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951Y1 -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951Y1
KR920007951Y1 KR2019900005596U KR900005596U KR920007951Y1 KR 920007951 Y1 KR920007951 Y1 KR 920007951Y1 KR 2019900005596 U KR2019900005596 U KR 2019900005596U KR 900005596 U KR900005596 U KR 900005596U KR 920007951 Y1 KR920007951 Y1 KR 920007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ircuit breaker
breaker
elastic rod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906U (ko
Inventor
손진우
Original Assignee
금성계전 주식회사
백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계전 주식회사, 백중영 filed Critical 금성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5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951Y1/ko
Publication of KR9100189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9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제1도 (a)(b)는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제2도 (a)는 본 고안에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b)는 레일이 설치된 판넬상에 배선용 차단기를 부착한 상태 부분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선용 차단기 13 : 걸림돌기
14A,14B,15a,15b : 안내돌기 16 : 탄성봉
17 : 레일 17a,17b : 상, 하부 절곡편
18 : 홀더 18a,18b : 조임부
18c : 손잡이 18d : 돌편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이 설치된 판넬이나 평면상의 판넬에 취부가능하게 함으로써 호환성을 높인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선용 차단기(1)의 취부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부분 나사(2)를 이용하여 평면형태의 판넬(3) 표면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배선용 차단기 (1)를 취부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나사(2)를 체결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시간적 낭비를 초래하게 되며, 또한 스크류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필히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중에는 판넬(3)에 레일을 부착하여 이 레일에 차단기를 원터치식으로 취주하도록 한 것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것에서는 반드시 판넬(3)에 레일이 부착되어 있어야 하며, 단순히 평면형태의 판넬(3)의 표면에는 취부할 수 없어 호환성이 결여되어 사용범위가 극히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차단기를 레일에 취부하기 취부하는 구조로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1-49858호와 같이 차단기의 상하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기판의 상단부에는 차단기의 상부 걸림홈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편을 절곡형성하며, 기판의 하단부에는 금속선재로 형성된 클립형 조작체를 다수개 설치한 것이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기판 상단의 걸림편을 차단기의 상부 걸림홈에 끼워걸고, 기판하단에 설치된 클립형 조작체를 벌렸다가 놓음으로써 차단기 하단의 걸림홈에 끼어져 들어가도록 하는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시나 차단기의 탈부착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 클립형 조작체의 자체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탄성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클립형 조작체를 모두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관리가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평면형태의 판넬에 부착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에는 표면취부를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판넬에 부착된 레일에 부착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에는 레일취부를 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부여함으로써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사용하거나 차단기의 반복적인 탈부착에 따라 레일홀더를 탄력지지하는 탄성봉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탄성한계를 벗어났을 경우에는 탄성봉만을 교체하는 것에 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a)는 본 고안에 의한 취부구조가 적용된 배선용 차단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제2도(b)는 본 고안에 의한 취부구조가 적용된 배선용 차단기의 레일취부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는, 제2도(a)(b)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1)의 상, 하단부에 평면취부용 구멍(12)을 천공하고, 차단기(1)의 배면 상부측에는 걸림돌기(13)를 돌출형성하며, 배면 하부측에는 조임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구멍(12)은 차단기(1)를 평면형태의 판넬(제1도의 "3") 에 평면취부할 경우에 고정나사(도시되지 않음)이 관통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13)는, 레일(17)의 상단 절곡편(17a)에 걸리는 걸림턱(13a)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조임수단은, 차단기(1)의 배면 하단 상하부에 돌출설치되는 상하 한쌍의 안내돌기(14a,14b)(15a,15b)와, 이 안내돌기(14a,14b)(15a,15b)에 의하여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레일홀더(18)와, 이 레일홀더(18)을 상시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봉(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기(1)의 배면 하단 상하부에 돌출설치되는 상하 한쌍의 안내돌기(14a,14b)(15a,15b)는 각각 서로대향하는 내측면에, 레일홀더(18)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레일홀더(18)는, 상단에 레일(17)의 하단 절곡편(17b)를 걸어조이는 조림부(18a,18b)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레일홀더(18)를 탄성봉(16)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당기기 위한 손잡이부(18c)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에는 탄성봉(16)이 걸리는 돌편(18d)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봉(16)은 도시예와 같이 스프링강선을 사용하며, 그 양단은 차단기(1)의 배면 양측에 천공된 고정공(1a)에 끼워져 고정하며, 중압부는 레일홀더(18)의 중간부에 돌출형성된 돌편(18d)에 걸어서 레일홀더(18)에 상방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레일홀더(18)의 중하단부에는 상기 평면취부용 구멍(12)보다 큰 개구(8e)를 형성하여 평면취부시 구멍(12)에 고정나사를 관통시킬 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취부구조가 적용된 배선용 차단기는, 평면취부시, 즉 평판형태의 판넬에 차단기(1)를 취부할 경우에는 판넬(제1도의 "3")에 상기 구멍(12)와 일치되는 나사구멍을 천공하고 구멍(12)를 통하여 고정나사를 관통시켜 판넬의 나사구멍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한다.
