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891B1 -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891B1
KR102347891B1 KR1020210117742A KR20210117742A KR102347891B1 KR 102347891 B1 KR102347891 B1 KR 102347891B1 KR 1020210117742 A KR1020210117742 A KR 1020210117742A KR 20210117742 A KR20210117742 A KR 20210117742A KR 102347891 B1 KR102347891 B1 KR 102347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support
guard rail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만균
Original Assignee
방만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만균 filed Critical 방만균
Priority to KR102021011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01F15/0469Covers, e.g. of ground surface around the foo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하부 지면을 덮으며, 복수 개의 블록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블록부, 상기 블록부는 가드레일 하단에 위치하는 기본블록, 지주의 하단에 위치하며 지주와 접촉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의 상부면과 결합하며 가드레일과 상기 블록부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차단판, 가드레일의 지주와 상기 지지블록를 결합하는 제1결합부, 상기 블록부와 상기 차단판을 결합하는 제2결합부로 구성된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Assembly block structure for joining to guardrail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 개로 나뉘어진 블록을 조립하여 구조체를 형성하고, 형성된 구조체를 가드레일과 체결하여 향상된 유지력을 가지며, 구조체와 가드레일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동·식물의 도로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드레일은 고속도로 및 국도등과 같은 도로에서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의 탑승객 및 주변 시설물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가드레일은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지주의 하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매설하고, 매설된 지주의 측면에 가드레일을 부착하는 과정을 통해 설치된다. 가드레일은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상기 지주의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가드레일 하부와 지면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형성된 공간으로 야생동물 및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와 같은 식물이 도로 안으로 침범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침범한 동·식물들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대형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1의 a, b,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속적인 관리가 힘든 일반국도와 지방도에는 실제 수목이 도로에 침범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가드레일에는 절벽, 급경사 굴곡도로 등 안전운행을 위하여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태나 도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판이나 야광 반사 판 등의 각종 교통안전시설물이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가드레일 주변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수목이 도로에 침범하여 교통안전시설물을 가리게 됨으로써 안전운전을 방해하게 된다.
상기한 이유들로 인하여 가드레일이 설치된 주변 바닥에서 자라는 각종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제조작업이 낫이나 제초기 등을 이용한 수작업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동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도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특성상 차량에 의한 사고는 물론, 낫이나 제초기 등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수의 특허 및 실용신안이 제안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050116호 에서는 블록이 6각의 면을 갖도록 하였고 각각의 면이 상하로 요부와 홈부가 형성되어 상하로 잡초가 발생할 수 없도록 하고 있는데 블록의 형태가 복잡하고 현실적으로 콘크리트 성형기를 가지고는 대량생산을 할 수 없는 구조를 하고 있다. 콘크리트 블록 성형기는 몰드에 반죽된 몰탈을 넣고 위에서 위판이 내려와 압력과 진동을 가하면서 눌러주게 되며, 성형이 끝나면 몰드 아래로 빠져 나오도록 되어야 제품의 성형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이 블록의 형태로는 습식방식으로 거푸집에 몰탈을 넣고 적어도 8시간이 지난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밖에는 제조할수 없는 형태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258392호 에서는 일정폭을 가지고,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삼각브라켓을 구성하되, 지지대와 연결대가 180°미만의 각도로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와 연결대의 각 끝에서 일직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두 고정대가 일체로 구성하는 삼각브라켓 판 형상으로 구성하는 판브라켓 통상의 네트가 구성되어 각 포스트에 삼각브라켓의 고정대를 고정하여, 연결대는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대는 수평 방향에 대해 예각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드레일의 바깥쪽을 따라 네트를 바닥 지면에 깔고, 가드레일 쪽은 상부로 지면위로 돌출되어, 네트가 지지대의 각도로 꺾이도록 설치한 뒤, 지지대에 판브라켓을 고정하여 네트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의 펜스를 구성하여, 지면에 네트에 의해 땅을 파는 야생동물의 진입을 방지하고, 상부의 예각으로 설치되는 네트에 의해 가드레일 위로 뛰어넘은 야생 동물의 진입을 방지하는 방법이나, 동물의 진입을 막는 네트가 바람의 영향을 받도록 형성되어 있어 파손된 우려가 높고, 가드판과 네트사이에 자생하는 식물이 도로로 침범하여 도로표지판을 가려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들에서의 펜스 등은 가드레일과의 체결구조가 미비하여 형태와 위치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펜스와 가드레일 사이의 공간이 유의미한 크기로 잔재하여 기타 동·식물의 유입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엇다.
