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514Y1 -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514Y1
KR200440514Y1 KR2020070008631U KR20070008631U KR200440514Y1 KR 200440514 Y1 KR200440514 Y1 KR 200440514Y1 KR 2020070008631 U KR2020070008631 U KR 2020070008631U KR 20070008631 U KR20070008631 U KR 20070008631U KR 200440514 Y1 KR200440514 Y1 KR 200440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astening
ribs
coupl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8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5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의 브라켓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면에 양측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어 상기 외면과의 사이에 서로 상이한 형상의 안착채널(115,135)을 형성하는 결합리브(111,13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111,131) 사이에는 걸이턱(137)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브라켓체결부(110,130)가 구비되는 메인몸체(100)와; 상기 브라켓체결부(110,130)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채널(115,135)에 각각 형합되도록 서로 상이한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체결리브(225,245)가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리브(225,245) 사이에는 상기 걸이턱(117,137)에 걸어지는 걸림턱(244)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체결부(110,130)에 고정되는 체결부(223,243)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체결부(110,13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브라켓(210,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브라켓과 이에 대응되는 브라켓체결부들을 그 용도에 맞게 각각 결합구조를 상이하게 형성하므로 브라켓이 장착되는 브라켓체결부의 구별이 용이하여 브라켓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박스, 정션박스, 브라켓체결부, 브라켓, 체결리브

Description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Fixing structure of bracket for box}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브라켓 장착구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이 박스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브라켓이 박스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메인몸체 105:부품삽입부
110:제1브라켓체결부 111:결합리브
113:체결몸체부 115:안착채널
117:걸이턱 130:제2브라켓체결부
131:결합리브 133:체결몸체부
135:안착채널 137:걸이턱
210:제1브라켓 211:몸체부
213:패널연결부 215:체결공
221:체결부 223:외측지지리브
225:체결리브 227:안착챔버
230:제2브라켓 231:몸체부
233:패널연결부 235:체결공
241:체결부 243:외측지지리브
244:걸림턱 245:체결리브
247:안착챔버
본 고안은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이 장착되는 브라켓체결부의 결합구조를 상이하게 형성한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를 일정한 장소에 장착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브라켓이 이용된다. 즉, 박스에 구비된 브라켓을 장착하고자 하는 곳에 위치시킨 후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박스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은 박스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박스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배터리에 장착되는 퓨즈박스의 경우에는 퓨즈박스의 규격 에 따라 장착되는 높이가 달라질 수 있어, 브라켓의 교체가 요구되기도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브라켓장착구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각종 전기배선을 위한 박스들이 장착되는데, 도 1에는 정션박스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정션박스에는 각종 전장부품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퓨즈 및 입력되는 값이 일정 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가 장착된다.
상기 정션박스는 차량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정션박스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몸체(1)의 외면에는 삽입채널(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채널(2)은 상기 메인몸체(1)의 외면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되어, 후술할 브라켓(4)의 결합리브(5)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1)의 외면에는 걸이턱(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후술할 걸림턱(6)과 걸어져 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정션박스를 차량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정션박스의 메인몸체(1) 외면에는 브라켓(4)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4)은 상기 메인몸체(1)와 결합됨과 동시에, 차량 내부의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정션박스가 유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4)에는 결합리브(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5)는 상기 삽입채널(2)과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삽입채널(2)에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삽입채널(2)과 결합리브(5)는 형합되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결합리브(5) 사이에는 걸림턱(6)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6)은 상기 삽입채널(2)에 결합리브(5)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이턱에 걸어져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몸체(1)와 브라켓(4)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4)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곳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브라켓(4)의 경우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와 용도에 따라 몸체부의 형상이 다르고 상기 메인몸체(1)에 장착되는 위치 또한 각각 다르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4)은 그 용도에 적합한 브라켓체결부에 장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브라켓체결부와 상기 브라켓(4)은 그 결합구조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브라켓(4)을 다른 브라켓체결부에 장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4)이 오조립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박스에 설치되는 위치와 용도에 따라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외면에 양측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어 상기 외면과의 사이에 서로 상이한 형상의 안착채널을 형성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 사이에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브라켓체결부가 구비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브라켓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채널에 각각 형합되도록 서로 상이한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체결리브가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리브 사이에는 상기 걸이턱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체결부에 고정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체결부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외측지지리브와, 상기 외측지지리브의 내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그 선단이 인접한 상기 외측지지리브를 향하여 상기 외측지지리브와의 사이에 안착챔버가 형성되는 체결리브로 구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의 체결리브는 상기 외측지지리브와의 사이에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직교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으로부터 일측 또는 양측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의 체결리브가 삽입되는 상기 브라켓체결부의 안착채널은 상기 체결리브의 형상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체결부에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면 상기 브라켓체결부의 안착채널에는 상기 브라켓의 체결리브가 형합되고, 상기 브라켓체결부의 결합리브에는 상기 브라켓의 안착챔버가 형합된다.
