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440A - 버스바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버스바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440A
KR20100118440A KR1020090037294A KR20090037294A KR20100118440A KR 20100118440 A KR20100118440 A KR 20100118440A KR 1020090037294 A KR1020090037294 A KR 1020090037294A KR 20090037294 A KR20090037294 A KR 20090037294A KR 20100118440 A KR20100118440 A KR 20100118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terminal
mating terminal
coupling
elastic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7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8440A/ko
Publication of KR2010011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박스(20)에는 일측을 향해 개구되는 버스바장착공간(23')이 형성되는 버스바장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20)의 내부에는 안착채널(24')이 형성되는 안착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채널(24')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걸이턱(2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공간(23')에는 버스바(40)가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40)의 일측에는 탄성변형가능하게 탄성결합부(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는 탄성변형을 통해 상대단자(T)와 결합되어 상기 안착채널(24')에 함께 삽입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에는 상기 상대단자(T)에 형성된 관통공(O)에 걸어지는 결합비드(5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40)의 하단은 상기 걸이턱(26)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바(40)에는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결합부(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단자(T)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탄성결합부(50)에는 결합비드(5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대단자(T)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O)에 걸어져 상대단자(T)가 버스바(40)에 고정되므로, 버스바(40)와 상대단자(T)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버스바, 상대단자, 박스, 탄성변형, 결합

Description

버스바의 결합구조{Fastening structure of bus-bar}
본 발명은 버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부의 차량용 박스 등에 설치되어 각종 부품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버스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 고정구조의 요부 구성이 저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달하는 차량용 박스(1)(이하 '박스'라 칭함)가 구비된다. 상기 박스(1)의 외관은 박스몸체(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2)는 일반적으로 합성주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10)를 비롯하여 퓨즈(미도시)나 릴레이(미도시) 등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박스몸체(2)에는 버스바장착부(3)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는 버스바(1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박스몸체(2)의 일측을 향해 개구되는 버스바장착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공간(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10)의 몸체부(11)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버스바장착공간(3')은 버스바(10)의 몸체부(11)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몸체(2)의 내부에는 안착부(5)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5)는 상기 버스바장착부(3)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5)는 상대단자(T) 및 너트(N)가 안착되어 버스바(10)와 결합된다.
상기 안착부(5)에는 안착채널(5')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5')은 상대단자(T)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5')은 상기 상대단자(T) 및 너트(N)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채널(5')의 일측은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개구된 부분을 통해 너트(N)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10)의 체결공(12)이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상대단자(T)는 상기 버스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볼트와 같은 볼트(B)가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에는 버스바(10)가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1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는 상기 버스바장착부(3)에 고정되서, 상기 박스몸체(2)에 장착된 기타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11)는 판 상의 금속을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단자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몸체부(11)에서 직립되게 돌출되는 부분으로 단자 또는 퓨즈 등과 결 합된다. 즉, 상기 단자부에 의해 상기 버스바(10)가 상대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11)의 일단부에는 체결공(1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2)은 상대단자(T)의 체결공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2)은 볼트(B)에 의해 관통되어 너트(N)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11)가 상기 버스바장착부(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너트(N)와 볼트(B)는 상기 버스바(10)와 상대단자(T)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스바(10) 및 상대단자(T)와는 별개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버스바(10)와 상대단자(T)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너트(N) 및 볼트(B)와 같은 별도의 부품이 더 구비되어야 하므로, 부품수가 늘어나고, 조립을 위한 공수가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B)를 상기 너트(N)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10) 및 상대단자(T)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볼트(B)를 일정한 힘으로 체결해야 하므로, 이를 작업할 시에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토크라벨(torque label)이 상기 박스(1)에 부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토크라벨을 제작하기 위한 재료비 및 작업공수가 더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와 상대단자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일측을 향해 개구되는 버스바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버스바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장착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안착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채널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박스; 상기 버스바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채널에 삽입되는 탄성결합부가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걸이턱에 지지되는 버스바; 그리고 상기 탄성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박스의 안착채널에 삽입되고, 그 일부는 상기 박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박스에 고정되는 상대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결합부에는 결합비드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대단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결합부가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상대단자의 외면에 밀착되고 상기 결합비드가 상기 관통공에 걸어진다.
