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654A -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654A
KR20070014654A KR1020050069483A KR20050069483A KR20070014654A KR 20070014654 A KR20070014654 A KR 20070014654A KR 1020050069483 A KR1020050069483 A KR 1020050069483A KR 20050069483 A KR20050069483 A KR 20050069483A KR 20070014654 A KR20070014654 A KR 20070014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secondary battery
members
connec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763B1 (ko
Inventor
김태용
전윤철
이건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763B1/ko
Priority to JP2006202507A priority patent/JP4544431B2/ja
Priority to US11/493,983 priority patent/US7270576B2/en
Priority to DE602006000807T priority patent/DE602006000807T2/de
Priority to EP06118027A priority patent/EP1750313B1/en
Priority to CNB200610148678XA priority patent/CN100487953C/zh
Publication of KR2007001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위전지를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전지의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단위 전지 사이의 거리 오차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각 단위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양 선단이 단위 전지의 단자가 체결되고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연결구, 단자, 제1부재, 제2부재, 회동수단, 축, 리벳, 볼트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SECONDARY BATTERY MODULE AND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에서 연결구가 단자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를 도시한 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고출력 대용량 전지에 있어서 단위 전지간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단위 전지간 거리 오차에 대응될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의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다.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한 고출력 이차 전지를 복수개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캡 조립체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는 통상 각형 전지의 경우 캡 조립체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엇갈리도록 각 단위전지를 교차 배열하고, 나사가공된 음극단자와 양극단자간에 너트를 매개로 도전체를 연결설치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즉, 각 단자는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단자에 일차적으로 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너트 위에 일측 단위전지의 양극단자와 다음 단위전지의 음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가 끼워지며 상기 연결구 위에 다시 너트가 체결되어 연결구를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지 모듈 구조는 각 단위전지 사이에 거리 오착 발생된 경우 단자간 연결구를 설치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종래의 연결구가 직사각형태의 판 구조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단자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연결구의 홀 간격이 단위 전지와 단위 전지 사이의 단자간 간격과 약간이라도 달라지게 되면 단위 전지에 연결구가 설치될 수 없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 구조의 경우 연결구의 치수가 변동되지 않고 고정불변인 구조로 되어 있음에 따라, 전지 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 단위 전지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맞춰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부품 공차가 발생된 경우 연결구의 규격에 맞춰서 각 단위 전지의 단자간 간격이 맞춰져야 되므로 연결구를 장착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단위전지를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전지의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단위 전지 사이의 거리 오차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가 균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위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연결구는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양단에 단위 전지의 단자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구는 일측 선단에 단위 전지의 단자와 체결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1부재와, 일측 선단에 단위 전지의 단자에 체결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제1부재의 타측선단과 접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접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는 분리된 두 개의 부재가 서로 포개져 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분리된 두 개의 부재가 포개져 접해진 상태에서 양 선 단부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상호 접하는 접합부가 서로 대향되게 단차가공되거나, 상기 양 선단부가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된 두 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접합시키기 위한 상기 회동수단은 일측 부재의 접합부에 돌출 형성되는 축부재와, 이 축부재가 끼워지도록 타측 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홀, 상기 타측 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축부재에 형성된 체결홀에 끼워지는 체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부재와 홀을 매개로 두 부재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핀을 상기 축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두 부재가 축부재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동수단이 상기 분리된 두 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이 관통홀에 끼워져 두 부재를 결합하는 리벳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동수단이 상기 분리된 두 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이 관통홀에 끼워져 두 부재를 결합하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단위전지의 단자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양 선단부에 단위 전지의 단자가 끼워지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중앙부는 절단되어 두 개로 분리되고 절단된 중앙부가 접하여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축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전지는 각형의 이차 전지이거나 원통형태의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양 선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단자에 끼워져 너트를 매개로 상기 단위 전지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지 모듈은 단위 전지와 단위 전지 사이에 단위 전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냉각매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전지격벽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지모듈은 상기 단위전지들이 직렬로 연결된 구조로 이웃하는 단위전지 간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는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지 모듈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은 대용량의 전지 모듈로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연속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전지(11)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 전지(11)로 각형의 단위 전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11)의 구조를 살펴보면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18)와, 상기 전극 조립체(18)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12), 상기 케이스(12)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13), 상기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조립체(13)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음극단자(14,15)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2)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형상은 전극 조립체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진 육면체의 각형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단위전지(11)는 캡 조립체(13) 위로 두 개의 단자(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14,1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한 볼트 형태의 단자 구조를 갖는 단위 전지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의 각 단위전지(11)는 대용량의 전지모듈(10)을 구성하기 위하여, 단자(14,15)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놓여지고 일측 단위전지(11)의 캡 조립체(13) 상부로 돌출된 양극단자(14) 및 음극단자(15)가 이웃하는 단위전지(11)의 양극단자(14) 및 음극단자(15)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되어 전지 집합체를 이룬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전지 집합체는 단위전지(11)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반복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늘어서는 단자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열은 극성이 교차되는 단자들이 일렬로 늘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는 수나사 형태로 캡 조립체(13) 상에 가스켓(16)을 매개로 캡 조립체(13) 외측으로 돌출되며, 너트(17)가 상기 단자(14,15)에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서 캡 조립체(13) 상에 조립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의 전지 모듈에 있어서, 본 이차 전지는 각 단위전지(11)를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이웃하는 단위전지(11) 간의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구(20)가 장착된다.
