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603A - 버스바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버스바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603A
KR20200052603A KR1020180135757A KR20180135757A KR20200052603A KR 20200052603 A KR20200052603 A KR 20200052603A KR 1020180135757 A KR1020180135757 A KR 1020180135757A KR 20180135757 A KR20180135757 A KR 20180135757A KR 20200052603 A KR20200052603 A KR 20200052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male
female
coupling
bu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6975B1 (ko
Inventor
최문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96975B1/ko
Priority to CN201921852872.5U priority patent/CN210692776U/zh
Priority to US16/674,938 priority patent/US10756526B2/en
Publication of KR2020005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1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the spring shape allowing insertion of the conductor end when the spring is unbiased
    • H01R4/4823Multiblad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6Busbar details
    • H01R4/485Single busbar common to multiple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부품에 장착되는 버스바의 결합구조에 있어, 상기 전력부품의 다른 구성에 각각 결합되는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 및 수(Male) 타입의 버스바로 구성되고,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와 수 타입의 버스바는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의 결합구조는 고전압 부품들의 버스바 간 연결을 종래의 볼팅 결합구조에서 커넥팅 방식으로 변경하여, 인버터의 소형화 및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바 간 체결시 사용되는 치공구의 삭제가 가능하므로 전력부품 배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스바의 결합구조{Fastening structure of bus-bar}
본 발명은 버스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Male 타입의 버스바와 Female 타입의 버스바로 구성되어 볼팅 등 다른 부품 및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버스바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친환경 자동차의 경우 고전압 배터리의 출력 및 효율 때문에 종래의 가솔린 자동차나 디젤 자동차에 비해 충전 후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짧은 편이다.
그리고 주행 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전압 배터리의 출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데, 고전압 배터리의 전력을 구동 모터로 전달하는 인버터의 경우 고전압 배터리의 출력을 모두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고전력 부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기존에 비해 더 큰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련된 전력 부품 및 연결 부품들도 크기가 커지고 있다.
인버터 내 전력 부품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고전력 부분은 버스바를 이용하고 저전력 부분은 와이어 케이블을 이용해서 연결되고 있는데, 버스바는 일반적으로 볼팅을 이용해서 체결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볼팅 체결 방식을 사용함에 의해 부품 간 배치에 큰 제약 공간이 생겨 인버터 전체 크기가 점점 커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 간 편차가 커서 조립시 파손이나 접속 불량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버스바 간 볼팅 체결 구조 적용시 치공구가 들어갈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버터 내부의 전력부품들은 적층식으로 조립한다.
즉, 1층에 부품 배치하고 볼팅 체결로 조립하고, 그 상부에 다른 부품 배치하고 볼팅 체결로 조립하는 등, 적층식으로 하나씩 조립하면서 볼팅으로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 배치가 대부분 정해져 있다.
또한, 볼팅 체결을 위해 상부에는 치공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며 하부에는 너트가 들어갈 수 있는 구조물이 별도로 필요하게 됨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8440호(2010.11.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고전압 부품들의 버스바 간 연결을 종래의 볼팅 결합구조에서 커넥팅 방식으로 변경하여, 인버터의 소형화 및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버스바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버스바의 결합구조는 전력부품에 장착되는 버스바의 결합구조에 있어, 상기 전력부품의 다른 구성에 각각 결합되는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 및 수(Male) 타입의 버스바로 구성되고,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와 수 타입의 버스바는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와 수 타입의 버스바는 전력부품에 일 단이 고정결합되는 암·수 버스바 몸체; 및 상기 버스바 몸체의 타 단에 각각 형성되고 결합 또는 분리되는 암·수 버스바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수 버스바 몸체와 암·수 버스바 결합부는 복수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의 내면 둘레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의 외면에는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의 내면과 수 버스바 결합부의 외면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는 전력부품과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와 수 타입의 버스바는 전력부품에 일 단이 고정결합되는 직각 형상의 암·수 버스바 몸체; 및 상기 버스바 몸체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암 버스바 결합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 버스바 결합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의 내면 상부 또는 내면 하부 또는 내면 상·하부 중 어느 한 곳에 판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 장착홈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의 결합구조는 고전압 부품들의 버스바 간 연결을 종래의 볼팅 결합구조에서 커넥팅 방식으로 변경하여, 인버터의 소형화 및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바 간 체결시 사용되는 치공구의 삭제가 가능하므로 전력부품 배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바의 결합구조는 전력부품의 버스바 간 직접 결합이 가능하여, 전력부품들의 배치가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인버터 내 공간 활용도가 높아져 인버터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바의 결합구조는 제품 생산시 버스바 체결간 수작업이 없어져서 작업자 간 편차에 의한 불량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바가 냉각기에 직접 닿게 설계가 가능하여 고출력 전력부품의 경우 좀 더 효과적인 냉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결합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결합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암 타입의 버스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암 타입의 버스바를 구성하는 암 버스바 결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수 타입의 버스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보호 커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바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8의 암·수 타입의 버스바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 실시예 1>
본원발명인 버스바의 결합구조(100)는 전력부품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의 결합구조(100)는 서로 다른 전력부품의 구성(10, 20)에 각각 결합되는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200)와 수(Male) 타입의 버스바(300)로 대별된다.
