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926U - 박스 - Google Patents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926U
KR20100000926U KR2020080009600U KR20080009600U KR20100000926U KR 20100000926 U KR20100000926 U KR 20100000926U KR 2020080009600 U KR2020080009600 U KR 2020080009600U KR 20080009600 U KR20080009600 U KR 20080009600U KR 20100000926 U KR20100000926 U KR 201000009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ok
guide
fastening hoo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9875Y1 (ko
Inventor
윤희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9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87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9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9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8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bayonet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박스(20)의 외관 및 골격은 메인몸체(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21)의 일측면에는 브라켓홀더(30)가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홀더(30)에는 상기 메인몸체(21)의 외면과의 사이에 삽입채널(31')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3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 사이에는 체결후크(3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33)에는 걸림턱(3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5)의 외면에는 가이드리브(38)가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삽입채널(31')에는 브라켓(40)의 양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40)에는 상기 걸림턱(35)이 걸어지는 걸이공(4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5)과 마주보는 상기 브라켓(40)의 외면에는 경사리브(43)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38)와 접촉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메인몸체(21)의 체결후크(33)에 형성된 걸림턱(35)의 외면에는 가이드리브(38)가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브라켓(40)에는 체결후크(33)와 마주보는 면에 경사리브(43)가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브라켓(40)과 체결후크(33)의 걸림턱(35) 사이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어 브라켓(40)의 삽입력이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박스, 메인몸체, 체결후크, 브라켓, 가이드리브, 경사리브

Description

박스{Box}
본 고안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고정되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를 일정한 장소에 장착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브라켓이 이용된다. 즉, 박스에 구비된 브라켓을 장착하고자 하는 곳에 위치시킨 후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박스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은 박스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박스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배터리에 장착되는 퓨즈박스의 경우에는 퓨즈박스의 규격에 따라 장착되는 높이가 달라질 수 있어, 브라켓의 교체가 요구되기도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각종 전기배선을 위한 박스들이 장착되는데, 도 1에는 정션박스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정션박스(1)에는 각종 전장부품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퓨즈 및 입력되는 값이 일정 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 이가 장착된다.
상기 정션박스(1)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관 및 골격은 메인몸체(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2)의 상면에는 부품삽입부(3)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부품삽입부(3)에는 퓨즈와 같은 부품(미도시)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메인몸체(2)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몸체(2)와 하부커버 사이에는 버스바(미도시)를 포함하여 조립체로 구성된 절연판(미도시)과 포선판(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몸체(2)의 일측에는 브라켓홀더(5)가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홀더(5)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7)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7)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채널(7')이 소정 깊이만큼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채널(7')은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10)의 양측단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가이드(7)의 사이에는 체결후크(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8)는 브라켓(10)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이 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체결후크(8)는 상기 메인몸체(2)와 브라켓(1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몸체(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메인몸체(2)와 브라켓(10)이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후크(8)에는 걸림턱(9)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9)은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10)의 걸이공(11)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체결후크(8)로부터 돌 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9)은 브라켓(10)의 걸이공(1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가이드(5)에 브라켓(10)을 고정시킨다.
