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616B1 -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616B1
KR102411616B1 KR1020150096275A KR20150096275A KR102411616B1 KR 102411616 B1 KR102411616 B1 KR 102411616B1 KR 1020150096275 A KR1020150096275 A KR 1020150096275A KR 20150096275 A KR20150096275 A KR 20150096275A KR 102411616 B1 KR102411616 B1 KR 10241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housing
insert molding
motor
guid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992A (ko
Inventor
이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9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6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의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크기를 축소시켜 콤팩트한 구조로 제조가 가능한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는,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인서트 사출된 인서트 몰딩부가 돌출 형성된 모터 하우징과; 인서트 몰딩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모터 하우징과 결합되며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인버터 하우징과; 인서트 몰딩부와 인버터 하우징의 접촉면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Integrated moter-inverter assembly}
본 발명은 인버터의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크기를 축소시켜 콤팩트한 구조로 제조 가능한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고전압 배터리 전원을 3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나 유도 전동기 등의 3상 교류전동기를 구동시키고, 전동기 축과 감속기 등을 통해 연결된 바퀴를 구동시켜 차량을 움직인다. 또한 전기자동차는 주행 중 감속모드에서 교류전동기를 통해 발전모드인 회생발전(re-generation)을 통해 차량의 관성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고전압배터리로 재충전하여 에너지 재활용률을 높인다.
그러나 전기자동차는 교류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해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하지만, 순수 배터리만으로 구동하기엔 주행거리가 짧고 충전시간이 오래 걸려 제품으로 보급되는데 한계성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발전 전용 엔진에 발전기를 직결시키고, 엔진의 동작에 의해 발전기에서 생성된 교류전력을 배터리 혹은 모터가 필요한 레벨의 직류전력으로 변환해주는 발전기 제어기를 통해 고전압 배터리의 부족한 에너지를 보충하면서 주행거리를 연장하는 주행거리 확장용 전기자동차(range extended electric vehicle:REEV)가 현재 연구 개발 중이다.
주행거리 확장용 전기자동차(RE-EV)에는 주동력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제어기와 엔진발전에 의해 생성된 에너지로 고전압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혹은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제어기를 위한 두 개의 인버터가 필요하다.
그리고, 각 인버터에는 주 전력부 구성요소로 전력용 반도체와 직류링크 커패시터(DC Link Capacitor)가 구비되며, 또한 스위칭 소자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부, 고전압 배터리나 모터, 발전기 혹은 전력분배기(Power Distribute Unit) 등과 연결하기 위한 부스바와 커넥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보드, 게이트 보드 등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모터와 인버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터-인버터 연결구조는 모터(10)와 인버터(20)가 케이블(31,41) 및 커넥터(32,42)을 통해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즉, 모터(10) 측에 구비된 시그널 커넥터(11,21)와 인버터(20) 측에 구비된 시그널 커넥터(11,21)가 케이블(31) 및 커넥터(32)로 연결되어 모터(10)의 시그널 신호가 상기 케이블(31) 및 커넥터(32)를 통해 인버터(20)로 입력되고, 모터(10) 측에 구비된 브러시 커넥터(12,22)와 인버터(20) 측에 구비된 브러시 커넥터(12,22)는 또 다른 케이블(41) 및 커넥터(42)로 연결되어 상기 인버터(20)를 통해 브러시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모터-인버터 연결구조는 모터(10)와 인버터(20)가 다수의 암수 커넥터 및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방식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커넥터 및 케이블 설치를 위해 많은 공간이 요구된다. 즉, 모터(10) 및 인버터(20) 측에 규격화된 일정 사이즈를 갖는 시그널 커넥터(11,21) 및 브러시 커넥터(12,22)를 설치하고, 이들 커넥터에 대응하는 또 다른 커넥터를 접속하여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시그널 및 전류 인가를 위해 다수의 암수 커넥터 및 케이블을 별도 설치함에 따른 비용증가 문제가 발생되고, 다수의 암수 커넥터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의 설치공간과 및 케이블의 곡률반경을 고려한 공간적 설계가 요구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 많은 제약이 있었고, 제조비용도 증가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버터(20) 내부에 장착된 각종 전력소자의 경우 습기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인버터 내부의 전력소자 보호를 위한 별도의 방수구조가 반드시 요구되는데, 상술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모터-인버터 연결구조에서는 커넥터에 자체적으로 방수구조가 존재하지만, 모터(10) 및 인버터(20)에 구비되는 시그널 커넥터(11,21) 및 브러시 커넥터(12,22)가 연결되는 4 부분 모두에 