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933Y1 - 피시비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피시비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933Y1
KR0123933Y1 KR2019950019068U KR19950019068U KR0123933Y1 KR 0123933 Y1 KR0123933 Y1 KR 0123933Y1 KR 2019950019068 U KR2019950019068 U KR 2019950019068U KR 19950019068 U KR19950019068 U KR 19950019068U KR 0123933 Y1 KR0123933 Y1 KR 0123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support
fastening
fastening hole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684U (ko
Inventor
이상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19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933Y1/ko
Publication of KR970007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2Spacers not being card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1Arrangements for reducing stress or warp in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e.g. caused by loads, vibrations or differences in thermal expa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시비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피시비(P)의 중간부에는 장폭부(12)와 단폭부(14)가 일체로 된 체결공(10)을 천공시키고, 이 체결공(10)홀에는 섀시(S)의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는 지지구(2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피시비(P)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구(2)가 피시비(P)의 처짐변형를 막아 피시비(P)의 처짐으로 인한 회로의 쇼트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피시비 지지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피시비 지지구조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피시비 지지구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피시비 지지구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피시비 지지구를 피시비의 체결공에 체결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피시비 지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피시비 S : 섀시
10 : 체결공 12 : 장폭부
14 : 단폭부 20 : 지지구
23 : 체결부 24 : 상편
25 : 하편 26 : 걸림홈
28 : 탄성걸림편 29 : 걸림부
본 고안은 모니터등의 전자제품에서 섀시상에 설치되는 피시비(PCB)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피비시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는 회로를 이루고 있는 각종 부품이 피시비상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피시비는 본체의 섀시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종래에는 상기한 피시비의 고정을 위하여 섀시의 양측에 피시비를 끼우기 위한 홈을 형성시켜 피시비를 일측으로부터 끼워 고정하거나, 또는 섀시의 하부로부터 소정높이의 돌기를 형성시켜 스크루우로 피시비를 고정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피시비 고정방식에서, 특히 섀시의 양측에 형성된 홈에 피시비를 끼우는 방식에 있어서는, 피시비의 폭이 넓고 피시비상에 부착되는 부품이 많고 무거울 경우에는 피시비의 중간부분이 하방으로 처지게 되어 피시비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조립작업시 회로가 쇼트될 우려가 많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시비의 하면에 별도의 시일드를 부착하기도 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인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피시비의 처짐을 방지하고 피시비의 처짐으로 인한 회로의 쇼트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부품이 부착되고 섀시의 양측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피시비에는 체결공을 천공시키고, 이 체결공에는 섀시 의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는 지지구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피시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피시비 피시비 지지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도시생략된 많은 부품이 상면에 부착되고 양측이 섀시(S)의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피시비(P)의 중간부에는 ┴형상의 체결공(10)이 천공되고, 이 체결공(10)에는 피시비(P)의 중간부분이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지지구(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공(10)은 장폭부(12)의 중간부 일측에 단폭부(14)가 상기 장폭부(12)와 접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대체적으로 ┴형상을 갖는 것이고, 이 체결공(10)의 형성방향은 어느 방향이든지 무관하나, 지지구(20)의 착탈이 용이한 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구(2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시(S)의 하면에 접촉하는 베이스(21)와, 이 베이스(21)의 수직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22)와, 이 몸체(22)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23)와, 이 체결부(23)의 일측에 형성되는 탄성걸림편(28)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체결부(23)는 상편(24)과 하편(25)사이에 양측으로 걸림홈(26)이 형성되어진 것이며, 이 걸림혹(26)은 피시비(P)에 형성된 체결공(10)의 단폭부(14)양측에 끼워지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한편, 탄성걸림편(28)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23)의 하편(25)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편(25)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시켜 탄성걸림편(28)의 후단에 형성되는 걸림부(29)가 상,하방향으로의 탄성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상기 탄성걸림편(28)의 후단에 형성되는 걸림부(29)는 지지구(20)의 장착시 피시비(P)에 형성된 체결공(10)의 장폭부(12)전면 중앙부에 걸리게 되고, 탈거시에는 걸림부(29)를 눌러 걸림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지지구(20)를 사용하여 피시비(P)를 지지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고안 지지구(20)를 피시비(P)의 체결공(10)에 장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지지구(20)를 피시비(P)의 체결공(1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구(20)의 체결부(23:제2도참조)를 피시비(P)의 하부에서 체결공(10)의 장폭부(12)로 끼워 넣어 체결부(23)의 상편(24)이 체결공(10)의 장폭부(12)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구(20)전체를 체결공(10)의 단폭부(14)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편(24)과 하편(25)사이에 양측으로 형성된 걸림홈(26)이 단폭부(14)의 양측 피시비(P)에 끼워지게 되면서 탄성걸림편(28)후단의 걸림부(29)가 체결공(10)의 장폭부(12)측면 중앙부에 걸리게 되어 지지구(20)가 장착완료되는 것이다.