상기 브라켓체결부의 말단은 차폐되어 상기 체결리브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고, 상기 체결리브의 말단을 지지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브라켓과 이에 대응되는 브라켓체결부들을 그 용도에 맞게 각각 결합구조를 상이하게 형성하므로 브라켓이 장착되는 브라켓체결부의 구별 이 용이하여 브라켓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이 박스에 결합되는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브라켓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브라켓이 박스에 결합되는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브라켓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정션박스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졍션박스의 외관 및 골격을 메인몸체(10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0)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0)의 상면에는 퓨즈와 릴레이를 비롯한 각종 전장품들이 장착되는 부품삽입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정션박스는 차량내부의 차체패널에 장착된다. 도면에서는 커버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100)에서 차체패널과 장착되는 위치에는 다수개의 브라켓체결부(110,1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상단과 우측 하단에 형성된 2개의 브라켓체결부(110,130)를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브라켓체결부(110,13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브라켓(210) 및 제2브라켓(230)이 체결되고 상기 제1브라켓(210) 및 제2브라켓(230)이 차체패널에 고정 되어 상기 메인몸체(100)가 차체패널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체결부(110,130)는 그 구조가 각각 상이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브라켓(210)과 제2브라켓(230)은 아래에서 설명할 각각의 브라켓(210,230)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리브(225,245)의 형상에 따른 구분으로 결합구조를 각각 상이하게 형성하여 브라켓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우선, 설명의 편의상 상기 메인몸체(100)에 형성되는 각각의 브라켓체결부(110,130)에 대한 구성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에는 상기 메인몸체(1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결합리브(11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111)는 상기 메인몸체(110)의 외면에 양측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1브라켓(210)에 형성된 안착챔버(227)에 삽입되어, 제1브라켓(210)과 메인몸체(1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리브(111)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리브(111) 사이에는 체결몸체부(113)가 상기 결합리브(111)와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몸체부(113)에는 후술할 제1브라켓(210)에 형성된 체결부(221)의 저면이 안착된다.
상기 메인몸체(100)의 외면과 상기 양측의 결합리브(111) 사이에는 상기 결합리브(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안착채널(115)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안착채널(115)은 상기 메인몸체(100)의 외면 및 결합리브(111)와 체결몸체부(113)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을 기준으로 그 횡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115)에는 후술할 제1브라켓(210)의 체결리브(225)가 삽입된다.
상기 안착채널(115)의 길이는 제1브라켓(210)의 체결리브(225)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채널(115) 간의 이격된 거리와 그 형상은 제1브라켓(210)의 체결리브(225) 간의 이격된 거리와 형상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안착채널(115)의 후단은 차폐되어 상기 안착채널(115)에 제1브라켓(210)의 체결리브(225)가 삽입되어 후단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체결몸체부(113)의 상면에는 걸이턱(11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17)은 상기 체결몸체부(11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걸림턱(미도시)과 걸어져 상기 메인몸체(100)와 제1브라켓(21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턱(117)은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제1브라켓(210)의 걸림턱이 상기 걸이턱(117)을 쉽게 타고 넘어 걸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걸이턱(117)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210)이 상기 메인몸체(10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2브라켓체결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는 상기 메인몸체(100)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에는 상기 메인몸체(10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결합리브(13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131)는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131)는 후 술할 제2브라켓(230)에 형성된 안착챔버(247)에 삽입되어, 상기 제2브라켓(230)과 메인몸체(1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리브(131)는 상기 메인몸체(100)의 외면 양측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는 두 결합리브(131) 사이에 후술할 제2브라켓(230)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리브(131) 사이에는 체결몸체부(133)가 상기 결합리브(131)와 나란하게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몸체부(133)에는 후술할 제2브라켓(230)에 형성된 체결부(241)의 저면이 안착된다. 상기 체결몸체부(133)는 도 5를 기준으로 그 횡단면이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0)의 외면과 양측의 결합리브(131) 사이에는 상기 결합리브(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안착채널(135)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안착채널(135)은 상기 메인몸체(100)의 외면 및 상기 결합리브(131) 그리고 상기 체결몸체부(133)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횡단면이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135)에는 후술할 제2브라켓(230)의 체결리브(245)가 삽입된다.
