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511B1 - 이차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511B1
KR100778511B1 KR1020060087365A KR20060087365A KR100778511B1 KR 100778511 B1 KR100778511 B1 KR 100778511B1 KR 1020060087365 A KR1020060087365 A KR 1020060087365A KR 20060087365 A KR20060087365 A KR 20060087365A KR 100778511 B1 KR100778511 B1 KR 10077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contact portion
battery modu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원
김태용
전윤철
이건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511B1/ko
Priority to JP2007021381A priority patent/JP2008071733A/ja
Priority to US11/852,143 priority patent/US7601457B2/en
Priority to EP07116039A priority patent/EP1901368B1/en
Priority to DE602007014153T priority patent/DE602007014153D1/de
Priority to CN200710154235A priority patent/CN100588006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 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 전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접촉저항을 줄이고 전기 전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단자를 구비한 복수개의 단위전지들과, 상기 각 단위 전지의 단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일측에 상기 연결구가 접하는 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와 상기 단자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단자의 접부에서 상기 단자의 축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의 상호 접촉면을 갖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단자, 연결구, 접부, 체결볼트, 체결너트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RECHARGEABLE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자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자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자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자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단자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낮추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그리고 전지 셀을 수십 개 연결한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다. 상기 이차 전지의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차 전지는 복수개를 직렬로 연결시켜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상기 캡 조립체로 돌출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구비된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는 통상 이웃하는 단위전지의 음극단자와 양극단자간에 너트를 매개로 도전체를 연결설치하여 대용량의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즉, 각 단자는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일측 단위전지의 양극단자와 다음 단위전지의 음극단자에 연결구를 끼우고 상기 단자에 너트를 체결하여 연결구를 고정함으로서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지 모듈은 실질적으로 단자와 연결구간의 접촉면적이 작아 접촉저항이 커지고 이에 따라 집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단자와 연결구간의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너트에 체결압을 충분히 가해주어야 하는 데, 종래 구조의 경우 높은 체결압 적용시 단자까지 회전하면서 단자 체결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이에 체결압 설정에 한계가 있게 되고 따라서 체결압을 충분히 가해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단위 전지를 연결하여 대용량의 전지 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 전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접촉저항을 줄이고 전기 전도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와 연결구 간의 체결압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단자를 구비한 복수개의 단위전지들과, 상기 각 단위 전지의 단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일측에 상기 연결구가 접하는 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와 상기 단자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단자의 접부에서 상기 단자의 축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의 상호 접촉면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와 연결구는 접부를 매개로 상호 밀착되어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의 접부는 적어도 일측에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와 상기 단자의 상호 접촉면은 평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접부는 상기 단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단자 상에 부착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의 접부는 한 쌍의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연결구가 상기 단자의 접부의 양 면에 접촉하여 체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의 접부는 간격을 두고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의 접부에는 상기 연결구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단자의 접부의 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접부의 적어도 한쪽 접면 또는 양쪽 접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중앙부가 절곡되어 상기 접부의 양면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상에 상기 접부가 두 개 이상 형성된 경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접부 사이에 끼워진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와 상기 단위전지의 단자는 체결구를 통하여 서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단자의 축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구와 상기 단자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체결볼트에 의한 체결 방향이 단자의 축방향과 어긋나게 되어, 체결볼트 체결시 단자가 단위 전지에 대해 회동되어 단자의 체결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부에 상기 연결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살펴보면,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접부와 연결구의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이 체결볼트에 결합 되는 체결너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접부와 연결구의 체결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리벳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접부 사이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지 모듈은 단위 전지와 단위 전지 사이에 단위 전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냉각매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전지격벽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을 이루는 이차 전지는 각형의 이차 전지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지모듈은 상기 단위전지들이 직렬로 연결된 구조로 이웃하는 단위전지 간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지 모듈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은 대용량의 전지 모듈로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연속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 전지(11)와, 상기 단위 전지(11) 사이에 밀착되어 단위 전지를 지지하며 열전달 매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전지격벽(19)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 전지(11)로 각형의 단위 전지가 사용되는 경우 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11)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18)와, 상기 전극 조립체(18)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12), 상기 케이스(12)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13), 상기 양,음극판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조립체(13)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극단자(14) 및 음극단자(15)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2)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형상은 전극 조립체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진 육면체의 각형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단위전지(11)는 캡 조립체(13) 위로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각 단위 전지(11)의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는 수나사 형태로 이루어져 캡 조립체(13) 상에 가스켓(16)을 매개로 캡 조립체(13) 외측으로 돌출되며, 너트(17)가 상기 단자(14,15)에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서 캡 조립체(13) 상에 조립 고정된다.
