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617U -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 - Google Patents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617U
KR20100000617U KR2020080009215U KR20080009215U KR20100000617U KR 20100000617 U KR20100000617 U KR 20100000617U KR 2020080009215 U KR2020080009215 U KR 2020080009215U KR 20080009215 U KR20080009215 U KR 20080009215U KR 20100000617 U KR20100000617 U KR 201000006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lanket
sleep
legs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091Y1 (ko
Inventor
윤미숙
Original Assignee
윤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미숙 filed Critical 윤미숙
Priority to KR2020080009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09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0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61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e.g. bag-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61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e.g. bag-like
    • A47G2009/0269Devices for use in fitting 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을 취하기 위하여 매트리스 또는 침대에서 이불을 덮었을 때에도 팔과 다리를 이불 밖으로 노출시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이불에 관한 것이다
수면을 취하기 위하여 이불을 덮게 되면 이불이 온 몸을 감싸서 움직임에 제한을 받아 자연스럽지 못하게 되고, 그래서 수면중 답답함을 느낀 수면자는 이불을 밀어내는 등의 행동을 하여 숙면을 취하는데 있어서 지장을 받게 되고, 신체가 노출됨으로써 체온저하로 인해 건강에 이상증세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수면 중의 무의식적인 행동은 특히 몸이 약한 노약자나 환자 등에 있어서는 병세를 악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어서 수면중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체온을 유지시키고 따뜻하게 해 주는 이불을 걷어냄으로써 체온저하로 인해 건강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이불을 덮은 상태에서도 몸을 움직이는데 있어서 용이한 이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불을 구성하고 있는 상단커버(1), 보온부재(2) 그리고 하단커버(3)의 각각의 동일한 위치의 네부분을 절개하여 관통되도록 한 후, 하단커버(3)에 재봉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어 있는 연결부재(3a)로 하여금 보온부재(2)의 하단커버(3)와 동일한 위치의 보온부재 절개부를 통과하도록 한 후, 상단커버(1)의 하단커버(3)와 동일한 위치의 절개부에서 재봉 등으로 부착하여 연결되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이불 외부의 찬공기가 절개부를 통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방풍부재(4)를 상단커버(1)의 절개부에 덧대어 재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불

