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668A - 다이-클램프식 고정 스터드를 갖는 클램핑 고리 - Google Patents

다이-클램프식 고정 스터드를 갖는 클램핑 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668A
KR20090131668A KR1020090054391A KR20090054391A KR20090131668A KR 20090131668 A KR20090131668 A KR 20090131668A KR 1020090054391 A KR1020090054391 A KR 1020090054391A KR 20090054391 A KR20090054391 A KR 20090054391A KR 20090131668 A KR20090131668 A KR 20090131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strip
ear
cavity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810B1 (ko
Inventor
기욤 라꼬예
에릭 메스나르
아르노 쟈끌렝
Original Assignee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09013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04Joints produced by deformation of e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78Circumferentially swagged band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End-to-end integral band end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2Ratchet and tool tightened band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클램핑 고리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스트립(1)으로 만들어지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스터드(10) 및 이어(ear)(12)를 갖는다. 이어는 고리를 고정시키고 조일 목적으로 스터드의 자유단부(10A)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13)를 구비한다. 고리는 조임 공구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표면(14)을 더 가지며, 이 표면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이어(12)의 배후에 그리고 스터드(10)의 배후에 각각 위치된다. 스터드 및 이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맞물림 표면(14)은 공동의 돌기(18) 내에 형성되며, 스트립의 표면에 대하여 상승되어 있으며 스터드 및 맞물림 표면에 대해 공동인 측벽면(20)을 갖는다. 이어(12)는 또한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클램핑 고리, 스트립, 스터드, 이어, 개구, 맞물림 표면, 돌기, 측벽면

Description

다이-클램프식 고정 스터드를 갖는 클램핑 고리{CLAMPING COLLAR HAVING A DIE-STAMPED FASTENING STUD}
본 발명은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스트립으로 만들어진 클램핑 고리에 관한 것이다. 이 고리는, 스트립의 제1 끝부 부근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정 스터드(fastening stud) 및 스트립의 제2 끝부 부근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이어(ear)를 가지며, 이어가 스터드의 풋 부분(foot portion)에 끼워맞쳐져 있는 동안 고리를 고정하고 조일 목적으로 스터드의 자유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구비한다. 또 이 고리는, 조임 공구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표면을 가지며, 이 표면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어의 배후와 스터드의 배후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고리는 미국 특허 US4,713,86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고리에 있어서, 고정 스터드는 제1 이어(ear)의 상단에 형성되는 한편, 스터드가 고정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관통하는 개구는 제2 이어의 상단에 형성된다. 이들 이어 각각은 일반적으로 뒤집힌 L자 형상이며, 이것들은 스트립의 전체 폭에 걸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된 주름(successive fold)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이, 스 트립의 표면으로부터 측정되는 이들 이어의 높이는, 고리 반경의 대략 2/3 이다. 결과적으로, 이들 이어는 매우 잘 휘어져 고리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체 강성을 나타낸다. 더욱이, 반경방향 높이가 높은 이어는, 몇몇 경우, 특히 고리가 회전하는 부품을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고리의 무게중심이 상기 고리가 폐쇄되었을 때 고리의 스트립이 형성하는 원의 기하학적인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문제점을 나타낸다.
EP 0 846 906 호에는 상기된 타입의 또 다른 고리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고정 스터드는 스트립의 전체 폭에 걸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 이중 주름에 의해 형성된다. 이 이중 주름을 보강하기 위해서, 보강 리브가 스터드의 풋(foot) 부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지 못하게,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이 리브는, 플라이어 타입의 클램핑 도구가 스터드의 풋과 맞물리는 것을 방해하는 램프(ramp)를 형성한다. 이어(ear)는 일반적으로 뒤집힌 L자 형상이며, 이것은 스트립의 전체 폭에 걸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주름에 의해 형성된다. 이어는 리브에 의한 L자 형상의 벤드(bend)로 보강된다. (스터드의 풋 부분에서, 그리고 이어의 벤드에서의) 이러한 보강은 몇몇 용도에서는 불충분할 수 있다. 더욱이, 이어 및 고정 스터드는, 상기 고리가 폐쇄되었을 때 고리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반경의 절반 정도의 반경방향 높이를 나타낸다. 이러한 매우 큰 반경방향 높이는 또한 무게중심을 상기된 원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며, 이것은 고리가 회전하는 부품을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나타내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가 극히 높은 고정 스터드를 제공하되, 이러한 강도가 상기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맞물림 표면에 손해를 미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스터드가 낮은 반경방향 높이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스터드와 이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맞물림 표면은, 공동의 돌기 내에 형성되며, 스트립의 표면에 대하여 상승되어 있고 스터드 및 맞물림 표면에 대해 공동인 측벽면(side cheeks)을 가진다는 사실에 의해 성취된다.
