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839B1 -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 - Google Patents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839B1
KR101333839B1 KR1020130006154A KR20130006154A KR101333839B1 KR 101333839 B1 KR101333839 B1 KR 101333839B1 KR 1020130006154 A KR1020130006154 A KR 1020130006154A KR 20130006154 A KR20130006154 A KR 20130006154A KR 101333839 B1 KR101333839 B1 KR 10133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ut
compartment
rib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김종두
Original Assignee
윌로펌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로펌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윌로펌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6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는 단자를 너트에 결합 접속할 때, 받침블럭에 형성된 지지공과 단자에 형성된 지지돌기로 인하여 단자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로 단자를 잡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게 단자를 너트에 결합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된 너트에 볼트를 삽입하여 단자를 고정 지지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 {TERMINAL BLOCK, MOTOR USING THE SAME AND PUMP WITH THE MOTOR}
본 발명은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에 관한 것이다.
펌프란 모터의 작용으로 물 등과 같은 액체를 수송하는 장치로서, 유입된 액체를 강제로 배출시키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다.
펌프의 케이싱의 외면 일측에는 전기 및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단자함이 설치되고, 상기 단자함에는 외부의 전원을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측으로 전달하는 터미널 블럭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터미널 블럭의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터미널 블럭(10)은 받침블럭(11), 한쌍으로 마련되어 받침블럭(11)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볼트(13) 및 볼트(13)에 결합되는 너트(15)를 포함한다. 이때,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볼트(13)는 상호 연결 접속된다.
그리하여, 링형상을 이루는 단자(17)의 부위를 볼트(13)에 삽입한 다음, 너트(15)를 볼트(13)에 결합하면, 단자(17)가 볼트(13)에 결합 접속된다. 단자(17)에는 전선(19)의 일측이 접속되고, 전선(19)의 타측은 외부의 전원측 또는 펌프의 모터측과 접속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미널 블럭은 단자(17)를 볼트(13)에 삽입한 다음, 너트(15)를 볼트(13)에 결합할 때, 단자(17)가 볼트(1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단자(17)에 접속된 전선(19)의 타측 부위가 상호 접속되어 쇼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단자(17) 및 전선(19)이 회전되지 않도록 단자(17) 및 전선(19)을 잡고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대단히 불편하다.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 볼트(13)에 너트(15)를 결합하여 단자(17)를 지지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생산성이 더욱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럭은, 받침블럭;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함과 동시에 상호 접속되어 상기 받침블럭에 설치된 복수의 너트; 일측은 상기 너트에 접속되고, 타측에는 전선의 일측이 접속되는 단자; 상기 단자가 상기 너트에 밀착되도록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의 일측 외주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블럭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을 가지는 고정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작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자;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을 상기 코일로 전달하는 터미널 블럭을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받침블럭;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함과 동시에 상호 접속되어 상기 받침블럭에 설치된 복수의 너트; 일측은 상기 너트에 접속되고, 타측에는 전선의 일측이 접속되는 단자; 상기 단자가 상기 너트에 밀착되도록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의 일측 외주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블럭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배출시키는 임펠러,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을 상기 모터로 전달하는 터미널 블럭을 구비하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받침블럭;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함과 동시에 상호 접속되어 상기 받침블럭에 설치된 복수의 너트; 일측은 상기 너트에 접속되고, 타측에는 전선의 일측이 접속되는 단자; 상기 단자가 상기 너트에 밀착되도록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의 일측 외주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블럭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는 단자를 너트에 결합 접속할 때, 받침블럭에 형성된 지지공과 단자에 형성된 지지돌기로 인하여 단자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로 단자를 잡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게 단자를 너트에 결합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된 너트에 볼트를 삽입하여 결합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미널 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펌프에 내장된 모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터미널 블럭의 일부 분해 확대 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호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특정 구조 및 특정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길이, 면적, 두께 및 형태는, 편의상,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펌프에 내장된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는 외관을 형상하는 케이싱(110)을 포함하고, 케이싱(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물 등과 같은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미도시) 및 배출되는 배출구(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내부 우측 부위에는 하우징(121)을 가지는 모터(120)가 설치되고, 내부 좌측 부위에는 임펠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모터(120)의 회전축(123)에 결합되며, 회전축(123)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강제로 배출구(110a)를 통하여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모터(120)는 하우징(121)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미도시)을 가지는 고정자와 하우징(12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작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120)가 구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자의 코일에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케이싱(110)의 외면 일측에는 단자함(113)이 설치되고, 단자함(113)의 내부에는 외부의 전원을 모터(120)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 블럭(130)이 설치될 수 있다.
터미널 블럭(13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터미널 블럭의 일부 분해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블럭(130)은 받침블럭(131), 너트(135), 단자(137) 및 볼트(139)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블럭(131)은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자함(113)에 설치되고, 너트(135)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받침블럭(131)에 설치된다. 이때, 한쌍의 너트(135)는 상호 상호 대향함과 동시에 상호 접속되고, 한쌍으로 마련된 너트(135)는 복수개가 설치된다.
