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680U - 감기 예방 이불 - Google Patents

감기 예방 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680U
KR20080003680U KR2020070003389U KR20070003389U KR20080003680U KR 20080003680 U KR20080003680 U KR 20080003680U KR 2020070003389 U KR2020070003389 U KR 2020070003389U KR 20070003389 U KR20070003389 U KR 20070003389U KR 20080003680 U KR20080003680 U KR 200800036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neck
cold prevention
trim
quil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숙
Original Assignee
정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숙 filed Critical 정진숙
Priority to KR2020070003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680U/ko
Publication of KR200800036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6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0Pyjamas; Night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05Convertible garments reversible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형상을 가지는 이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의가 일체로 형성되는 의복형상이되, 외피와 내피의 사이에는 보온재가 구비되고, 목둘레의 정면부에서 가슴부분까지 갈라져 이중으로 포개지는 목트임부와, 하단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하체의 활동이 편하도록 옆트임부가 형성되며, 하단부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누빔 처리가 되어 누빔선이 형성되는 감기 예방 이불을 포함한다.
이로써, 겨울철과 환절기에 잠자리에서 이불을 자주 차는 습관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체온 저하로 인한 저항력 약화로 감기에 들지 아니하도록 하고, 수면상태에서도 팔다리의 움직임이 자유스러워 편안한 잠자리를 유도할 수 있으며, 품이 넉넉하여 이불을 덮은듯한 포근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외피, 내피, 목트임부, 옆트임부, 누빔, 양면

Description

감기 예방 이불{Bedclothes for preventing a col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기 예방 이불을 외피가 보이도록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기 예방 이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감기 예방 이불을 내피가 보이도록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감기 예방 이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감기 예방 이불
2 : 외피
3 : 내피
4 : 보온재
5 : 목둘레
6 : 어깨진동둘레
7 : 목트임부
7a : 결합부재
8 : 옆트임부
9 : 누빔선
본 고안은 의복을 겸한 이불에 관한 것으로, 보온 기능이 뛰어나 겨울철 감기 예방의 효과가 있으면서도, 실내에서 입은 상태로 활동가능한 이불과 관련된다.
겨울철에 감기에 쉽게 걸리는 이유 중 하나는 잠자리에서 무의식적으로 덮던 이불을 걷어, 차가운 방 공기에 신체가 노출됨으로써 신체의 온도가 떨어져 저항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유아인 경우에는 잠자리에서 쉽게 이불을 차게 되며, 스스로 이불을 덮을 수 없기 때문에, 보호자가 주의하지 아니하면 감기에 쉽게 걸리게 된다.
이때, 개인의 신체에 강제적으로 이불을 다시 덮도록 하면 신체의 온도가 내려가지 아니하여 감기에 걸리지 아니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효과가 있는 종래의 침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하여 몸을 따뜻하게 유지시켜주는 장점이 있으나, 침낭의 경우 수면시 팔다리의 움직임이 자유스럽지 못하여 숙면을 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잠자리에서 다수개의 의류를 걸쳐 신체을 보온하는 경우에는 잠들기 전에는 일상 활동에 큰 불편은 없으나, 기존의 기성복은 신체의 사이즈에 맞추어 구입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잠자리에서 지나치게 신체를 구속하게 되어 원활한 혈행을 방해하게 되므로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겨울철과 환절기에 잠자리에서 이불을 자주 차는 습관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체온 저하로 인한 저항력 약화로 감기에 들지 아니하도록 하고, 수면상태에서도 팔다리의 움직임이 자유스러워 편안한 잠자리를 유도할 수 있으며, 품이 넉넉하여 이불을 덮은듯한 포근함을 느낄 수 있는 감기 예방 이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의가 일체로 형성되는 의복형상이되, 외피와 내피의 사이에는 보온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을 제공한다.
더하여, 목둘레의 정면부에서 가슴부분까지 갈라져 이중으로 포개지는 목트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트임부에는 접합이 가능하도록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결합부재는 똑딱단추 또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을 제공한다.
더하여, 하단부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누빔 처리가 되어 누빔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을 제공한다.
더하여, 좌,우측의 하단부에는 하체의 움직임이 편하도록 옆트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을 제공한다.
더하여, 선택에 따라 뒤집어 착용가능하도록 상기 외피와 내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감기 예방 이불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기 예방 이불을 외피가 보이도록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기 예방 이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감기 예방 이불을 내피가 보이도록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감기 예방 이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고안인 감기 예방 이불(1)은 상,하의가 일체로 형성되되, 하단이 무릎 이하까지 내려가는 원피스(one-piece)형상으로, 외피(2)와 내피(3)의 사이에는 보온재(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외피(2)와 내피(3)의 종류에는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통기성, 보온성, 흡수성이 우수한 면, 또는 이 면에 구김과 변형에 강한 폴리에스텔을 혼용한 혼방 기타 특면, 트위드(tweed), 도비(dobby)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실시자의 임의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온재(4)로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솜, 오리털 등이 사용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마치 이불을 직접 두른 것과 같으므로, 기존의 이불을 덮는 경우에 신체의 좌우에 통기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체온이 상실되는 것에 비하여, 신체의 보온에 효과적이다.
한편, 목둘레(5)는 잠자리에서 사용자의 목 부근을 압박하지 아니하도록 충분히 깊게 파인 형상이 된다.
또한, 어깨진동둘레(6)는 잠자리에서 양 팔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아니하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 민소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특히 유아인 경우에는 본 감기 예방 이불(1)을 착용시 신체가 둘러싸여 체온이 유지되면서도, 팔과 다리의 움직임은 자 유로워 답답함을 느끼지 아니하게 되므로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목둘레(5)에는 깃이 없으므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본 감기 예방 이불(1)을 뒤집어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신체의 피부에 직접 닿는 상기 외피(2)와 내피(3)의 재질을 달리하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뒤집어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섬 부분에는 본 감기 예방 이불의 착용과 탈의가 용이하도록 상기 목둘레(5)의 정면부에서 가슴부분까지 갈라져 이중으로 포개지는 목트임부(7)가 형성되되, 이 목트임부(7)에는 필요에 따라 접합이 가능하도록 결합부재(7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7a)는 잠자리에서 사용자가 엎드렸을 때 상기 목트임부(7)가 가슴 부분을 압박하지 아니하도록 두껍지 아니한 똑딱단추(일명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velcro)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감기 예방 이불(1)의 좌,우측 하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옆트임부(8)가 형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착용상태에서 하체의 활동이 자유로우며, 잠자리에서도 하체의 움직임에 구속이 없으므로 편안히 잠들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잠자리에서 사용자의 뒤척임에 의하여 본 감기 예방 이불(1)의 하단부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누빔 처리가 되어 누빔선(9)이 형성된다.
이때, 가로방향으로 누빔 처리가 된 경우에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보온재(4)가 하단부로 쏠리지 아니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감기 예방 이불(1)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실내 활동과 잠자리에서 따뜻하게 지낼 수 있게 되며, 특히, 유아, 아동에게는 체온 유지로 감기에 잘 걸리지 아니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기 예방 이불에 따르면, 겨울철과 환절기에 잠자리에서 이불을 자주 차는 습관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체온 저하로 인한 저항력 약화로 감기에 들지 아니하도록 감기 예방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감기 예방 이불은 의복의 형상으로 옆트임부를 가지므로 활동에 지 장이 없어 평상복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잠자리에서 신체를 압박하지 아니하므로 편안하게 잠들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상,하의가 일체로 형성되는 의복형상이되, 외피와 내피의 사이에는 보온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
  2. 제 1항에 있어서,
    목둘레의 정면부에서 가슴부분까지 갈라져 이중으로 포개지는 목트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목트임부에는 접합이 가능하도록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똑딱단추 또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
  4. 제 1항에 있어서,
    하단부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누빔 처리가 되어 누빔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
  5. 제 1항에 있어서,
    좌,우측의 하단부에는 하체의 움직임이 편하도록 옆트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
  6. 제 1항에 있어서,
    선택에 따라 뒤집어 착용가능하도록 상기 외피와 내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예방 이불.
KR2020070003389U 2007-02-28 2007-02-28 감기 예방 이불 KR200800036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89U KR20080003680U (ko) 2007-02-28 2007-02-28 감기 예방 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389U KR20080003680U (ko) 2007-02-28 2007-02-28 감기 예방 이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80U true KR20080003680U (ko) 2008-09-02