한편, 상기한 구조의 각 단위전지(11)는 대용량의 전지모듈(10)을 구성하기 위하여, 단자(14,15)가 상부를 향하는 상태로 놓여지고 일측 단위전지(11)의 양극단자(14) 및 음극단자(15)가 이웃하는 단위전지(11)의 양극단자(14) 및 음극단 자(15)와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되어 전지 집합체를 이룬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전지 집합체는 단위전지(11)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반복되면서 일정간격으로 늘어서는 단자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열은 극성이 교차되는 단자들이 일렬로 늘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전지 모듈에 있어서, 본 이차 전지는 각 단위전지(11)를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이웃하는 단위전지(11) 간의 양극단자(14)와 음극단자(15)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구(20)가 장착된다.
이하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구와 단자 간의 연결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20)와의 결합을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14,15)는 상단에 축방향으로 일측면에 평면형태의 접면(31)을 이루는 접부(3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부(30)는 상기 접면(31)에 접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체결홀(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부(30)는 하나의 접면(31)을 구비한 구조로 단자를 반으로 절단한 반원 단면형태로 이루어진다. 접면 반대쪽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구(20)는 직사각형태의 평판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양 선단부에 상기 접부(30)의 체결홀(32)과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홀(2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20)는 크기가 클수록 상기 접면(31)과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는 데, 대략 상기 접부의 접면에 접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특별히 크기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면(31)에 연결구(20)가 밀착되면서 단자(14,15)와 연결구(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단자(14,15)에 형성된 접부(30)의 접면(31)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연결구(20)의 체결홀(21)과 접부(30)의 체결홀(32)을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체결볼트(40)와 체결너트(41)를 이용하여 양 부재를 조여주게 되면 접면(31)에 연결구(20)가 밀착되면서 단자(14,15)와 연결구(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같이 상기 연결구(20)는 직접 접부(30)의 접면(31)에 접하게 됨으로서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집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40)는 상기 단자(14,15)의 축방향에서 직각으로 배치되어 접부(30)와 연결구(20)를 체결시킴으로서, 체결볼트(40)의 회전에 따른 체결력이 단자(14,15)의 회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에 단자(14,15)의 체결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체결볼트(40)의 체결력을 높여 접부(30)와 연결구(20)에 충분한 체결압을 가할 수 있고, 따라서 접부의 접면(31)과 연결구(20) 사이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의 접부와 연결구 간의 연결을 위한 체결수단이 체결볼트(40)와 체결너트(41)인 경우가 예로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체결수단은 리벳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리벳이 상기 접부와 연결구의 체결홀을 관통하여 접부와 연결구를 리벳결합시킴으로서 단자와 연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부와 연결구는 용접으로 부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미설명된 도면 부호 (W)는 접부(30)와 연결구 사이에 형성되는 용접 비드이다.
도 5와 도 6은 단자와 연결구 간의 체결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14,15)는 상단 중앙에 양면이 평면형태로 되어 접면(311)을 이루는 접부(301)가 단자의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부(301)는 상기 접면(311)에 접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체결홀(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 전지(11) 사이의 단자(14,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201)는 두 개가 한쌍을 이루어 상기 접부(301)의 양측 접면(311)에 밀착된다.