따라서 상기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조립 구조로 형성되어 자재 운반의 어려움을 줄이고, 가드레일과의 체결구조가 형성되어 유지력을 높이며, 구조체와 가드레일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동·식물의 유입을 방지한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557477 B1 (2015.09.25.) KR 10-2018-0101017 A (공개일 2018.09.12.) KR 10-1939752 B1 (등록일 2019.01.1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는 여러 개의 구성요소가 조립되어 형성되므로 자재 운반의 어려움을 줄이고, 구조체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가드레일과의 체결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구조체와 가드레일 사이의 공간에 판을 설치하여 동·식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블록간의 연결구조를 요철로 형성하여 가드레일 하부에 깔리는 블록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지주 양측에 블록을 배치하여 지주의 지지력을 높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블록과 지주간에 앵커를 통해 결합하여 구조체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블록과 가드레일 사이에 설치된 판을 블록 및 지주와 결합하여 판의 고정력을 높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또 다른 본 발명인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의 조립방법을 통해 자재 운반의 어려움을 줄이고, 구조체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가드레일과의 체결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구조체와 가드레일 사이의 공간에 판을 설치하여 동·식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조체를 조립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하부 지면을 덮으며, 복수 개의 블록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블록부, 상기 블록부는 가드레일 하단에 위치하는 기본블록, 지주의 하단에 위치하며 지주와 접촉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의 상부면과 결합하며 가드레일과 상기 블록부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차단판, 가드레일의 지주와 상기 지지블록를 결합하는 제1결합부, 상기 블록부와 상기 차단판을 결합하는 제2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본블록은 지주로부터 또 다른 지주 사이에 1개 내지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기본블록의 양 측면은 서로 맞물리는 1개 내지 복수 개의 요철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기본블록은 측면의 요철구조를 통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은 1개의 지주 당 양측에 위치한 한 쌍으로 형성되며, 지주와 맞닿는 측면이 지주의 형태로 함몰된 지주결합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블록에서 양 측면은 서로 맞물리는 1개 내지 복수 개의 요철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본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은 측면의 요철구조를 통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결합부는 끊어진 고리 형태이며, 지주에 끼워져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앵커부재, 상기 앵커부재의 끊어진 양 끝단에 1개 내지 복수 개의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멍, 상기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블록의 내부까지 관통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블록부의 상부면에 가드레일과 같은 방향으로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는 결합라인, 상기 결합라인의 내측 하부면에 돌출된 1개 내지 복수 개의 돌기로 형성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은 하부면에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는 1개 내지 복수 개의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와 상기 차단판은 상기 끼움홈과 상기 끼움돌기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을 지탱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지주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보강판, 지주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보강판,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을 상기 결합부재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가드레일 결합조립 조립 블록 구조체를 조립하는 조립방법에 있어서, 각 지주마다 지주의 하단 양측에 한 쌍의 지지블록을 배치하는 단계, 다른 쌍의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기본블록을 배치하는 단계, 지주에 고리 형태의 앵커를 끼우고 상기 앵커와 상기 지지블록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기본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면에 차단판을 결합하는 단계, 지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보강판을 덧대고, 두 보강판을 결합하여 상기 차단판을 지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단으로 인한 본 발명의 효과로, 본 발명의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는 여러 개의 구성요소가 조립되어 형성되므로 자재 운반의 어려움을 줄이고, 구조체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가드레일과의 체결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구조체와 가드레일 사이의 공간에 판을 설치하여 동·식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간의 연결구조를 요철로 형성하여 가드레일 하부에 깔리는 블록들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주 양측에 블록을 배치하여 지주의 지지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과 지주간에 앵커를 통해 결합하여 구조체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과 가드레일 사이에 설치된 판을 블록 및 지주와 결합하여 판의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또 다른 본 발명인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의 조립방법을 통해 자재 운반의 어려움을 줄이고, 구조체의 유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가드레일과의 체결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구조체와 가드레일 사이의 공간에 판을 설치하여 동·식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조체를 조립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a, b, c, d는 수목이 침범한 도로의 실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a, b, c는 각각 기본블록의 사시도, 측면도, 정면도이다.
