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280B1 -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280B1
KR102457280B1 KR1020220086438A KR20220086438A KR102457280B1 KR 102457280 B1 KR102457280 B1 KR 102457280B1 KR 1020220086438 A KR1020220086438 A KR 1020220086438A KR 20220086438 A KR20220086438 A KR 20220086438A KR 102457280 B1 KR102457280 B1 KR 10245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post
fixing
anchor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세이프라인 주식회사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프라인 주식회사,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이프라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6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76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선(중앙 차선)에 설치되어 불법 유턴이나 차선 이탈이나 무단횡단 등을 막아 안전운전 및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지주를 앵커없이 설치함과 아울러 지주가 탈락되더라도 차량의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차선을 알려주고 무단횡단과 불법 유턴 등 무단 행위를 경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는, 저부에는 노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되는 표면 요철형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둘레부에는 반사부가 형성되고 좌우 양쪽과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횡대 수용부가 포함되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면서 상기 고정돌기를 통해 노면에 고정되는 비금속(非金屬) 재질의 속관(10)과; 상기 속관보다 긴 길이로서 상기 속관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지주(20)와; 상기 지주의 저부를 상기 속관의 저부에 고정하는 고정핀(30)과; 상기 지주에 결합되면서 연결구를 매개로 하여 이웃하는 것들과 연결되는 2단 이상의 횡대(40)를 포함하고, 상기 속관은 좌우 양쪽과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횡대 수용부가 포함되어 상기 횡대 중 1개 이상은 상기 속관의 횡대 수용부에 삽입 지지되고, 차량의 충돌 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속관에서 탈락하면서 상기 지주와 횡대가 상기 속관에서 탈락한다.

Description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ANCHORLESS LANE SEPARAT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차선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성의 앵커(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하여 앵커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로 지주와 횡대가 탈락하더라도 보수 이전까지 차선을 알려주는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차도와 보도에는 보행자와 차량의 안전을 위한 시설로서, 무단횡단 금지시설(차선분리대), 차선분리대, 보행자 방호 울타리, 가드 레일 등 다양한 제품이 운용되고 있다.
차선 분리대는 보행자의 무단횡단과 차량 및 이륜차의 불법유턴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야간 및 악천후 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이다.
종래의 차선 분리대는 노면 밑에 고정되는 앵커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 상기 지주들 사이를 횡단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지주들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횡대를 포함하고, 상기 횡대의 양쪽이 양쪽의 지주에 각각 고정되어 지주들 사이를 막는 독립형, 상기 횡대의 중앙이 지주에 고정되고 좌우 양측이 이웃하는 지주에 고정된 횡대와 연결되는 연결형으로 구분된다.
종래 차선 분리대에 따르면, 차량의 충돌 시 지중에 삽입된 앵커가 탈락되어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튕길 수 있는데, 이 앵커는 강성이 큰 금속을 재질로 하기 때문에 차량과 보행자에게 큰 충격을 주게 되어 이로 인한 2차 사고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특허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2306150호는 서로 이격되어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간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부는, 길이를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지면에 매립식으로 설치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 하부 외면에 설치되어 지면에 매립되는 고정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이 개구된 지주몸체; 상기 지주몸체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격부재 및 상기 지주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가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관 형상으로 상기 지주몸체에 내측으로 형성되되, 외면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나사산을 포함하는 무볼트 차선분리대이며, 볼트(앵커)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한다 하지만 차량의 충돌 시 차선분리대가 노면에서 탈락하여 이로 인한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차선분리대가 차선에 탈락하면 보행자의 무단 횡단과 불법 유턴 등을 막을 방법이 없고 결국 