스터드가 공동의 돌기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높은 강도를 가진다. 돌기는, 스트립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횡방향 주름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다이-스탬핑 방식에 의해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그 강도는 횡방향 주름에 의해 얻어지는 형상의 강도보다 더 크다. 스터드는 그 강도에 대해서 폭넓게 기여하는 측벽면을 경유하여 맞물림 표면을 가지는 돌기 부분에 부착된다. 더욱이, 스터드는 돌기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작은 반경방향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터드는 절취부(cut)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 자유단부를 가지며, 이 공동의 측벽면은 스트립의 표면과 절취부의 가장자리의 일단과의 사이에서 스터드의 각각의 측면에서 연장된다.
절취부의 가장자리는, 이어의 개구 내에서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 가능성을 제공하며, 이것은 용이하고 극히 신뢰성이 높다.
바람직하게, 고리는 공동의 측벽면의 양쪽에서 스트립의 표면 내에서 연장되는 측면 마진(side margin)을 갖는다.
상기 측면 마진의 존재는 공동의 돌기를 더욱 보강한다. 바람직하게, 측면 마진은 스트립의 전체 폭의 적어도 대략 1/8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전체 폭의 1/7 내지 1/5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스터드는,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하는 맞물림 표면이 형성되는 공동의 돌기 부분의 최대 반경방향 높이와 거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대 반경방향 높이를 가지며, 이 공동의 돌기는 스터드의 배후에서 그리고 상기 스터드 부근에서 후퇴부(setback)를 제공한다.
따라서, 스터드는 공동의 돌기의 반경방향 범위 내에서 위치되며, 스터드 배후에 위치한 후퇴부는 고정 이어 내의 개구의 전방 가장자리가, 그 최대 반경방향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스터드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고정을 야기한다. 스터드는 따라서 매우 작은 반경방향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어는, 개구가 형성되며 이어의 후방부보다 스트립의 표면에 가까운 전방부를 가진다. 더욱이, 이어의 개구는 바람직하게 스트립의 표면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전방 가장자리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이어는 스트립의 표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측벽면이 제공되는 양쪽 측면에서 이어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특징들은 또한 이어가 매우 작은 반경방향 높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예를 들어 다이 스탬핑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 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인하여 상당한 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임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스터드 상에 고정 이어를 고정시킴으로써 얻어지고 상기 고리에 의해 클램핑되는 물체에 대항하여 이어 아래에서조차 고리의 베어링 내에서 연속성을 성취할 수 있으며, 이어가 스터드 상에 고정되지 않았을 때 고리를 폐쇄시키고 그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전-고정 수단(pre-fastening means)이 제공되며, 그리고 사용되는 재료의 양이 제한되는 클램핑 고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고리의 직경의 관점에서 지나치게 긴 길이를 가지는 스트립을 회피하는 것이 문제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트립의 제1 끝부는 스터드의 전방에서 연장되며 사전-고정 돌출 캐치(pre-fastening projecting catch)를 구비하는 탭(tab)을 가지는 한편, 스트립의 제2 끝부는, 이어 아래에서, 상기 돌출 캐치가 고리를 사전-고정시키도록 맞물리는 사전-고정 길이방향 슬롯(pre-fastening longitudinal slot)을 가지며, 이 사전-고정 돌출 캐치는 스트립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탭의 자유단부 내에 형성되는 한편, 사전-고정 슬롯은, 이어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적어도 탭의 상기 자유단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내부 오목부(internal recess)까지 연장된다.
탭은 클램핑되는 물체 상에서의 베어링의 연속성 및 사전-고정 양쪽 모두를 달성하기 위해 작용한다. 사전-고정 돌출 캐치가 상기 탭의 자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상기 탭은 다른 곳에 할애할 필요없이 그 목적을 위해 필요한 길이만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클램핑된 상태에서, 사전-고정 돌출 캐치가 형성되는 탭의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탭의 자유단부에서 베어링 내에서의 불연속성을 회피하기 위해서 내부 오목부에 맞물리게 된다. 정의상으로는, 내부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스트립의 표면 내에 있는 측면을 가져, 탭의 자유단부가 상기 측면들 사이에 끼워맞춰지기 위해서 스트립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사전-고정 돌출 캐치는, 스트립으로부터 절취되어 절첩되는 혀부(tongue)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혀부가 형성되는 절취부(cutout)는 스트립의 중간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다.
