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488B1 - 채널형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채널형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488B1
KR100856488B1 KR1020060101478A KR20060101478A KR100856488B1 KR 100856488 B1 KR100856488 B1 KR 100856488B1 KR 1020060101478 A KR1020060101478 A KR 1020060101478A KR 20060101478 A KR20060101478 A KR 20060101478A KR 100856488 B1 KR100856488 B1 KR 10085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se bracket
terminal block
support bracket
c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170A (ko
Inventor
이용돈
Original Assignee
이용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돈 filed Critical 이용돈
Priority to KR102006010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488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89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characterized by the mounting of blades therein, e.g. brackets, rails, t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대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단자대의 규격과 관계없이 호환성 있게 단자대를 설치할 수 있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기계설비의 콘트롤박스와 같은 부속설비의 내부에 설치된 결합레일(2)의 양단 결합부(2a)에 걸려지도록 배면에 걸림부(14,16)가 구비된 베이스 브라켓(10)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자대(4)와 같은 박스형 부속유닛을 취부하도록 된 지지브라켓(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컨트롤박스의 내부와 같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단자대와 같은 부속유닛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단자대의 규격이 달라져서 단자대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긴 슬롯 형상의 볼트공을 따라 볼트를 이동시켜 단자대의 볼트체결공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단자대의 규격에 맞추어 호환성 있게 단자대를 설치할 수 있어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데 있다.
단자대, 설치, 공간, 베이스 브라켓, 지지브라켓

Description

채널형 브라켓 구조{Channel type bracke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 브라켓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과 결합레일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단자대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지지프레임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브라켓 14. 제1걸림부
16. 제2걸림부 20. 지지브라켓
본 발명은 채널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박스에 내장 설치되는 단자대와 같은 전기기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컨트롤박스 내부에 취 부할 수 있도록 된 채널형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설비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단자대와 같은 부속유닛이 내장된다. 단자대는 전기 전자설비의 각 부분에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컨트롤박스 내부의 적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자대 등의 부속유닛를 컨트롤박스 내부의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일일이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이 더디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대를 컨트롤박스 내부의 모서리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 설치하는데, 컨트롤박스의 모서리 부분의 인접한 측벽이나 천정벽과의 협소한 공간에서 일일이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하여 단자대를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나아가, 설치 작업 시간이 더뎌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브라켓에 볼트공을 천공하여 단자대 등을 설치하는데, 볼트공의 위치가 단자대에 형성된 볼트체결공과 맞지 않는 경우, 브라켓에 볼트공을 다시 천공해야 하므로,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박스의 내부와 같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단자대(4)와 같은 부속유닛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채널형 브 라켓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대의 규격에 맞추어 호환성 있게 단자대를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간편한 채널형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설비의 콘트롤박스와 같은 부속설비의 내부에 설치된 결합레일(2)의 양단 결합부(2a)에 걸려지도록 배면에 걸림부(14,16)가 구비된 베이스 브라켓(10)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자대(4)와 같은 박스형 부속유닛을 취부하도록 된 지지브라켓(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에는 상기 결합레일(2)이 안착되는 결합레일 안착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한 쌍의 걸림부(14,16)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결합레일 안착부(15)의 어느 하나의 내측단으로 둘출되어 일체화된 제1걸림부(14)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결합레일 안착부(15)의 타측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제1걸림부(14) 방향으로 출몰되는 제2걸림부(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걸림부(16)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결합레일 안착부(15) 내측단에서 돌출될 때 그 선단부의 내측면이 상기 결합레일(2)의 결합부(2a)에 밀착되어 걸려지고, 상기 제2걸림부(16)의 선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제2걸림부(16)의 기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진 단면 형태의 가이드 경사부(16a)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걸림부(16)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4)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결합레일(2)의 결합부(2a)에 결합될 때 별도의 록킹수단에 의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제2걸림부(16)의 전후면으로 관통된 사각의 통공부(19) 양쪽 내벽에 일단부가 일체화되어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삼각걸림부(17a)가 형성된 한 쌍의 제1록킹편(17)과, 상기 한 쌍의 제1록킹편(17)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에 일체화되며 상기 좌우측 제1록킹편(17)의 각 삼각걸림부(17a)와 맞닿는 면에는 삼각걸턱(18a)이 구비된 제2록킹편(1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20)은 수직부(22)와 수평부(24)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를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고정하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에 체결되는 볼트(32)와 너트(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에는 단자대(4)와 같은 부속유닛에 체결되는 볼트(32)가 관통하도록 볼트공(2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와 수직부(22) 사이의 연결 부위에는 보강부(2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에 형성된 볼트공(24a)은 상기 수평부(2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부(24)의 볼트공(24a) 주위에는 상기 볼트공(24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32)헤드와 맞닿는 면에 널링부(2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은 사각블록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20)은 수평부(24)와 수직부(22)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22)의 배면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은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직부(22)가 맞닿는 전면부에 사각홈 형태의 결합홈(15)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가 상기 베이스 브라켓(10) 전면부의 결합홈(15)에 안착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베이스 브라켓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과 결합레일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단자대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지지프레임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 브라켓(10)과 지지브라켓(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은 직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에는 한 쌍의 걸림부(14,16)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에는 기계설비의 콘트롤박스 내부에 설치된 결합레일(2)이 안착되는 결합레일 안착부(15)가 형성된다. 이 결합레일 안 착부(15)는 사각홈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결합레일 안착부(15)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 내측단(즉, 상하부 내측단)에는 한 쌍의 걸림부(14,16)가 구비된다.