도 1은 상기 연결구(20)가 캡 조립체(13) 상에 조립된 각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간에 조립된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단위 전지의 단자(14,15)에 끼워져 단자(14,15)를 캡 조립체에 고정시키는 너트(17) 위에 안착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20) 위로 돌출된 단자(14,15)에 너트(19)를 체결하여 조여줌에 따라 단자에 고정설치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구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구(20)는 평면 형태의 판구조물로 일측 선단부(24)에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와 체결되는 관통구멍(23)이 형성된 제1부재(21)와, 상기 제1부재(21)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 선단부(24)에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에 체결되는 관통구멍(23)이 형성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제1부재(21)의 타측선단과 접하는 제2부재(22), 상기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접합부(25)에 설 치되어 두 부재(21,22)를 접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20)를 이루는 두 개의 부재(21,22)는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일측 선단부(24)에는 관통구멍(23)이 형성되고 반대쪽 선단은 접합부(25)를 이루어 서로 포개져 면접촉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20)는 분리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가 포개져 접해진 상태에서 양 선단부(24)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각 부재(21,22)의 선단부(24)가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각 부재(21,22)의 선단부(24)의 돌출 정도는 각 부재(21,22)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한다.
이에 각 부재(21,22)의 선단부(24) 두께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합친 것과 동일하여 제1부재(21)와 제2부재(22)가 겹쳐져 도 4에서와 같이 제1부재(21) 위에 제2부재(22)가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도 각 부재(21,22)의 선단부(24)는 양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에 설치된 너트(17) 위에 연결구(20)의 선단부(24)가 끼워지고 그 위로 단자에 체결되는 너트(19)에 의해 선단부(24)가 조여져 연결되는 경우, 연결구(20)를 이루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각 선단부(24)가 동일한 높이에서 단자에 체결됨으로써 두 부재(21,22)의 접합부(25)가 아래 위로 포개져 있더라도 연결구(20)가 수평상태로 각 단자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회동가능하게 접합시키기 위한 상기 회동수단은 제1부재(21) 접합부(25)의 접합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에는 체결홀(27)이 형성된 축부재(26)와, 이 축부재(26)가 끼워지도록 제2부재(22)의 접합부(25)에 상기 축부재(26)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홀(28), 상기 제2부재(22)의 외측에서 상기 홀(28)을 통해 노출된 상기 축부재(26)의 체결홀(27)에 끼워져 상기 제2부재(22)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핀(29)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핀(29)은 외측 선단에 플랜지 형태로 상기 홀(28)보다 큰 직경의 머리부(30)가 형성되어 축부재(26)로부터 제2부재(22)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는 서로 접합부(25)가 밀착되어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연결구(20)를 이루게 되며 각 부재(21,22)의 접합부(25)는 축부재(26)를 축으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간 간격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부재(21,22)를 회동시켜 두 부재의 각 선단부(24)에 형성된 관통구멍(23)의 간격을 상기 이웃하는 단위 전지간의 단자(14,15) 사이의 간격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이웃하는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 간 간격이 최초 설정된 연결구(20)의 각 선단부(24)에 형성된 관통구멍(23)의 간격보다 작은 경우에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상기 축부재(26)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제1부재(21)의 관통구멍(23)과 제2부재(22)의 관통구멍(23) 사이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상기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단자 간 간격에 연결구(20)의 관통구멍(23) 간격을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단자간 간격이 최초 설정된 연결구(20)의 관통구멍(23) 간격보다 큰 경우에도 상기 각 부재(21,22)를 반대로 회동시킴으로써 관통구멍(23)간 간격을 단자 간 간격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6은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를 축결합시키는 회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상기 회동수단은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접합부(25)에 관통형성된 홀(31)과, 이 홀(31)을 통해 두 부재(21,22)를 체결하는 리벳(32)을 포함한다.