사전-고정 돌출 캐치가 스트립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탭의 자유단부 내에서 절취되기 때문에, 스트립의 중간 축선에 대하여 상술한 절취부를 오프셋 시키는 것은 충분한 길이의 혀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일단 절첩되면, 상기 혀부는, 절취부의 가장자리가 탭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지나치게 인접되지 않고, 요구되는 돌출 높이를 가지도록 한다. 사전-고정 슬롯은,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질 수 있는 한편, 상기 오프셋된 사전-고정 돌출 캐치를 수용하여 스트립의 중간 길이방향 축선에 중심이 맞춰진 상태로 남아있도록 한다.
그렇지만, 혀부가 형성되는 절취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사전-고정 슬롯이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오프셋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사전-고정 스트립의 폭은 스트립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이 두께는 사전-고정 돌출 캐치의 두께이므로 상기 슬롯이 고리의 강도를 상당히 제한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핑 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금속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와, 이 스트립의 제1 끝부 부근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정 스터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스트립의 제2 끝부 부근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이어로서, 스터드가 스터드의 풋 부분에 걸쳐 끼워맞춰지는 동안 고리를 고정하고 조일 목적으로 상기 스터드의 자유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가지는 이어를 형성하는 단계와, 조임 공구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표면으로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이어의 배후에 그리고 스터드의 배후에 각각 위치되는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스트립을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고정 스터드가 낮은 반경방향 높이를 가질 수 있는 한편, 강도가 높고, 상기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맞물림 표면이 공구에 의해 맞물리는 맞물림의 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스터드 및 상술한 맞물림 표면은 간단하고, 저렴하고, 신뢰성 높게 형성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스터드와 이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공동의 돌기가 스트립의 표면에 대하여 상승된 측벽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이 공동의 돌기는, 간단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한편, 스터드가 높은 강도를 나타내도록, 스터드와 이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맞물림 표면 양쪽 모두를 가진다. 더욱이, 상술한 측벽면을 제공함으로써, 돌기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간 공동 돌기(intermediate common projection)가 형성된 후, 이 공동 돌기는 상기 공동 돌기의 전방 부분 내에 스터드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 며, 맞물림 표면은 상기 돌기의 후방 부분에 형성되고, 스터드의 배후에는, 후퇴부가 상기 스터드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스터드는 매우 간단하고 극히 단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터드를 형성하기 위해서, 실질적인 횡방향 절취부는 공동의 돌기 내에 만들어져, 이 절취부의 양쪽에 돌기의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를 한정하도록 한다.
그 다음 스터드 측부에 위치되는 절취부의 가장자리는 이어 내에서의 개구의 상응하는 가장자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 표면을 형성하며, 그에 따라 극히 신뢰성 있는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스터드와 이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중간 공동 돌기의 전방부가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중간 공동 돌기의 후방부의 배면 끝부가, 상기 후방 부분 내에서, 스터드에 인접한 후퇴부를 형성하는 동안 상승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동의 돌기는 우선 제1 도구 통로 내에서 매우 낮은 반경방향 높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동시에, 제2 통로 내에서, 공동의 돌기의 전방부와 상기 돌기의 후방부 사이에 후퇴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돌기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절취부가 존재한다면, 이것은 동일한 제2 공구 통로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장점들은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시로서 주어진 실시형태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 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도가 극히 높은 고정 스터드를 제공하되, 이러한 강도가 상기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맞물림 표면에 손해를 미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스터드가 낮은 반경방향 높이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클램핑 고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램핑 고리(clamping collar)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스트립(strip)(1)으로 만들어진다. 이 스트립의 금속은 종래의 타입이며, 이 스트립은, 특히 클램핑 고리를 만들기에 적합한 금속 시트로부터 절취된다. 이 고리가 도 1에 도시된 비-조임(non-tightened) 상태에 있을 때조차도, 이 스트립은 360°보다 큰 범위에 걸쳐서 연장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의 양끝은 중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임 상태에서의 고리의 직경에 따라서, 각도 중첩 범위는 20°(대략 100 밀리미터(mm) 이상의 직경에 대하여) 내지 90°(대략 20mm의 직경에 대하여) 일 수 있다.
