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596Y1 -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596Y1
KR200153596Y1 KR2019960017946U KR19960017946U KR200153596Y1 KR 200153596 Y1 KR200153596 Y1 KR 200153596Y1 KR 2019960017946 U KR2019960017946 U KR 2019960017946U KR 19960017946 U KR19960017946 U KR 19960017946U KR 200153596 Y1 KR200153596 Y1 KR 200153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main circuit
main
main chassis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7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093U (ko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17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596Y1/ko
Publication of KR980006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5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clips or resilient members, e.g.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를 개시한다. 종래 메인 회로기판을 메인새시상에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메인새시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편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이어서, 분리가 용이치 않아 작업성의 저하를 유발하였으며, 또한 결합후 유동이 발생되어 각종 회로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메인회로기판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대응되는 메인새시상에 탄성지지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였으며, 특히 결합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회로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였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 구조
본 고안은 전자기기에 있어서, 메인새시내에 메인 회로기판을 내장 설치하기위한 메인회로기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마련되며, 이 부품들은 회로기판을 통해 상호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진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전자기기중 특히 테이프 레코더의 메인새시에 메인회로기판을 내장 설치시키는 예가 도시되어있다.
이는, 메인새시(1)는 사각틀체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양측면에는 두 쌍의 가이드 편(1a)이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때 가이드편(1a)은 제2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메인새시(1)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메인새시(1)의 측면으로부터 절개 및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이드 편(1a)의 단부는 메인새시(1)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메인 회로기판(2) 상에는 프리엠프(3)를 비롯한 각종 회로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메인 회로기판(2)을 메인새시(1)상에 내장 설치함에 있어서는, 제1도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메인 회로기판(2)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이 메인 회로기판(2)의 양 측면이 메인새시(1)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편(1a)을 따라 하방으로 가이드 되게 되고, 최종적으로 가이드 편(1a)과 메인새시(1) 사이의 간격 사이로 그 양 측면이 탄력적으로 끼워삽입되게 됨과 동시에 가이드편(1a)의 하단부가 메인 회로기판(2)의 양측 상면으로 위치되게 됨으로써, 상부 이탈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메인 회로기판(2)을 조립하고자 하는 메인새시(1)의 정확한 위치에 세팅시키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는,별도로 메인 회로기판(2)과 메인새시(1) 간의 위치를 한정시키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단지 메인 회로기판(2)의 양 측면만을 가이드 편(1a)을 통해 지지하기 때문이다.
둘째, 메인 회로기판(2)을 메인새시(1)상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회로테스트를 하는 과정에서 불량요인이 발생되어 메인 회로기판(2)을 메인새시(1)로부터 분리하고자할 경우에 분리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는 메인 회로기판(2)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메인 회로기판(2)의 양측 상면에 위치된 가이드 편(1a)을 각각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분리시켜야 할 것이나 가압과정에서 메인 회로기판(2)의 표면 손상이 우려되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자가 가이드 편(1a)을 외측으로 가압하기가 용이치 않기 때문이다.
셋째, 메인 회로기판(2)과 메인새시(1)의 결합 완료후 메인 회로기판(2)이 좌,우로 유동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는 메인 회로기판(2)은 가이드편(1a)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의 이탈 및 유동이 용이하게 방지되는 것이지만 좌,우 방향으로는 별도로 지지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새시상에 메인 회로기판을 유동없이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는, 사각틀체를 이루고 있는 메인새시내에 메인 회로기판을 내장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새시의 양 측면과 인접된 내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탄성지지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탄성지지수단과 대응되는 상기 메인회로기판 상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메인회로기판을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탄성지지수단에 끼워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메인새시내에 상기 메인 회로기판을 내장 설치하도록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상기 메인새시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환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채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그 각각의 상단부에는 소정곡률의 걸림면이 형성된 반원형 훅크편과; 상기 각 걸림면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각각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편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메인회로기판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메인회로기판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발췌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새시 20 : 메인 회로기판
20 : 관통구멍 30 : 탄성지지수단
31 : (환형)몸체 32,33 : (반원형)훅크편
34,35 : 걸림면 36,37 : 손잡이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본 고안은, 크게 사각틀체를 이루고 있는 메인새시(10)와 메인앰프(21)를 포함한 각종 회로부품이 설치되며 복수개의 관통구멍(22)이 형성된 메인 회로기판(20)과,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 회로기판(20)의 관통구멍(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탄성지지수단(30)으로 대별된다.