또한, 도 7은 상기 회동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부재(21)와 제2부재(22)는 접합부(25)에 관통형성된 홀(31)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33)와 너트(3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20)의 또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는 평면 형태의 판구조물로 일측 선단부(44)에 단위 전지(도 1의 11 참조)의 단자(도 1의 14,15 참조)와 체결되는 관통구멍(23)이 형성된 제1부재(41)와, 상기 제1부재(41)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 선단부(44)에 단위 전지의 단자에 체결되는 관통구멍(23)이 형성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제1부재(41)의 타측선단과 접하는 제2부재(42), 상기 제1부재(41)와 제2부재(42)의 접합부(45)에 설치되어 두 부재(41,42)를 접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부재(41,42)가 포개져 접해진 상태에서 양 선단부(44)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각 부재(41,42)는 상호 접하는 접합부(45)가 서로 대 향되게 단차가공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각 부재(41,42)의 접합부는 각 부재(41,42)의 두께의 절반 두께로 단차가공되어 접합부(45)에서 두 부재(41,42)가 포개지더라도 전체적으로 두 부재(41,42)의 선단부(44)는 동일 평면상에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제1부재(41)와 제2부재(42)를 회동가능하게 접합시키기 위한 상기 회동수단은 제1부재(41) 접합부(45)의 접합면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에는 체결홀(47)이 형성된 축부재(46)와, 이 축부재(46)가 끼워지도록 제2부재(42)의 접합부(45)에 상기 축부재(46)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홀(48), 상기 제2부재(42)의 외측에서 상기 홀(48)을 통해 노출된 상기 축부재(46)의 체결홀(47)에 끼워져 상기 제2부재(42)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핀(49)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핀(49)은 외측 선단에 플랜지 형태로 상기 홀(48)보다 큰 직경의 머리부(50)가 형성되어 축부재(46)로부터 제2부재(42)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제1부재(41)와 제2부재(42)는 서로 접합부(45)가 밀착되어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연결구(20)를 이루게 되며 각 부재(41,42)의 접합부(45)는 축부재(46)를 축으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간 간격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부재(41,42)를 회동시켜 두 부재(41,42)의 각 선단부(44)에 형성된 관통구멍(23)의 간격을 상기 이웃하는 단위 전지간의 단자 사이의 간격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은 제1부재(41)와 제2부재(42)를 축결합시키는 회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상기 회동수단은 제1부재(41)와 제2부재(42)의 접합부(45)에 관통형성된 홀(51)과, 이 홀(51)을 통해 두 부재(41,42)를 체결하는 리벳(52)을 포함한다.
또한, 도 11은 상기 회동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부재(41)와 제2부재(42)는 접합부(45)에 관통형성된 홀(51)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53)와 너트(5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전지 모듈의 작용에 대해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자(14,15)는 각 단위전지(11)의 캡 조립체(13)에 가스켓(도시되지 않음)을 매개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캡 조립체(13)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14,15)에 와셔를 끼우고 너트(17)로 체결함으로써 단자(14,15)를 캡 조립체(13)에 고정설치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각 단위 전지(11)를 연결구(20)로 연결시켜 고출력의 전지 모듈(10)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구(20)는 배열되어 있는 각 단위전지(11)의 단자(14,15)에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선단부(24)에 형성된 관통구멍(23)을 매개로 장착된다.