상기 브라켓홀더(5)에는 브라켓(10)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그 양측단이 상기 고정가이드(11)의 삽입채널(11')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후크(8)가 상기 브라켓(10)의 걸이공(11)에 걸어져 상기 브라켓홀더(5)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정션박스(1)에 브라켓(10)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후크(8)의 걸림턱(9)은 상기 브라켓(10)의 걸이공(11)에 걸어져야 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10)은 상기 걸이공(11)에 상기 걸림턱(9)이 걸어지는 동안 상기 걸림턱(9)과 면접촉을 이루며 밀착되므로, 상기 브라켓(10)의 걸이공(11)에 상기 걸림턱(9)을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이 크게 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9)을 선단으로 갈수록 양측면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대략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상기 브라켓(10)의 걸이공(11)이 상기 걸림턱(9)에 걸어지는 동안 점차 상기 걸림턱(9)과 접촉하는 면이 증가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브라켓(10)의 걸이공(11)에 상기 걸림턱(9)을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브라켓과 체결후크에 형성된 걸림턱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면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쌍을 이루어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과의 사이에 삽입채널을 형성하는 고정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 사이에는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체결후크가 형성되는 브라켓홀더; 그리고 상기 고정가이드의 삽입채널에 양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체결후크가 걸어지는 걸이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후크에는 상기 브라켓의 걸이공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외면에는 상기 걸림턱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가이드리브가 더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과 마주보는 상기 브라켓의 외면에는 경사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와 접촉한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체결후크의 기저부와 인접한 상기 걸림턱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체결후크의 자유단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의 기저부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상기 체결후 크의 기저부 방향으로 갈수록 가이드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리브는 상기 브라켓의 선단과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걸이공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경사리브에는 상기 걸이공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의 걸이공과 인접한 위치의 경사리브에는 상기 걸이공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간섭회피면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후크의 기저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메인몸체의 체결후크에 형성된 걸림턱의 외면에는 가이드리브가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브라켓에는 상기 체결후크와 마주보는 면에 경사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브라켓과 체결후크의 걸림턱 사이의 접촉면적을 상기 브라켓과 걸림턱이 직접 접촉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의 삽입력이 작아져 작업성이 좋아지고, 브라켓 결합과정에서 메인몸체의 체결후크가 파손될 염려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사시도로 도 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몸체의 요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라켓의 요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션박스와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션박스(20)의 외관 및 골격은 메인몸체(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21)에는 버스바(미도시)를 비롯한 각종 전장품들이 장착된다. 도면에서는 커버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정션박스(2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21)의 상면에는 부품결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결합부(23)에는 다수개의 부품(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부품결합부(23)에 설치된 부품은 상기 메인몸체(21)에 구비되는 버스바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몸체(21)의 일측면에는 브라켓홀더(30)가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홀더(30)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31)와 그 사이에 구비되는 체결후크(3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는 그 횡단면이 대략 'ㄱ' 자 형상으로, 상기 메인몸체(21)의 일측면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는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40)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는 브라켓(4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몸체(21)의 외면과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사이에는 삽입채널(3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채널(31')은 브라켓(40)의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는 부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몸체(21)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리브(32)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32)는 대략 바아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가이드(31)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가이드(31)와 상기 보강리브(32)의 사이에는 리워크창(W)이 형성된다. 상기 리워크창(W)은 상기 고정가이드(31)에 고정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40)을 분리하기 위한 리워크공구(미도시)가 삽입되는 공간에 해당된다. 상기 리워크공구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후크(33)를 탄성변형시켜 브라켓(40)에 걸어진 체결후크(33)를 브라켓(4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사이에는 체결후크(3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33)는 상기 메인몸체(21)에 연결되는 기저부(33')와 상기 기저부(33')에서 소정길이 연장되는 자유단부(33'')로 구성되는 외팔보 형상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체결후크(33)는 상기 메인몸체(2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후크(33)는 브라켓(4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후크(33)에는 상기 체결후크(33)의 자유단부(33'')와 인접한 위치에 걸림턱(3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5)은 상기 메인몸체(21)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5)은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40)의 걸이공(41)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35)은 상기 체결후크(33)의 기저부(33') 방향으로 갈수록 양측면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대략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림턱(35)이 원활하게 브라켓(40)의 걸이공(41)을 관통하여 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림턱(35)의 외면에는 안내경사면(35')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5')은 