상기 각 연결구(201)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연결구(201)는 직사각형태의 평판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양 선단부에 상기 접부(301)의 체결홀(321)과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홀(21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201)는 크기가 클수록 상기 접면(311)과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 는 데, 대략 상기 접부(301)의 접면(311)에 접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특별히 크기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구(201)와 접부(301)간의 체결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401)와 체결너트(411)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한쌍의 연결구(201)는 각각 상기 접부(301)의 양쪽 접면(311)에 밀착시킨다. 각 연결구(201)의 체결홀(211)과 접부(301)의 체결홀(32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401)와 체결너트(411)를 이용하여 양 부재를 조여주게 되면 양 접면(311)에 각 연결구(201)가 밀착되면서 단자(14,15)와 연결구(20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연결구(201)가 구비되어 접부(301)의 양면에 밀착됨으로서 접부의 일면에만 연결구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자(14,15)와 연결구(201) 간의 접촉면적을 두배로 늘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집전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7과 도 8은 단자와 연결구간의 체결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14,15)는 상단 중앙에 양면이 평면형태로 되어 접면(312)을 이루는 접부(302)가 단자의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부(302)는 상기 접면(312)에 접면(312)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체결홀(322)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위 전지(11) 사이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202)는 사 각형태의 평판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는 절곡되어 간격을 두고 내면(222)이 마주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면(22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접부(302)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202)는 양 선단부에 상기 접부(302)의 체결홀(322)과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홀(212)이 마주보는 두 내면(222)을 모두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202)의 체결홀(212)은 상기 연결구(202)를 단자의 접부(302)에 끼웠을 때, 상기 접부(302)에 형성된 체결홀(3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된 연결구(202)를 상기 접부(302)에 끼워주게 되면 접부(302)가 연결구(202) 사이로 삽입되면서 접부(302)의 양쪽 접면(312)이 연결구(202)의 마주보는 내면(222)과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02)의 체결홀(212)과 접부(302)의 체결홀(32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402)와 체결너트(412)를 이용하여 양 부재를 조여주게 되면 양 접면(312)에 연결구(202)의 마주보는 내면(222)이 밀착되면서 단자(14,15)와 연결구(20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하나의 연결구(202)를 절곡시켜 접부(302)의 양쪽 면에 밀착시킴으로서 집전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두 개의 연결구가 분리되어 구비된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다.
도 9와 도 10은 단자와 연결구 간의 체결구조에 대한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14,15)는 상단 중앙에 슬릿 형태로 절결된 절결홈(333)이 형성되어 접부(303)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절결홈(333)의 마주보는 내측면이 접부(303)의 접면(313)을 이루어 연결구(203)와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부(303)는 접면(313)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체결홀(323)이 마주보는 두 접면(313)을 모두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203)는 직사각형태의 평판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양 선단부에 상기 접부(303)의 체결홀(323)과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홀(2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203)의 두께는 상기 접부(303)의 마주보는 접면(313)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203)의 체결홀(213)은 상기 연결구(203)를 단자의 접부(303)에 끼웠을 때, 상기 접부(303)에 형성된 체결홀(32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203)를 상기 접부(303)의 절결홈(333)에 끼워주게 되면 접부(303)의 마주보는 양쪽 접면(313)이 연결구(203)와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03)의 체결홀(213)과 접부(303)의 체결홀(323)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403)와 체결너트(413)를 이용하여 양 부재를 조여주게 되면 양 접면(313)에 연결구(203)가 밀착되면서 단자(14,15)와 연결구(20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구와 단자간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전기 전도율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를 단자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단자의 체결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와 단자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연결구가 단자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함으로서 접촉저항을 줄이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5)

  1. 단자를 구비한 복수개의 단위전지들과,
    상기 각 단위 전지의 단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는 일측에 상기 연결구가 접하는 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와 상기 단자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단자의 접부에서 상기 단자의 축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의 상호 접촉면을 갖는 이차 전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접부는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와 상기 단자의 상호 접촉면은 평면인 이차 전지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접부는 한 쌍의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연결구가 상기 단자의 접부의 양 면에 접촉하여 체결되는 이차 전지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접부는 상기 단자에 일체로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접부는 간격을 두고 분리된 적어도 두 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단자의 접부의 분리된 부재들 사이에 끼워진 구조를 갖는 이차 전지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단자의 접부의 양면을 감싸도록 중앙부가 절곡된 이차 전지 모듈.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와 상기 단위전지의 단자는 체결구를 통하여 서로 체결되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단자의 축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구와 상기 단자를 함께 관통하여 고정되는 이차 전지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접부에는 상기 연결구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단자의 접부의 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이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단자의 접부와 상기 연결구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단자의 접부와 상기 연결구에 형성되는 체결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리벳인 이차 전지 모듈.