Description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EXPOSURE ARM AND LEG FOR A FUNCTIONAL QUILT}
본 발명은 사람이 수면을 취할 때 체온을 유지하고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덮는 이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필수품 중의 하나인 이불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수면을 취함에 있어서 외부 온도에 의한 체온의 변화로 수면자의 건강에 이상을 일으키기 않도록 몸을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이불은, 인간의 편안한고 안락한 삶을 위하여 보다 가볍고 따뜻하도록 개선되고 발전되어 왔다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무거운 목화솜 등을 보온부재로 적용한 이불이 사용되어져 오다가 현대에 이르러 화학섬유 기술이 발전하면서 보다 가볍고 따뜻한 이불을 위하여 인조 솜을 사용한 이불이 만들어졌고, 거위나 양의 털 등 자연소재를 사용한 이불 등도 만들어졌으며, 각종 신소재의 개발로 특수 소재인 라텍스등을 사용한 침구가 개발되었으며, 보다 위생적이고 깨끗한 수면환경을 위해 이불에 진드기 등이 기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극세사로 만든 이불이 개발되는 등 다양한 종류와 기능과 디자인의 이불이 제품으로 만들어져 현재 유통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종류의 이불이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지만, 그러한 소재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불이 오랜 세월 변하지 않은 것이 있는데, 그것은 머리만 밖으로 노출시킨 채 온몸을 덮기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불의 변하지 않은 특징으로 인해 하절기의 얇은 홑이불을 덮었을 때에나, 동절기의 보온부재를 내장한 무겁고 두꺼운 이불을 덮을 때에나 움직임에 제약을 느끼게 되어 사람들은 수면시 불편함을 느껴왔다
그래서 수면자들은 수면중 무의식적으로 답답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불을 걷어내게 되고, 그러함으로 해서 숙면을 저해하는 수면자세가 형성되고 외부의 공기에 신체가 노출이 됨으로 해서 체온저하로 인해 수면자의 건강에 이상 증세가 생기게 된다
특히 환자나 노약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체온의 유지와 안정이 필요한데, 적정수준에서 체온이 떨어져서도 높아져서도 안된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나 노약자에게 있어서는 수면시 더더욱 주의가 요망된다
그리고 취침 전 이불을 덮은 상태에서 대화를 할 때에도, 기존의 이불은 머리만 밖으로 노출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행동에 제약이 따르게 되어 단순히 말로서만 의사를 전달할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람의 일상생활에 필수품이면서 오랜 세월이 지나도록 해결되지 못하던 이불의 단점인 움직임의 제약에 따른 상기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 하여 안출한 것이다
상기한 기존 이불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인 손과 발이 자유로운 이불은, 이불을 구성하는 세가지 요소인 상단커버(1)와 보온부재(2) 그리고 하단커버(3)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4개의 절개부분을 두고, 가장 하단에 위치한 하단커버(3)의 절개부에 손과 발이 이불 밖으로 빠져나오는 통로역할을 하는 연결부재(3a)가 재봉틀에 의한 박음질 등으로 재봉되어 장착된 후, 하단커버(3)의 각각의 4개의 연결부재(3a)가 보온부재(2)와 각각 동일한 위치에 있는 4개의 절개부를 관통하면서 상단커버(1)의 각각의 절개부와 연결하여 이은 후 재봉틀에 의한 박음질이나 바느질등으로 마감을 하고, 상단커버(1)의 각각의 절개부에 방풍부재(4)를 재봉틀의 박음질 등으로 부착하였다.
기존의 이불에 관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이불이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수면자는 두 팔고 두 다리를 이불로 덮은 상태에서도 밖으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면중에도 기존의 수면자는 이불을 걷어내어 몸을 옆으로 돌린 상태에서 이불을 끌어안고 수면을 취하는 행동을 많이 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이불은 이불을 덮은 상태에서도 몸을 옆으로 돌리고 다리만 밖으로 노출시킨 채 이불을 끌어안고 수면을 취하는 자세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불을 덮은 상태에서도 두 팔과 두 다리를 모두 이불 밖으로 노출시 킬 수 있어서, 때에 따라 이불을 덮은 상태에서 별도의 체온조절을 해야할 때, 두 팔고 다리의 노출을 조절하여 원하는 체온을 조절할 수 있다.
그래서 수면 중 몸을 뒤척일 때에도 기존의 이불에 비해 이불이 신체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적어져 지속적인 체온유지가 가능하여 진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인은 물론 몸이 약한 노약자나 환자에게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부부나 형제,자매끼리 같이 이불을 덮고 대화를 할 때에도 이불을 덮은 상태에서 팔을 꺼내어 말과 함께 행동으로 의사표현을 함으로 해서 보다 폭넓은 의사전달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간생활의 필수품 중의 하나인 이불은 형태와 재질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가 유통되고 있으며, 계절의 변화에 의해서도 여름에는 시원한 수면환경을 위하여 얇은 홑이불이 사용되고, 겨울에는 추위로 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온을 목적으로 속에 두터운 보온부재(2)가 내장된 이불이 사용되어 진다.
보편적으로 이러한 겨울용 두터운 이불은 3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 지는데, 이불 하단에서 보온부재와 상단커버(1)를 감싸며 상단커버(1)둘레에 박음질되는 하단커버(3)와, 하단커버와 상단커버 사이에 위치하여 보온기능을 수행하며 이불의 부피 대부분을 차지하는 보온부재(2)와, 보온부재의 상단에서 하단커버와 박음질되어 이어지면서 이불의 얼굴이 되는 상단커버가 그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겨울용 이불은 여름용의 홑이불 등에 비해 부피가 크고 그만큼 무게가 가중되어, 수면중 제한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답답함을 느끼게 되고 이불을 걷어차서 밀어내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기존 이불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이불은 참조도면 도 1 의 사용상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불을 덮었을 때 두 팔과 다리를 모두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자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참조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불의 가장 아래에 위치한 하단커버(3)에 다른 보온부재나 상단커버와 마찬가지로 먼저 4개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그 각각의 절개부에 4개의 연결부재(3a)가 각각 재봉틀 등에 의한 박음질로 이어져 장착된다
그 상단에 위치하는 보온부재(2)는 보다 나은 보온성을 발휘하기 위해 인공적인 소재인 라텍스나 인조 솜 등에서 부터 자연소재인 목화솜이나 거위털, 양털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참조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하단커버(3)의 4개의 절개부와 동일한 위치의 상단에 4개의 절개부를 두었다
보온기능을 담당하는 보온부재이므로 절개를 하였지만 계속적으로 보온부재의 보온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절개방향을 수직이 아닌 사선방향으로 하여 절개되었지만 밀착되는 면을 넓혀 최대한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양쪽 팔이 나오는 절개부(2c,2d)는 팔을 자연스럽게 밖으로 노출시켰다가 이불 안으로 넣기 용 이하도록 절개부의 사선이 몸쪽을 향하도록 하고, 다리의 노출을 위한 2개의 절개부도 두 다리의 노출이 용이하도록 절개사선이 발 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해서 참조도면 2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 커버(3)의 연결부재(3a)는 상단에 있는 보온부재(2)의 상기한 절개부를 관통하면서 지나 그 상단의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단커버(1)의 절개부와 만나게 되고, 하단커버(3)와 상단커버(1)는 재봉틀 등에 의한 박음질로 이어져, 두 팔과 다리를 노출시킬 수 있는 관통된 이불이 완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기존 이불과 본 발명의 이불을 덮은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불의 구성요소를 해체하여 결합과정을 도시한 것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불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보온부재에서 각각의 절개부와 절개 사선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홑이불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단커버 1a,1b,1c,1d : 상단커버 절개부 1e : 상단커버 봉재선
2 : 보온부재 2a,2b,2c,2d : 보온부재 절개부 2e : 보온부재 봉재선
3 : 하단커버 3a : 연결부재
4 : 방풍부재 4a,4b,4c : 방풍부재 봉재선