브라켓(4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경사면(35')은 상기 체결후크(33)의 기저부(33')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5')은 브라켓(40)이 상기 걸림턱(35)에 원활하게 걸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35)의 외면에는 가이드리브(38)가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8)는 상기 체결후크(33)의 기저부(33')와 인접한 상기 걸림턱(35)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체결후크(33)의 자유단부(33'')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리브(38)는 상기 걸림턱(35)의 선단으로부터 브라켓(4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8)는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40)이 상기 체결후크(33)에 원활하게 걸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리브(38)의 돌출된 높이와 상기 걸림턱(35)의 돌출된 높이, 즉, 상기 체결후크(33)에서 상기 걸림턱(35)이 돌출된 높이와의 합은 종래 기술에서의 걸림턱(9)의 돌출된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35) 중 상기 체결후크(33)의 자유단부(33'')와 인접한 부분의 높이는 종래기술에서의 걸림턱(9)의 돌출된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턱(35)의 안내경사면(35')의 경사각은 종래기술의 걸림턱(9)을 횡단면으로 보았을 때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림턱(35)에 브라켓(40)을 걸 때, 상기 가이드리브(38)가 돌출된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삽 입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리브(38)에는 상기 체결후크(33)의 기저부(33')와 인접한 위치에 가이드면(3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38')은 상기 체결후크(33)의 기저부(33')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38')은 브라켓홀더(30)와 브라켓(40)이 결합할 때, 상기 걸림턱(35)이 브라켓(40)의 걸이공(41)에 원활하게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면(38')은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40)의 경사리브(43)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라켓홀더(30)에는 브라켓(40)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40)은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40)은 그 양측단이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삽입채널(31')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가이드(31)에 삽입된다. 상기 브라켓(40)은 차체 패널(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정션박스(20)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라켓(40)에는 걸이공(4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41)은 상기 체결후크(33)의 걸림턱(3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41)은 상기 체결후크(33)의 걸림턱(35)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후크(33)와 마주보는 상기 브라켓(40)의 외면에는 경사리브(4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리브(43)는 상기 브라켓(40)의 선단과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걸이공(41)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경사리브(43)는 상기 체결후크(33)의 가이드리브(38)에 의해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경사리브(43)에는 경사면(43')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43')은 상기 걸이공(41)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43')은 상기 브라켓(40)의 경사리브(43)가 상기 가이드리브(38)에 정확히 접촉하여 상기 브라켓(40)의 걸이공(41)에 상기 체결후크(33)의 걸림턱(35)이 원활하게 걸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리브(43)에는 상기 브라켓(40)의 걸이공(41)과 인접한 위치에 간섭회피면(43a)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면(43a)은 상기 걸이공(41)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면(43a)은 상기 브라켓(40)의 걸이공(41)으로부터 상기 체결후크(33)의 걸림턱(35)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리브(43)에 의해 상기 걸림턱(35)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자는 상기 브라켓(40)을 상기 메인몸체(21)의 브라켓홀더(3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40)의 양측단이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삽입채널(31')에 정확히 삽입되도록 잘 맞추어 삽입한다. 상기 브라켓(40)이 상기 고정가이드(31)에 삽입되면, 상기 브라켓(40)의 선단은 상기 체결후크(33)의 걸림턱(35)에 형성된 가이드리브(38)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40)을 계속 삽입하면, 상기 체결후크(33)의 걸림턱(35)과 마주보는 상기 브라켓(40)의 외면에 형성된 경사리브(43)가 상기 가이드리브(38)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후크(33)는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상기 체결후크(3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 기 브라켓(40)을 상기 고정가이드(31)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브라켓(40)의 경사리브(43)의 경사면(43')이 상기 걸림턱(35)의 가이드리브(38)의 가이드면(38')을 따라 안내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35)의 가이드리브(38)는 상기 걸림턱(35)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리브(43)는 상기 브라켓(4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브라켓(40)과 체결후크(33)의 걸림턱(35) 사이의 접촉면적을 상기 브라켓(40)과 걸림턱(35)이 직접 접촉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할 수 있어 상기 브라켓(40)의 삽입력이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라켓(40)을 계속 삽입하면, 상기 체결후크(33)의 걸림턱(35)은 상기 브라켓(40)의 걸림공(35)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체결후크(33)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턱(35)이 상기 걸이공(41)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브라켓홀더(3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사이에는 보강리브(32)가 구비되므로, 상기 브라켓(40)에 외력이나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고정가이드(31)가 쉽게 파손되지 않아 상기 브라켓(40)이 상기 고정가이드(31)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몸체(21)의 브라켓홀더(30)로부터 브라켓(40)이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상기 리워크창(W)을 통해 리워크공구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리워크공구가 상기 체결후크(33)에 접촉하도록 맞추어 삽입한다. 상기 리워크공구가 상기 체결후크(33)와 접촉하면 작업자는 상기 리워크공구에 힘을 가하여 상기 체결후 크(33)를 상기 메인몸체(21)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체결후크(33)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체결후크(33)의 걸림턱(35)이 상기 브라켓(40)의 걸이공(41)으로부터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브라켓(40)을 상기 고정가이드(3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브라켓(40)을 상기 고정가이드(31)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경사리브(43)에는 간섭회피면(4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경사리브(43)에 의해 상기 걸림턱(35)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몸체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브라켓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박스 21: 메인몸체