방수구조를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0715661호(2007.05.01)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터 하우징과 인버터 하우징의 결합부위에 실링수단을 채용하여 인버터의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 인버터 일체형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설치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제품의 사이즈를 축소시켜 콤팩트 구조로 제조할 수 있는 모터 인버터 일체형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는,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인서트 사출된 인서트 몰딩부가 돌출 형성된 모터 하우징과; 인서트 몰딩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모터 하우징과 결합되며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인버터 하우징과; 인서트 몰딩부와 인버터 하우징의 접촉면 사이를 실링(sealing)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는 상기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위치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인서트 몰딩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턱과 관통홀은 다각형 형태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는 관통홀 주변에 위치한 인버터 하우징의 저면과 상기 가이드턱 주변에 위치한 인서트 몰딩부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 하우징에는 가이드턱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돌출된 돌출턱을 형성하고,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돌출턱의 내면과 상기 가이드턱의 외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턱 부분을 실링(sealing) 기능이 있는 이종재질의 탄성 소재로 구성하고, 상기 인서트 몰딩부의 상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실링부재 설치 없이도 상기 가이드턱 자체로 방수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구조에 따르면,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고정된 모터 하우징의 가이드턱 부분과 상기 가이드턱이 관통 삽입되는 인버터 하우징의 관통홀 부분 사이의 틈새 공간이 실링부재를 통해 완전히 밀폐되어 견고한 기밀, 수밀 성능이 유지되기 때문에 인버터의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커넥터와 케이블과 같은 별도의 전기적 연결수단의 사용 없이 모터 하우징의 인서트 몰딩부에 인서트된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를 통해 기존의 커넥터 및 케이블 기능의 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수의 커넥터 및 케이블 등가 같은 설치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아울러, 조립된 제품의 전체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여 콤팩트한 제품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터와 인버터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설치된 인서트 몰딩부 부분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5는 인버터 하우징 저면과 인서트 몰딩부 상면에 부착된 실링부재를 통해 인버터의 방수기능이 구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로서, 돌출턱의 내측면과 가이드턱의 외측면 사이에 개재된 실링부재를 통해 인버터의 방수기능이 구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로서, 인서트 몰딩부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턱 자체 구성을 통해 인버터의 방수기능이 구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서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설치된 인서트 몰딩부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는, 시그널 핀(110)과 브러시 버스바(120)가 인서트 사출된 인서트 몰딩부(140)가 형성된 모터 하우징(100)과, 상기 모터 하우징(100)과 결합되며 시그널 핀(110)과 브러시 버스바(120)가 관통하는 관통홀(210)이 형성된 인버터 하우징(200)과, 상기 인서트 몰딩부(140)와 인버터 하우징(200)의 접촉면 사이를 실링(sealing)하는 실링부재(252,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 하우징(100)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 공간에는 모터(미도시)와 브러시(미도시)를 비롯한 모터 동작에 관여하는 각종 구성품들이 수용된다.
이러한 모터 하우징(100)의 중앙 측 상면에는 다수의 시그널 핀(signal pin;144)과 브러시 버스바(brush busbar;116)가 설치되는 인서트 몰딩부(1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몰딩부(140)는 모터 하우징(100)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 평면형태를 가지며 상기 모터 하우징(10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인서트 몰딩부(140) 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시그널 핀(110)은 모터와 인버터 사이에서 신호전달 기능을 하고, 브러시 버스바(120)는 인버터 측에서 모터의 브러시 측으로 전류를 흘려 모터의 로터(rotor)에 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상기 시그널 핀(110)과 브러시 버스바(120)는 인버터 측 내부에서 용접 혹은 납땜 등의 방식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100)의 각 모서리부에는 인버터 하우징(200)을 안착시켜 볼트(미도시)틀 통해 체결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형태의 마운팅부(1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부(150)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152)이 형성되어, 상기 인버터 하우징(200)이 상기 마운팅부(1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버터 하우징(200)에 형성된 체결공(232)과 함께 볼트 체결된다.
