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667B1 -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667B1
KR101138667B1 KR1020040091925A KR20040091925A KR101138667B1 KR 101138667 B1 KR101138667 B1 KR 101138667B1 KR 1020040091925 A KR1020040091925 A KR 1020040091925A KR 20040091925 A KR20040091925 A KR 20040091925A KR 101138667 B1 KR101138667 B1 KR 101138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power cord
clothes dryer
cord wi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116A (ko
Inventor
김성규
정성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6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4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의 구조를 개선하여, 파워코드 와이어 및 접촉단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촉단자를 고정시킨 스크류의 마모 및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는 파워코드 와이어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홈을 가진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의 접촉단자가 안착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된 접촉단자의 상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의 저부를 받치는 지지리브가 설치되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 및 접촉단자의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의류건조기, 터미널 블록, 파워코드 와이어, 접촉단자

Description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terminal block assembly in clothes dry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를 나타낸 것으로서, 파워코드 와이어가 유동되는 상태는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II-II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4의 III-III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4의 Ⅳ-Ⅳ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0: 터미널 블록 71: 관통부
71a: 홈 72: 안착부
73: 위치결정부 81: 파워코드 와이어
82: 접촉단자 110: 고정돌기부
120: 지지리브 130: 지지부
131: 모따기부 132: 경사부
140: 엠보싱부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건조기의 백커버 후방측에 설치된 터미널 블록에 고정되는 파워코드 와이어 어셈블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예컨대, 의류)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도록 하는 기기로서, 이러한 의류건조기의 종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의류건조기 본체(B)는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10)와,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캐비닛(20)과,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캐비닛(30)과, 뒷면을 이루는 백커버(40)와, 상기 캐비닛 상부에 설치되는 톱커버(50)와, 상기 톱커버(50) 후방에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60)을 포함한 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본체(B)를 구성하는 요소인 프론트 캐비닛(20)에 빨래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B) 내에는 건조드럼(도시는 생략함)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캐비닛(20)에는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10)가 설치된다.
그리고, 건조드럼에는 열풍공급유로 및 열풍배출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열풍공급유로 상에는 건조기 외부에서 유입된공기를 고온 상태로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열풍배출유로 상에는 건조드럼 내부로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강제 유입시킴과 더불어 건조 완료후의 공기를 본체(B)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컨트롤 패널(60) 후방측에는 건조기 내로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인 터미널 블록(70)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블록(70)의 하부측 터미널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파워코드 와이어(81) 및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에 연결된 접촉단자(82)가 연결되며, 상부측 터미널에는 건조기 내부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너 와이어(미도시)가 각각 연결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탄낸 것으로서, 상기 터미널 블록(70)은 그 일측에 파워코드 와이어(81)가 관통되도록 복수개의 홈(71a)을 가진 관통부(71)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접촉단자(82)가 안착 고정되는 복수개의 안착부(7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72)의 일측 에는 상기 접촉단자(82)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7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터미널 블록에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와 접촉단자가 설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터미널 블록(70)의 안착부(72)에 상기 접촉단자(82)를 안착시킨 다음, 접촉단자에 형성된 스크류 관통공(82a)를 통해 상호간을 스크류(S)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일단은 상기 접촉단자(82)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터미널 블록(70)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그 타단은 상기 터미널 블록(70)의 관통부(71)의 홈(7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파워코드 와이어(81)가 임의의 충격 및 외력에 의해 유동이 발생될 경우, 그 유동이 상기 접촉단자(82)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접촉단자(82) 또한, 소정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접촉단자(82)가 유동됨에 따라 상기 접촉단자(82)를 고정시킨 스크류(S)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거나 상기 스크류(S)가 풀리는 경우가 발생되어, 제품의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의 구조를 개선하여, 파워코드 와이어 및 접촉단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촉단자를 고정시킨 스크류의 마모 및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는 파워코드 와이어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홈을 가진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의 접촉단자가 안착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된 접촉단자의 상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의 저부를 받치는 지지리브가 설치되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 및 접촉단자의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일측에는 파워코드 와이어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홈을 가진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의 접촉단자가 안착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된 접촉단자의 상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와 연결된 접촉단자의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또 다른 형태는 일측에는 파워코드 와이어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홈을 가진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의 접촉단자가 