상기 버스바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고, 하단이 소정 폭만큼 절곡되어 상기 버스바장착공간의 내면 일측에 걸어지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고, 상기 절곡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대단자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 결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상대단자의 관통공에 걸어지는 결합비드가 상기 고정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대단자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상기 고정부를 향해 단자치게 형성되는 탄성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착판과 상기 고정부의 외면은 상기 상대단자의 양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탄성결합부의 선단에는 상기 상대단자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가이드판이 상기 상대단자가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가이드판과 상기 고정부 사이의 폭은 상기 상대단자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와 마주보는 상기 밀착판과 삽입가이드판 사이에는 상기 상대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안내경사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판과 상기 고정부 사이의 폭은 상기 상대단자의 폭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버스바에는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단자의 양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결합부에는 결합비드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대단자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에 걸어져 상기 상대단자가 버스바에 고정된다. 따라서, 버스바와 상대단자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을 위한 공수가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의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의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저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와 상대단자가 결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스바(40) 및 상대단자(T)에 해칭을 하여 둘의 관계가 명확하도록 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20)의 외관 및 골격은 박스몸체(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2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박스몸체(2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40)를 비롯하여 퓨즈(미도시)나 릴레이(미도시) 등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도 2에는 박스몸체(21)의 저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박스몸체(21)에는 버스바장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23)는 버스바(4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스바장착부(23)의 내부에는 일측이 상기 박스몸체(21)의 일측을 향해 개구되는 버스바장착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공간(2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4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버스바장착공간(23')은 버스바(10)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몸체(21)의 내부에는 안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4)는 상기 버스바장착부(23)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4)는 상대단자(T) 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40)의 탄성결합부(5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대단자(T)는 상기 버스바(40)와 함께 상기 박스몸체(21)의 내부에 결합되고, 그 일부는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부로 돌출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박스몸체(21)에 고정되는 것으로,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대단자(T)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40)의 결합공간(S)에 삽입되어 버스바(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상대단자(T)는 버스바(40)의 탄성결합부(50)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대단자(T)에는 관통공(O)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O)은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결합부(50)의 결합비드(54)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O)에 탄성결합부(50)의 결합비드(54)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대단자(T)는 상기 버스바(40)에 고정된다.
상기 안착부(24)에는 안착채널(2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24')의 내부는 상기 상대단자(T) 및 버스바(40)의 고정부(4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24')은 상기 상대단자(T)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24')은 상기 상대단자(T) 및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40)의 고정부(46)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채널(24')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걸이턱(2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6)은 상기 안착채널(24')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6)은 버스바(40)의 하단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26)은 버스바(40)가 버스바장착부(23)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턱(26)에는 가이드면(2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26')은 상기 걸이턱(26)의 선단으로부터 버스바(40)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26')은 버스바(4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23)에는 버스바(40)가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4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4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41)는 판 상의 금속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40)에는 상기 몸체부(41)의 일측으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절곡부(43)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43)는 상기 버스바(40)를 펼쳐보았을 때, 상기 