23: 부품결합부 30: 브라켓홀더
31: 고정가이드 31': 삽입채널
32: 보강리브 33: 체결후크
33': 기저부 33'': 자유단부
35: 걸림턱 35': 안내경사면
38: 가이드리브 38': 가이드면
40: 브라켓 41: 걸이공
43: 경사리브 43': 경사면
43a: 간섭회피면

Claims (7)

  1.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면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쌍을 이루어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과의 사이에 삽입채널을 형성하는 고정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 사이에는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체결후크가 형성되는 브라켓홀더; 그리고
    상기 고정가이드의 삽입채널에 양측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체결후크가 걸어지는 걸이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후크에는 상기 브라켓의 걸이공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외면에는 상기 걸림턱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가이드리브가 더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과 마주보는 상기 브라켓의 외면에는 경사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와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체결후크의 기저부와 인접한 상기 걸림턱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체결후크의 자유단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의 기저부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가이드리브에는 상기 체결후크의 기저부 방향으로 갈수록 가이드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리브는 상기 브라켓의 선단과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걸이공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리브에는 상기 걸이공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걸이공과 인접한 위치의 경사리브에는 상기 걸이공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간섭회피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후크의 기저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KR2020080009600U 2008-07-18 2008-07-18 박스 KR200449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00U KR200449875Y1 (ko) 2008-07-18 2008-07-18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00U KR200449875Y1 (ko) 2008-07-18 2008-07-18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26U true KR20100000926U (ko) 2010-01-27
KR200449875Y1 KR200449875Y1 (ko) 2010-08-17

Family

ID=4419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600U KR200449875Y1 (ko) 2008-07-18 2008-07-18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875Y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011A (ko) * 2013-08-08 2015-02-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KR20150055297A (ko) * 2013-11-13 2015-05-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용 부품 장착장치
WO2016163619A1 (ko) * 2015-04-07 2016-10-13 주식회사 엘피아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를 위한 여닫이문 고정 장치
KR101850459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1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5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0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6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2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4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8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3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20190057996A (ko) * 2017-11-21 2019-05-2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KR20190001255U (ko) * 2017-11-21 2019-05-2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405B1 (ko) 2019-04-26 2019-11-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970U (ko) * 1996-09-20 1998-06-25 양재신 자동차용 퓨즈박스의 커버체결구조
KR19980043632A (ko) * 1996-12-04 1998-09-05 박병재 차량의 커넥터 파손 방지용 보조 클립
JP4577061B2 (ja) 2005-03-28 2010-11-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011A (ko) * 2013-08-08 2015-02-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KR20150055297A (ko) * 2013-11-13 2015-05-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용 부품 장착장치
WO2016163619A1 (ko) * 2015-04-07 2016-10-13 주식회사 엘피아 여닫이문 자동 닫힘 방지를 위한 여닫이문 고정 장치
KR20190001255U (ko) * 2017-11-21 2019-05-2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지지부를 이용한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KR20190057996A (ko) * 2017-11-21 2019-05-2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전장 박스의 결합 구조
KR101850460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5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6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2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4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8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3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1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9B1 (ko) * 2018-01-10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875Y1 (ko)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875Y1 (ko) 박스
JP4713455B2 (ja) クリップ
KR20090008655U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US10471909B2 (en) Clip and mounting structure of door trim
KR20200081997A (ko) 와이어 하네스용 조절형 밴드케이블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40514Y1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102090128B1 (ko)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KR200445635Y1 (ko) 정션박스
JP2000270448A (ja) ワイヤハーネス取付用バンド
JP5878140B2 (ja) モールのクリップ締結構造
KR100838789B1 (ko) 박스 조립체
KR100823343B1 (ko) 정션박스의 케이블 엔트리장치
KR20200081999A (ko) 와이어 하네스용 작업공구 조절형 밴드케이블
JP2014104877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ボトムカバー取付け構造
KR200439564Y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KR200439566Y1 (ko) 정션박스의 커버
KR100856488B1 (ko) 채널형 브라켓 구조
KR100933542B1 (ko) 조립형 퓨즈박스
KR200442920Y1 (ko) 커넥터 하우징
KR20100118440A (ko) 버스바의 결합구조
KR20100114366A (ko) 커넥터조립체
KR20090072743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