안착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된 접촉단자의 상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의 저부를 받치는 지지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 및 접촉단자의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II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는 일측에 파워코드 와이어(8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홈(71a)을 가진 관통부(71)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접촉단자(82)가 안착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안착부(7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72)의 일측에는 상기 접 촉단자(82)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73)가 형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72)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부(72)에 고정된 접촉단자(82)의 상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관통부(71)에는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저부를 받치는 지지리브(12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안착부(72)의 하측에는 상기 접촉단자(82)가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안착가이드(72a)가 설치되고, 그 중심부위에는 스크류(S)를 이용하여 접촉단자를 안착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 체결공(8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고정돌기부(110)는 상기 각 안착부(72) 상단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안착부(72)에 고정된 접촉단자(82)의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지지리브(120)는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가 관통되어 설치된 관통부(71)에 형성되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저면을 받치기 위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지지리브(120)는 상기 관통부의 각 홈(71a)에 설치되되, 상기 각 홈(71a)의 일부를 채운 형태로 설치된 것이다.
한편, 상기 안착부(72)에 상기 접촉단자(82)가 고정된 경우,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과 고정돌기의 저면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의 갭(G)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안착부(72)에 상기 접촉단자(82)를 고정시킬 경우, 상기 고정돌기부(110)의 저면을 지나게 되는 상기 접촉단자(82)의 후방측 부위가 상기 고정돌기부(110)의 저면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 중 상기 고정돌기부(110)가 지지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1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엠보싱부(140)가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과 상기 고정돌기부(11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갭(G)을 통해 발생되는 접촉단자(82)의 유동을 방지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안착부(72)에 상기 접촉단자(82)가 안착되면, 상기 고정돌기부(110)의 저면이 상기 접촉단자(82)의 엠보싱부(140)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엠보싱부(140)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호간은 밀착 고정된다.
이렇게 설치된 것에 의해, 상기 접촉단자(82)는 임의의 충격 및 외력에 대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에 파워코드 와이어와 접촉단자를 고정시키는 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상기 터미널 블록의 안착부(72)에 형성된 안착가이드(72a)에 상기 접촉단자(82)의 저면을 얹힌 후, 전촉단자를 위치결정부(73)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접촉단자(82)의 설치 위치를 잡는다.
이 때,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과 상기 고정돌기부(110)의 저면에 형성된 갭(G)에 의해 상기 접촉단자(82)의 후면은 용이하게 고정돌기부(110)의 하면을 지나게 되고, 상기 고정돌기부(110)의 하면을 지난 접촉단자(82)의 후방측 즉,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와 연결된 부위가 상기 위치결정부(73)에 닿게 되어 상기 접촉단자(82)의 설치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접촉단자(82)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는 동안 상기 접촉단자(82)에 형성된 상기 엠보싱부(140)는 상기 고정돌기부(110)의 저면과 접촉하게 된다.
다음, 상기 안착부(72)에 설치위치가 결정된 접촉단자(82)를 별도의 스크류(S)를 사용하여 안착부(72)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접촉단자(82)를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부(110)의 저부와 접촉단자(82)에 형성된 엠보싱부(140)간의 상호 밀쳐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접촉단자(82)는 안착부(7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접촉단자(82)와 연결된 파워코드 와이어(81)는 일단은 상기 터미널 블록(70)의 관통부의 홈(71a)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접촉단자(82)와 연결되게 설치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관통부(71)에 형성된 상기 지지리브(120)에 의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저면이 받쳐지게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터미널 블록(70)에 설치된 파워코드 와이어(81)와 접촉단자(82)는 임의의 충격과 외력에 의해 파워코드 와이어(81)가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하더라도, 상기 지지리브(120)가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저면을 받치는 것과, 상대적으로 상기 고정돌기부(110)가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 및 접촉단자(8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단자(82)를 고정시킨 스크류(S)의 마모를 방지함과 더불어 스크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 리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4의 III-III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는 일측에는 파워코드 와이어(8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홈(71a)을 가진 관통부(71)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접촉단자(82)가 안착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안착부(7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72)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82)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73)가 형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럭(70)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72)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부(72)에 고정된 접촉단자(82)의 상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72)의 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82)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재차 피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의 흔들림에 따른 상기 접촉단자(8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터미널 블록(70) 내에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을 지지하는 고정돌기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72)의 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82)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설치된 것이 제시된다.