한편, 레일(17)에 취부할 경우에는, 차단기(1)의 배면을 레일(17)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차단기(1)의 배면 상단부에 형성되어 되어 있는 걸림돌기(13)의 걸림턱(13a)을 레일(17)의 상부 절곡편(17a) 상단부에 걸고, 레일홀더(18)를 하방으로 부터 안내돌기(14a,14b)(15a,15b)에 끼워넣으면, 레일홀더(18)의 상단 조임부(18a,18b)가 레일(17)의 하단 절곡편(17b)위에 얹혀지면서 조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도 (b)와 같이 탄성봉(16)의 중간부를 레일홀더(17)의 중간부에 돌출형성된 돌편(18d)에 걸고 양단은 차단기(1)의 양측 고정공(1a)에 끼우면, 탄성봉(16)의 탄성력이 돌편(18d)를 상방으로 밀어붙이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레일홀더(18)의 상단 조임부(18a,18b)는 레일(17)의 하단 절곡부(17b)에 얹혀져 조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일홀더(18)와 탄성봉(16)은 제2도 (a)와 같이 차단기(1)의 배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레일(17)에 취부시 손잡이(18c)을 잡고 아래로 당겨서 조임부(18a,18b)가 조임위치 보다 아래쪽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부의 걸림돌기(13)를 레일 (17)의 상단 절곡부(17a)에 건 다음 손잡이(18c)를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레일홀더(18)가 탄성봉(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되면서 그 조임부(18a,18b)가 레일(17)의 하단 절곡부(17b)에 얹혀지면서 조이게 된다.
또 레일(17)에 취부된 차단기(1)를 탈거하는 경우에는 탄성봉(16)을 제거하고 레일홀더(18)를 안내돌기(14a,14b)(15a,15b)로 부터 발취하거나, 탄성봉(16)을 그대로 두고 손잡이(18c)를 탄성봉(16)에 대항하여 당기는 것에 의하여 레일홀더(18)를 하강시킴으로써 조임부(18a,18b)가 레일(17)의 하단 절곡부(17b)로 부터 이탈되게 한 다음 차단기(1)를 레일(17)로 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단기에 천공된 구멍에 고정 나사를 관통시켜 판넬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차단기를 평판형태의 판넬에 표면취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단기 배면에 설치된 걸림돌기와 조임수단에 의하여 레일에 취부할 수 있으므로 차단기 설치시 호환성이 있으며, 제품의 설치범위가 넓어 차단기의 취부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레일홀더를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향 탄력설치하는 것으로서 레일에 대한 조임력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거나 탈부착을 반복적으로 할 경우 탄성봉의 탄성력이 저하되더라도 레일홀더등을 교체할 필요없이 탄성봉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관리면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차단기(1)의 상하부에 고정나사가 관통되는 구멍(12)을 천공한 것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1)의 배면 상부측에는 레일(17)의 상단 절곡부(17a)에 걸리는 걸림돌기 (13)를 돌출설치하고, 배면 하단부에는 상하 한쌍의 안내돌기(14a,14b)(15a,15b)를 돌출형성하며, 이 안내돌기(14a,14b)(15a,15b)에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안내되며 상단에는 레일(17)의 하단 절곡부(17b)를 조이는 조임부(18a,18b)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손잡이(18c)가 형성된 레일홀더(18)를 탄성봉으로 상향 탄력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봉(16)은 그 중간부가 레일홀더(18)의 중간부에 돌출된 돌편(18d)에 걸림과 아울러 양단은 차단기(1)의 배면 양측에 천공된 고정공(1a)에 삽입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KR2019900005596U 1990-04-30 1990-04-30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KR920007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596U KR920007951Y1 (ko) 1990-04-30 1990-04-30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596U KR920007951Y1 (ko) 1990-04-30 1990-04-30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906U KR910018906U (ko) 1991-11-29
KR920007951Y1 true KR920007951Y1 (ko) 1992-10-22

Family

ID=1929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596U KR920007951Y1 (ko) 1990-04-30 1990-04-30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9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906U (ko) 199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8626B2 (ja) 回路遮断器の取付構造
KR20100000926U (ko) 박스
US7264501B1 (en) Fixing mechanism
KR92000795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취부구조
KR0163067B1 (ko) 부품의 설치구조
JP4641689B2 (ja) 回路遮断器の取り付け構造
JPH0346533Y2 (ko)
KR100235664B1 (ko) 탈거가 용이한 클립 구조
JPS6230401Y2 (ko)
KR940006494Y1 (ko) 자동차용 도어록 로드 체결용 클립
KR100856488B1 (ko) 채널형 브라켓 구조
KR200152419Y1 (ko) 냉각수 저장 탱크의 장착구조
KR200365957Y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KR0123933Y1 (ko) 피시비 지지구조
KR0129890Y1 (ko) 자동차의 스크류 체결용 다우얼 구조
KR970045742A (ko) 컨솔 상부커버 설치용 클립
KR19980038241A (ko) 유동방지용 클립
JPH0158727B2 (ko)
KR890004792Y1 (ko) 자동차 후드 스테이로드 고정구
JP2719472B2 (ja) 外付機器の取付機構
KR19980048764U (ko) 배선고정용클립조립체
KR19980050539U (ko) 커버류 고정장치
JP2005086895A (ja) サポート及び配線装置
KR19980068139U (ko) 자동차의 로드 고정용 클립
JPH10252948A (ja) 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