상기 안착채널(135)의 길이는 제2브라켓(230)의 체결리브(245)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채널(135)간의 이격된 거리와 그 형상은 제2브라켓(230)의 체결리브(245) 간의 이격된 거리와 형상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안착채널(135)의 후단은 차폐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안착채널(135)에 상기 제2브라켓(230)의 체결리브(245)가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몸체부(133)에는 걸이턱(137)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 턱(137)은 후술할 제2브라켓(230)의 걸림턱(244)과 걸어져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에 결합된 제2브라켓(23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턱(137)은 상기 제2브라켓(230)이 결합되는 전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제2브라켓(230)의 걸림턱(244)이 상기 걸이턱(137)을 쉽게 타고 넘어 걸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에는 제1브라켓(210)이 장착된다. 상기 제1브라켓(210)은 상기 메인몸체(100)를 차체패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브라켓(210)은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제1브라켓(210)을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1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거나,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브라켓(210)은 그 외관과 골격을 몸체부(21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211)의 일단에는 패널연결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연결부(213)에는 내외부로 관통되는 체결공(21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15)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체결구,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관통되어 차량의 내부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체결공(215)에 볼트가 삽입되어 자동차 내부의 패널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브라켓(210)이 자동차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몸체부(211)의 타단에는 직교되게 체결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21)는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에 고정된다.
상기 제1브라켓(210)에서 상기 체결부(221)의 양측에는 외측지지리브(223)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지지리브(223)는 상기 몸체부(21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210)이 상기 메인몸체(100)에 결합되면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결합리브(111) 외측을 지지한다.
상기 체결부(221)에서 상기 메인몸체(100)와 마주보는 면에는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걸이턱(117)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제1브라켓(210)을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걸이턱(117)을 타고 넘어 걸어질 수 있도록 상기 걸이턱(117)에 대응되게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의 횡단면은 상기 걸이턱(117)과 마찬가지로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브라켓(210)의 체결부(221)에는 상기 외측지지리브(223)의 내측으로 체결리브(22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225)는 연결부(225a)와 가이드부(225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25a)는 상기 몸체부(211)의 일측으로부터 직교하게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25b)는 상기 연결부(225a)의 선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225)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225a)와 상기 가이드부(225b)에 의해서 L자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체결리브(225)는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에 형성된 안착채널(115)에 삽입된다. 상기 체결리브(225)와 상기 안착채널(115)의 형상은 그 크기와 길이가 서로 대응된다. 상기 체결리브(225)가 상기 제1브라켓(210)의 안착채널(115)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221)의 내면은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체결몸체부(113)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제1브라켓(210)에는 외측지지리브(223)와 체결부(221) 그리고 상기 체 결리브(225)에 의해 둘러싸여 안착챔버(227)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챔버(227)에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결합리브(111)가 삽입되어 상기 제1브라켓(210)이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에 지지된다. 상기 안착챔버(227)의 형상은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결합리브(11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에는 제2브라켓(230)이 장착된다. 상기 제2브라켓(230)은 상기 제1브라켓(210)과 마찬가지로 상기 메인몸체(100)를 차체패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브라켓(23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거나,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2브라켓(230)의 외관과 골격을 몸체부(23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231)의 일단에는 패널연결부(233)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연결부(233)에는 내외부로 관통되는 체결공(23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35)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체결구, 예를 들어 볼트가 삽입되어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231)의 타단에는 직교되게 체결부(24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41)는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에 고정된다.
상기 제2브라켓(230)에서 상기 체결부(241)의 양측에는 외측지지리브(243)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지지리브(243)는 상기 몸체부(23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결합리브(131)의 외측을 지지한다.