몸체부(4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43)에는 걸림편(4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44)은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절곡부(43)의 하단이 소정 폭만큼 절개되고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편(58)은 상기 버스바(40)가 상기 버스바장착공간(2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장착공간(23')의 내면을 향해 소정각도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58)은 상기 버스바장착부(23)의 버스바장착공간(23')의 내면 일측에 걸어져 상기 버스바(40)가 상기 버스바장착부(23)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곡부(43)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단자부(45)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45)는 상기 절곡부(43)에서 직립되게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대단자 또는 퓨즈 등 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41)의 타측에는 고정부(4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6)는 상기 몸체부(41)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6)는 상기 절곡부(43)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6)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단자(T)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46)의 일측에는 탄성결합부(50)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는 상기 고정부(46)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는 상기 고정부(46)의 외면과 나란하게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는 상기 버스바(40)를 펼쳐보았을 때, 상기 몸체부(41)와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는 상기 고정부(46)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는 상기 고정부(46)의 일측 가장자리보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의 외관은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는 상기 상대단자(T)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결합부(50)와 고정부(46) 사이에는 결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S)은 상대단자(T)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간(S)의 폭은 상기 상대단자(T)의 폭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결합부(50)는 상기 고정부(46)의 외면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대단자(T)가 결합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의 자유단부에는 밀착판(52)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판(52)은 상기 고정부(46)의 외면을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판(52)은 상기 상대단자(T)의 외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밀착판(52)에는 결합비드(5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비드(54)는 상기 밀착판(52)으로부터 상기 결합공간(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비드(54)는 상기 상대단자(T)의 관통공(O)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비드(54)는 상기 상대단자(T)의 관통공(O)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탄성결합부(50)로부터 상대단자(T)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탄성결합부(50)의 자유단부 선단에는 삽입가이드판(5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판(55)은 상기 밀착판(52)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부(46)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판(55)은 상기 고정부(46)의 외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판(55)과 상기 고정부(46) 사이의 폭은 상기 상대단자(T)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판(55)은 상기 상대단자(T)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가이드판(55)과 상기 밀착판(52) 사이에는 안내경사면(56)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56)은 상기 고정부(46)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상대단자(T)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56)은 상기 상대단자(T)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대단자(T)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상대단자(T)는 상기 안내경사면(56)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결합공간(S)의 내부로 삽입되어 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 결합구조의 작 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버스바(40)를 박스(20)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상기 박스몸체(21)의 버스바장착부(23)에 버스바(40)를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40)를 상기 버스바장착공간(23')에 장착시킨다. 이때, 상기 버스바(40)의 탄성결합부(50)가 상기 안착부(24)의 안착채널(24')과 마주보는 위치에 오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40)의 단자부(45)부터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버스바장착공간(23')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버스바(40)의 절곡부(43)에 형성된 걸림편(44)은 상기 버스바장착공간(23')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부(46)를 향하여 탄성변형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40)가 상기 버스바장착공간(23')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결합부(50)의 선단이 상기 안착채널(24')의 내면에 형성된 걸이턱(26)의 가이드면(26')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걸이턱(26)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46)의 걸림편(44)이 다시 복원되면서, 상기 버스바장착공간(23')의 내면 일측에 걸어지게 되고, 상기 버스바(40)의 탄성결합부(50)의 하단이 상기 걸이턱(26)에 지지되어 상기 버스바(4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상대단자(T)를 파지하여 상기 버스바(40)의 탄성결합부(50)와 고정부(46)사이, 즉, 상기 결합공간(S)으로 상기 상대단자(T)를 삽입한 다. 이때, 상기 상대단자(T)는 상기 버스바(40)가 상기 박스몸체(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40)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박스몸체(21)를 통과하여 삽입된다.
