉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차선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차선 규제봉은, 도로지표면에 설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중앙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출구(15)에 결합되는 메인규제봉(20)과, 상기 메인규제봉(20)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바닥판(10)에 결합되는 보조규제봉(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판, 돌출구, 메인규제봉, 보조규제봉, 반사체

Description

차선 규제봉{TRAFFIC LANE DELINEATOR}
본 고안은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규제봉에 형성된 반사체가 훼손되거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차선규제봉을 재차 설치할 필요없이 보조규제봉을 바닥판으로부터 신속하고 간단히 분리함으로써 메인규제봉이 새로운 규제봉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규제봉은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중앙선이나 기타 차선에 자동차의 진행이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곳에 설치된다.
예컨데, 지상차도 및 지하차도, 또는 지상차도 및 고가차도가 서로 분리되기 시작한 구간과 같이 노면의 높낮이가 달라지게 되는 도로구간이나, 도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리되기 시작하는 구간, 또는 같은 노면상의 도로라 할지라도 상당한 커브를 이루는 도로구간과 같은 해당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들이 잘못된 차선으로 들어서게 되거나 차선을 침범, 특히 중앙선을 침범하여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큰 도로구간에는 그러한 차선오진입이나 차선침범을 방지하기 위한 차선규제봉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고휘도(高煇度)의 반사시트가 부착되거나 야광페인트가 도포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도로에 고정하기 위한 바닥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은 폴리우레탄 등의 탄력이 강한 고무재질로써 단일물로 성형되며, 이것은 지지봉 자체에 탄성과 복원성을 부여시켜, 차량이나 기타 충격에 의하여 충격물체나 차선규제봉의 파손을 최소화시키고, 그 복원을 유도시키기 위함이고, 지지봉에는 야간에서의 식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휘도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선규제봉은 그 설치환경상 손상이 우려되는 구역에 설치되며, 차선규제봉의 손상이나 차선규제봉의 반사체가 찢겨 지거나 미세먼지가 많이 묻어 있어 반사체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 종래에는 차량의 이동을 통제한 상태에서 도로의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차선규제봉을 철거한 이루 새로운 차선규제봉을 설치하게 되는데, 차선규제봉을 재차 설치할 경우 설치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도로의 일부차선을 통제함에 따라 차량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교통혼잡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차선규제봉을 설치함에 있어 기존의 차선규제봉 즉, 지면에 부착된 바닥판과 규제봉을 모두 철거한 후 새로운 규제봉을 설치하게 됨에 따라 자원이 낭비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조규제봉에 형성된 반사체가 훼손되거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차선규제봉을 재차 설치할 필요없이 보조규제봉을 바닥판으로부터 신속하고 간단히 분리함으로써 메인규제봉이 새로운 규제봉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차선규제봉의 재 설치시 발생되는 교통혼잡을 방지하며, 차선규제봉의 재설치에 따른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차선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차선 규제봉은, 도로지표면에 설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중앙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출구(15)에 결합되는 메인규제봉(20)과, 상기 메인규제봉(20)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바닥판(10)에 결합되는 보조규제봉(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로의 지표면에 설치된 바닥판으로부터 보조규제봉을 신속하고 간단히 분리하는 동작만으로 새로운 규제봉으로써의 역 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규제봉의 재 설치에 따른 설치시간이 감소되어 교통혼잡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규제봉의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차선 규제봉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이 차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은 도로지표면에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메인규제봉과, 상기 메인규제봉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는 보조규제봉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0)은 사각형상이나 원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바닥판(10)은 엥커(50)와 엥커볼트(55)에 의해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드의 도로지표면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10)의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메인규제봉(20)이 나사결합되도록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 돌출된 돌출구(15)가 형성되고, 후술되는 보조규제봉(30)이 결합되도록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규제봉(20)은 일측단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모양의 형태로 상기 바닥판(10)의 중앙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구(15)에 나사결합되고, 폴리우레탄의 탄력이 강한 고무재질로 성형되며, 이것은 차선규제봉 자체에 탄성과 복원성을 부여시켜 차량이나 기타 충격에 의하여 충격물체나 차선규제봉의 파손을 최소화시키고, 그 복원을 유도시키기 위함이며, 상기 메인규제봉(20)에는 야간에서의 식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휘도 반사체(40)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규제봉(20)의 내주면에는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의 돌출구(15)에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메인규제봉(20)과 상기 바닥판(10)의 돌출구(15)가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은, 차선 규제봉이 도로에 설치된다는 특성 때문에 신속한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도로의 교통혼잡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규제봉(30)은 일측단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모양의 형상으로 상기 메인지지봉(20)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바닥판(10)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규제봉(30)의 직경은 상기 메인규제봉(2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직격으로 형성하면 충분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규제봉(30)의 일측외주면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에 결합되는 일측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닥판(10)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나사결합하게 되는 것고, 상기 보조규제봉(30)의 외 주면에는 야간에서의 식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휘도 반사체(40)가 부착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규제봉(30)을 상기 바닥판(10)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신속하게 분리하여 도로의 교통혼잡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선규제봉을 도로의 지표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오랜시간 방치하게 되면 보조규제봉(30)에 형성된 반사체(40)가 차량의 충돌이나 미세먼지에 의에 훼손되어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키게 될 뿐 아니라 야간에는 반사체로써의 시인성 확보라는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야간에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선규제봉을 재차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보조규제봉(30)을 상기 바닥판(10)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하게 되면 상기 보조규제봉(30)의 내측에 수용된 메인규제봉(20)이 새로운 규제봉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판(10)에 나사결합된 보조규제봉(30)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분리함으로써 종래의 차선규제봉을 교체시에 발생되는 교통혼잡은 발생되지 않고, 차선규제봉의 재설치에 따른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시 발생되는 도로의 교통혼잡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선 규제봉이 차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판 15: 돌출구
20: 메인규제봉 30: 보조규제봉
40: 반사체 50: 앵커
55: 앵커볼트