지지구(20)가 피시비(P)의 체결공(10)에 장착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구(20)의 베이스(21)가 섀시(S)의 하면에 밀착되어 피시비(P)의 중간부분이 섀시(S)로부터 지지되므로써 피시비(P)의 처짐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피시비(P)상의 회로가 섀시(S)에 접촉되어 발생되었던 쇼트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지구(20)를 탈거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가늘고 긴 도구로 탄성걸림편(28)을 하방으로 누르면 장폭부(12)측면에 걸려 있던 탄성걸림편(28)후단의 걸림부(29)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장착시와 반대방향으로 지지구(20)를 밀면 단폭부(14)의 양측 피시비(P)에 걸려있던 체결부(23)가 이탈되어지게 되며, 지지구(20)를 체결공(10)하방으로 빼면 탈거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지지구(20)는 탄성걸림부(28)가 탄성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눌러 탈거시킬 수 있고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수리시에도 다른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피시비의 지지구조는 착탈 가능한 지지구(20)가 피시비(P)의 중간부분을 받쳐주게 되어 피시비(P)가 폭이 넓거나 무거운 부품이 부착되었을 경우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시비의 중간부에는 장폭부와 단폭부가 일체로 된 체결공을 천공시키고, 이 체결공에는 지지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구가 피시비의 처짐변형을 막아 피시비의 처짐으로 인한 회로의 쇼트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다수의 부품이 상면에 부착되고 양측이 섀시의 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피시비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시비(P)의 중간부에 천공되고 장폭부(12)와 단폭부(14)로 이루어지게 형성된 체결공(10)과; 상기 섀시(S)의 하면에 접촉하는 베이스(21)와, 이 베이스(21)의 수직상방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22)와, 이 몸체(2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편(24)과 하편(25)으로 이루어지며 이 상편(24)과 하편(25)사이에 상기 체결공(10)의 단폭부(14)에 걸리는 걸림홈(26)이 형성되는 체결부(23)와, 이 체결부(23)의 하편(25)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장폭부(12)의 측면에 걸리는 후단의 걸림부(29)가 상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탄성걸림편(28)으로 이루어진 지지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비 지지구조.
KR2019950019068U 1995-07-28 1995-07-28 피시비 지지구조 KR0123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068U KR0123933Y1 (ko) 1995-07-28 1995-07-28 피시비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068U KR0123933Y1 (ko) 1995-07-28 1995-07-28 피시비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84U KR970007684U (ko) 1997-02-21
KR0123933Y1 true KR0123933Y1 (ko) 1998-12-15

Family

ID=1941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068U KR0123933Y1 (ko) 1995-07-28 1995-07-28 피시비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9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84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8232A (en) Computer body with a fixing device
KR0158204B1 (ko) 연결구
US6236574B1 (en) Sub printed circuit board fixing device in electronic products
KR0123933Y1 (ko) 피시비 지지구조
KR200165711Y1 (ko) 냉장고의 힌지고정구조
KR970003851Y1 (ko) 전자제품의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200179749Y1 (ko) 인쇄회로기판의 지지 및 가이드구조
KR0126463Y1 (ko) 전자제품의 레그 조립구조
US6544063B2 (en) Resilient fastener for sec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KR0125034Y1 (ko) 전자제품의 메인 pcb기판의 처짐방지장치
KR0169841B1 (ko) 인쇄회로기판 탈장착 장치
KR100626059B1 (ko) 섀시베이스 조립체
KR200239829Y1 (ko) 퍼스널컴퓨터의 옵션카드 지지장치
KR0125033Y1 (ko) 전자제품의 2중 pcb기판의 조립장치
KR950005200Y1 (ko) 컴퓨터 본체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KR19980030058U (ko) 모니터의 회로기판 고정브래킷
KR910003968Y1 (ko) 인쇄회로기판(pcb) 고정장치
KR200153596Y1 (ko)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
KR0131226Y1 (ko) 전기.전자제품의 쉴드 고정장치
KR0128290Y1 (ko) 인쇄 회로 기판의 착탈 고정 장치
KR100942574B1 (ko) 전자레인지의 인쇄회로기판 장착장치
KR0138542Y1 (ko) 텔레비전용 회로기판 결합부재
KR0123543Y1 (ko) 모니터의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
KR920002102Y1 (ko) 컴퓨터의 옵션 보드 고정장치
KR0123932Y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