도 4는 한 쌍의 지지블록간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a, b, c는 각각 차단판의 사시도, 측면도, 정면도이다.
도 6 a, b, c는 제1결합부의 앵커부재가 결합구멍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d는 결합된 앵커부재의 측면단면도이다.
도 7은 블록부와 차단판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블록부와 차단판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블록부와 차단판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1결합부와 받침부의 결합구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a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지주의 사시도이다.
도 11 b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지주의 측면도이다.
도 12 a는 도로 내측에서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가드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12 b는 도로 외측에서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가드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지지블록 및 차단판이 지주와 결합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그 확대도이다.
도 14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지주의 외부를 나타낸 측면확대도이다.
도 15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지주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단면도이다.
도 16은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가드레일의 단면도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본 발명인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로 나뉘어진 블록을 조립하여 구조체를 형성하고, 형성된 구조체를 가드레일과 체결하여 향상된 유지력을 가지며, 구조체와 가드레일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동·식물의 도로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음을 일러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하부 지면을 덮으며, 복수 개의 블록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블록부(100), 상기 블록부(100)의 상부면과 결합하며 가드레일과 상기 블록부(100)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차단판(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록부(100)는 가드레일 하단에 위치하는 기본블록(110), 지주의 하단에 위치하며 지주와 접촉하는 지지블록(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기본블록(110)은 지주로부터 또 다른 지주 사이에 1개 내지 복수 개로 형성되며, 더욱 자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본블록(110)의 양 측면은 서로 맞물리는 1개 내지 복수 개의 요철구조(101)를 가지며, 복수 개의 상기 기본블록(110)은 측면의 상기 요철구조(101)를 통해 서로 맞물린다.
상기 지지블록(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지주 당 양측에 위치한 한 쌍으로 형성되며, 지주와 맞닿는 측면에 지주의 형태로 함몰된 지주결합구조(121)를 포함한다. 도 4a는 상기 지지블록(120) 간의 결합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4b는 상기 지지블록(120)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지지블록(120)은 상기 기본블록(110)과 같이 서로 맞물리는 1개 내지 복수 개의 요철구조(101)를 가지며 상기 요철구조(101)를 통해 서로 결합한다. 상기 기본블록(110)과 상기 지지블록(120)의 결합 또한 상기 요철구조(101)를 통해 이뤄진다.
상기 요철구조(101)가 상하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기본블록(110)과 상기 지지블록(120)은 상하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상기 블록부(100)가 모두 연동하게 되어 강한 안정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블록부(100)에 상기 요철구조(101)가 좌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좌우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 강한 안정성을 갖게 된다.
