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259B1 -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 Google Patents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7259B1 KR101697259B1 KR1020100080036A KR20100080036A KR101697259B1 KR 101697259 B1 KR101697259 B1 KR 101697259B1 KR 1020100080036 A KR1020100080036 A KR 1020100080036A KR 20100080036 A KR20100080036 A KR 20100080036A KR 101697259 B1 KR101697259 B1 KR 1016972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nection
- piece
- power connector
- hoo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파워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터미널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개방되는 것으로 터미널(30)이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를 구획하는 격벽(13)의 상하방향으로 밀착지지단(22)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지지단(22)의 상부에는 터미널안착부(12)의 전방을 향해 걸이돌기(24)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30)은 연결부(32)와 바렐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2)의 선단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 형성된 걸이단(26)에 걸어지는 회전걸이편(3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2)의 측단에는 각각 상기 밀착지지단(22)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밀착걸이편(36)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2)에는 상기 회전걸이편(34)과 협력하여 너트(45)를 고정하는 고정편(38)이 연결부(32)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30)을 연결부(32) 선단의 회전걸이편(34)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밀착지지단(22)에 상기 밀착걸이편(36)이 밀착되어 걸어지도록 안착되므로, 터미널(30)이 하우징(10)에 대해 유동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미널 및 파워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공급하는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구동을 위해서는 전기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전원에 연결된 와이어의 끝단에 구비된 터미널과 파워커넥터의 터미널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파워커넥터의 터미널과 전원측의 터미널은 결합된 상태가 쉽게 해지되지 못하도록 일반적으로 볼트를 사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파워커넥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44116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파워커넥터에서는 터미널블록에 와이어가 연결된 접촉단자를 설치하는데, 터미널블록에 고정돌기부를 형성하여 고정돌기부와 터미널블록 표면 사이의 틈새로 접촉단자를 끼워 넣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접촉단자를 터미널블록에 설치하는 것은 접촉단자가 터미널블록에 대해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접촉단자를 터미널블록에 설치하는 것은 작업이 매우 어려워 조립작업의 작업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블록에 터미널을 터미널 자체의 탄성복원력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을 위한 구조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격벽에 의해 구획된 터미널안착부가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면에 걸이단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상하로 연장되어 밀착지지단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결부와 바렐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걸이단에 걸어지는 회전걸이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양측 중간부에는 상기 밀착지지단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는 밀착걸이편이 형성되며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바닥면에는 요입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의 연결부에 구비된 너트가 상기 요입홈에 위치된다.
상기 요입홈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터미널안착부의 바닥면은 상기 터미널의 연결부 가장자리와 상기 바렐부가 안착되는 안착단으로 되고 상기 안착단의 선단측에 상기 걸이단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지지단의 상단에는 상기 밀착걸이편이 걸어지는 걸이돌기가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의 연결부에는 너트의 통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의 통공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너트의 통공에 체결되도록 관통된다.
상기 걸이단에서 상기 밀착지지단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회전걸이편에서 상기 밀착걸이편까지의 수직거리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걸이편은 상기 연결부의 일부를 절결하고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직교하게 절곡되어 연결부의 상부를 향하는 밀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회전걸이편과 협력하여 상기 너트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연결부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단에 회전걸이편이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하우징의 밀착지지단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는 밀착걸이편이 각각 형성되는 판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는 상대 터미널의 체결을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걸이편과 협력하여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고정하는 고정편이 연결부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걸이편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절결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직교하게 절곡되어 연결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걸이편은 상기 연결부의 선단이 하부로 직각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기 연결부와 평행하게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및 파워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파워커넥터에서는 터미널에 회전걸이편과 밀착걸이편을 형성하여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걸이편이 걸어진 상태에서 밀착걸이편이 밀착되도록 하였으므로 하우징에 대해 터미널이 유동되지 않게 되어 터미널의 설치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상태가 풀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걸이편을 하우징의 걸이단에 건 상태에서 회전시켜 상기 밀착걸이편이 하우징의 밀착지지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걸이돌기에 걸어지도록 하였으므로 터미널을 하우징에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구성을 상부에서 보인 상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하면을 보인 하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하우징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구성을 상부에서 보인 상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하면을 보인 하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하우징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및 파워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파워커넥터의 외관과 골격과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터미널안착부(12)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는 그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는 격벽(13)들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서 돌출되게 결합브라켓(14)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브라켓(14)은 판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결합브라켓(14)에는 체결공(16)이 형성되어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10)의 전체 터미널안착부(12)를 차폐할 수 있으면서 상기 결합브라켓(14)과 결합될 수 있는 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내부에는 요입홈(18)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8)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내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요입홈(18)은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45)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요입홈(18)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길이방향 중간부분 일부에만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8)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안착단(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0)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연결부(32) 가장자리와 바렐부(4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단(20)은 실질적으로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내면이다. 즉, 안착단(20)은 터미널안착부(12)의 내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8)의 양측 내면에 해당되는 격벽(13)에는 밀착지지단(22)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지지단(22)은 상기 격벽(13)의 상부에서 하부로 사각기둥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격벽(13)에 상기 밀착지지단(2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지지단(22)의 연장방향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8)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상기 격벽(13)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상기 밀착지지단(22)이 반드시 격벽(13)의 하부까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격벽(13)의 상부에서 중간부정도까지 형성되면 된다.