Claims (2)

  1. 수면을 취하기 위하여 몸을 덮을 때 사용되는 이불에 있어서,
    이불을 구성하는 상단커버(1),보온부재(2),하단커버(3) 세가지 모두 동일한 위치에 팔과 다리를 노출시키기 위한 4개의 절개부가 있고, 가장 하단에 위치한 하단커버(3)의 절개부에 재봉틀등에 의한 박음질로 장착되어 하단커버(3)와 상단커버(1)를 이어주는 연결부재(3a)가 있으며, 이 연결부재(3a)가 보온부재(2)의 절개부를 지나 상단커버(1)와 만나 재봉틀등에 의한 박음질로 이어지고, 상단커버(1)와 이어진 연결부재(3a) 위에 방풍부재(4)가 박음질로 장착되어 절개부를 덮어, 이불속에서도 손과 발을 노출시켜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온부재(2)가 없이 얇은 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4개의 절개부만 있고, 그 절개부의 상단과 하단의 커버가 제봉틀등의 박음질로 이어져 손과 발이 자유롭게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
KR2020080009215U 2008-07-10 2008-07-10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 KR200454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15U KR200454091Y1 (ko) 2008-07-10 2008-07-10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15U KR200454091Y1 (ko) 2008-07-10 2008-07-10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17U true KR20100000617U (ko) 2010-01-22
KR200454091Y1 KR200454091Y1 (ko) 2011-06-15

Family

ID=4419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215U KR200454091Y1 (ko) 2008-07-10 2008-07-10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0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482B1 (ko) * 2010-09-16 2011-03-16 전대복 다기능 이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0374U (ja) * 1992-04-02 1993-11-02 健次 山口 切り込み入り毛布、掛けぶとん
JPH0838328A (ja) * 1994-07-27 1996-02-13 Nobuyuki Nakamura 足の出入口を設けた掛布団
JPH10155624A (ja) * 1996-11-26 1998-06-16 Isamu Abe 掛け布団
KR100519364B1 (ko) 2005-03-28 2005-10-07 조병완 재봉라인이 노출되지 않는 링형 봉재물을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482B1 (ko) * 2010-09-16 2011-03-16 전대복 다기능 이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091Y1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482B1 (ko) 다기능 이불
KR200454091Y1 (ko) 팔과 다리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성 이불
JP3145759U (ja) 就寝中のずれ肌蹴防止用上掛け寝具
JP3138828U (ja) 肩の部分と足下を袋状にした襟付き敷毛布
WO2017014339A1 (ko) 신생아용 침구
KR200416302Y1 (ko) 이중 이불
JPH0670834A (ja) 寝具用肩口保温装置
KR20090106027A (ko) 가슴 덮개 이불
KR20090106734A (ko) 기능성 이불
JP3149755U (ja) 肩・首防寒寝具
KR200448736Y1 (ko) 겹이불
JPH06269345A (ja) 寝具構造
JPH0744209Y2 (ja) 防寒寝具
JP2002219040A (ja) 掛け寝具
KR20110006777U (ko) 어깨 보온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불
JP5761769B1 (ja) 敷布団カバー寝具体
JPH0716385Y2 (ja) 掛け寝具
JPS6034212Y2 (ja) 肩や腕を保温する寝具
JP3128702U (ja) 上掛け寝具と敷きパット。
KR20080003680U (ko) 감기 예방 이불
JPS5818778Y2 (ja) 肩ふとん
JP2005261550A (ja) 就寝用襟掛け
JP2004255143A (ja) 寝具
KR200452835Y1 (ko) 어린이용 기능성 이불
JP3003167U (ja) 肩保温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