여기서, 모터 하우징(100)의 외곽에 돌출 형성된 인서트 몰딩부(140)는 상기 마운팅부(150)와 함께 인버터 하우징(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팅부(150)의 높이는 실링부재(252,254)의 두께 및 탄성 변형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인서트 몰딩부(140)의 높이보다 일정 수준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 몰딩부(140)의 상면에는 복수의 시그널 핀(110)과 브러시 버스바(120)이 실질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가이드턱(14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턱(142)은 인서트 몰딩부(140)보다 일정수준 작은 사각형 평면 면적을 갖도록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턱(142)은 인버터 하우징(200)이 모터 하우징(100) 위에 마운팅되어 결합될 경우 인버터 하우징(200)에 형성된 관통홀(210)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턱(142)을 제외한 인서트 몰딩부(140)의 상면부 영역에는 모터 하우징(100)과 인버터 하우징(200) 사이의 기밀 또는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실링(sealing) 기능을 하는 실링부재(252)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턱(142)의 둘레 영역에 부착되는 실링부재(252)는 상기 가이드턱(142) 주변 영역의 형상과 대응하는 사각 링 형태의 납작한 평면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인서트 몰딩부(14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턱(142)은 실링부재(252)의 위치를 잡아주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홀(210) 내부 공간에 맞물려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가이드턱(142)을 비롯한 관통홀(210)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턱(142)이 관통홀(2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게 되어 외력이 작용하여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턱(142)과 관통홀(210)의 형상은 상시 실시 예의 형태와 같은 사각형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턱(142)과 관통홀(210) 사이의 수평방향 유동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상기 가이드턱(142)과 관통홀(210)의 형상을 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형상 구조로 이루어진 모터 하우징(100)은 인서트 몰딩부(140) 영역에 시그널 핀(110)과 브러시 버스바(120)가 배치되도록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작된다.
한편, 인버터 하우징(200)은 모터 하우징(100)과 대응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다만, 인버터 하우징(200)의 4개의 모서리부 영역에는 모터 하우징(100)의 마운팅부(150)에 볼트(미도시)로 체결하게 될 경우 상기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회피 공간이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인버터 하우징(200)의 평면 형상은 8각형 형태의 다각형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하우징(200)에 있어 각 모서리의 하부 영역에는 모터 하우징(100)의 마운팅부(150) 상면에 안착되어 볼트를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15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인버터 하우징(200)을 모터 하우징(100)에 마운팅시킬 경우, 상기 인버터 하우징(200)의 체결부(230) 저면을 모터 하우징(100)의 마운팅부(150)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230)에 형성된 체결공(232)에 볼트를 체결하여 마운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버터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전력용 반도체와 커패시터(Capacitor)가 장착되며, 아울러, 스위칭 소자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부,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보드 등이 구비된다. 이들 부품에 대해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한편, 관통홀(210) 주변에 위치한 인버터 하우징(200)의 저면부 영역에는 모터 하우징(100)과 인버터 하우징(200)의 결합시 전술된 인서트 몰딩부(140)에 부착된 실링부재(252)와 함께 압착되어 인버터의 기밀, 수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실링 기능을 하는 실링부재(254)를 부착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10) 주변 영역에 부착되는 실링부재(254)는 상기 가이드턱(142) 주변에 부착되는 실링부재(252)와 마찬가지로 사각 링 형상을 갖는 납작한 평면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100)와 인버터 하우징(200) 측에 각각 부착되는 실링부재(252,254)는 전술된 사각 링 형태 이외에도, 가스켓(gasket), 오링(O-ring), 실런트(sealant) 등의 다양한 재질 및 형상 구조를 갖는 실링부재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상술한 제1실시 예의 구조로 이루어진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의 실링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버터 하우징(200)을 모터 하우징(100)에 결합할 경우, 인버터 하우징(200)의 관통홀(210) 주변에 부착된 실링부재(254)와 인서트 몰딩부(140)의 상면에 부착된 실링부재(252)가 상호 압착되면서 시그널 핀(110) 및 브러시 버스바(120)가 형성된 가이드턱(142) 주변으로 견고한 밀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터 하우징(100)과 인버터 하우징(200) 사이에 견고한 방수기능이 구현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252,254)는 도 5의 실시 예 형태와 같이 모터 하우징(100)과 인버터 하우징(200) 양측에 각각 부착될 수 있으나, 필요시 양측 하우징 중에서 어느 한쪽에만 부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 하우징과 모터 하우징의 실링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링구조 형태는 인버터 하우징(200)의 관통홀(210) 주변에 인서트 몰딩부(140)의 가이드턱(142) 측면부를 둘러싸는 형태의 돌출턱(214)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턱(142)의 측면부에 오링(O-ring) 형태의 실링부재(260)를 결합하여, 인버터 하우징(200)와 모터 하우징(100)의 결합시 상기 돌출턱(214)의 내측면과 가이드턱(142)의 외측면을 통해 실링부재(260)을 압착하여 기밀이 유지되는 구조이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턱(142)의 측면부 둘레에는 상기 오링 형태의 실링부재(260)를 걸어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환형 홈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260)는 도 6의 실시 예와 같이 가이드턱(142)의 측면 둘레에 설치할수도 있고, 또는 인버터 하우징(200)의 돌출턱(214) 내측면 둘레에 설치하여 방수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 하우징과 모터 하우징의 