즉, 상기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200)와 수(Male) 타입의 버스바(300)가 서로 다른 전력부품의 구성(10, 20)에 각각 결합된 후 끼움 구조를 통해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의 결합구조(100)는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200)와 수(Male) 타입의 버스바(300)가 수직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스프링(500)을 통해 고정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200)는 전력부품(10)에 일 단이 고정결합되는 암 버스바 몸체(210)와 상기 암 버스바 몸체(210)의 타 단에 형성되는 암 버스바 결합부(2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200)는 전력부품(10)에 암 버스바 몸체(210)의 일 단을 결합하고, 상기 암 버스바 몸체(210)의 타 단에 형성되는 암 버스바 결합부(220)를 통해 수 타입의 버스바(300)를 구성하는 수 버스바 결합부(320)와 끼움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암 버스바 몸체(210)와 암 버스바 결합부(22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복수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 버스바 몸체(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암 버스바 몸체(210)는 제작이 용이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 버스바 몸체(210)는 암 버스바 결합부(220)가 수 버스바 몸체(310)의 수 버스바 결합부(320)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된다.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는 내면이 원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는 결합력 및 접촉면적을 고려하여 내면을 원형 도넛 같이 형성하여, 수 버스바 몸체(310)의 수 버스바 결합부(320)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의 내면 둘레에 장착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222)에는 스프링(50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면에 둘레를 따라 장착홈(222)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222)에 스프링(500)을 장착하여,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320)와 결합시 고정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는 전력부품(10, 2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전력부품(10, 20)과 용접 또는 리벳 등을 통해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 타입의 버스바(300)는 전력부품(20)에 일 단이 고정결합되는 수 버스바 몸체(310)와 상기 수 버스바 몸체(310)의 타 단에 형성되는 수 버스바 결합부(3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 타입의 버스바(300)는 전력부품(20)에 수 버스바 몸체(310)의 일 단을 결합하고,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320)는 암 버스바 결합부(220)와 끼움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 버스바 몸체(310)와 수 버스바 결합부(32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복수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 버스바 몸체(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수 버스바 몸체(310)는 제작이 용이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 버스바 몸체(310)는 전력부품(20)과 연결되는 타 단이 연장형성되어 버스바 터미널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320)의 외면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320)의 외면은 암 버스바 결합부(220)의 내면과 대응되게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320)의 외면에는 스프링(50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320)는 외면에 스프링(500)을 장착하여,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와 결합시 고정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결합구조(100)는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200)와 수(Male) 타입의 버스바(300)에 각각 구성되는 암·수 버스바 결합부의 결합부분에 보호 커버(4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버스바의 결합구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력부품(10)의 일 면에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암 버스바 몸체(210)와 상기 암 버스바 몸체(210)의 타 단에 원형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 둘레에는 장착홈(222)이 형성되는 암 버스바 결합부(220)로 구성되는 암 타입의 버스바(20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의 장착홈(222)에는 스프링(500)을 장착한다.
그리고 또 다른 전력부품(20)의 일 면에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 버스바 몸체(310)와 상기 수 버스바 몸체(310)의 타 단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 버스바 결합부(320)로 구성되는 수 타입의 버스바(300)를 장착한다.
이후, 상기 전력부품(10, 20)을 조립하게 되면,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200)를 구성하는 암 버스바 결합부(220)는 수 타입의 버스바(300)를 구성하는 수 버스바 결합부(320)에 끼움 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는 장착홈(222)에 장착된 스프링(500)을 통해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320)와 더욱더 강인하게 고정 및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와 수 버스바 결합부(320)의 결합부분에는 보호 덮개(40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덮개(400)는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와 수 버스바 결합부(320)를 가압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하 진동 및 좌우 진동에도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와 수 버스바 결합부(3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 덮개(400)는 전력부품과 절연을 위해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 예 2>
본원발명인 버스바의 결합구조(100)는 전력부품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의 결합구조(100)는 서로 다른 전력부품의 구성(10, 20)에 각각 결합되는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200a)와 수(Male) 타입의 버스바(300a)로 대별된다.