  13.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접부에 상기 연결구가 용접되어 고정되는 이차 전지 모듈.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와 단위 전지 사이에 전지격벽이 설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지는 각형인 이차 전지 모듈.
KR1020060087365A 2006-09-11 2006-09-11 이차 전지 모듈 KR100778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65A KR100778511B1 (ko) 2006-09-11 2006-09-11 이차 전지 모듈
JP2007021381A JP2008071733A (ja) 2006-09-11 2007-01-31 電池モジュール
US11/852,143 US7601457B2 (en) 2006-09-11 2007-09-07 Battery module
EP07116039A EP1901368B1 (en) 2006-09-11 2007-09-10 Battery module
DE602007014153T DE602007014153D1 (de) 2006-09-11 2007-09-10 Batteriemodul
CN200710154235A CN100588006C (zh) 2006-09-11 2007-09-11 电池组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65A KR100778511B1 (ko) 2006-09-11 2006-09-11 이차 전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511B1 true KR100778511B1 (ko) 2007-11-22

Family

ID=3857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365A KR100778511B1 (ko) 2006-09-11 2006-09-11 이차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1457B2 (ko)
EP (1) EP1901368B1 (ko)
JP (1) JP2008071733A (ko)
KR (1) KR100778511B1 (ko)
CN (1) CN100588006C (ko)
DE (1) DE602007014153D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170B1 (ko) 2009-02-26 2010-09-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9812681B2 (en) 2015-03-03 2017-11-07 Samsung Sdi Co., Ltd.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US9837656B2 (en) 2015-03-11 2017-12-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lexible configu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2042B2 (ja) * 2007-09-25 2013-08-14 株式会社Gsユアサ 端子間接続構造
US7563137B1 (en) * 2008-06-30 2009-07-21 Lg Chem, Ltd. Mechanical fastener for coupling to electrical terminals of battery modules and method for coupling to electrical terminals
CN102598361B (zh) * 2009-06-08 2015-08-26 巴伐利亚机动车制造厂 电池连接器
US8263255B2 (en) * 2009-10-01 2012-09-11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9196890B2 (en) * 2009-10-05 2015-11-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welded portion between terminals
DE102009051217A1 (de) * 2009-10-29 2011-05-12 Li-Tec Battery Gmbh Kontaktierungselement, Anordnung und Verfahren zur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Bauelements, insbesondere eines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s
DE102009052480A1 (de) * 2009-11-09 2011-05-12 Li-Tec Battery Gmbh Elektroenergiezelle und Elektroenergieeinheit
KR101108180B1 (ko) * 2009-11-24 2012-0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
US9105911B2 (en) * 2009-12-28 2015-08-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8994300B2 (en) 2010-01-20 2015-03-31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module, and electric vehicle, movable body, battery system,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628875B2 (en) * 2010-04-16 2014-01-1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multi-level connector
CN101826664A (zh) * 2010-04-30 2010-09-08 张天任 一种铅酸电池并串联通用连接线
DE102010029011A1 (de) * 2010-05-17 2011-11-17 Sb Limotive Company Ltd. Lithium-Ionen-Batteriezell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leitfähigen Kontaktierung von Terminals von Batteriezellen
US8309246B2 (en) * 2010-10-25 2012-11-13 Sb Limotive Co., Ltd.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177978A1 (en) * 2011-01-11 2012-07-12 Sungbae Ki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DE202011000930U1 (de) * 2011-04-19 2014-01-22 Hagemann-Systems Gmbh Batterieverbinder
DE102011076624A1 (de) * 2011-05-27 2012-11-29 Elringklinger Ag Zellverbinder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JP5936082B2 (ja) * 2012-01-23 2016-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5953051B2 (ja) * 2012-01-27 2016-07-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用バスバーモジュール
FR2996683B1 (fr) * 2012-10-10 2015-01-02 Accumulateurs Fixes Coffre etanche pour batteries alcalines
KR20140066929A (ko) * 2012-11-23 2014-06-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KR20140094207A (ko) 2013-01-21 2014-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6135246B2 (ja) 2013-03-29 2017-05-3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101794096B1 (ko) 2013-04-16 2017-1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버스 바를 가지는 이차 전지 모듈