차량의 충돌 사고와 인사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230615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선(중앙 차선)에 설치되어 불법 유턴이나 차선 이탈이나 무단횡단 등을 막아 안전운전 및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지주를 앵커없이 설치함과 아울러 지주가 탈락되더라도 차량의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차선을 알려주고 무단횡단과 불법 유턴 등 무단 행위를 경고할 수 있는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는, 노면에 고정되는 속관; 상기 속관에 결합되어 노면에 세워지며 횡대를 지지하는 지주, 상기 지주를 상기 속관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차량의 충돌 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속관에서 탈락하여 상기 지주의 탈락을 유도하는 한편 상기 속관을 통해 차선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관은 둘레부에 반사부가 포함되어 시선유도봉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관은 상기 횡대를 지지하고 차량의 충돌 시 상기 횡대가 상기 지주와 함께 탈락하도록 개방형의 횡대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횡대를 지지하는 지주를 종래 앵커에 비해 크기가 작고 강성도 약한 고정핀으로 고정하여 지주가 탈락할 때 고정핀이 탈락하더라도 고정핀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하고 아울러 지주가 탈락하더라도 속관이 노면에 설치 상태를 유지하여 차선을 표시함으로써 차선 분리대의 보수 작업 이전에도 무단횡단과 불법 유턴 등을 막아 인명 피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가 속관의 일체형 구성이기 때문에 속관이 탈락하더라도 고정돌기만 분리되어 보행자나 차량에 튕기지 않으므로 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횡대들을 연결하는 연결구를 장비없이 수작업으로 결합할 수 있어 차량의 충돌로 횡대들이 분리되는 경우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에 적용된 속관과 지주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에 적용된 횡대의 연결구를 보인 분해 사시도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의 시공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에 적용된 횡대가 속관의 횡대 수용부에서 탈락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100)는, 도로(중앙 차선)의 노면에 고정되는 속관(10), 속관(10)에 결합 즉 노면에는 직접 결합되지 않고 속관(10)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지주(20), 지주(20)를 속관(10)에 고정 및 차량의 충돌 시 지주(20)가 탈락되도록 하는 고정핀(30), 지주(20)들 사이를 횡단하면서 지주(20)에 연결되는 횡대(4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속관(10)은 노면 안착부(11), 노면 안착부(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주 삽입부(12), 노면 안착부(11)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1개 이상(도면은 4개를 예로 들어 도시함)의 고정돌기(13)를 포함하고 이들(11,12,13)은 바람직하게 단일로 제조되는 일체형이고, 특히, 종래 앵커(앵커볼트)가 금속 재질인데 반해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노면에서 탈락되더라도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큰 상해를 가하지 않는 비금속(非金屬) 재질로서 예를 들어 우레탄, 합성수지 등이 가능하고 차선 분리대로 사용되는 모든 재질이 가능하다.
노면 안착부(11)는 저면이 노면에 안착되는 한편 상면에 지주(20)의 속관 안착부(21)가 올려지도록 판형(원형, 각형 등)이며 저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경사지는 테이퍼 단면일 수도 있다.
속관(10)은 고정돌기(13)가 홈(1)에 삽입 및 충진재(2)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며, 노면 안착부(11)는 충진재(2)를 홈(1) 안에 주입할 수 있는 주입홀이 포함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홈(1)에 고정돌기(13)를 선 삽입하고 상기 주입홀을 통해 충진재(2)를 후 주입하는 방법으로 속관(10 )을 설치할 수 있다.
지주 삽입부(12)는 노면 안착부(11)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사각형 등 지주(2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으로 노면 안착부(11)의 상면 중앙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지주(20) 안에 삽입되어 지주(20)를 지지한다.
지주 삽입부(12)는 횡대(40)를 지지하기 위하여 횡대 수용부(14)가 포함된다. 횡대 수용부(14)는 횡대(40)가 좌우의 옆쪽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좌우 횡방향으로만 관통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렇게 되면 지주(20)가 속관(10)에서 탈락할 때 횡대(40)가 지주(20)와 함께 탈락하지 못하므로 상부도 개방 형성되어 횡대(40)의 탈락을 유도한다. 즉, 횡대 수용부(14)는 횡대(40)가 탈락하는 경로를 제공하여 횡대(40)의 심한 흔들림도 막아 주게 되므로 이로 인한 차량의 손상 등을 방지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고정돌기(13)는 노면 안착부(11)의 저면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노면의 홈(1) 안에 삽입되고 이 홈(1) 안에 충진되는 충진재(2)(시멘트 몰탈 등)를 통해 홈(1)에 고정되며, 이를 위하여 둘레부에 요철부가 포함되고 도면에는 링형으로 이루어지며 다단으로 형성된 돌기(13a)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고정돌기(13)는 1개 이상이 가능하며 2개인 경우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노면 안착부(11)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지지한다.