한편, 상기 안착부(72)에 상기 접촉단자(82)가 고정된 경우,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과 고정돌기의 저면 사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의 갭(G)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 중 상기 고정돌기부(110)가 지지하는 부위 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1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엠보싱부(140)가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30)의 일단은 모따기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부(130)의 일단에 모따기부(131)가 형성되면, 상기 안착부(72)에 상기 접촉단자(82)를 고정시킬 경우, 상기 고정돌기부(110)의 저면을 지나 상기 지지부(130)에 얹혀지는 상기 접촉단자(82)의 후방측 모서리가 상기 지지부(130)의 일측 모서리 부위와 접촉되어 부딪힘 없이 용이하게 지지부(130)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30)의 일측을 모따기부(131)가 형성된 것을 제시했지만, 상기 지지부(130)의 일측을 라운딩지게 형성하는 것도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의 상면은 일단으로부터 상기 위치결정부(73)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경사부(132)는 상기 지지부(130)에 얹혀진 상기 접촉단자(82)의 후면에 소정의 굽힘을 주어 상기 지지부(130)에서 지지하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이 상기 고정돌기부(1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접촉단자(82)의 후방측 저면이 상기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접촉단자(82)가 상기 안착부(72)에 설치되면, 상기 지지부(130)에 얹혀진 접촉단자(82)의 후방측 저면은 상기 지지부(130) 상면의 경사부(132)에 의해 상 측으로 굽어지려는 굽힘력을 받게되고,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에 형성된 엠보싱부(140)는 상기 고정돌기부(110)의 저면과 접촉되어 굽힘력의 강도에 따라 상응하는 누름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단자(82)는 상기 후방측 저면으로부터 받는 굽힘력과 상기 상면으로부터 누름력에 의해 상기 안착부(7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결국, 상기 터이널 블록의 안착부(72)에 고정된 접촉단자(82)는 상기 접촉단자(82)와 연결된 파워코드 와이어(81)가 임의의 충격 및 외력에 대해 유동이 발생하여도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유동에 연동되지 않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접촉단자(82)를 고정시킨 스크류(S)의 마모를 방지 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접촉단자(82)의 유동에 의해 스크류가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4의 Ⅳ-Ⅳ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는 일측에는 파워코드 와이어(8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홈(71a)을 가진 관통부(71)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접촉단자(82)가 안착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안착부(7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72)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82)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73)가 형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72)에는 상기 안착부(72)에 고정된 접촉단자(82)의 상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관통부 (71)에는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의 저부를 받치는 지지리브(120)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72)의 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82)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전술한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재차 피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 및 상기 접촉단자(8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터미널 블록 내에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을 지지하는 고정돌기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72)의 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82)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72)의 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설치된 것이 제시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자(82)의 상면 중 상기 고정돌기부(110)가 지지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부(11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엠보싱부(14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0)의 일단은 모따기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0)의 상면은 일단으로부터 상기 위치결정부(73)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리브(120)에 의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81)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상기 고정돌기부(110)와 상기 지지부(130)에 의해 상기 접촉단자(82)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어, 결국, 상기 터이널 블록(70)의 안착부(72)에 고정된 접촉단자(82)는 상기 접촉단자(82)와 연결된 파워코드 와이어(81)가 임의의 충격 및 외력에 대해 흔들림이 방지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접촉단자(82)의 유동이 방지되는 되느것에 의해 상기 접촉단자(82)를 고정시킨 스크류(S)의 마모를 방지 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접촉단자(82)의 유동에 의해 스크류가 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의류건조기를 예를 들었지만, 의류건조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진 세탁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에 설치된 파워코드 와이어의 유동방지 구조는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터미널 블록의 구조를 개선한 것에 의해, 파워코드 와이어 및 접촉단자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접촉단자를 고정시킨 스크류의 마모 및 플림을 방지할 수어 제품에 대한 고장률을 현저히 감소기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일측에는 파워코드 와이어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홈을 가진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의 접촉단자가 안착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된 접촉단자의 상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의 저부를 받치는 지지리브가 설치되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 및 접촉단자의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의 상면 중 상기 고정돌기부가 지지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엠보싱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3. 