여기서 각 단위전지(11)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배열된 각 단위전지(11)는 단위전지에 설치된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구(20)를 이루는 제1부재(21)와 제2부재(22)의 각 선단부(24)에 형성된 관통구멍(23)을 이웃하는 단위 전지의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 에 각각 끼우고 너트(19)를 체결함으로써 연결구(20)를 조립할 수 있게된다.
이 때, 상기 단위 전지(11)간 거리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웃하는 단위 전지(11)의 단자(14,15)간 간격이 상기 연결구(20)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구멍(23)간 간격과 달라지게 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20)는 두 개의 부재(21,22)가 축부재(26)를 매개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두 부재(21,22)가 회동됨으로써 자체적으로 관통구멍(23) 사이의 간격을 단자(14,15)간 간격에 맞춰 변동시킬 수 있게 되어 단위 전지(11)간 오차에 관계없이 두 단자(14,15)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결구(20)의 두 부재(21,22)를 회동시키더라도 전체적으로 두 부재(21,22)간의 접합면은 동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전류의 흐름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출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구의 관통구멍 간격을 단위전지의 단자간 간격에 맞춰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단위 전지의 거리 오차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구의 장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구의 집전 효율 저하를 막아 출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전지의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9)

  1. 다수개의 단위전지와 각 단위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양 선단이 단위 전지의 단자가 체결되고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이차 전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중앙부는 절단되어 두 개의 부재로 분리되고 절단된 중앙부에 설치되는 회동수단을 매개로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이차 전지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두 부재의 각 선단부에 단위 전지의 단자가 관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너트를 매개로 상기 단위 전지에 설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와 단위 전지 사이에 전지격벽이 설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는 각형인 이차 전지 모듈.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분리된 두 개의 부재가 서로 포개져 접하는 구조의 이차 전지 모듈.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접합부가 서로 대향되게 단차가공된 구조의 이차 전지 모듈.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재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각 선단부가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의 이차 전지 모듈.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일측 부재의 접합부에 돌출 형성되는 축부재와, 이 축부재가 끼워지도록 타측 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홀, 상기 타측 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축부재에 형성된 체결홀에 끼워지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분리된 두 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이 관통홀에 끼워져 두 부재를 결합하는 리벳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분리된 두 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이 관통홀에 끼워져 두 부재를 결합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은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 모듈.
  13. 일측 선단에 단위 전지의 단자와 체결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1부재와, 일측 선단에 단위 전지의 단자에 체결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타측 선단은 상기 제1부재의 타측선단과 접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접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분리된 두 개의 부재가 서로 포개져 접하는 구조의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접합부가 서로 대향되게 단차가공된 구조의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재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각 선단부가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의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일측 부재의 접합부에 돌출 형성되는 축부재와, 이 축부재가 끼워지도록 타측 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홀, 상기 타측 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축부재에 형성된 체결홀에 끼워지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분리된 두 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이 관통홀에 끼워져 두 부재를 결합하는 리벳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분리된 두 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이 관통홀에 끼워져 두 부재를 결합하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KR1020050069483A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KR10068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483A KR100684763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JP2006202507A JP4544431B2 (ja) 2005-07-29 2006-07-25 電池モジュール
US11/493,983 US7270576B2 (en) 2005-07-29 2006-07-27 Modular battery with connector inter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unit cells
DE602006000807T DE602006000807T2 (de) 2005-07-29 2006-07-28 Modulare Batterie mit Verbinder zum verbinden der Klemmen der benachbarten Einzelzellen
EP06118027A EP1750313B1 (en) 2005-07-29 2006-07-28 Modular battery with connector inter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unit cells