즉, 상기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200a)와 수(Male) 타입의 버스바(300a)가 서로 다른 전력부품의 구성(10, 20)에 각각 결합된 후 끼움 구조를 통해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의 결합구조(100)는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200a)와 수(Male) 타입의 버스바(300a)가 수평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판 스프링(500a)을 통해 고정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200a)는 전력부품(10)에 일 단이 고정결합되는 암 버스바 몸체(210a)와 상기 암 버스바 몸체(210a)의 끝단에 형성되는 암 버스바 결합부(220a)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200a)는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암 버스바 몸체(210a)의 끝단 부분으로 암 버스바 결합부(220a)을 홈 형상으로 형성하여, 수 타입의 버스바(300a)를 구성하는 수 버스바 결합부(320a)와 끼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a)의 내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a)는 결합력 및 접촉면적을 고려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a)는 내면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 중 어느 하나에 판 스프링 장착홈(22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a)는 내부에 판 스프링 장착홈(222a)을 형성하여, 판 스프링(500a)의 위치를 안내할 뿐만 아니라 양측 끝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판 스프링 장착홈(222a)은 외부와 연통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끝단(224a)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판 스프링 장착홈(222a)에 장착되는 판 스프링(500a)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 장착홈(222a)에 장착되는 판 스프링(500a)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는 판재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이 판 스프링 장착홈(222a)에 지지된다.
즉, 상기 판 스프링(500)은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에 위치한 판 스프링 장착홈(222a)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상기 수 타입의 버스바(300a)를 구성하는 수 버스바 결합부(320a)의 결합시 상기 판 스프링(500a)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320a)를 고정 및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 타입의 버스바(300a)는 전력부품(20)에 일 단이 고정결합되는 수 버스바 몸체(310a)와 상기 수 버스바 몸체(310a)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 버스바 결합부(320a)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 타입의 버스바(300a)는 전력부품(20)에 직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 버스바 몸체(310a)의 일 단을 결합한 후 암 버스바 결합부(220a)에 수 버스바 몸체(310a)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 버스바 결합부(320a)를 끼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스바 몸체(310a)와 수 버스바 결합부(320a)는 목적 등에 따라 복수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 버스바 몸체(310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수 버스바 몸체(310a)는 제작이 용이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결합구조(100)는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200a)와 수(Male) 타입의 버스바(300a)에 각각 구성되는 암·수 버스바 결합부의 결합부분에 보호 커버(4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버스바의 결합구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력부품(10)의 일 면에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암 버스바 몸체(210a)와 상기 암 버스바 몸체(210a)의 끝단에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 상·하부에는 판 스프링 장착홈(222a)이 형성되는 암 타입의 버스바(200a)를 장착한다.
그리고 또 다른 전력부품(20)의 일 면에 직각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수 버스바 몸체(310a)와 상기 수 버스바 몸체(310a)의 끝단에 형성되는 수 버스바 결합부(320a)로 구성되는 수 타입의 버스바(300a)를 장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력부품(10, 20)을 조립하게 되면,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200a)를 구성하는 암 버스바 결합부(220a)는 수 타입의 버스바(300a)를 구성하는 수 버스바 결합부(320a)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a)는 판 스프링 장착홈(222a)에 장착된 판 스프링(500a)을 통해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320a)와 더욱더 강인하게 고정 및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a)와 수 버스바 결합부(320a)의 결합부분에는 보호 덮개(40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덮개(400)는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a)와 수 버스바 결합부(320a)를 가압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하 진동 및 좌우 진동에도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220a)와 수 버스바 결합부(320a)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 덮개(400)는 전력부품과 절연을 위해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버스바의 결합구조 200 : 암 타입의 버스바
210 : 암 버스바 몸체 220 : 암 버스바 결합부
222 : 장착홈 300 : 수 타입의 버스바
310 : 수 버스바 몸체 320 : 수 버스바 결합부
400 : 보호 커버 500 : 스프링
500a : 판 스프링

Claims (11)

  1. 전력부품에 장착되는 버스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력부품의 다른 구성에 각각 결합되는 암(Female) 타입의 버스바 및 수(Male) 타입의 버스바로 구성되고,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와 수 타입의 버스바는 끼움 결합되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와 수 타입의 버스바는,
    전력부품에 일 단이 고정결합되는 암·수 버스바 몸체; 및
    상기 버스바 몸체의 타 단에 각각 형성되고 결합 또는 분리되는 암·수 버스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버스바 몸체와 암·수 버스바 결합부는 복수개수로 형성되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의 내면 둘레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 버스바 결합부의 외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의 내면과 수 버스바 결합부의 외면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는 전력부품과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버스바 결합부의 상부에는 보호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타입의 버스바와 수 타입의 버스바는,
    전력부품에 일 단이 고정결합되는 직각 형상의 암·수 버스바 몸체; 및
    상기 버스바 몸체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암 버스바 결합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 버스바 결합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 버스바 결합부의 내면 상부 또는 내면 하부 또는 내면 상·하부 중 어느 한 곳에 판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 장착홈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인 버스바의 결합구조.