고정돌기(13)는 속관(10)과 동일한 재질이기 때문에 노면에서 탈락되어도 차량과 보행자에게 큰 상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속관(10)은 차량의 충돌 시 지주(20)가 탈락된 경우 도로에 설치 상태를 유지하여 차선 분리대의 기능을 하며, 이 기능을 보다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표면에 반사부(15)가 포함된다. 반사부(15)는 시트 형태로 속관(1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도료의 형태로 속관(10)의 표면에 착색되며 1단 이상으로 형성된다.
지주(20)는 속관(10)과 동일한 목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통상의 차선 분리대의 지주로 사용되는 모든 재질이 가능하고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지주와 횡대 조립체는 지주(20)를 기준으로 하여 횡대(40)가 좌우 양쪽으로 돌출되는 양팔보의 형태이며, 바람직하게 지주(20)의 양쪽에 각각 횡대(40)가 결합되는 형태, 하나의 횡대(40)가 지주(20)를 관통하는 형태가 가능하다.
지주(20)는 지주 본체(21), 지주 본체(21)의 저부에 형성되며 속관(10)의 노면 안착부(11)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속관 안착부(22) 및 지주 본체(21)에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횡대(40)가 연결 고정되는 날개부(23)로 구성된다.
지주 본체(21)는 속관(10)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중공이며 그 외형은 원형, 사각형 및 기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속관 안착부(22)는 지주 본체(21)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저면이 속관(10)의 노면 안착부(11)의 상면에 안착되고 속관(10)이 통과하도록 내부가 지주 본체(21)의 내부와 통하는 중공의 구조이다.
날개부(23)는 지주 본체(21)의 둘레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횡대(30)를 지지하며 내부에 횡대(40)가 삽입된 후 후크(24)로 고정된다.
날개부(23)는 지주 본체(21)와 함께 제조되는 일체형 또는 지주 본체(21)에 좌우로 관통하는 홀을 형성한 후 상기 홀에 삽입 고정하는 조립형이 가능하다.
날개부(23)는 횡대(30)의 외형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고, 2단 이상 바람직하게 3단으로 형성되어 3단의 횡대(40)가 설치되도록 한다.
고정핀(30)은 지주(20)를 속관(10)에 고정하며, 이를 위하여 속관(10)과 지주(20)에는 다음과 같이 구멍이 형성된다.
속관(10)의 노면 안착부(11)에는 상하부가 관통되는 구멍(16)이 형성되고, 지주(20)의 속관 안착부(22)에는 속관(10)의 구멍(16)과 통하는 구멍(25)이 형성된다.
속관(10)의 구멍(16)은 상부의 소경부(16-1)와 하부의 대경부(16-2)(소경부(16-1)보다 더 넓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지주(20)의 구멍(25)은 속관(10)의 소경부(16-1)보다 크면서 대경부(16-2)보다 작은 크기이며 고정핀(30)의 헤드(31)를 저부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고정핀(30)의 헤드(31)가 돌출되지 않도록 홈의 안에 형성된다.
고정핀(30)은 속관 안착부(22)의 구멍(25)에 삽입되면서 지지되는 헤드(31), 헤드(31)의 저부에 탄성 거동이 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둘레부의 턱이 노면 안착부(11)의 구멍(16)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후크(32,33)를 포함한다.
고정핀(30)은 후크(32,33)들이 서로 모아지면 속관 안착부(22)의 구멍(25) 및 노면 안착부(21)의 소경부(16-1)를 통과하는 크기로 구멍(25,16)에 체결되고 자유 상태가 되면 속관 안착부(22)의 구멍(25) 및 노면 안착부(21)의 소경부(16-1)보다 더 큰 직경으로 배열 상태를 유지하여 턱이 대경부(16-2)의 위쪽에 걸려 고정된다.
후크(32,33)는 구멍(25)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면서 서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하단부로 가면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뾰족한 구조이다.
따라서, 후크(32,33)의 턱은 도면에 직각부 및 상기 직각부에서 단부로 가면서 경사지는 경사부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크(32,33)가 좀 더 쉽게 속관(10)에서 탈락되도록 상하부에 경사부가 있는 산의 형태도 가능하다.