CNB200610148678XA CN100487953C (zh) 2005-07-29 2006-07-31 具有互连相邻单元电池的端子的连接器的模块式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483A KR100684763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654A true KR20070014654A (ko) 2007-02-01
KR100684763B1 KR100684763B1 (ko) 2007-02-20

Family

ID=3744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483A KR100684763B1 (ko) 2005-07-29 2005-07-29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70576B2 (ko)
EP (1) EP1750313B1 (ko)
JP (1) JP4544431B2 (ko)
KR (1) KR100684763B1 (ko)
CN (1) CN100487953C (ko)
DE (1) DE602006000807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2068B2 (en) 2011-08-29 2015-04-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US9837656B2 (en) 2015-03-11 2017-12-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lexible configu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4405B2 (en) * 2002-08-30 2010-06-29 Tyco Electronics Raychem K.K. Conduction terminal and adapter for conduction terminal
JP5005183B2 (ja) * 2005-04-14 2012-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
JP2007157382A (ja) * 2005-12-01 2007-06-21 Matsushita Battery Industrial Co Ltd 組電池
JP2007165048A (ja) * 2005-12-12 2007-06-28 Smc Corp 信号入出力装置
EP2022110B1 (en) * 2006-05-11 2011-10-12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Modular battery system
US8568915B2 (en) * 2006-08-11 2013-10-29 Johnson Controls—SAFT Power Solutions LLC Battery with integrally formed terminal
US11660971B2 (en) 2006-11-07 2023-05-30 Clarios Advanced Solutions Llc System for arranging and coupl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module
US7807290B2 (en) * 2006-12-01 2010-10-05 Zero Motorcycles Inc. Battery cell assembly
CN101627490B (zh) * 2006-12-14 2012-10-03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电池模块
KR100869803B1 (ko) * 2007-01-31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CN101641027A (zh) * 2007-02-16 2010-02-03 热溶体股份有限公司 感应加热的衣物
CN101315990B (zh) * 2007-05-29 2010-06-09 上海比亚迪有限公司 一种电池组
WO2009016476A2 (en) * 2007-07-30 2009-02-05 Johnson Controls -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Storage battery arrangement
CN101378108B (zh) * 2007-08-28 2010-10-06 电能有限公司 独立区隔式动力电池组结构
US7746624B2 (en) * 2007-10-25 2010-06-29 Consolidated Edison Company Of New York, Inc. Current transformer disconnect switch
DE102008013188A1 (de) * 2008-03-07 2009-09-17 Johnson Controls Hybrid And Recycling Gmbh Elektrochemischer Akkumulator und Fahrzeug mit einem elektrochemischen Akkumulator
EP2260524B1 (en) * 2008-03-24 2020-01-08 Lightening Energy A modular battery, an interconnector for such batteries and methods related to modular batteries
CN101290746A (zh) * 2008-06-18 2008-10-22 北京工业大学 电子纸屏幕的图像更新方法
US7563137B1 (en) * 2008-06-30 2009-07-21 Lg Chem, Ltd. Mechanical fastener for coupling to electrical terminals of battery modules and method for coupling to electrical terminals
US7578702B1 (en) * 2008-06-30 2009-08-25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system
US8163412B2 (en) * 2008-06-30 2012-04-24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a battery cell assembly thereto
US8035986B2 (en) * 2008-06-30 2011-10-11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battery cell assemblies thereto
CN102165625B (zh) * 2008-08-14 2015-11-25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具有密封的放气室的电池模块
USD631826S1 (en) * 2008-10-14 2011-02-01 Boston-Power, Inc. Battery pack
USD631831S1 (en) * 2008-10-14 2011-02-01 Boston-Power, Inc. Battery pack
USD631827S1 (en) * 2008-10-14 2011-02-01 Boston-Power, Inc. Battery pack
USD631830S1 (en) * 2008-10-14 2011-02-01 Boston-Power, Inc. Battery pack
USD631829S1 (en) * 2008-10-14 2011-02-01 Boston-Power, Inc. Battery pack
USD631825S1 (en) * 2008-10-14 2011-02-01 Boston-Power, Inc. Battery pack
USD631828S1 (en) * 2008-10-14 2011-02-01 Boston-Power, Inc. Battery pack
USD631833S1 (en) * 2008-10-14 2011-02-01 Boston-Power, Inc. Battery pack
USD631832S1 (en) * 2008-10-14 2011-02-01 Boston-Power, Inc. Battery pack
EP2351119B1 (en) 2008-11-12 2015-09-23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Battery system with heat exchanger
DE102008043946A1 (de) * 2008-11-20 2010-05-27 Robert Bosch Gmbh Sicherungseinrichtung für eine Akkumulatorzelle
US7819700B2 (en) * 2008-12-09 2010-10-26 Delphi Technologies, Inc. Terminal connection apparatus for battery cells having foil terminals
KR20100067464A (ko) 2008-12-11 2010-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1015834B1 (ko) * 2009-01-06 2011-02-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FR2942079B1 (fr) * 2009-02-06 2011-04-08 Saft Groupe Sa Borne de sortie de courant pour accumulateur.