상기 결합공간(S)으로 상기 상대단자(T)를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상대단자(T)는 상기 버스바(40)의 탄성결합부(50)에 형성된 삽입가이드판(55)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결합공간(S)으로 원활하게 삽입되어, 상기 탄성결합부(50)의 안내경사면(56)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상대단자(T)를 상기 결합공간(S)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탄성결합부(50)의 밀착판(52)이 상기 상대단자(T)에 의해 상기 고정부(4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대단자(T)의 관통공(O)에 상기 밀착판(52)의 결합비드(54)가 걸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결합부(50)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탄성결합부(50)의 밀착판(52)과 고정부(46)의 외면에 상기 상대단자(T)의 앙측면이 밀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버스바(40)에서 상기 상대단자(T)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버스바(40)에 상기 상대단자(T)가 장착되면, 상기 버스바(40)의 단자부(45)는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대 퓨즈 또는 릴레이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대단자(T)는 상기 박스몸체(21)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박스몸체(21)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대단자(T)와 버스바(40)를 결합시키기 위해, 별도의 체결 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버스바(40)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결합부(50)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단자(T)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버스바(40)의 절곡부(43) 및 고정부(46)는 몸체부(4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바(40)의 몸체부(41)와 절곡부(43) 및 고정부(46)는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스바 고정구조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의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와 상대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박스 21: 박스몸체
23: 버스바장착부 23': 버스바장착공간
24: 안착부 24': 안착채널
26: 걸이턱 26': 가이드면
40: 버스바 41: 몸체부
43: 절곡부 44: 걸림편
45: 단자부 46: 고정부
50: 탄성결합부 52: 밀착판
54: 결합비드 55: 삽입가이드판
56: 안내경사면 S: 결합공간
T: 상대단자 O: 관통공

Claims (5)

  1. 내부에 일측을 향해 개구되는 버스바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버스바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장착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안착채널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채널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박스;
    상기 버스바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채널에 삽입되는 탄성결합부가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걸이턱에 지지되는 버스바; 그리고
    상기 탄성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박스의 안착채널에 삽입되고, 그 일부는 상기 박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박스에 고정되는 상대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결합부에는 결합비드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대단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결합부가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상대단자의 외면에 밀착되고 상기 결합비드가 상기 관통공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고, 하단이 소정 폭만큼 절곡되어 상기 버스바장착공간의 내면 일측에 걸어지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고, 상기 절곡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대단자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상대단자의 관통공에 걸어지는 결합비드가 상기 고정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대단자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이 상기 고정부를 향해 단자치게 형성되는 탄성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착판과 상기 고정부의 외면은 상기 상대단자의 양측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결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합부의 선단에는 상기 상대단자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가이드판이 상기 상대단자가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가이드판과 상기 고정부 사이의 폭은 상기 상대단자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결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마주보는 상기 밀착판과 삽입가이드판 사이에는 상기 상대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안내경사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의 결합구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과 상기 고정부 사이의 폭은 상기 상대단자의 폭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결합구조.
KR1020090037294A 2009-04-28 2009-04-28 버스바의 결합구조 KR20100118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94A KR20100118440A (ko) 2009-04-28 2009-04-28 버스바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94A KR20100118440A (ko) 2009-04-28 2009-04-28 버스바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440A true KR20100118440A (ko) 2010-11-05

Family

ID=4340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294A KR20100118440A (ko) 2009-04-28 2009-04-28 버스바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84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603A (ko) 2018-11-07 2020-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버스바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603A (ko) 2018-11-07 2020-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버스바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5926B2 (en) Battery block for vehicle
KR200449875Y1 (ko) 박스
KR20090008655U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JP5420994B2 (ja) 電気接続箱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JP5798777B2 (ja) ワッシャ保持用ブラケット構造
US6805593B2 (en) Quick connect battery terminal
JP5299699B2 (ja) 電気接続箱
KR20100118440A (ko) 버스바의 결합구조
US11165227B2 (en) Power distribution unit, such as a fuse box for a vehicle
JP4914746B2 (ja) 電気接続箱のハーネス付設構造
KR200444213Y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결합구조
JP5878140B2 (ja) モールのクリップ締結構造
KR100948132B1 (ko) 차량용박스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10100936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80003675U (ko) 커넥터하우징
KR100907539B1 (ko)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KR20120073696A (ko) 커넥터
JP5342533B2 (ja) 自動車用リレーボックス
KR200447847Y1 (ko)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커넥터어셈블리
KR200438077Y1 (ko) 정션박스
KR101697259B1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KR100922205B1 (ko) 벌브커넥터
KR200445635Y1 (ko)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