상기 지주결합구조(121)는 원기둥 형태 또는 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지주의 형태에 따라 한 쌍의 지지블록(120)이 합쳐졌을 때 지주와 동일한 형태가 공동(空洞)으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200)은 상기 블록부(100)의 상부면과 결합하여 가드레일과 상기 블록부(10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블록부(100)의 상부면과 결합하기 위한 1개 내지 복수 개의 끼움홈(430)이 형성된다. 이후 가드레일의 도로 내측 하부면과 상기 차단판(200)의 일측 상부가 접촉되어 가드레일에 의한 지지력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부(100)와 상기 차단판(200)은 금속 재질 또는 탄성이 잇는 고무를 포함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난연처리된 폴리에틸렌 섬유나 폴리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또는 이들이 혼합된 섬유로 이루어진 하부층과, 유브이(UV) 처리된 폴리에틸렌 섬유나 폴리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또는 이들이 혼합된 섬유로 표면처리되어 열 또는 충격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지주와 상기 지지블록(120)을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부(300)는, 끊어진 고리 형태이며 지주에 상부로부터 끼워진 후 상기 지지블록(120)의 상부면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하는 앵커부재(310), 상기 앵커부재(310)의 끊어진 양 끝단에 1개 내지 복수 개의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멍(320), 상기 결합구멍(320)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블록(120)의 내부까지 관통하는 고정부재(330)로 구성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 6에 상기 제1결합부(300)가 지주에 결합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상기 앵커부재(3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6b는 지주에 끼워진 상기 앵커부재(310)를 나타내고, 도 6c는 상기 고정부재(330)를 상기 결합구멍(320)에 삽입하여 상기 앵커부재(310)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6d는 결합된 상기 앵커부재(310)와 지주를 도 5c의 A-A'를 따라 측면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블록부(100)와 상기 차단판(200)을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부(400)는, 상기 블록부(100)의 상부면에 가드레일과 같은 방향으로 함몰된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라인(410), 상기 결합라인(410)의 내측 하부면에 돌출된 1개 내지 복수 개의 돌기로 형성되는 끼움돌기(420)로 구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400)를 통해 상기 블록부(100)와 상기 차단판(200)을 결합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a는 상기 차단판(200)의 상기 끼움홀에 상기 끼움돌기(420)가 끼워지기 전을 나타내며, 도 7b는 끼워진 이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420)와 상기 끼움홈(430)이 형성된 위치를 서로 바꾸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끼움돌기(420)를 상기 차단판(200)에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430)을 상기 블록부(100)에 형성하여 상기 차단판(200)과 상기 블록부(10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200)과 상기 기본블록(110)은 결합되는 부분이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지주 등에 의해 상기 차단판(200)의 크기는 임의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결합부(400)를 통해 상기 블록부(100)와 상기 차단판(200)을 결합하는 또 다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단판(200)이 상기 블록부(100)와 1:1로 결합하는 도 7과 달리 상기 차단판(200)과 상기 블록부(100)가 교차하여 결합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는 상기 차단판(200)의 상기 끼움홀에 상기 끼움돌기(420)가 끼워지기 전을 나타내며, 도 8b는 끼워진 이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결합라인(410)의 내벽과 상기 끼움돌기(420)는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120°의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차단판(200)과 상기 블록부(100)가 결합하였을 때 상기 차단판(200)이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120°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라인(410)의 내벽과 상기 끼움돌기(420)를 수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차단판(200)과 상기 끼움홈(430)을 비스듬히 형성하여 상기 차단판(200)이 지면을 기준으로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120°의 기울기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9a는 상기 차단판(200)의 상기 끼움홀에 상기 끼움돌기(420)가 끼워지기 전의 측면을 나타내며, 도 9b는 끼워진 이후의 측면을 나타낸다.
지주에 결합되어 상기 차단판(200)을 지탱하기 위한 받침부(500)는, 지주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보강판(510), 지주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보강판(520), 상기 제1보강판(510)과 상기 제2보강판(520)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결합부재(530)로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500)는 상기 제1결합부(300)의 상단에 지주 형태로 함몰된 상기 제1보강판(510)과 상기 제2보강판(520)을 상기 결합부재(530)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5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이 완성된다. 도 11a는 지주에 결합된 상기 받침부(500)와 상기 제1결합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b는 지주에 결합된 상기 받침부(500)와 상기 제1결합부(3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앵커부재(310), 상기 제1보강판(510), 상기 제2보강판(520), 상기 고정부재(330) 및 상기 결합부재(530)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가드레일과 지주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2 a는 도로 내측에서 바라본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가드레일의 측면도이고, 도 12 b는 도로 외측에서 바라본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가드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1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는, 상기 지지블록(120)과 상기 기본블록(110)이 최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블록(120)은 상기 제1결합부(300)로 지주와 결합되며, 상기 차단판(200)과 상기 블록부(100)는 상기 제2결합부(400)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차단판(200)은 일면이 상기 받침부(500)에 의해 지탱되는 것으로 구조가 완성된다.