상기 체결부(241)에서 상기 메인몸체(100)와 마주보는 면에는 걸림턱(24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4)은 상기 제2브라켓(230)의 걸이턱(137)에 걸어지는 부 분으로 상기 제2브라켓(230)을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244)은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걸이턱(137)과 같이 경사면이 형성되어 그 횡단면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4)은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에 의해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걸이턱(137)을 타고 넘어 걸어짐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에 상기 제2브라켓(230)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230)의 체결부(241)에는 상기 외측지지리브(243)의 내측으로 체결리브(24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245)는 연결부(245a)와 가이드부(245b)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45a)는 상기 몸체부(231)의 양측으로부터 직교하게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45b)는 상기 연결부(245a)의 선단으로부터 양측으로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245)는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리브(245)는 상기 연결부(245a)와 상기 가이드부(245b)에 의해서 대략 T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게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결리브(245)는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안착채널(135)에 삽입된다. 상기 체결리브(245)와 상기 안착채널(135)의 형상은 그 크기와 길이가 서로 대응된다. 상기 체결리브(245)가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안착채널(135)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241)의 내면은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체결몸체부(133)의 일면에 안착된다.
상기 제2브라켓(230)에는 상기 외측지지리브(243)와 체결부(241) 그리고 상 기 체결리브(245)에 의해 안착챔버(247)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챔버(247)에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230)의 결합리브(131)가 삽입되어 상기 제2브라켓(230)은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에 지지된다. 상기 안착챔버(247)의 형상과 크기는 상기 결합리브(131)와 형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리브(245)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브라켓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메인몸체(100)의 제1브라켓체결부(110)에 제1브라켓(210)이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 및 퓨즈박스터미널 등이 장착된 제1브라켓체결부(110)에 제1브라켓(210)을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안착채널(115)의 입구에 제1브라켓(210)의 체결리브(225)의 선단이 향하도록 상기 제1브라켓(210)을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안착채널(115)의 입구에 상기 제1브라켓(210)의 체결리브(225)의 선단을 삽입하고 상기 제1브라켓(210)을 도면상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브라켓(210)의 체결부(221) 일측과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체결몸체부(113) 일측이 접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210)을 계속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걸이턱(117)과 상기 제1브라켓(210)의 걸림턱은 서로 닿게되고 경사진면을 통해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이턱(117)을 타고 넘어가 서로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210)의 체결부(221)도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체결몸체부(113)를 따라 후방으로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체결몸체부(113)에 완전히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리브(225)가 상기 안착채널(115)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제1브라켓(210)의 체결리브(225)와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안착채널(115)이 형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210)의 체결리브(225)가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안착채널(115)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1브라켓(210)의 안착챔버(227)에는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결합리브(111)가 삽입되어 형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210)의 외측지지리브(223)는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210)의 결합리브(111)의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안착채널(115)의 후단부는 차폐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브라켓(210)의 체결리브(225)가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기 제1브라켓(210)의 걸림턱과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걸이턱(117)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210)은 상기 메인몸체(1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210)은 상기 제1브라켓체결부(110)의 후단부가 차폐된 상태이므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도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몸체(100)의 제2브라켓체결부(130)에 제2브라켓(230)이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를 기준으로, 제2브라켓체결부(130)가 메인몸체(100)의 외면에 형성되므로 그 상방에 제2브라켓(230)을 위치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안착채널(135)의 입구에 해당되는 선단에 제2브라켓(230)의 체결리 브(245)의 선단이 대응되도록 상기 제2브라켓(23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안착채널(135)의 입구에 상기 제1브라켓(230)의 체결리브(245)의 선단을 삽입하고 상기 제2브라켓(230)을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230)을 계속하여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브라켓(230)의 걸림턱(244)과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걸이턱(137)이 서로 닿게되고 경사진면을 통해서 서로 타고 넘어가 서로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230)의 체결부(241)도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체결몸체부(133)를 따라 함께 이동되고, 상기 제2브라켓(230)의 체결리브(245)도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안착채널(135)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브라켓(230)의 체결리브(245)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안착채널(135)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2브라켓(230)의 안착챔버(247)에는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결합리브(131)가 삽입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2브라켓(230)의 체결리브(245)는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안착채널(135)과 형합되고, 상기 제2브라켓(230)의 안착챔버(247)는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결합리브(131)와 형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230)의 외측지지리브(243)는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결합리브(131)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의 안착채널(135)의 하단부는 차폐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브라켓(230)의 체결리브(245)가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브라켓(230)은 상기 제2브라켓체결부(130)에 장착된다. 