상기 밀착지지단(22)의 상단에는 걸이돌기(2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24)는 상기 밀착지지단(22)의 상단에서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선단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24)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밀착걸이편(36)을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요입홈(18)의 선단측, 즉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선단 쪽에 해당되는 요입홈(18)의 선단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단(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단(26)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연결부(32) 선단에 형성된 회전걸이편(34)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는 터미널(30)이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3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30)의 선단에는 연결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2)는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32)는 그 형상이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된다. 상기 연결부(32)는 폭보다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판상이다. 하지만, 상기 연결부(32)의 구성이 반드시 직사각형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부(32)의 선단쪽에는 체결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3)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대 터미널의 체결을 위한 볼트(47)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42)의 선단 중앙에는 회전걸이편(3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걸이편(34)은 상기 걸이단(26)에 걸어진 상태로 상기 터미널(3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회전걸이편(34)은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45)를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회전걸이편(34)은 상기 연결부(32)의 선단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기 연결부(32)와 평행하게 되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다. 즉, 종단면이 'L'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2)의 양측 대략 중간부분에는 각각 밀착걸이편(36)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걸이편(36)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형상으로 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32)의 일부를 절결하여 내어 형성된다. 상기 밀착걸이편(36)은 상기 연결부(32)에서 연장된 연장부(37)와 상기 연장부(37)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연결부(32)의 상방으로 돌출된 밀착부(37')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37)와 연결부(32)를 포함하는 밀착걸이편(36)은 측방향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밀착걸이편(36)은 상기 연결부(32)를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연결부(32)의 양측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연결부(32)의 양측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32)의 중앙에는 고정편(38)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38)은 아래에서 설명될 너트(45)를 상기 회전걸이편(34)과 협력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편(38)은 상기 연결부(32)의 중앙을 일부 절결하고 절곡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편(38)은 상기 연결부(32)의 하면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30)의 후단에는 바렐부(40)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40)는 와이어(4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렐부(40)는 와이어바렐(41)과 인슐레이션바렐(43)로 구성되는데, 상기 와이어바렐(41)은 와이어(40')의 심선을 둘러감싸는 부분이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43)은 상기 와이어(40')의 절연피복을 둘러감싸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터미널(30)의 연결부(32) 하면에는 너트(45)가 설치된다. 상기 너트(45)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판형상이다. 상기 너트(45)의 중앙을 관통해서는 상기 연결부(32)의 체결공(33)과 같은 크기의 통공(45')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45')의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45)에는 상기 연결부(32)의 체결공(33)을 관통하여 볼트(47)가 체결된다. 상기 볼트(47)는 상기 연결부(32)의 상면에 상대 터미널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대 터미널과 상기 체결공(33)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45)의 통공(45')에 체결된다.