후크(32,33)는 헤드(31)의 저부에서 시작될 수도 있고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헤드(31)의 저부에 형성되는 원통부(간격이 없는 구조)의 저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30)은 종래의 앵커보다 강성이 작은 재질 또는 앵커와 동일 재질이더라도 앵커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지주(20)와 함께 탈락하더라도 보행자와 차량에 큰 충격을 주지 않는다. 또는, 고정핀(30)은 헤드(31)가 지주(20)에 접착으로 고정되거나 충진재로 덮혀 지주(20)와 고정됨으로써 지주(20)에서는 탈락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횡대(40)는 지주(20)들 사이를 횡단하여 보행자의 무단 횡단과 차량의 침범을 막아주는 것으로, 휨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사각 형태의 포밍관(상부와 하부가 중앙부보다 더 큰 형태)으로 구성된다.
횡대(40)는 일측의 단부가 날개부(23)의 안에 삽입된 후 후크(24)의 체결을 통해 날개부(23)에 고정되며, 충격 테스트 시 날개부(23)와 횡대(40)의 단부가 찢어지지 않도록 날개부(23)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의 후크(24)가 체결된다. 즉, 후크(24)는 횡대(40)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지 않고 날개부(23)와 횡대(40)의 두께만을 관통하여 이들을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횡대(40)는 타측의 단부가 이웃하는 횡대(40)와 연결구(50)로 연결된다.
연결구(50)는 다음의 구성을 통해 횡대(40)들을 연결하는 기능, 차량의 충돌 시 횡대(40)가 뒤로 밀리면서 충돌에너지를 완충하는 기능, 차량의 충돌로 인한 횡대(40)들의 분리 및 재사용 기능, 직선과 곡선 구간 병행 설치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연결구(50)는 도 4와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이웃하는 횡대(40)들에 각각 삽입 고정되면서 서로 결합과 분리는 제1,2연결블록(60,70)으로 이루어진다.
제1연결블록(60)은 일측의 횡대에 삽입 고정되는 제1횡대 고정부(61), 제1횡대 고정부(61)에서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제1연결편으로 제1돌기형 연결편(62)과 제1홈형 연결편(63), 도면 기준으로 위쪽의 제1돌기형 연결편(62)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돌기(64), 아래쪽의 제1홈형 연결편(63)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홈(65), 연결홈(65)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66)로 구성된다.
제2연결블록(70)은 제1연결블록(60)과 동일한 구조이며 상하가 뒤집혀 서로 결합되는 것이며, 즉, 제2횡대 고정부(71), 제2연결편으로 제2돌기형 연결편(72)과 제2홈형 연결편(73), 아래쪽의 제2돌기형 연결편(72)의 저면에 형성되는 연결돌기(74), 위쪽의 제2홈형 연결편(73)의 저면에 형성되는 연결홈(75), 연결홈(75)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76)로 구성된다.
즉, 제1,2연결블록(60,70)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각각의 금형으로 제조되지 않고 한 종류의 금형으로 제조된 연결블록 2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성도 매우 우수하다.
이상의 구조에 따르면, 제1,2연결블록(60,70) 모두가 연결돌기(64,74) 및 연결홈(65,75)을 갖기 때문에 하나의 연결블록에 연결돌기만 있고 나머지의 연결블록에 연결홈만 있는 것에 비해 연결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1,2횡대 고정부(61,71)는 각각 횡대(40) 안에 강제 압입으로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삽입과 체결구(후크)의 체결로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66,76)은 제1,2홈형 연결편(63,73)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안쪽의 연결홈(65,75)까지 형성되어 연결돌기(64,74)가 제1,2홈형 연결편(63,73)의 연결홈(65,75) 안에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또한 반대로 연결돌기(64,74)가 이탈되는 경로도 제공한다.
가이드 레일(66,76)은 연결홈(65,75)을 기준으로 하여 2개 이상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용이한 조립성을 확보한다.
연결돌기(64,74)와 연결홈(65,75) 및 가이드 레일(66,76)은 유기적 관계를 위하여 동일한 형상이면 가능하다.