이때, 한 쌍의 걸림부(14,16)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걸림부(14)는 베이스 브라켓(10)의 결합레일 안착부(15)의 상측부 내측단으로 둘출되어 일체화된 제1걸림부(14)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걸림부는 결합레일 안착부(15)의 하측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선단부가 제1걸림부(14) 방향으로 출몰되는 제2걸림부(16)로 구성된다. 이 제2걸림부(16)는 후술할 록킹수단에 의해 결합레일 안착부(15)의 내측단 안쪽 방향, 즉, 상기 제1걸림부(14)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16)는 베이스 브라켓(10)의 결합레일 안착부(15) 내측단에서 돌출될 때 선단부의 내측면이 결합레일(2)의 하단 결합부(2a)에 밀착되어 걸려진다. 이때, 제2걸림부(16)의 선단부 외측면에는 제2걸림부(16)의 기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진 단면 형태의 가이드 경사부(16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16)는 베이스 브라켓(10)의 돌출걸림부(14)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결합레일(2)의 하단 결합부(2a)에 결합된 다음에는 별도의 록킹수단에 의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록킹수단은 제2걸림부(16)의 전후면으로 관통된 사각형 통공부(19)의 양쪽 내벽에 일단부가 일체화되어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삼각걸림부(17a)가 형성된 한 쌍의 제1록킹편(17)과, 이 제1록킹편(17) 사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에 일체화되며 좌우측 제1록킹편(17)의 각 삼각걸림부(17a)와 맞닿는 면에는 삼각걸턱(18a)이 구비된 제2록킹편(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20)은 평철을 절곡하여 수직부(22)와 수평부(24)를 갖는 기역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지지브라켓(20)의 수직부(22)는 고정수단에 의해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고정수단은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를 관통하여 베이스 브라켓(10)에 체결되는 볼트(32)와,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에서 볼트(32)에 체결되는 너트(3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에는 볼트공(24a)이 관통되어, 이 볼트공(24a)을 관통하는 볼트(42)를 단자대(4)와 같은 부속유닛에 체결하여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에 부속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와 수직부(22) 사이의 연결 부위에는 보강부(26)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부(26)는 수평부(24)와 수직부(22)의 연결 부위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부속유닛의 하중과 같은 외력에 의해 쉽게 수평부(24)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수평부(24)와 수직부(22)의 연결 부위 사이에 구비된 보강부(26)에 의해 외부의 하중에 보다 더 견고하게 버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에 형성된 볼트공(24a)은 수평부(2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볼트공(24a)을 슬롯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자대(4)의 규격에 관계없이 호환성 있게 단자대(4)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단자대(4)의 규격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슬롯 형상의 볼트공(24a)을 따라 볼트(42)를 이동시켜 단자대(4)에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단자대(4)의 규격이 달라져도 용이하게 단자대(4)를 지지프레임의 수평부(24)에 지지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부(24)의 볼트공(24a) 주위에는 볼트공(24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42)의 볼트헤드(42a)와 맞닿는 면에 널링부(28)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널링부(28)는 볼트(42)의 볼트헤드(42a)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볼트(42)가 쉽게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지지프레임과 단자대(4) 사이의 볼트(42) 체결부위에 체결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브라켓(20)의 수직부(22) 배면이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맞닿아 결합되는데,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는 지지브라켓(20)의 수직부(22)가 맞닿는 전면부에 사각홈 형태의 결합홈(29)이 형성되어, 이 결합홈(29)에 지지브라켓(20)의 수직부(22)가 안착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지지브라켓(20)을 베이스 