일측에는 파워코드 와이어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홈을 가진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의 접촉단자가 안착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된 접촉단자의 상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와 연결된 접촉단자의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의 상면 중 상기 고정돌기부가 지지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엠보싱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은 모따기 되어 형성된 구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일단으로부터 상기 위치결정부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임의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7. 일측에는 파워코드 와이어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홈을 가진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파워코드 와이어의 접촉단자가 안착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안착부 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고정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된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된 접촉단자의 상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의 저부를 받치는 지지리브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의 저면에는 상기 접촉단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파워코드 와이어 및 접촉단자의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의 상면 중 상기 고정돌기부가 지지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돌기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엠보싱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단은 모따기 되어 형성된 구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10. 삭제
KR1020040091925A 2004-11-11 2004-11-11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KR101138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25A KR101138667B1 (ko) 2004-11-11 2004-11-11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25A KR101138667B1 (ko) 2004-11-11 2004-11-11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116A KR20060044116A (ko) 2006-05-16
KR101138667B1 true KR101138667B1 (ko) 2012-04-19

Family

ID=37148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925A KR101138667B1 (ko) 2004-11-11 2004-11-11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59B1 (ko) * 2010-08-18 2017-0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648A (ja) * 1993-09-10 1995-03-20 Yazaki Corp 端子の係止方法及び装置
JPH0917491A (ja) * 1995-06-30 1997-01-17 Yazaki Corp コネクタ
KR200343976Y1 (ko) 2003-12-02 2004-03-06 진흥전기 주식회사 전선결합용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648A (ja) * 1993-09-10 1995-03-20 Yazaki Corp 端子の係止方法及び装置
JPH0917491A (ja) * 1995-06-30 1997-01-17 Yazaki Corp コネクタ
KR200343976Y1 (ko) 2003-12-02 2004-03-06 진흥전기 주식회사 전선결합용 접속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116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971B1 (ko) 스팀건조기
EP1473402B1 (en) Dryer with sensor assembly
US7322125B2 (en) Dry heater fixing unit of drum-type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ier
JP2005534373A (ja) 家電機器用キャビネット
KR100716249B1 (ko) 드럼세탁기
KR101138667B1 (ko)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어셈블리
KR20050054201A (ko) 의류건조기
KR102616497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100820062B1 (ko) 드럼세탁기의 히터 장착장치
KR20050081456A (ko) 드럼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
KR100913083B1 (ko) 빨래건조기의 프론트 캐비닛과 프론트 서포트간의 조립구조
KR100873125B1 (ko) 의류건조기
KR101233195B1 (ko)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KR100471447B1 (ko)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와 컨트롤 패널 체결 구조
KR20060077344A (ko) 의류건조기의 터미널 블록 구조
KR20100007355A (ko) 세탁장치
KR101049125B1 (ko) 의류건조기
KR200190491Y1 (ko) 드럼 세탁기의 상판 고정 구조
KR101156708B1 (ko) 의류건조기
KR102640688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20060119437A (ko) 드럼세탁기
KR100556797B1 (ko) 증기발생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100587295B1 (ko) 빨래건조기의 프론트 캐비닛 조립구조
KR101065681B1 (ko) 의류건조기의 파워코드 고정장치
KR100873124B1 (ko) 건조겸용 세탁기의 전기히터용 인슐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