단, 곡선 구간의 설치를 위하여 제1,2연결블록(60,70)이 각도 조절되도록 연결돌기(64,74)와 연결홈(65,75) 및 가이드 레일(66,76)은 반구형(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제1,2연결블록(60,70)은 각도 조절 시에도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2돌기형 연결편(62,72)과 제1,2홈형 연결편(63,73) 및 이들과 대향되는 제1,2횡대 고정부(61,71)의 안쪽면이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2연결블록(60,70)의 각도 조절 시 촉감으로 각도 조절감을 느낄 수 있도록 각도조절돌기(67,77)와 각도조절홈(68,78)을 포함한다.
각도조절돌기(67,77)와 각도조절홈(68,78)은 제1,2돌기형 연결편(62,72)과 제1,2홈형 연결편(63,73)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결합과 분리를 통해 느끼지는 촉감을 통해 제1,2연결블록(60,70)의 각도 조절 작업을 느낄 수 있다.
각도조절돌기(67,77)와 각도조절홈(68,78)은 모두 다수개가 연결돌기(64,74)와 연결홈(65,75)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물론, 하나의 각도조절돌기(67,77)와 다수개의 각도조절홈(68,78)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하다.
각도조절돌기(67,77)와 다수개의 각도조절홈(68,78)은 각도 조절감의 느낌만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연결돌기(64,74)에 비해 낮은 높이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1,2연결블록(60,70)은 상부와 하부에 록킹돌기(69,79)가 포함되고, 록킹돌기(69,79)는 횡대(40)에 형성되는 록킹부(구멍 또는 홈)에 삽입되어 제1,2연결블록(60,70)을 견고하게 록킹하며, 바람직하게는 횡대(4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면서 반대쪽은 직각의 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도 6 참고).
1. 홈 형성.
노면에 차선을 따라 홈(1)을 형성한다. 홈(1)은 속관(10)을 노면에 고정하기 위한 홈이며 속관(10)의 위치에 맞춰 차선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2. 속관 설치.
속관(10)은 저부의 고정돌기(1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 공정에서 형성한 홈(1) 안에 충진재(2)를 주입하고 충진재(2)가 경화되기 전에 속관(10)의 고정돌기(13)를 삽입한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충진재(2)가 경화되면 고정돌기(13)가 홈(1) 안에 고정되고 속관(10)은 노면에서 돌출된 위치로 설치된다.
3. 지주와 횡대 설치.
지주(20)를 그 내부에 속관(10)의 지주 삽입부(12)가 삽입되도록 결합하고, 속관 안착부(22)가 속관(10)의 노면 안착부(11) 위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 때, 2개의 구멍(25,16)이 일치되도록 한다.
고정핀(30)을 구멍(25,16)에 끼워 지주(20)를 속관(10)에 조립하여 설치한다.
횡대(40)는 지주(20)를 속관(10)에 설치하기 전에 조립하거나, 지주(20)를 속관(10)에 설치한 후 지주(20)에 조립하고, 횡대(40)의 단부를 지주(20)의 날개부(23)에 삽입하고 후크(24)로 고정하며 이웃하는 횡대(40)와 연결구(50)로 연결한다.
또한, 횡대(40)를 지주(20)의 중공부와 양쪽 날개부를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크(24)로 고정하며 이웃하는 횡대(40)와 연결구(50)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제1,2연결블록(60,70)의 연결돌기(64,74)가 가이드 레일(66,76)을 경로로 하여 이동하면서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에 2차 충격을 가하지 않고 2차 손상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속관(10)은 고정돌기(13)가 충진재(2)로 고정되어 고정핀(30)의 끼움력보다는 더 큰 결속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돌에너지가 지주(20)에 가해지는 경우 지주(20)를 속관(10)에 고정한 고정핀(30)이 속관(10)의 구멍(16)에서 먼저 빠지게 되어 지주(20)가 속관(10)에서 탈락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주(20)가 차량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지면서 고정핀(30)의 헤드(31)를 당기게 되고 한 쌍의 후크(32,33)는 구멍(16)의 소경부(16-1)의 내경보다 작은 상태로 모아진 후 소경부(16-1)를 통과하여 구멍(16)에서 빠지게 된다.