브라켓(10)에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브라켓(20)의 수직부(22)를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부에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브라켓(20)의 수직부(22)와 베이스 브라켓(10)을 관통하는 볼트(32) 및 너트(34)에 의해 지지브라켓(20)을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고정하는데, 볼트(32)와 너트(34)를 체결하기 이전에 예비적으로 지지브라켓(20)을 결합한 상태에서는 지지브라켓(20)이 베이스 브라켓(10)에서 좌우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부에 형성된 사각의 결합 홈(29)에 지지브라켓(20)의 수직부(22)가 미리 안착되기 때문에, 지지브라켓(20)이 베이스 브라켓(1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32)와 너트(34)로 지지브라켓(20)을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고정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을 콘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 브라켓(10)과 지지브라켓(20)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 4a와 같이 베이스 브라켓(10) 배면에 형성된 결합레일 안착부(15)를 결합레일(2)에 안착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측의 제1걸림부(14)을 결합레일(2) 상단부의 결합부(2a)에 걸어준다. 이때, 제2걸림부(16)는 베이스 브라켓(10)의 하측 방향으로 밀려나 있는 상태이므로, 제2걸림부(16)의 선단부가 베이스 브라켓(10)의 결합레일 안착부(15)의 내측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b에서와 같이 제2걸림부(16)을 베이스 브라켓(10)의 결합레일 안착부(15)의 내측벽 방향으로 밀어주면, 제2걸림부(16)의 선단부 내측면이 결합레일(2)의 하단 결합부(2a)에 걸려지면서 베이스 브라켓(10) 배면의 한 쌍의 걸림부(14,16)가 결합레일(2)의 상하단 결합부(2a)에 걸려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단자대(4)를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단자대(4)를 다른 방법으로 설치하는 것에 설명하면, 베이스 브라켓(10) 배면에 형성된 결합레일 안착부(15)를 결합레일(2)에 안착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단의 제1걸림부(14)을 결합레일(2) 상단부의 결합부(2a)에 걸어준다. 이때, 제2걸림부(16)는 베이스 브라켓(10)의 상측 방향으로 전진하여 제2걸림부(16)의 선단부가 베이스 브라켓(10)의 결합레일 안착부(15)의 내측벽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제2걸림부(16)의 선단부를 결합레일(2)의 하단 결합부(2a)에 걸어주는데, 제2걸림부(16)의 선단부 외측면에는 제2걸림부(16)의 기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진 단면 형태의 가이드 경사부(16a)가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제2걸림부(16)의 선단부를 결합레일(2)에 끼워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걸림부(16) 선단부 외측면의 가이드 경사부(16a)에 의해 제2걸림부(16)의 선단부가 용이하게 가이드되면서 결합레일(2)의 하단부 결합부(2a)에 걸려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원활하게 제2걸림부(16)의 선단부를 결합레일(2)의 하단부 결합부(2a)에 원터치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베이스 브라켓(10)과 지지브라켓(20)을 컨트롤박스 내부에 설치된 결합레일(2)에 걸어서 설치한 다음에는,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의 볼트공(24a)을 관통하는 볼트(32)를 단자대(4)의 일측면에 체결함으로써,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단자대(4) 등의 부속유닛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이스 브라켓(10)과 지지브라켓(20)을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결합레일(2)에 원터치식으로 장착한 다음, 단자대(4) 등의 부속유닛을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컨트롤박스의 내부와 같은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도 단자대(4)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등 의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박스의 내부와 같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단자대와 같은 부속유닛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채널형 브라켓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대의 규격이 달라져서 단자대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긴 슬롯 형상의 볼트공을 따라 볼트를 이동시켜 단자대의 볼트체결공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단자대의 규격에 맞추어 호환성 있게 단자대를 설치할 수 있어 효율적인 새로운 구성의 채널형 브라켓 구조가 제공될 수있다.

