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635Y1 -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635Y1
KR200445635Y1 KR2020070010674U KR20070010674U KR200445635Y1 KR 200445635 Y1 KR200445635 Y1 KR 200445635Y1 KR 2020070010674 U KR2020070010674 U KR 2020070010674U KR 20070010674 U KR20070010674 U KR 20070010674U KR 200445635 Y1 KR200445635 Y1 KR 200445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ain body
fixing
steel bracket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050U (ko
Inventor
윤창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0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3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0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48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2Anti-t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정션박스(20)의 골격은 메인바디(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1)의 일측면에는 스틸브라켓홀더(30)가 구비된다. 상기 스틸브라켓홀더(30)에는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쌍의 고정가이드(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 사이에는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선단을 연결하는 보완리브(3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에는 삽입슬릿(3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슬릿(31')으로 스틸브라켓(37)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고정가이드(31)에는 보완리브(32)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가이드(31)의 강도가 보완되므로, 상기 스틸브라켓(37)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상기 스틸브라켓(37)이 상기 고정가이드(3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정션박스, 메인바디, 브라켓, 보완리브

Description

정션박스{Junction Box}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정션박스의 브라켓홀더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정션박스와 스틸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정션박스 21 : 메인바디
23 : 부품결합부 25 : 걸이돌기
27 : 몰드브라켓홀더 29 : 몰드브라켓
30 : 스틸브라켓홀더 31 : 고정가이드
31': 삽입슬릿 31": 체결바아윈도우
32 : 보완리브 33 : 체결바아
33': 기저부 33": 자유단부
35 : 걸이턱 37 : 스틸브라켓
39 : 걸이공 40 : 하부커버
42 : 걸이부 44 : 지지가이드
P : 부품 W : 리워크창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부품이 다수개 모아져 설치되어 전원분배 역할을 하는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정션박스(1)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메인바디(2)에 의해 골격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의 상면으로는 부품삽입부(3)가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삽입부(3)에는 퓨즈와 같은 부품(5)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메인바디(2)의 상하부에는 각각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바디(2)와 하부커버 사이에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조립체로 구성된 절연판(도시되지 않음)과 포선판(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바디(2)의 일측에는 몰드브라켓홀더(7)가 구비된다. 상기 몰드브라켓홀더(7)에는 차량패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몰드브라켓(9)이 설치된다. 상기 몰드브라켓(9)은 상기 메인바디(2)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에 의한 몰드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의 타측에는 스틸브라켓홀더(10)가 구비된다.상기 스틸브라켓홀더(10)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쌍의 고정가이드(11)로 구성된다. 상 기 고정가이드(11)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슬릿(11')이 소정량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릿(11')은 후술할 스틸브라켓(13)의 양측단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가이드(11)의 사이에는 체결바아(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스틸브라켓(13)의 걸이공(13')을 걸어 상기 고정가이드(11)에 스틸브라켓(13)을 고정시킨다.
상기 스틸브라켓홀더(10)에는 스틸브라켓(13)이 설치된다. 상기 스틸브라켓(13)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그 양측단이 상기 고정가이드(11)의 삽입슬릿(11')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바아가 상기 스틸브라켓(13)의 걸이공(13')에 걸어져 상기 스틸브라켓홀더(10)에 고정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정션박스(1)에 설치된 스틸브라켓(13)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정션박스(1)보다 더 단단하다. 따라서 상기 스틸브라켓(13)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정션박스(1)의 고정가이드(11)가 파손되어 상기 스틸브라켓(13)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바디의 고정가이드 사이에 보완리브가 구비되는 정션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골격을 형성하고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며 일면에 브라켓이 체결될 수 있는 다수개의 브라켓체결부가 구비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바디를 차체패널에 고정시키는 브라켓과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의 폭방향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가이드를 구비하는 브라켓홀더와 상기 고정가이드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브라켓홀더의 강도를 보완해주는 보완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홀더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그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브라켓의 측단이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형성되는 한쌍의 상기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부를 걸어 상기 브라켓을 상기 고정가이드에 고정시키는 체결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완리브는 상기 고정가이드의 선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바아는 그 일측이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에서 연장되는 자유단부로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부에는 상기 브라켓의 걸이공에 걸어지는 걸이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삭제
삭제