DE102013213527A1 (de) * 2013-07-10 2015-01-15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r Zellverbinder für ein Batteriemodul
JP6090811B2 (ja) * 2013-09-11 2017-03-08 日本碍子株式会社 集合電池用容器
KR20150031093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모듈
FR3018394A1 (fr) * 2014-03-04 2015-09-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iece d'assemblage et de connexion electrique d'au moins deux cellules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JP5928536B2 (ja) * 2014-07-16 2016-06-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KR102303827B1 (ko) 2014-10-06 2021-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는 복합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397857B1 (ko) * 2015-07-15 2022-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JP6601904B2 (ja) * 2015-07-16 2019-11-06 古河電池株式会社 蓄電池用接続体
WO2018106912A1 (en) 2016-12-08 2018-06-14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Compositions with doped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and methods of use
JP6741215B2 (ja) * 2017-01-20 2020-08-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USD925453S1 (en) * 2019-02-27 2021-07-20 A.F.W. Co., Ltd. Grounding bus bar
KR20200134492A (ko) * 2019-05-22 2020-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모듈이 구비된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
KR20220061221A (ko) * 2019-10-31 2022-05-12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장치 및 고장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326A (ko) * 2004-08-24 2006-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7969A (en) * 1975-10-22 1978-10-03 Japan Storage Battery Company Limited Method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electric storage batteries
JPS5773866U (ko) * 1980-10-24 1982-05-07
JPS5821092A (ja) 1981-07-29 1983-0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ナトリウム機器配管の交換作業用シールとそのシールを使用したナトリウム機器配管の交換作業方法
JPS58147162U (ja) * 1982-03-30 1983-10-03 新神戸電機株式会社 蓄電池端子接続部
JPS634062U (ko) * 1986-06-26 1988-01-12
JPS6319757A (ja) * 1986-07-11 1988-01-27 Yuasa Battery Co Ltd 鉛蓄電池
JPH0752700B2 (ja) * 1987-03-23 1995-06-05 ニチ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US5154646A (en) * 1991-11-12 1992-10-13 Shoup Kenneth E Battery clamp
US6423441B1 (en) * 2000-01-12 2002-07-23 Delphi Technologies, Inc. Battery pack signal routing system
JP4365991B2 (ja) * 2000-05-29 2009-11-18 三菱化学株式会社 電池接続構造
JP4171873B2 (ja) * 2002-02-25 2008-10-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4360262B2 (ja) * 2004-04-28 2009-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KR100627294B1 (ko) * 2004-10-28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326A (ko) * 2004-08-24 2006-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170B1 (ko) 2009-02-26 2010-09-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9812681B2 (en) 2015-03-03 2017-11-07 Samsung Sdi Co., Ltd. Flexible rechargeable battery
US9837656B2 (en) 2015-03-11 2017-12-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lexible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01457B2 (en) 2009-10-13
US20080063929A1 (en) 2008-03-13
CN101145605A (zh) 2008-03-19
DE602007014153D1 (de) 2011-06-09
EP1901368B1 (en) 2011-04-27
EP1901368A1 (en) 2008-03-19
CN100588006C (zh) 2010-02-03
JP2008071733A (ja)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51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684763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EP2150997B1 (en) Battery pack
KR101249110B1 (ko) 전지 간 접속구조
US7614906B2 (en)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JP4515961B2 (ja) 二次電池を利用した電池モジュール
KR100949333B1 (ko) 전지 모듈
US20050250386A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US11450930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same
US20150171404A1 (en) Battery module
JP2006019284A (ja) 二次電池
KR20050121906A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KR10066943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050121909A (ko) 전지 모듈
US9088039B2 (en) Rechargeable battery module
KR20070014653A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KR100590107B1 (ko) 이차 전지
CN217983589U (zh) 一种汇流排及电池组
KR100599617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KR10059980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170019707A (ko)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