전술한 탄성지지수단(30)은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메인새시(10)의 상면에는 환형의 형태를 갖는 몸체(31)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이 몸체(31)의 상면으로 부터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반원형 훅크편(32,33)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반원형 훅크편(32,33)의 단부는 메인 회로기판(20)의 관통구멍(22)이 부드럽게 끼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곡률의 걸림면(34,35)이 형성된다.
또한 이 걸림면(34,35)의 각 내측 상면으로 부터는 서로 대면하도록 손잡이편(36,37)이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메인 회로기판(20)을 메인새시(10)상에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메인 회로기판(20)을 메인새시(10)를 향해 가압하게 되면, 메인 회로기판(20)상에 마련된 관통구멍(22)이 탄성지지수단(30)을 구성하고 있는 반원형 훅크편(32,33)의 걸림면(34,35)을 따라 안내되게 되고, 동시에 이 반원형 훅크편(36,37)은 상호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메인 회로기판(20)의 관통구멍(22)이 용이하게 반원형 훅크편(32,33)사이에 끼워 삽입되게 된다. 또한 걸림면(34,35)이 초기의 상태로 복귀되어 메인 회로기판(20)의 관통구멍(22) 주변부의 상면에 걸림된채 상부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메인 회로기판(20)의 관통구멍(22) 직경은 반원형 훅크편(32,33) 상호간의 형합에 의한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도 용이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메인 회로기판(20)은 안정되게 메인새시(10)상에 안착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메인 회로기판(20)상의 회로부품 등에 불량요인이 발생되어 이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걸림면(34,35)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된 손잡이편(36,37)을 작업자가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메인 회로기판(20)을 들어 올리게 되면 용이하게 메인 회로기판(20)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에 의하면, 메인 회로기판과 메인새시간의 결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꾀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메인 회로기판의 결합후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각종 회로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사각틀체를 이루고 있는 메인새시내에 메인 회로기판을 내장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새시(10)의 양 측면과 인접된 내면에 마련된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성지지수단(30) 및 상기 탄성지지수단(30)과 대응되는 상기 메인회로기판(20) 상에 형성된 관통구멍(22)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수단(30)은, 상기 메인새시(10)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환형의 몸체(31), 상기 몸체(31)의 상면으로부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채 대면하도록 연장형성되며, 그 각각의 상단부에는 소정곡률의 걸림면(34,35)이 형성된 반원형 훅크편(32,33), 상기 각 걸림면(34,35)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각각 대면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편(36,3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메인회로기판 결합구조.
KR2019960017946U 1996-06-27 1996-06-27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 KR200153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946U KR200153596Y1 (ko) 1996-06-27 1996-06-27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7946U KR200153596Y1 (ko) 1996-06-27 1996-06-27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093U KR980006093U (ko) 1998-03-30
KR200153596Y1 true KR200153596Y1 (ko) 1999-08-02

Family

ID=1945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7946U KR200153596Y1 (ko) 1996-06-27 1996-06-27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5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63B1 (ko) * 2005-08-26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093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6576A (en) Structure of shelf to be fixed to frame of communications apparatus
US6267629B1 (en) Shield clip and method of securing a shield cover
US8247707B2 (en) Shielding assembly
KR0182924B1 (ko) 전자제품의서브회로기판고정장치
KR200153596Y1 (ko) 전자기기의 메인 회로기판 결합구조
WO2009012723A1 (en) Shielding device
US73576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ening two coplanar edges without a weld
KR20070112867A (ko) 제어 장치
US5578793A (en) Video cassette recorder chassis frame assembly
JPH075659Y2 (ja) 回路基板の積層構造
JPH0730269A (ja) 自立型装置のフレーム構造
KR200154834Y1 (ko) 회로기판 및 케이스의 고정받침장치
KR0135103Y1 (ko) 전자장해 차폐가 가능한 전자통신장비의 전면판 구조
US20040025334A1 (en) Method of securely fastening a shield to a circuit board
KR200145236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케이블 연결 구조체
KR880003259Y1 (ko) 튜너지지장치
KR0121332Y1 (ko) 회로부품 접지장치
KR960001991Y1 (ko) 다수의 잭핀을 동시에 지지해주는 장치
KR200209123Y1 (ko) 실드케이스의 회로기판 그라운드 장치
KR200166966Y1 (ko) 텔레비젼용 인쇄회로기판의 프레임 결합구조
KR200179724Y1 (ko)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고정장치
KR200173816Y1 (ko) 인쇄회로기판용 실드 케이스
JPS6020882Y2 (ja) スライド式可変電気部品の取付装置
JP3098980B2 (ja) 数値制御装置の筐体構造
JP3774511B2 (ja) 基板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