상기 브라켓홀더에서 상기 고정가이드와 상기 보완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브라켓을 분리하기 위한 지그가 삽입되는 리워크창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에 의하면, 한쌍의 고정가이드를 연결하는 보완리브가 구비되어 고정가이드의 강도가 보완되어 브라켓이 메인바디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정션박스의 브라켓홀더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정션박스와 스틸브라켓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정션박스(20)의 골격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메인바디(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1)의 상면에는 부품결합부(23)가 구비되어 상기 부품결합부(23)에는 다수개의 부품(P)이 설치된다. 상기 부품결합부(23)에 설치된 부품(P)은 상기 메인바디(21)에 구비되는 버스바등의 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바디(21)의 측면 둘레에는 다수개의 걸이돌기(25)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돌기(25)는 후술할 하부커버(40)의 걸이부(42)에 걸어져 상기 메인바디(21)와 하부커버(4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바디(21)의 일측면에는 몰드브라켓홀더(27)가 구비된다. 상기 몰드브라켓홀더(27)에는 몰드브라켓(29)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몰드브라켓(29)은 차체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디(21)를 차체에 고정시킨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메인바디(21)의 타측면에는 스틸브라켓홀더(30)가 구비된다. 상기 스틸브라켓홀더(30)는 한쌍의 고정가이드(31)와 그 사이에 구비되는 체결바아(3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는 사각기둥형상으로, 상기 메인바디(21)의 일측면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삽입슬릿(3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릿(31')은 후술할 스틸브라켓(37)의 양측단이 각각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가이드(31)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 그 사이에는 체결바아윈도우(3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바아윈도우(31")는 후술할 체결바아(33)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완리브(32)가 구비된다. 상기 보완리브(32)는 대략 바아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가이드(31)의 강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바아윈도우(31")에는 체결바아(33)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아(33)는 상기 메인바디(21)에 고정되는 기저부(33')와 상기 기저부(33')에서 소정길이 연장되는 자유단부(33")로 구성되는 외팔보형상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체결바아(33)는 상기 고정가이드(31)에서 상기 체결바아윈도우(31")를 향하는 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결바아(33)는 상기 메인바디(21)와도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체결바아(33)는 상기 메인바디(21)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바아(33)는 후술할 스틸브라켓(37)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바아(33)의 자유단부(33")에서 상기 메인바디(21) 내부를 바라보는 면의 반대면에는 걸이턱(35)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턱(35)은 후술할 스틸브라켓(37)의 걸이공(39)에 걸어진다.
상기 스틸브라켓홀더(30)에는 스틸브라켓(37)이 설치된다. 상기 스틸브라켓(37)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간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이다. 상기 스틸브라켓(37)은 그 양측단이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삽입슬릿(31')에 끼워짐에 의해 상기 고정가이드(31)에 결합된다. 상기 스틸브라켓(37)의 선단부는 차체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정션박스(20)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틸브라켓(37)에는 걸이공(39)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39)은 상기 체결바아(33)의 걸이턱(35)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가이드(31)와 상기 보완리브(3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리워크창(W)이다. 상기 리워크창(W)은 상기 고정가이드(31)에 고정된 스틸브라켓(37)을 분리하기 위한 리워크지그(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상기 리워크지그는 상기 체결바아(33)를 상기 메인바디(21)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스틸브라켓(37)에 걸어진 상기 체결바아(33)의 걸이턱(35)을 상기 스틸브라켓(37)에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바디(21)의 하부에는 하부커버(4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커버(40)는 상기 메인바디(21)의 하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디(21)와 상기 하부커버(40)의 사이에 구비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조립체로 구성된 절연판(도시되지 않음)과 포선판(도시되지 않음)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커버(40) 둘레에는 상기 메인바디(21)의 걸이돌기(25)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부(42)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42)는 상기 걸이돌기(25)가 걸어져 상기 하부커버(40)가 상기 메인바디(21)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커버(4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지지가이드(44)가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가이드(44)는 상기 메인바디(21)의 가장자리 둘레와 접촉하여 상기 하부커버(40)에서 상기 메인바디(21)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메인바디에 스틸브라켓이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상기 스틸브라켓(37)을 상기 메인바디(21)의 스틸브라켓홀더(3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스틸브라켓(37)의 양측단이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삽입슬릿(31')에 정확히 삽입되도록 잘 맞추어 삽입한다. 상기 스틸브라켓(37)이 상기 고정가이드(31)에 삽입되면 상기 스틸브라켓(37)의 선단은 상기 체결바아(33)의 걸이턱(35)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체결바아(33)는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상기 체결바아(33)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상기 스틸브라켓(37)을 상기 고정가이드(31)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체결바아(33)는 상기 메인바디(21) 내부 방향으로 소정량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틸브라켓(37)을 계속 삽입하면, 상기 걸이턱(35)은 상기 스틸브라켓(37)의 걸이공(39)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체결바아(33)가 복원되면서 상기 걸이턱(35)이 상기 걸이공(39)에 걸어진다. 