Claims (1)

  1.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차선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차선 규제봉은, 도로지표면에 설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중앙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출구(15)에 결합되는 메인규제봉(20)과,
    상기 메인규제봉(20)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바닥판(10)에 결합되는 보조규제봉(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
KR2020080010884U 2008-08-14 2008-08-14 차선 규제봉 KR201000019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884U KR20100001976U (ko) 2008-08-14 2008-08-14 차선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884U KR20100001976U (ko) 2008-08-14 2008-08-14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976U true KR20100001976U (ko) 2010-02-24

Family

ID=4419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884U KR20100001976U (ko) 2008-08-14 2008-08-14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97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280B1 (ko) * 2022-07-13 2022-10-20 세이프라인 주식회사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280B1 (ko) * 2022-07-13 2022-10-20 세이프라인 주식회사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75B1 (ko) 시선유도봉
US11466414B2 (en) Traffic control marker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KR200359983Y1 (ko)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KR102152781B1 (ko) 차선 규제봉
KR102034567B1 (ko) 시선유도봉
KR100873011B1 (ko) 다기능 탄성 볼라드
KR102102118B1 (ko)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KR200434710Y1 (ko) 차선규제봉
KR20100001976U (ko) 차선 규제봉
US11619015B2 (en) Reflective traffic control marker
KR100810574B1 (ko) 시선 유도봉
KR102163410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지주 설치 구조
KR101397673B1 (ko) 차선 규제봉
KR200394458Y1 (ko) 차로표시체
KR20070001171U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US20220267971A1 (en) Roadside Delineator Device
KR200394516Y1 (ko) 차선규제봉
KR100809657B1 (ko) 차선규제 봉
JP3914376B2 (ja) 道路鋲
KR200330045Y1 (ko) 차선표지장치
KR101111029B1 (ko) 탈착식 중앙 분리대
KR101090128B1 (ko) 볼라드
KR200297991Y1 (ko)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KR100940599B1 (ko) 차선규제봉
KR102638338B1 (ko) 고강도의 경량화 도로 경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