고정 스터드(fastening stud)(10)는 스트립의 제1 끝부(first end)(1A) 부근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고정 이어(fastening ear)(12)는 스트립의 제2 끝부(1B) 부근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 통상적으로, 스트립의 끝부에 위치하는 요소에 대하여, "전방" 방향이란 해당 요소로부터 해당 끝부의 자유단부(free end)를 향하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 스터드(10)에 대하여 고려하면, 전방 방향은 화살표 F1에 의해 지시되는 한편, "후방" 방향은 화살표 F2에 의해 지시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이어에 대하여 고려하면, 전방 방향은 화살표 G1에 의해 지시되는 한편, 후방 방향은 화살표 G2에 의해 지시되고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스트립의 표면" 이란 스트립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었을 때 외측 또는 내측으로 변형되지 않는 스트립 구역에 상응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 있어서, 스트립의 표면은 고리에 의해 한정되는 원 C에 의해 표시되며, 이 원은 기하학적인 중심 O를 갖는다.
또한, 통상적으로, "외측" 방향이란 상기 기하학적인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킨다. 따라서, 스트립의 내측면은 중심 O를 향하는 면이고, 외측면은 그로부터 멀리 향하는 면이다.
도 4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12)는, 고리가 조임 상태에 있을 때 스터드(10)가 삽입되는 개구(13)를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에, 스터드의 자유 가장자리(free edge)(10A)는 이 개구의 자유 가장자리(13A)와 협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임 상태에서, 스터드(10)의 전체 머리부(10B)가 상기 개구(13)를 통과하도록,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측정될 때, 개구(13)는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터드의 자유단부(free end portion)가 상기 개구를 지나서 돌출되는 것으로 충분하며, 이 단부에서 상기 스터드의 최대 높이 H는 스트립의 표면에 대하여 측정된다. 도 4에 도시된 조임 상태에 있어서, 이어는 스터드의 풋 부(10C) 상에 끼워맞춰지며, 즉 이어에 대하여 고려될 때, 상 기 풋 부는 이어의 배면 가장자리(back edge)(13B)의 배후에 위치된다.
도 2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는 조임 공구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표면(engagement surfaces)을 가지며, 이 표면은 또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특히, 이 공구가 플라이어 타입의 것이므로, 그 2개의 턱부(jaws)(2A 및 2B)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스터드(10)의 배후에 위치하는 제1 맞물림 표면(14)과 이어(12)의 배후에 위치하는 제2 맞물림 표면(16)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스터드(10) 및 맞물림 표면(14)은 공동의 돌기(common projection)(18) 내에 형성되어 있다. 스터드 및 맞물림 표면은, 스트립의 표면에 대하여 상승되어 있으며 스터드 및 맞물림 표면에 대해 공동인 측벽면(side cheeks)(20)을 갖는다. 각각의 측벽면은 공동의 돌기(18)의 2개의 길이방향 측면 중 각각에 걸쳐 연장된다. 도 2에 있어서, 측벽면(20)은 스트립의 표면 C와 스터드의 고정 가장자리(10A)를 형성하는 절취부(cut)의 가장자리의 일단(10'A)과의 사이에서 스터드의 각각의 측면에 걸쳐 연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측벽면은 예컨대 상기 최대 높이의 1/3 정도의 스터드의 최대 높이 H의 적어도 실질적으로 1/4 정도인 높이 h에 걸쳐 연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고리의 측면도이므로 측벽면들 중 단지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의 돌기는 스트립의 길이방향 중간 축선 A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이기 때문에 또 다른 측면의 형상은 유사하며, 여기에서 이어(12)는 또한 상기 축선 A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절취부(10A)의 가장자리는 위에서 관찰하였을 때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이어 내에 있어서의 개구(13)의 가장자리(13A) 상의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에 있어서, 고리는 공동의 측벽면(20)의 양쪽 측면 상에서 연장되는 측면 마진(side margins)(22)을 가진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도 2를 관찰함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마진(22)은 스트립의 표면 C 내에서 연장된다. 각각의 측면 마진(22)의 폭 l은, 측정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실질적으로 스트립의 폭 L의 1/7 이상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의 돌기(18)의 중심 구역에 있어서, 스트립의 폭은 국부적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돌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재료가 변형되더라도, 스트립의 두께 e보다 크게 작지는 않은 두께를 갖는다. 