단자(137)는 일측 부위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너트(135)에 접속되고, 타측 부위는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선(138)의 일측이 접속된다. 이때, 전선(138)의 타측은 외부의 전원(電源) 또는 모터(120)측과 접속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한쌍의 너트(135) 중, 하측에 위치된 너트(135a)에 접속되는 단자(137)에 접속된 전선(138)은 전원측과 접속되고, 상측에 위치된 너트(135b)에 접속되는 단자(137)에 접속된 전선(138)은 모터(120)측과 접속된다. 따라서, 하측 및 상측에 위치된 너트(135a, 135b)에 단자(137)를 각각 접속하면, 외부의 전원이 모터(120)측으로 공급된다.
볼트(139)는 링형상을 이루는 단자(137)의 부위를 관통하여 너트(135)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단자(137)가 너트(135)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받침블럭(131)에는 한쌍의 너트(135) 중, 어느 하나의 너트(135a)와 다른 하나의 너트(135b)를 구획하는 상호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제1구획리브(132a, 13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제1구획리브(132a, 132b) 중, 제1구획리브(132a)는 너트(135a)를 너트(135b)와 구획시키고, 제1구획리브(132b)는 너트(135b)를 너트(135a)와 구획시킨다.
그리고, 제1구획리브(132a, 132b)의 양단부측에는 제2구획리브(133)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인접하는 쌍을 이루는 너트(135)간을 구획할 수 있다.
전선(138)이 접속된 단자(137)는 받침블럭(131)의 외측에서 제2구획리브(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구획리브(132a)와 제2구획리브(13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 및 제1구획리브(132b)와 제2구획리브(13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너트(135)와 접속된다.
이때, 단자(137)가 회전되면, 단자(137)에 접속된 전선(138)이 상호 접속되어 쇼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구획리브(132a, 132b)에는 지지공(132aa, 132ba)이 각각 형성되고, 링형상을 이루는 단자(137)의 외주면에는 지지공(132aa, 132ba)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돌기(137a)가 형성된다. 그러면, 단자(137)를 제1구획리브(132a)와 제2구획리브(13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 및 제1구획리브(132b)와 제2구획리브(13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하여 너트(135)와 접속시킬 때, 단자(137)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전선(138)의 접속에 의한 쇼트가 방지될 수 있다.
제1구획리브(132a, 132b)와 연결된 제2구획리브(133)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는 지지리브(134)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134)는 단자(137)를 제1구획리브(132a)와 제2구획리브(13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 및 제1구획리브(132b)와 제2구획리브(13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할 때, 받침블럭(131)의 외측을 향하는 단자(137)의 면과 접촉하여 단자(137)가 너트(135)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블럭(130)이 모터(120)에 직접 설치될 경우에는 받침블럭(131)이 모터(120)의 하우징(12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는 단자(137)를 너트(135)에 결합 접속할 때, 받침블럭(131)에 형성된 지지공(132aa, 132ba)과 단자(137)에 형성된 지지돌기(137a)로 인하여 단자(137)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로 단자(137)를 잡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게 단자(137)를 너트(135)에 결합 접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110: 케이싱
120: 모터
130: 터미널 블록
131: 받침블럭
135: 너트
137: 단자
139: 볼트

Claims (9)

  1. 받침블럭;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함과 동시에 상호 접속되어 상기 받침블럭에 설치된 복수의 너트;
    일측은 상기 너트에 접속되고, 타측에는 전선의 일측이 접속되는 단자;
    상기 단자가 상기 너트에 밀착되도록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블럭에는 한쌍의 상기 너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너트와 다른 하나의 상기 너트를 구획하는 상호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제1구획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리브의 양단부측에는 상호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너트간을 구획하는 제2구획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자의 일측 외주면 및 상기 제1구획리브에는 상호 삽입 지지되는 지지돌기 및 지지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럭.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받침블럭의 외측에서 상기 제2구획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구획리브와 상기 제2구획리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와 접속하고,
    상기 제1구획리브와 연결된 상기 제2구획리브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단자를 상기 제1구획리브와 상기 제2구획리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삽입할 때, 상기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단자가 상기 너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럭.