도 1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지주의 측면은 식물이 상기 블록부(100)의 하단에 가로막혀 성장하여 도로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의 확대도에서 상기 블록부(100)의 좌측 하단에는 도로가 위치하며, 상기 블록부(100)와 도로가 이어져 닫힌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목이 생육하여 도로를 침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5는 지주의 측면단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가드레일, 지주, 상기 블록부(100), 상기 제1결합부(300) 및 상기 받침부(500)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가 설치된 가드레일의 단면도는 상기 블록부(100)와 가드레일 사이를 상기 차단판(200)이 메워 동물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가드레일이 위치한 도로의 내측으로 동물의 진입을 막을 수 있도록 도로 내측으로부터 상기 받침부(500)가 세워지고, 상기 받침부(500)에서 도로 외측 방향의 일면에 상기 차단판(200)이 접촉한다.
상기 차단판(200)의 각도가 지면을 기준으로 60° 내지 120°인 것에 따라, 상기 받침부(500)와 상기 차단판(200)이 접촉하는 면의 각도 또한 지면을 기준으로 60° 내지 12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강한 바람에 의해 가드레일 결합조립 조립 블록 구조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단판(200)을 그물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물의 재질은 상기한 상기 차단판(200)의 재질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물 형태의 상기 차단판(200)은 육각망, 능형망, 사각망 또는 오각망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로의 커브 등에 의해 상기 블록부(100)에서 이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결합 구조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록부(100)에 연결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핀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다리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핀의 일 실시예로 단순하게는 ∩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잡하게는 거미, 지네 또는 돈벌레와 같은 곤충과 같이 다수의 다리가 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본블록(110) 또는 상기 지지블록(1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연결부위의 양측에 각각 1개 내지 복수 개의 다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블록부(100)의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판(200)을 지탱하는 상기 받침부(500)는 상기 결합부재(530)를 통해 상기 차단판(200), 상기 제1보강판(510) 및 상기 제2보강판(520)을 결합하여 상기 차단판(200)에 더욱 강한 고정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단판(200)은 지주와 지주 간의 거리와 상기 차단판(200)의 크기에 따라 1개 내지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200)이 지주 사이에 복수 개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차단판(200)이 서로 맞닿는 측면에는 1개 내지 복수 개의 요철구조(101)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200)에 형성되는 상기 요철구조(101)를 통해 상기 받침부(500)를 통해 지탱되지 못하는 상기 차단판(200)에 지탱력이 형성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인 가드레일 결합조립 조립 블록 구조체를 조립하는 조립방법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주마다 지주의 하단 양측에 한 쌍의 지지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110), 다른 쌍의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기본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120), 지주에 고리 형태의 앵커를 끼우고 상기 앵커와 상기 지지블록을 결합하는 단계(S130), 상기 기본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면에 차단판을 결합하는 단계(S140), 지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보강판을 덧대고, 두 보강판을 결합하여 상기 차단판을 지탱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지주마다 지주의 하단 양측에 한 쌍의 지지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11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는, 지주의 하단에 도로의 진행방향과 진행방향의 반대편으로 각각 상기 지지블록을 배치하여 밀착시킨다. 상기 지지블록에서 지주와 접촉하는 면은 지주의 형태로 함몰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상기 지지블록의 함몰된 공간은 지주의 수평단면도와 같은 크기와 형태를 갖는다.
다른 쌍의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기본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12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는, 지주와 인접한 또 다른 지주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지지블록의 사이에 기본블록을 배치하는 것으로, 1개 내지 복수 개의 기본블록을 배치한다.