실링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실링구조 형태는 전술된 제1 및 제2실시 예의 형태와 달리 가이드턱(142) 주변에 별도의 실링부재를 설치하지 않고서 가이드턱(142) 자체로 방수기능이 구현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모터 하우징(100)의 가이드턱(142) 부분을 인서트 몰딩부(140)의 상면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턱(142)을 실리콘이나 고무 등과 같은 실링(sealing) 기능이 있는 탄성 소재로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턱(142) 부분을 통해 기밀 및 수밀 기능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인버터 하우징(200)과 모터 하우징(100)의 결합시 인버터 하우징(200)에 형성된 돌출턱(214)의 내측면 부분이 실링 기능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가이드턱(142)의 측면 둘레부분을 압입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견고한 밀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턱(142) 부분에는 그의 하부에 수평방향의 폭이 확장된 형태를 갖는 고정부(143)를 형성하고, 인서트 몰딩부(140)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턱(142)의 고정부(143)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홈(148)을 형성하여, 상기 인서트 몰딩부(140)의 홈 내에 고정부(143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143)와 홈(148)의 외곽 형상에 의해 가이드턱(142)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가이드턱(142)의 측면 둘레와 고정부(143)의 상면 부분에 인버터 하우징 면이 동시에 밀착되어 기밀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한층 견고한 방수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모터 하우징 110 : 시그널 핀
120 : 브러시 버스바 140 : 인서트 몰딩부
142 : 가이드턱 150 : 마운팅부
200 : 인버터 하우징 210 : 관통홀
214 : 돌출턱 230 : 체결부
252,254,260 : 실링부재

Claims (6)

  1.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인서트 사출된 인서트 몰딩부가 돌출 형성된 모터 하우징;
    상기 인서트 몰딩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모터 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인버터 하우징;
    상기 인서트 몰딩부와 상기 인버터 하우징의 접촉면 사이를 실링(sealing)하는 실링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 핀과 브러시 버스바가 위치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인서트 몰딩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턱은 실링(sealing) 기능이 있는 탄성 소재로 구성되되, 상기 인서트 몰딩부의 상면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턱과 상기 관통홀은 다각형 형태의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관통홀 주변에 위치한 상기 인버터 하우징의 저면과 상기 가이드턱 주변에 위치한 상기 인서트 몰딩부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턱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돌출턱의 내면과 상기 가이드턱의 외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6. 삭제
KR1020150096275A 2015-07-07 2015-07-07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KR102411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275A KR102411616B1 (ko) 2015-07-07 2015-07-07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275A KR102411616B1 (ko) 2015-07-07 2015-07-07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992A KR20170005992A (ko) 2017-01-17
KR102411616B1 true KR102411616B1 (ko) 2022-06-21

Family

ID=5799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275A KR102411616B1 (ko) 2015-07-07 2015-07-07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869B1 (ko) 2021-11-22 2023-07-21 주식회사 효원파워텍 방열 성능이 향상된 무인 비행체용 전동기 일체형 다상 인버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5175A (ja) * 2010-06-14 2012-01-05 Nissan Motor Co Ltd インバータ一体型モータ
JP2015107030A (ja) * 2013-12-02 2015-06-08 株式会社デンソー 機電一体型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61B1 (ko) 2006-01-26 2007-05-07 이병찬 전동기용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팅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5175A (ja) * 2010-06-14 2012-01-05 Nissan Motor Co Ltd インバータ一体型モータ
JP2015107030A (ja) * 2013-12-02 2015-06-08 株式会社デンソー 機電一体型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992A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1668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junction box
US10617044B2 (en) In-vehicle power conversion device
JP6137334B2 (ja) 電力変換装置
WO2013121719A1 (ja) 車両用駆動制御装置
JP6124008B2 (ja) 電力変換装置
KR102311636B1 (ko) 고전압 직체결 커넥터 및 그 연결구조
US10264695B2 (en) Power converter
CN102349363B (zh) 带有层状构造的绝缘侧壁的功率半导体模块
JP6639320B2 (ja) 半導体装置
JP2016062897A (ja) 電気コネクタ
WO2015098571A1 (ja) コネクタ
CN110562050A (zh) 电源装置
KR20180125089A (ko) 배터리 시스템
KR102411616B1 (ko) 일체형 모터 인버터 조립체
US10581295B2 (en) Electronic component for an electric motor of an individual wheel drive of a motor vehicle, individual wheel drive, and motor vehicle
US10122313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JP5655321B2 (ja) 電力変換装置
US10091898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JP7310593B2 (ja) 電力変換装置
WO2018025777A1 (ja) パワーモジュール
JP2008011660A (ja) 電力変換装置
US20180301984A1 (en) Power converter
KR20130015360A (ko) 인버터 모듈
WO2010034638A2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to a solar module assembly and solar module assembly with a connection device of this kind
CN208698513U (zh) 车辆的动力总成、电机控制器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