KR1020180135757A 2018-11-07 2018-11-07 버스바의 결합구조체 KR10269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57A KR102696975B1 (ko) 2018-11-07 2018-11-07 버스바의 결합구조체
CN201921852872.5U CN210692776U (zh) 2018-11-07 2019-10-31 汇流条的耦接结构
US16/674,938 US10756526B2 (en) 2018-11-07 2019-11-05 Coupling structure of bus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757A KR102696975B1 (ko) 2018-11-07 2018-11-07 버스바의 결합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603A true KR20200052603A (ko) 2020-05-15
KR102696975B1 KR102696975B1 (ko) 2024-08-20

Family

ID=7045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757A KR102696975B1 (ko) 2018-11-07 2018-11-07 버스바의 결합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56526B2 (ko)
KR (1) KR102696975B1 (ko)
CN (1) CN21069277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40792B (zh) * 2022-04-22 2024-05-01 台灣莫仕股份有限公司 電連接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3U (ja) * 1992-06-10 1994-01-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バスバー
JPH07211362A (ja) * 1994-01-18 1995-08-1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接続用導体端子の接続構造
KR20100118440A (ko) 2009-04-28 2010-11-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의 결합구조
KR20140078274A (ko) * 2012-12-17 2014-06-25 주식회사 신화기전 부스바 조인트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4017A (en) * 1976-11-22 1978-02-14 Kinsey Lewis R Battery for electric powered vehicles
US5225061A (en) * 1991-05-24 1993-07-06 Westerlund Goethe O Bipolar electrode module
US9083128B2 (en) * 2012-10-31 2015-07-14 Magna E-Car Systems Of America, Inc. Low inductance bus bar connection
KR102311636B1 (ko) * 2014-11-10 2021-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고전압 직체결 커넥터 및 그 연결구조
JP6420293B2 (ja) * 2016-11-24 2018-1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体及び電動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3U (ja) * 1992-06-10 1994-01-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バスバー
JPH07211362A (ja) * 1994-01-18 1995-08-1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接続用導体端子の接続構造
KR20100118440A (ko) 2009-04-28 2010-11-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의 결합구조
KR20140078274A (ko) * 2012-12-17 2014-06-25 주식회사 신화기전 부스바 조인트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692776U (zh) 2020-06-05
KR102696975B1 (ko) 2024-08-20
US10756526B2 (en) 2020-08-25
US20200144803A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912B1 (ko) 전기차용 배터리 케이스 및 그것의 제조방법
EP2366203B1 (en)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devic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employed with the same
KR102396361B1 (ko) 배터리 팩
JP6016737B2 (ja) 電池パックの電池内配線モジュール
US8998646B2 (en) Battery connecting assembly
KR101182426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JP5613074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US11949126B2 (en) Non-welding type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using same
KR20070014654A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CN109075300B (zh) 外部连接母线保持结构
US9543671B2 (en) Terminal block
EP2819216B1 (en) Busbar module and power source device
CN109841890B (zh) 电力供给单元和电力供给单元的制造方法
US10497920B2 (en) Battery system
WO2020022273A1 (ja) 電池ユニット
CN102903876B (zh) 用于电动汽车的电池包
KR101717173B1 (ko)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
KR20200052603A (ko) 버스바의 결합구조
KR101611435B1 (ko) 태양전지 패널용 정션박스
KR102650966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JP2008258156A (ja) 電池モジュール
EP3540819B1 (en) Battery pack
KR20190034736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4245B1 (ko) 확장 가능한 구조의 팩 프레임
KR102411616B1 (ko)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