지주에 고리 형태의 앵커를 끼우고 상기 앵커와 상기 지지블록을 결합하는 단계(S13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는, 앵커를 지주의 상단부터 삽입하여 하단에 위치한 지지블록에 접촉시키고, 못 또는 나사 등의 부재로 앵커와 지지블록을 관통하여 지주와 상기 지지블록을 결속한다.
상기 기본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면에 차단판을 결합하는 단계(S14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기본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면에 블록들의 연결방향으로 일자로 이어진 홈을 파내고, 파낸 홈에 상기 차단판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지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보강판을 덧대고, 두 보강판을 결합하여 상기 차단판을 지탱하는 단계(S15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차단판은 일측이 결합된 보강판에 접촉함으로써 보강판에 의해 추가 지지력을 얻는다. 결합된 보강판의 지지력은 지주에서 나오므로 상기 차단판은 지주에 의해 지탱되는 것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 가드레일
20: 지주
100: 블록부
101: 요철구조
110: 기본블록
120: 지지블록
121: 지주결합구조
200: 차단판
300: 제1결합부
310: 앵커부재
320: 결합구멍
330: 고정부재
400: 제2결합부
410: 결합라인
420: 끼움돌기
430: 끼움홈
500: 받침부
510: 제1보강판
520: 제2보강판
530: 결합부재

Claims (9)

  1.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하부 지면을 덮으며, 복수 개의 블록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블록부(100);
    상기 블록부(100)는,
    가드레일 하단에 위치하는 기본블록(110);
    지주의 하단에 위치하며 지주와 접촉하는 지지블록(120);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100)의 상부면과 결합하며 가드레일과 상기 블록부(100)의 사이 공간에 지면을 기준으로 60° 내지 80°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차단판(200);
    가드레일의 지주와 상기 지지블록(120)를 결합하는 제1결합부(300);
    상기 블록부(100)와 상기 차단판(200)을 결합하는 제2결합부(400);
    상기 차단판(200)을 지탱하는 받침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1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다리로 형성되는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은 복수 개의 상기 기본블록(110) 간의 연결부위, 복수 개의 상기 지지블록(120) 간의 연결부위, 상기 기본블록(110)과 상기 지지블록(120) 간의 연결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측에 각각 1개 내지 복수 개의 다리를 삽입하여 상기 블록부(100)의 고정력을 향상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400)는,
    상기 블록부(100)의 상부면에 가드레일과 같은 방향으로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는 결합라인(410);
    상기 결합라인(410)의 내측 하부면에 돌출된 1개 내지 복수 개의 돌기로 형성되는 끼움돌기(42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500)는,
    지주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보강판(510);
    지주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보강판(520);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결합부재(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판(510)과 상기 제2보강판(520)을 상기 결합부재(530)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블록(110)은 지주로부터 또 다른 지주 사이에 1개 내지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기본블록(110)의 양 측면은 서로 맞물리는 1개 내지 복수 개의 요철구조(101);를 갖는 것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기본블록(110)은 측면의 상기 요철구조(101)를 통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120)은 1개의 지주 당 양측에 위치한 한 쌍으로 형성되며, 지주와 맞닿는 측면이 지주의 형태로 함몰된 지주결합구조(121);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블록(120)에서 양 측면은 서로 맞물리는 1개 내지 복수 개의 요철구조(101)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블록(110)과 상기 지지블록(120)은 측면의 요철구조(101)를 통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제1결합부(300)는,
    끊어진 고리 형태이며, 지주에 끼워져 상기 지지블록(120)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앵커부재(310);
    상기 앵커부재(310)의 끊어진 양 끝단에 1개 내지 복수 개의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멍(320);
    상기 결합구멍(320)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블록(120)의 내부까지 관통하는 고정부재(330);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200)은 하부면에 함몰된 홈으로 형성되는 1개 내지 복수 개의 끼움홈(430);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100)와 상기 차단판(200)은 상기 끼움홈(430)과 상기 끼움돌기(420)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8. 삭제
  9. 청구항 1의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를 조립하는 조립방법에 있어서,
    각 지주마다 지주의 하단 양측에 한 쌍의 지지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110);
    다른 쌍의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기본블록을 배치하는 단계(S120);
    지주에 고리 형태의 앵커를 끼우고 상기 앵커와 상기 지지블록을 결합하는 단계(S130);
    상기 기본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상부면에 차단판을 결합하는 단계(S140);
    지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보강판을 덧대고, 두 보강판을 결합하여 상기 차단판을 지탱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의 조립방법.