상기 제1브라켓(210) 및 제2브라켓(230)이 상기 메인몸체(100)에 장착된 모습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브라켓(210) 및 제2브라켓(230)에 형성되는 체결리브(225,245)와 상기 체결리브(225,245)와 형합되는 브라켓체결부(110,230)의 안착채널(115,135)을 상이하게 형성하여 브라켓의 오조립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구별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브라켓장착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브라켓장착구조에서는, 브라켓체결부와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결합부분을 설치위치와 용도에 따라 구별할 수 있도록 횡단면을 상이하게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과 브라켓체결부의 결합부분의 횡단면형상에 의해 작업자는 상기 브라켓에 대응되는 브라켓체결부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외면에 양측으로부터 나란하게 돌출되어 상기 외면과의 사이에 서로 상이한 형상의 안착채널을 형성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 사이에는 걸이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브라켓체결부가 구비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브라켓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채널에 각각 형합되도록 서로 상이한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체결리브가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리브 사이에는 상기 걸이턱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체결부에 고정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은,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외측지지리브와; 상기 외측지지리브의 내측에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그 선단이 인접한 상기 외측지지리브를 향하여 상기 외측지지리브와의 사이에 안착챔버가 형성되는 체결리브로 구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의 체결리브에는 상기 외측지지리브와의 사이에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직교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 형성된 연결부의 선단에는 일측으로 직교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에 형성된 연결부의 선단에는 양측으로 직교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브라켓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체결리브가 삽입되는 상기 브라켓체결부의 안착채널은 상기 체결리브의 형상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브라켓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체결부에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면 상기 브라켓체결부의 안착채널에는 상기 브라켓의 체결리브가 형합되고, 상기 브라켓체결부의 결합리브에는 상기 브라켓의 안착챔버가 형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브라켓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체결부의 말단은 차폐되어 상기 체결리브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고, 상기 체결리브의 말단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브라켓장착구조.
  5. 삭제
  6. 삭제
KR2020070008631U 2007-05-25 2007-05-25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KR200440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31U KR200440514Y1 (ko) 2007-05-25 2007-05-25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31U KR200440514Y1 (ko) 2007-05-25 2007-05-25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514Y1 true KR200440514Y1 (ko) 2008-06-16

Family

ID=4365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631U KR200440514Y1 (ko) 2007-05-25 2007-05-25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5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7660A (zh) * 2014-03-11 2014-06-11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uec固定支架
CN105946744A (zh) * 2016-07-08 2016-09-21 合肥创智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驾驶室电器盒固定支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7660A (zh) * 2014-03-11 2014-06-11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uec固定支架
CN103847660B (zh) * 2014-03-11 2015-12-02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uec固定支架
CN105946744A (zh) * 2016-07-08 2016-09-21 合肥创智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驾驶室电器盒固定支架
CN105946744B (zh) * 2016-07-08 2019-03-29 合肥创智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驾驶室电器盒固定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8655U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KR200449875Y1 (ko) 박스
JP5798360B2 (ja) 電線挿通部の結束バンド組付構造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JP4682167B2 (ja) 結束バンドの装着構造
JP5880973B2 (ja) 電気接続箱
KR200440514Y1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JP6440124B2 (ja) 電気接続箱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ブラケット付電気接続箱
JP4914746B2 (ja) 電気接続箱のハーネス付設構造
KR101820295B1 (ko) 차량용 클립 및 이를 적용한 대상체 고정 장치
JP6692063B2 (ja) 配線器具用取付枠
JP5030508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JP4262132B2 (ja) 電気接続箱のカバー固定構造
KR101035376B1 (ko) 퓨즈박스
KR200438077Y1 (ko) 정션박스
JP5178174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KR20130071777A (ko) 커넥터
JP5342533B2 (ja) 自動車用リレーボックス
KR200445635Y1 (ko) 정션박스
JP6927748B2 (ja) 回路遮断器
KR100998972B1 (ko) 릴레이 지지구 장착 호환성을 구비한 릴레이 소켓
KR100933542B1 (ko) 조립형 퓨즈박스
JP4271784B2 (ja) 作業台における配線ダクト装置
JP5888514B2 (ja) 電気接続箱
JP4071566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