US8098126B2 (en) * 2009-04-22 2012-01-17 Lg Chem, Ltd. High voltage service disconnect assembly
DE102009018787A1 (de) * 2009-04-24 2010-10-28 Akasol Engineering Gmbh Batteriemodul
US8173294B2 (en) 2009-04-28 2012-05-08 Lightening Energy High voltage modular battery with electrically-insulated cell module and interconnector peripheries
ES2512016T5 (es) * 2009-06-08 2018-12-28 Auto-Kabel Management Gmbh Conector de elementos de batería
DE102009041894A1 (de) * 2009-09-18 2011-03-31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Elektrisches Kontaktieren eines elektrischen Bauteils
DE102009048298A1 (de) 2009-10-05 2011-04-0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rbindungselement für Batteriezellen
US8343642B2 (en) 2009-12-31 2013-01-01 Lightening Energy High voltage modular battery with compression bladder
US8822064B2 (en) * 2009-12-31 2014-09-02 Lightening Energy Modular battery with polymeric compression sealing
US20110177383A1 (en) * 2010-01-19 2011-07-21 Lightening Energy Battery cell module for modular battery with interleaving separator
DE102010029011A1 (de) 2010-05-17 2011-11-17 Sb Limotive Company Ltd. Lithium-Ionen-Batteriezell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leitfähigen Kontaktierung von Terminals von Batteriezellen
US20110293994A1 (en) * 2010-05-27 2011-1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pack assembly using clad electrical connections
US8480426B2 (en) * 2010-06-09 2013-07-09 Delta Electronics, Inc. Battery connecting tabs
US8133607B1 (en) * 2010-12-03 2012-03-13 Amita Technologies Inc Ltd. Parallel connection assembly of batteries and battery set having the same
US9178192B2 (en) 2011-05-13 2015-11-03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TW201315000A (zh) * 2011-06-17 2013-04-01 Shin Kobe Electric Machinery 電化學電池模組及電化學電池模組單元以及支持器
US8350526B2 (en) 2011-07-25 2013-01-08 Lightening Energy Station for rapidly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S8174235B2 (en) 2011-07-25 2012-05-08 Lightening Energy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ing electric vehicle batteries
US9786961B2 (en) 2011-07-25 2017-10-10 Lightening Energy Rapid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charging
US9496544B2 (en) 2011-07-28 2016-11-15 Lg Chem. Ltd. Battery modules having interconnect members with vibration dampening portions
US8939801B2 (en) * 2011-07-29 2015-01-27 Shenzhen Byd Auto R&D Company Limited Connector between battery modules and battery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287107B1 (ko) * 2011-08-25 2013-07-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US8974938B2 (en) 2011-08-30 2015-03-10 Lg Chem, Ltd.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a battery cell assembly to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base member
US8871376B2 (en) 2011-08-31 2014-10-28 Lg Chem, Ltd. Interconnection assembli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interconnection assemblies in a battery module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US8846240B2 (en) 2012-02-16 2014-09-30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ssembly
WO2013122766A1 (en) 2012-02-16 2013-08-22 Lightening Energy Energy banking system and method using rapidly rechargeable batteries
WO2013154171A1 (ja) * 2012-04-12 2013-10-17 日本発條株式会社 コネクタ
US9368782B2 (en) * 2012-06-06 2016-06-1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Llc Manufacturing service disconnect that is part of busbar
DE102013220845A1 (de) * 2013-10-15 2015-04-16 Robert Bosch Gmbh Flexibler Modulverbind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lexiblen Modulverbinders zum elektrischen Verbinden von Modulen eines Energiespeichers
FR3018394A1 (fr) * 2014-03-04 2015-09-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iece d'assemblage et de connexion electrique d'au moins deux cellules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US9437859B2 (en) 2014-04-07 2016-09-06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a battery module
JP6281398B2 (ja) 2014-04-21 2018-02-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
KR102321082B1 (ko) 2014-09-01 2021-11-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9620761B2 (en) 2014-09-09 2017-04-11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a battery module