참고로, 상기 너트(45)는 상기 터미널(30)의 연결부(32)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요입홈(18)에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통공을 형성하거나 너트(45)를 인서트몰드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30)의 연결부(32)에 고정편(38)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및 파워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파워커넥터의 터미널(30)은 전원과 연결된 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되는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터미널(30)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30)에는 와이어(40')가 연결된 상태이고, 상기 연결부(32)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걸이편(34)과 고정편(38)에 의해 너트(45)가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너트(45)에 볼트(47)가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볼트(47)가 반드시 체결된 상태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터미널(30)은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부(12)에 각각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30)을 터미널안착부(12)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30)의 회전걸이편(34)이 요입홈(18)의 걸이단(26)에 걸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터미널(30)을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상부에서 회전걸이편(34)이 있는 선단이 45도 정도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걸이편(34)이 걸이단(26)에 걸어지도록 삽입하고, 상기 걸이단(26)에 회전걸이편(34)이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걸이편(34)을 중심으로 상기 터미널(30)을 회전시켜 상기 연결부(32)와 바렐부(40)가 상기 안착단(20)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30)이 회전하면서 터미널안착부(12)에 안착되면 상기 밀착걸이편(36)이 상기 걸이돌기(24)를 통과해서 상기 밀착지지단(22)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걸이편(36)은 상기 걸이돌기(24)를 통과하면서 걸이돌기(24)에 밀착되어 탄성변형되고, 상기 걸이돌기(24)를 통과한 후에도 상기 밀착지지단(22)에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단(26)에서 상기 밀착지지단(22)까지의 수직거리가 상기 연결부(32) 선단의 회전걸이편(34)에서 상기 밀착걸이편(36)까지의 수직거리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밀착지지단(22)에 상기 밀착걸이편(36)이 걸어진 상태에서는 밀착걸이편(36)의 밀착부(37') 선단이 상기 걸이돌기(24)의 하부에 있어 상기 밀착부(37')가 탄성변형되지 않으면 임의로 상기 밀착부(37')가 상기 걸이돌기(24)를 빠져나갈 수 없다. 즉, 상기 밀착부(37')의 선단이 상기 걸이돌기(24)에 걸어져 터미널(30)이 터미널안착부(12)의 상부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연결부(32) 선단의 회전걸이편(34)이 상기 걸이단(26)에 걸어져 있고, 상기 밀착걸이편(36)이 상기 걸이돌기(24)에 걸어져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32) 전체가 터미널안착부(12)에서 상부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걸이편(36)의 밀착부(37')가 상기 밀착지지단(22)에 약간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2) 선단의 회전걸이편(34)이 걸이단(26)에 걸어져 있으므로,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길이방향으로 터미널(30)이 유동되는 것이 또한 방지된다.
한편, 상기 터미널(30)에 상대 터미널을 연결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볼트(47)를 풀고 상기 터미널(30)의 연결부(32)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연결부(32)의 체결공(33)과 상대 터미널의 통공을 일치시키고, 이에 상기 볼트(47)를 관통시킨다. 상기 볼트(47)를 상기 상대 터미널의 통공과 연결부(32)의 체결공(33)을 관통하게 하고 상기 너트(45)의 통공(45')에 체결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30)들에 상대 터미널들을 다 결합하고 난 후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결합브라켓(14)에 커버를 덮어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부(12)를 외부와 차폐시킨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입홈(18)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너트(45)의 통공(45')이 터미널안착부(12)의 바닥면에 있으면 요입홈(18)이 필요없다. 하지만, 걸이단(26)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바닥면에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돌기(24)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상기 밀착걸이편(36)이 상기 밀착지지단(22)에 강하게 밀착되어 있으면 상기 밀착지지단(22)을 밀착걸이편(36)이 쉽게 빠져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10: 하우징 12: 터미널안착부
13: 격벽 14: 결합브라켓
16: 체결공 18: 요입홈
20: 안착단 22: 밀착지지단
24: 걸이돌기 26: 걸이단
30: 터미널 32: 연결부
33: 체결공 34: 회전걸이편
36: 밀착걸이편 37: 연장부
37': 밀착부 38: 고정걸이편
40: 바렐부 41: 와이어바렐
43: 인슐레이션바렐 45: 너트
45': 통공 47: 볼트
13: 격벽 14: 결합브라켓
16: 체결공 18: 요입홈
20: 안착단 22: 밀착지지단
24: 걸이돌기 26: 걸이단
30: 터미널 32: 연결부
33: 체결공 34: 회전걸이편
36: 밀착걸이편 37: 연장부
37': 밀착부 38: 고정걸이편
40: 바렐부 41: 와이어바렐
43: 인슐레이션바렐 45: 너트
45': 통공 47: 볼트
Claims (13)
- 격벽에 의해 구획된 터미널안착부가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면에 걸이단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상하로 연장되어 밀착지지단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결부와 바렐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걸이단에 걸어지는 회전걸이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양측 중간부에는 상기 밀착지지단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는 밀착걸이편이 형성되며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바닥면에는 요입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의 연결부에 구비된 너트가 상기 요입홈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터미널안착부의 바닥면은 상기 터미널의 연결부 가장자리와 상기 바렐부가 안착되는 안착단으로 되고 상기 안착단의 선단측에 상기 걸이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지지단의 상단에는 상기 밀착걸이편이 걸어지는 걸이돌기가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커넥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연결부에는 너트의 통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의 통공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너트의 통공에 체결되도록 관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단에서 상기 밀착지지단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회전걸이편에서 상기 밀착걸이편까지의 수직거리보다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커넥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걸이편은 상기 연결부의 일부를 절결하고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직교하게 절곡되어 연결부의 상부를 향하는 밀착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커넥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회전걸이편과 협력하여 상기 너트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연결부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커넥터.