상기 걸이공(39)에 상기 걸이턱(35)이 걸어져서 상기 스틸브라켓(37)에 상기 스틸브라켓홀더(30)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 고정가이드(31)의 사이에는 보완리브(32)가 구비되므로 상기 스틸브라 켓(37)에 외력이나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고정가이드(31)가 쉽게 파손되지 않아 상기 스틸브라켓(37)이 상기 고정가이드(31)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메인바디에서 스틸브라켓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상기 리워크창(W)을 통해 리워크지그를 삽입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리워크지그가 상기 체결바아(33)에 접촉하도록 맞추어 삽입한다. 상기 리워크지그가 상기 체결바아(33)와 접촉하면 작업자는 상기 리워크지그에 힘을 가하여 상기 체결바아(33)를 상기 메인바디(21) 내부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체결바아(33)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체결바아(33)의 걸이턱(35)이 상기 걸이공(39)에서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스틸브라켓(37)을 상기 고정가이드(3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스틸브라켓(37)을 상기 고정가이드(31)에서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정션박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정션박스의 고정가이드에는 고정가이드 사이를 연결하는 보완리브가 구비되므로 스틸브라켓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고정가이드가 쉽게 파손되지 않아 스틸브라켓이 메인바디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골격을 형성하고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며 일면에 브라켓이 체결될 수 있는 다수개의 브라켓체결부가 구비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바디를 차체패널에 고정시키는 브라켓과;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의 폭방향 양단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가이드를 구비하는 브라켓홀더와;
    상기 고정가이드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브라켓홀더의 강도를 보완해주는 보완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홀더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그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브라켓의 측단이 삽입되는 삽입슬릿이 형성되는 한쌍의 상기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의 일부를 걸어 상기 브라켓을 상기 고정가이드에 고정시키는 체결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완리브는 상기 고정가이드의 선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바아는 그 일측이 상기 메인바디에 연결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에서 연장되는 자유단부로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부에는 상기 브라켓의 걸이공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홀더에서 상기 고정가이드와 상기 보완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브라켓을 분리하기 위한 지그가 삽입되는 리워크창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KR2020070010674U 2007-06-28 2007-06-28 정션박스 KR200445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674U KR200445635Y1 (ko) 2007-06-28 2007-06-28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674U KR200445635Y1 (ko) 2007-06-28 2007-06-28 정션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50U KR20090000050U (ko) 2009-01-07
KR200445635Y1 true KR200445635Y1 (ko) 2009-08-19

Family

ID=4127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674U KR200445635Y1 (ko) 2007-06-28 2007-06-28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3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136A (ja) 1997-10-02 1999-04-23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ブラケット取付け構造
JP2000012168A (ja) 1998-06-26 2000-01-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03333728A (ja) * 2002-05-10 2003-11-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付設電気接続箱との連結構造
JP2004015958A (ja) 2002-06-10 2004-0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付設電気接続箱との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136A (ja) 1997-10-02 1999-04-23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ブラケット取付け構造
JP2000012168A (ja) 1998-06-26 2000-01-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03333728A (ja) * 2002-05-10 2003-11-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付設電気接続箱との連結構造
JP2004015958A (ja) 2002-06-10 2004-01-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付設電気接続箱との連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50U (ko)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875Y1 (ko) 박스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KR20090008655U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CN111863565B (zh) 用于车辆的块
KR200445635Y1 (ko) 정션박스
KR102090128B1 (ko)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JP6692063B2 (ja) 配線器具用取付枠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KR20120039990A (ko) 차량용 박스의 부품블록 결합장치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40514Y1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KR100894162B1 (ko) 박스의 커버결합구조
KR200442920Y1 (ko) 커넥터 하우징
KR20100002454U (ko) 클립을 구비하는 커넥터
KR100907539B1 (ko)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KR100874971B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럭 결합구조
KR20180091260A (ko) 자동차용 블럭의 커버장치
KR200439564Y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KR100874965B1 (ko) 커넥터용 홀더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어셈블리
KR100776025B1 (ko) 박스의 결합구조
JP2020205676A (ja) 分電盤
KR20130140985A (ko) 박스의 버스바 장착장치
KR20100118440A (ko) 버스바의 결합구조
KR20220133002A (ko) 단자대 고정용 스토퍼
KR20090006559U (ko)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