US10020483B2 (en) 2015-02-09 2018-07-10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a voltage sense member of an interconnect assembly
US9905892B2 (en) 2015-02-09 2018-02-27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first and second voltage sense members of an interconnect assembly
US9590223B2 (en) * 2015-05-08 2017-03-07 Byd Company Limited Battery cell connector
KR102397857B1 (ko) * 2015-07-15 2022-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JP6590212B2 (ja) * 2015-07-17 2019-10-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
EP3323160B1 (en) * 2015-09-30 2019-12-25 BYD Company Limited Connector for power batteries, power battery moduel, power battery pack and vehicle
JP6741215B2 (ja) * 2017-01-20 2020-08-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KR102399621B1 (ko) * 2017-05-12 202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JP7056507B2 (ja) * 2018-10-16 2022-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スバー
US11322803B2 (en) * 2018-11-13 2022-05-03 Rivian Ip Holdings, Llc Electrical busbar with alignment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303A (en) * 1891-05-12 Walter hanson
JPS3825530Y1 (ko) * 1962-10-05 1963-11-26
GB1338233A (en) 1970-12-09 1973-11-21 Kocherginsky M D Kalacher S L Electrochemical cells
DE3340079A1 (de) * 1983-11-05 1985-05-15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Speicherzellenverbindung
JPH0188463U (ko) * 1987-12-01 1989-06-12
JP3365577B2 (ja) * 1994-05-27 2003-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形ニッケル−水素蓄電池の単電池および単位電池
GB2299701B (en) 1995-04-07 1997-10-15 Paul Philip Stockton Cellular battery
JP3271495B2 (ja) * 1995-10-24 2002-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蓄電池
US5662497A (en) * 1995-11-03 1997-09-02 New York State Electric & Gas Corporation Modular battery terminal connector assembly
JPH10188927A (ja) * 1996-12-20 1998-07-21 Toyo Takasago Kandenchi Kk 集合電池の構造
KR20030066763A (ko) 1997-01-13 2003-08-09 오보닉 배터리 컴퍼니, 아이엔씨. 고전력 배터리 모듈
US6186831B1 (en) * 1999-06-08 2001-02-13 Real Power Cap Company Link bar for capacitors of audio system
JP4136223B2 (ja) * 1999-09-21 2008-08-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二次電池
JP4365991B2 (ja) * 2000-05-29 2009-11-18 三菱化学株式会社 電池接続構造
JP4733248B2 (ja) * 2000-06-20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セルモジュール構造
TW543231B (en) 2001-05-14 2003-07-21 Reveo Inc Metal air cell incorporating ionic isolation systems
JP2004253311A (ja) * 2003-02-21 2004-09-09 Toyota Motor Corp 電気接続部材及び電気接続部材の接続方法並びに組電池
KR100590107B1 (ko) * 2004-08-24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27341B1 (ko) * 2004-11-30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2068B2 (en) 2011-08-29 2015-04-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US9837656B2 (en) 2015-03-11 2017-12-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lexible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44431B2 (ja) 2010-09-15
US7270576B2 (en) 2007-09-18
US20070026739A1 (en) 2007-02-01
CN100487953C (zh) 2009-05-13
DE602006000807T2 (de) 2009-04-30
JP2007042634A (ja) 2007-02-15
EP1750313B1 (en) 2008-03-26
KR100684763B1 (ko) 2007-02-20
CN1971975A (zh) 2007-05-30
DE602006000807D1 (de) 2008-05-08
EP1750313A1 (en)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763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KR10077851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KR100684743B1 (ko) 이차 전지 모듈
JP3759872B2 (ja) セルモジュール
KR100627294B1 (ko) 전지 모듈
KR10066943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27394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049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KR100570779B1 (ko) 연결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이차 전지 및 이로 구성된이차 전지 모듈
KR10069667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060098320A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 앤드플레이트
KR10065868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107B1 (ko) 이차 전지
KR100627341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
KR10059980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060060814A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44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KR100599617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KR101256064B1 (ko) 돌기가 형성된 너트를 갖는 전지 모듈
KR100684731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앤드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