Family

ID=4132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389U KR20080003680U (ko) 2007-02-28 2007-02-28 감기 예방 이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68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718B1 (ko) * 2022-03-31 2022-10-07 최종수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한 기능성 잠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718B1 (ko) * 2022-03-31 2022-10-07 최종수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한 기능성 잠옷
WO2023191370A1 (ko) * 2022-03-31 2023-10-05 최종수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한 기능성 잠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9847B1 (en) Cocoon garment
US6266822B1 (en) Sleepwear and secured blanket-like member
US20130168422A1 (en) Upper-body infant bonding garment
US4811429A (en) Unitary sleepwear
KR101597215B1 (ko) 신생아용 침구
KR101021482B1 (ko) 다기능 이불
JP3110944U (ja) 縫いぐるみ風寝袋
KR20080003680U (ko) 감기 예방 이불
KR101058801B1 (ko) 필로우 탑 매트리스
KR100927257B1 (ko) 배앓이 방지 입는 옷이불
WO2017014339A1 (ko) 신생아용 침구
KR101185692B1 (ko) 일체형 포켓침구세트
KR200413142Y1 (ko) 이불 대용 조끼
JP3138828U (ja) 肩の部分と足下を袋状にした襟付き敷毛布
CN209826083U (zh) 一种可拆卸的儿童防踢组合被子
KR200248496Y1 (ko) 영·유아용 침구
JPH07114743B2 (ja) 寝具用肩口保温装置
KR20090106734A (ko) 기능성 이불
KR200383580Y1 (ko) 이불 기능 잠옷
CN216602353U (zh) 一种抗静电的轻薄蚕丝被
CN216220249U (zh) 一种防寒的儿童睡衣
CN215533374U (zh) 一种冬夏两用被子
JPH077821Y2 (ja) ふとんカバ−
JP3159651U (ja) 防寒着用寝具
KR200185115Y1 (ko) 원피스형 아동이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