KR1020210117742A 2021-09-03 2021-09-03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KR102347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742A KR102347891B1 (ko) 2021-09-03 2021-09-03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742A KR102347891B1 (ko) 2021-09-03 2021-09-03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891B1 true KR102347891B1 (ko) 2022-01-05

Family

ID=7934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742A KR102347891B1 (ko) 2021-09-03 2021-09-03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8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295B1 (ko) * 2005-07-11 2007-05-17 (주)한국마사끼엔벡 화단 경계블록 및 그 시스템
KR20090013986A (ko) * 2007-08-03 2009-02-06 (주)보령테크 가드레일 주변 식물 성장 억제 및 동물 침입 방지용덮개구조
KR20100070214A (ko) * 2008-12-17 2010-06-25 동양건설(주) 방초 블록
KR101557477B1 (ko) 2015-02-09 2015-10-07 신봉호 방초블록
KR20180101017A (ko) 2017-03-03 2018-09-12 최현석 방초블록
KR101939752B1 (ko) 2016-12-30 2019-01-17 (유)광일산업 도로변 식물성장 억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295B1 (ko) * 2005-07-11 2007-05-17 (주)한국마사끼엔벡 화단 경계블록 및 그 시스템
KR20090013986A (ko) * 2007-08-03 2009-02-06 (주)보령테크 가드레일 주변 식물 성장 억제 및 동물 침입 방지용덮개구조
KR20100070214A (ko) * 2008-12-17 2010-06-25 동양건설(주) 방초 블록
KR101557477B1 (ko) 2015-02-09 2015-10-07 신봉호 방초블록
KR101939752B1 (ko) 2016-12-30 2019-01-17 (유)광일산업 도로변 식물성장 억제장치
KR20180101017A (ko) 2017-03-03 2018-09-12 최현석 방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387B1 (en) Barriers with interlocking sides
US20220186520A1 (en) Bollard Fence
KR100868368B1 (ko) 로드킬 가드 펜스
US9816238B2 (en) Barrier
KR100946096B1 (ko)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야생동물 보호휀스 및 방초매트 설치구조
US20050236609A1 (en) Tire fence
KR102347891B1 (ko)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US5938370A (en) Safety barrier with passageway
US20180371789A1 (en) Fence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0774956B1 (ko) 야생동물 보호 겸용 잡초 방지 펜스
KR102035821B1 (ko) 무단횡단 방지용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101050116B1 (ko) 방초 블록
KR102092689B1 (ko) 방초블록 구조체
JP5367052B2 (ja) 路肩保護ブロック、路肩構造及び現場打ちコンクリート型枠
KR101395136B1 (ko) 도로변의 지반 보강용 가드 펜스 및 그 시공 방법
JP6532256B2 (ja) 側溝蓋、及び当該側溝蓋を備えた路面構造
KR20090013986A (ko) 가드레일 주변 식물 성장 억제 및 동물 침입 방지용덮개구조
KR101463709B1 (ko) 도로의 가드레일용 동식물 진입차단장치
US20120068135A1 (en) Grate wall
KR102670724B1 (ko) 매립형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도용 방호 울타리
JP5197514B2 (ja) 動物侵入防止柵
KR100961525B1 (ko) 도로용 안전 펜스
JP4562330B2 (ja) 道路立入防止柵の改修工事用資材および改修工法
KR102429594B1 (ko) 도로변 식생억제를 위한 잡초매트
KR20180101017A (ko) 방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