고정핀(30)이 속관(10)의 구멍(16)에서 빠지게 되면 지주(20)는 속관(10)과 결합되지 않는 자유상태가 되어 속관(1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속관(10)에서 탈락된다.
이와 같이, 지주(20)가 탈락하더라도 속관(10)은 차선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지주(20)와 횡대(40)의 보수 작업 이전까지 차선을 알려주게 된다.
한편, 횡대(40) 중에서 하부에 있는 최소 1개의 횡대(40)(예를 들어, 차량의 범퍼의 높이)는 속관(10)의 횡대 수용부(14) 안에 삽입되며, 예를 들어 횡대(40)의 단부가 삽입되거나 횡대(40)의 중앙부가 삽입된다. 따라서, 횡대(40)가 지주(20)에 지지됨과 아울러 속관(10)에도 지지되어 적은 충돌에너지가 전가되는 경우 밀림이 줄어들게 된다.
차량의 충돌로 지주(20)가 속관(10)에서 탈락하는 경우 속관(10)의 횡대 수용부(14)에 지지되는 횡대(40)는 횡대 수용부(14)에서 빠지게 되어 지주(20)의 탈락을 방해하지 않으며, 도 7은 횡대(40)가 횡대 수용부(14)를 관통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횡대 수용부(14)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지주(20)와 횡대(40)가 차량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지면서 탈락할 때 횡대(40)가 횡대 수용부(14)의 상부를 통해 횡대 수용부(14)의 외부로 탈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횡대(40)의 단부가 횡대 수용부(14) 안에 지지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차량이 지주(20)가 탈락된 속관(10)에 충돌하는 경우 속관(10)은 차량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충돌에너지가 없어지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세워진다. 속관(10)에 큰 충돌에너지가 전가되며 속관(10)의 고정돌기(13)가 홈(1) 안에서 탈락될 수 있고 속관(10)이 도로에서 탈락되더라도 고정돌기(13)는 속관(10)의 일부분을 그대로 유지하여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튕기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한 사고를 일으키지 않는다.
1 : 홈, 2 : 충진재
10 : 속관, 11 : 노면 안착부
12 : 지주 삽입부, 13 : 고정돌기
14 : 횡대 수용부, 15 : 반사부
20 : 지주, 21 : 지주 본체
22 : 속관 안착부, 23 : 날개부
24 : 후크,
30 : 고정핀, 31 : 헤드
32,33 : 후크,
40 : 횡대,
50 : 연결구, 60,70 : 제1,2연결블록
61,71 : 제1,2횡대 고정부,
62,72 : 제1,2돌기형 연결편, 63,73 : 제1,2홈형 연결편
64,74 : 연결돌기, 65,75 : 연결홈
66,76 : 가이드 레일, 67,77 : 각도조절돌기
68,78 : 각도조절홈, 69,79 : 록킹돌기

Claims (7)

  1. 저부에는 노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되는 표면 요철형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둘레부에는 반사부가 형성되고 좌우 양쪽과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횡대 수용부가 포함되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면서 상기 고정돌기를 통해 노면에 고정되는 비금속(非金屬) 재질의 속관과;
    상기 속관보다 긴 길이로서 상기 속관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저부를 상기 속관의 저부에 고정하는 고정핀과;
    상기 지주에 결합되면서 연결구를 매개로 하여 이웃하는 것들과 연결되는 2단 이상의 횡대를 포함하고,
    상기 속관은 좌우 양쪽과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횡대 수용부가 포함되어 상기 횡대 중 1개 이상은 상기 속관의 횡대 수용부에 삽입 지지되고, 차량의 충돌 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속관에서 탈락하면서 상기 지주와 횡대가 상기 속관에서 탈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2. 노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및 충진재를 통해 고정되는 표면 요철형 고정돌기를 통해 노면에 세워지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비금속(非金屬) 재질의 속관과;
    상기 속관보다 긴 길이로서 상기 속관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저부를 상기 속관의 저부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지주의 저부에 형성된 속관 안착부의 구멍을 관통한 후 상기 속관의 저부에 형성된 노면 안착부의 구멍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차량의 충돌 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속관에서 탈락하면서 상기 지주가 상기 속관에서 탈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속관은 외주면에 반사부가 포함되어 상기 지주의 탈락 시 시선유도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속관 안착부의 구멍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저부에 탄성 거동이 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둘레부의 턱이 상기 노면 안착부의 구멍에 걸려 고정되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결합되면서 연결구를 매개로 하여 이웃하는 지주에 결합된 것과 연결되는 2단 이상의 횡대를 포함하고,
    상기 속관은 상기 횡대의 단부가 삽입 및 상기 지주의 탈락 시 상기 지주와 함께 탈락되도록 유도하는 횡대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횡대는 중앙부가 상기 지주에 관통 결합되어 이웃하는 지주에 결합된 횡대와 연결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는 이웃하는 횡대들에 각각 삽입 고정되면서 요철을 이용하여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연결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연결블록은 각각 상기 횡대에 삽입 고정되는 횡대 고정부, 상기 횡대 고정부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서로 상하로 적층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연결돌기와 연결홈을 갖는 돌기형 연결편과 홈형 연결편, 홈형 연결편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연결홈까지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삽입과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7. 청구항 1에 의한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의 시공 방법으로서,