- 선단에 회전걸이편이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하우징의 밀착지지단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는 밀착걸이편이 각각 형성되는 판상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는 상대 터미널의 체결을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걸이편과 협력하여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고정하는 고정편이 연결부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걸이편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을 절결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직교하게 절곡되어 연결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이편은 상기 연결부의 선단이 하부로 직각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기 연결부와 평행하게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0036A KR101697259B1 (ko) | 2010-08-18 | 2010-08-18 |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0036A KR101697259B1 (ko) | 2010-08-18 | 2010-08-18 |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7371A KR20120017371A (ko) | 2012-02-28 |
KR101697259B1 true KR101697259B1 (ko) | 2017-01-17 |
Family
ID=4583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0036A KR101697259B1 (ko) | 2010-08-18 | 2010-08-18 |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725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3839B1 (ko) * | 2013-01-18 | 2013-11-27 | 윌로펌프 주식회사 |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3038A (ja) | 2000-02-09 | 2001-08-17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ナット付き端子およびナット付き端子の取付け方法 |
JP2007299650A (ja) | 2006-04-28 | 2007-11-15 | Yazaki Corp | アース端子用水掛かり防止部品、及びアース端子への水掛かり防止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8667B1 (ko) * | 2004-11-11 | 2012-04-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
KR20080006629U (ko) * | 2007-06-25 | 2008-12-3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링터미널 |
-
2010
- 2010-08-18 KR KR1020100080036A patent/KR1016972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3038A (ja) | 2000-02-09 | 2001-08-17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ナット付き端子およびナット付き端子の取付け方法 |
JP2007299650A (ja) | 2006-04-28 | 2007-11-15 | Yazaki Corp | アース端子用水掛かり防止部品、及びアース端子への水掛かり防止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7371A (ko) | 2012-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030690A1 (en) | Watertight box and adapter | |
KR20090008655U (ko) |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 |
KR101697259B1 (ko) |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 |
KR20140136152A (ko) | 정션박스 | |
US9203223B2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JP2011097712A (ja) | 電気接続箱 | |
KR20180072094A (ko) | 케이블 배관부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 |
KR200444213Y1 (ko) |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결합구조 | |
JP2003243102A (ja) | 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体 | |
KR20120020998A (ko) | 케이블 덕트 고정용 채널의 채널 단부 덮개 | |
KR101268194B1 (ko) |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 |
JP5514013B2 (ja) | 分岐ブレーカ取付台 | |
KR101810131B1 (ko) | 커넥터 | |
US9071024B2 (en) | Shield shell with first and second attachment pieces | |
KR200477203Y1 (ko) |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 |
RU2666748C2 (ru) | Сдвоенная настенная розетка | |
JP2016046101A (ja) | コネクタ、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 |
KR200459824Y1 (ko) | 배터리분배유니트의 버스바고정장치 | |
KR20120073696A (ko) | 커넥터 | |
JP3555029B2 (ja) | バスダクト | |
KR100912951B1 (ko) |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된 커넥터어셈블리 | |
TWI673915B (zh) | 配線器具用安裝框 | |
CN108306120B (zh) | 接线帽支架组件 | |
KR20100118440A (ko) | 버스바의 결합구조 | |
KR20110076579A (ko) | 파워커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