Claims (10)

  1. 기계설비의 콘트롤박스와 같은 부속설비의 내부에 설치된 결합레일(2)의 양단 결합부(2a)에 걸려지도록 배면에 걸림부(14,16)가 구비된 베이스 브라켓(10)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자대(4)와 같은 박스형 부속유닛을 취부하도록 된 지지브라켓(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20)은 수직부(22)와 수평부(24)를 갖는 기역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22)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상기 지지브라켓(2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에는 상기 결합레일(2)이 안착되는 결합레일 안착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한 쌍의 걸림부(14,16) 중에서 어느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결합레일 안착부(15)의 어느 하나의 내측단으로 둘출되어 일체화된 제1걸림부(14)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걸림부는 상기 결합레일 안착부(15)의 타측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제1걸림부(14) 방향으로 출몰되는 제2걸림부(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16)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결합레일 안착부(15) 내측단에서 돌출될 때 그 선단부의 내측면이 상기 결합레일(2)의 결합부(2a)에 밀착되어 걸려지고, 상기 제2걸림부(16)의 선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제2걸림부(16)의 기단부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진 단면 형태의 가이드 경사부(16a)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16)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제1걸림부(14)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결합레일(2)의 결합부(2a)에 결합될 때 별도의 록킹수단에 의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제2걸림부(16)의 전후면으로 관통된 사각의 통공부(19) 양쪽 내벽에 일단부가 일체화되어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는 삼각걸림부(17a)가 형성된 한 쌍의 제1록킹편(17)과, 상기 한 쌍의 제1록킹편(17)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배면에 일체화되며 상기 좌우측 제1록킹편(17)의 각 삼각걸림부(17a)와 맞닿는 면에는 삼각걸턱(18a)이 구비된 제2록킹편(1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은 수직부(22)와 수평부(24)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를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고정하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에 체결되는 볼트(32)와 너트(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에는 단자대(4)와 같은 부속유닛에 체결되는 볼트(32)가 관통하도록 볼트공(2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와 수직부(22) 사이의 연결 부위에는 보강부(2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에 형성된 볼트공(24a)은 상기 수평부(2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24)의 볼트공(24a) 주위에는 상기 볼트공(24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32)헤드와 맞닿는 면에 널링부(2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은 사각블록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20)은 수평부(24)와 수직부(22)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22)의 배면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의 전면에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10)은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직부(22)가 맞닿는 전면부에 사각홈 형태의 결합홈(15)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수평부(24)가 상기 베이스 브라켓(10) 전면부의 결합홈(15)에 안착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브라켓 구조.
KR1020060101478A 2006-10-18 2006-10-18 채널형 브라켓 구조 KR10085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78A KR100856488B1 (ko) 2006-10-18 2006-10-18 채널형 브라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78A KR100856488B1 (ko) 2006-10-18 2006-10-18 채널형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170A KR20080035170A (ko) 2008-04-23
KR100856488B1 true KR100856488B1 (ko) 2008-09-04

Family

ID=3957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478A KR100856488B1 (ko) 2006-10-18 2006-10-18 채널형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4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447A (ja) * 1994-03-15 1995-10-03 Toyo Giken Kk 電装体の着脱装置
KR970064306U (ko) * 1996-05-23 1997-12-11 김상도 다중 접속가능한 조립식 단자함 고정브라켓트
KR19980014424U (ko) * 1998-03-13 1998-06-05 김인규 배전반의 단자대 고정레일
JP2003331947A (ja) 2002-05-07 2003-11-21 Toyo Giken Kk 端子台等の装着機器の据付レール
KR20060091923A (ko) * 2005-02-16 2006-08-22 서일전자 주식회사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447A (ja) * 1994-03-15 1995-10-03 Toyo Giken Kk 電装体の着脱装置
KR970064306U (ko) * 1996-05-23 1997-12-11 김상도 다중 접속가능한 조립식 단자함 고정브라켓트
KR19980014424U (ko) * 1998-03-13 1998-06-05 김인규 배전반의 단자대 고정레일
JP2003331947A (ja) 2002-05-07 2003-11-21 Toyo Giken Kk 端子台等の装着機器の据付レール
KR20060091923A (ko) * 2005-02-16 2006-08-22 서일전자 주식회사 단자대 위치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170A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875Y1 (ko) 박스
KR20090008655U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KR101275569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장착구조
KR100856488B1 (ko) 채널형 브라켓 구조
KR20050107519A (ko) 레일 고정부 구조
JP2017153215A (ja) 配線器具用取付枠
KR200440514Y1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JP2009068208A (ja) レール取付構造
JP4604720B2 (ja) 操作盤のロック装置
KR20150018011A (ko) 차량용 박스 장착장치
JP440465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316712B2 (ja) テーブルの配線類係止装置
JP2002285962A (ja) 圧縮機の電装部品
KR100571669B1 (ko) 자동차의 도어 풀 핸들 고정구조
JP2009232614A (ja) 配線ボックスの固定部材
JP2010278230A (ja) プリント基板押さえ構造
KR100922155B1 (ko) 박스의 브라켓
KR200333568Y1 (ko) 전자기기용 회로기판 고정구조
JP2003009314A (ja) 小型電気機器用の取付構造
KR20090001733U (ko) 멀티브라켓장치
JP3674706B2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テレビジョンキャビネット
KR100588673B1 (ko) 차량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JP2014231703A (ja) 天井板用吊持杆の連結機構
KR92000795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