    도로를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노면에 홈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홈에 충진재를 주입 및 속관의 고정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속관을 고정하는 제2단계와;
    상기 속관에 지주를 결합하고 고정핀을 상기 속관과 지주에 끼워 상기 지주를 상기 속관에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지주에 횡대를 조립하고 이웃하는 횡대들을 연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의 시공 방법.
KR1020220086438A 2022-07-13 2022-07-13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5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438A KR102457280B1 (ko) 2022-07-13 2022-07-13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438A KR102457280B1 (ko) 2022-07-13 2022-07-13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280B1 true KR102457280B1 (ko) 2022-10-20

Family

ID=8380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438A KR102457280B1 (ko) 2022-07-13 2022-07-13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2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260A (ko) * 2006-12-04 2007-07-18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시선 유도봉
KR20100001976U (ko) * 2008-08-14 2010-02-24 (주)엠 에스산업 차선 규제봉
KR101512344B1 (ko) * 2014-12-30 2015-04-15 채상원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 분리시설
KR102289020B1 (ko) * 2021-03-05 2021-08-11 세이프라인 주식회사 연결구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독립기능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06150B1 (ko) 2020-06-22 2021-09-28 오세민 무볼트 차선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260A (ko) * 2006-12-04 2007-07-18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시선 유도봉
KR20100001976U (ko) * 2008-08-14 2010-02-24 (주)엠 에스산업 차선 규제봉
KR101512344B1 (ko) * 2014-12-30 2015-04-15 채상원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 분리시설
KR102306150B1 (ko) 2020-06-22 2021-09-28 오세민 무볼트 차선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89020B1 (ko) * 2021-03-05 2021-08-11 세이프라인 주식회사 연결구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독립기능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7867C (en) Advanced dynamic impact extension module
DK169214B1 (da) Autoværn
US7198426B2 (en) Prefabricated road median wall
AU2006269598B2 (en) Cable-release anchor assembly
US3902818A (en) Portable traffic sign and base therefor
JP3968202B2 (ja) 道路標識柱
WO2014043114A2 (en) Guardrail
US20130248791A1 (en) Barrier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2457280B1 (ko) 무앵커식 차선 분리대 및 이의 시공 방법
US5938370A (en) Safety barrier with passageway
KR102289020B1 (ko) 연결구를 이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독립기능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57260B1 (ko) 연결구를 이용한 독립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EP2772585B1 (en) Removable base for vertical street furniture elements
GB2023695A (en) Crash barriers
KR101065015B1 (ko) 자전거도로용 펜스
SK500382009A3 (sk) Posuvné prefabrikované železobetónové zvodidlo s lamelovým zámkom
KR100802095B1 (ko)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KR102270229B1 (ko)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체
CN211773146U (zh) 钢背木人行道护栏
KR101298689B1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EP1861548A2 (en) Impact resisting post
AU2011213821A1 (en) A barrier element and a barrier assembly
KR102306150B1 (ko) 무볼트 차선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26260B1 (ko) 시공성 및 보수 편의성이 향상된 난간 구조물
JP6449945B2 (ja) 車線分離体、及びその車線分離体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