  4.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코일을 가지는 고정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작용하여 회전하는 회전자;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을 상기 코일로 전달하는 터미널 블럭을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받침블럭;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함과 동시에 상호 접속되어 상기 받침블럭에 설치된 복수의 너트; 일측은 상기 너트에 접속되고, 타측에는 전선의 일측이 접속되는 단자; 상기 단자가 상기 너트에 밀착되도록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의 일측 외주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블럭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블럭에는 한쌍의 상기 너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너트와 다른 하나의 상기 너트를 구획하는 상호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제1구획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리브의 양단부측에는 상호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너트간을 구획하는 제2구획리브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받침블럭의 외측에서 상기 제2구획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구획리브와 상기 제2구획리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와 접속하고,
    상기 지지공은 상기 제1구획리브에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리브와 연결된 상기 제2구획리브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단자를 상기 제1구획리브와 상기 제2구획리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삽입할 때, 상기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단자가 상기 너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상기 배출구측으로 배출시키는 임펠러,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을 상기 모터로 전달하는 터미널 블럭을 구비하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받침블럭;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함과 동시에 상호 접속되어 상기 받침블럭에 설치된 복수의 너트; 일측은 상기 너트에 접속되고, 타측에는 전선의 일측이 접속되는 단자; 상기 단자가 상기 너트에 밀착되도록 상기 단자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의 일측 외주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블럭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블럭에는 한쌍의 상기 너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너트와 다른 하나의 상기 너트를 구획하는 상호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제1구획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획리브의 양단부측에는 상호 인접하는 한쌍의 상기 너트간을 구획하는 제2구획리브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받침블럭의 외측에서 상기 제2구획리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구획리브와 상기 제2구획리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와 접속하고,
    상기 지지공은 상기 제1구획리브에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리브와 연결된 상기 제2구획리브의 상호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단자를 상기 제1구획리브와 상기 제2구획리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삽입할 때, 상기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단자가 상기 너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KR1020130006154A 2013-01-18 2013-01-18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 KR101333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154A KR101333839B1 (ko) 2013-01-18 2013-01-18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154A KR101333839B1 (ko) 2013-01-18 2013-01-18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839B1 true KR101333839B1 (ko) 2013-11-27

Family

ID=4985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154A KR101333839B1 (ko) 2013-01-18 2013-01-18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8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534B1 (ko) 2016-11-07 2017-09-07 최하나 전원공급용 자성체가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WO2020057827A1 (en) * 2018-09-18 2020-03-26 Arcelik Anonim Sirketi A motor suitable for quick connection
CN111509424A (zh) * 2020-04-14 2020-08-07 江苏苏麦克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线夹
CN113678349A (zh) * 2019-04-11 2021-11-19 博泽(班贝格)汽车零部件欧洲两合公司 具有无刷电动马达的驱动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116Y1 (ko) * 1995-03-16 1998-07-15 이희종 모터 콘트롤 센터용 제어유니트의 2차인출 가동측 단자대
KR20120017371A (ko) * 2010-08-18 2012-02-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KR200464029Y1 (ko) * 2012-07-31 2012-12-06 주식회사 세니온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116Y1 (ko) * 1995-03-16 1998-07-15 이희종 모터 콘트롤 센터용 제어유니트의 2차인출 가동측 단자대
KR20120017371A (ko) * 2010-08-18 2012-02-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KR200464029Y1 (ko) * 2012-07-31 2012-12-06 주식회사 세니온 단자간 간섭방지를 갖는 단자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534B1 (ko) 2016-11-07 2017-09-07 최하나 전원공급용 자성체가 구비된 전원공급장치
WO2020057827A1 (en) * 2018-09-18 2020-03-26 Arcelik Anonim Sirketi A motor suitable for quick connection
CN113678349A (zh) * 2019-04-11 2021-11-19 博泽(班贝格)汽车零部件欧洲两合公司 具有无刷电动马达的驱动设备
US11973402B2 (en) 2019-04-11 2024-04-3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Drive device having a brushless electric motor
CN111509424A (zh) * 2020-04-14 2020-08-07 江苏苏麦克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线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839B1 (ko) 터미널 블럭, 이를 사용한 모터 및 이 모터를 구비한 펌프
US10439465B2 (en) Electric power unit
TWI506925B (zh) Rotating motor
CN103107637A (zh) 电子元器件冷却单元、绕组切换器、旋转电机
CN103443468A (zh) 供热循环泵
CN108888221B (zh) 集成加热泵及洗碗机
US11552536B2 (en) Electric motor and inverter assembly
EP4033107A1 (en) Heat pump and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JP2018053825A5 (ko)
CN109412348B (zh) 一种双层防触电水冷式电机、电机泵单元及高压清洗设备
CN205012727U (zh) 用于循环立体车库的导电滑环安装结构和循环立体车库
KR101312720B1 (ko) 모터 내부로 에어 유로를 형성한 모터 장치
CN104935101A (zh) 一种水泵专用变频电机
EP3220517B1 (en) Electric power unit
US8162625B1 (en) Nested motor, reduction motor reduction gear and pump with selectable mounting options
JP6007948B2 (ja) 電動機直結形液圧ポンプ装置
CN104065207A (zh) 一种电动汽车用水冷电机
US11131298B2 (en) Compressor and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7041658A1 (zh) 用于循环立体车库的导电滑环安装结构和循环立体车库
KR200439970Y1 (ko) 소방용 엔진펌프
CN204517555U (zh) 用于旋转机器的电机、用于电机的电源连接器及集成机器
JP2014240659A (ja) 電動圧縮機
US9941766B2 (en) Penetrator power connector for an integrated rotary machine
CN219833887U (zh) 一种外壳水冷电机
CN205243562U (zh) 气动马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