이것은 공동의 돌기(18)의 중심 구역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데, 여기에서 스터드(10)는 돌기의 배면부와 만나며, 이것은 높은 강도를 얻기 위해서 특히 중요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10)는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공구 맞물림 표면(14)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공동의 돌기(18) 부분 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드(10)의 폭 LE는 맞물림 표면(14)의 폭 LP의 2/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것은 매우 넓은 맞물림 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조임 공구를 위한 충분한 맞물림 영역을 제공하는 한편, 보다 작은 폭의 고정 스터드(10)를 또한 형성하여, 스터드가 이어(12)의 아래에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하며, 스터드 그 자체는 스트립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지 않는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맞물림 표면(14 및 16)은 접시 형상(dish shapes)이며, 그에 따라 플라이어 타입의 조임 공구의 맞물림이 용이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10)의 최대 반경방향 높이 H는 맞물림 표면(14)이 형성되어 있는 공동의 돌기(18)의 최대 반경방향 높이 H'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높이들 H 및 H'은, 스트립이 대략 0.6mm 내지 0.8mm의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고리의 경우에, 대략 2mm 내지 5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2.5mm 내지 3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라는 표현은 H가 H' 내지 1.3 × H'의 범위 내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 × H' 내지 1.2 × H'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 있어서, 공동의 돌기는 스터드 배후에 그리고 그에 인접하여 후퇴부(setback)(24)를 구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후퇴부(24)의 바닥은 스터드의 자유 가장자리(10A)와 일치하여 반경방향으로 시작된다. 이 시작점으로부터, 후퇴부는 높이 H'까지 후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승한다. 따라서, 후퇴부는, 스터드의 바로 뒤에서, 이어(12) 내에 형성되는 개구(13)의 가장자리(10B)가 스터드(10)의 가장자리(10A) 아래에 위치되기 위해 필요한 간극을 제공한다. 공동의 돌기(18)가 약화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재료는 후퇴부(24) 내에 남아 있으며, 여기에서 절취부(cut)는 스터드(10)의 가장자리(10A)를 형성하도록 하는, 공동의 돌기 내의 절개부(incision)일 뿐이다.
또한 이어(12)는 개구(1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인 전방부(12A)를 가지며, 이 전방부는 이어의 후방부(12B)보다 스트립의 표면 C에 가까이 위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맞물림 표면(14 및 16)이, 돌기(18) 및 이어(12)의 양쪽 모 두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상술한 높이 H'과 동일한, 충분한 높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부(12)는, 돌기(18)의 후방부처럼, 스트립의 표면에 대하여 충분하게 상승된다. 그렇지만, 전방부(12A)에 있어서, 최소 반경방향 높이 상에서 고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어는 스트립의 표면에 보다 가까워지도록 테이퍼진다. 스트립의 제2 끝부(1B)의 자유단부(1'B)는, 후퇴부(24)의 경사에 합치하도록 그리고 그것에 대하여 끼워맞춰지도록, 약간 상승하는 중심부(26)를 갖는다. 이 상승하는 중심부(26)의 폭은 스터드(10)의 폭 LE 보다 약간 크고 후퇴부(24)의 외측면의 폭에 상응하여, 고정시 이어가 스터드 상에 끼워맞춰질 때, 상기 스터드 상에서 나아가서는 상기 후퇴부 상에서 스스로 중심이 맞춰진다.
이어의 전방부(12A)는 개구(13)의 전방 가장자리(13A)가 스트립의 표면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그러한 범위까지 이 평면에 보다 가까워진다.
스터드(10)의 머리부(head)(10B)는 실질적으로 편평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외측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스터드의 풋 부(10C)와 그 머리부(10B) 사이의 경계에는 단련 구역(work-hardened zone)이 존재하며, 이 단련 구역은 스터드의 강도에 기여한다.
스트립의 제1 끝부(1A)는 스터드의 전방에서 연장되는 탭(tab)(28)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탭(28)은 스터드(10)와 스트립의 자유단부(1'A)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탭은 고리를 사전-고정(pre-fasten)하기 위해서 작용하는 돌출 캐치(projecting catch)(30)를 갖는다. 이어의 배후에서, 스트립(1)의 제2 끝부(1B)는 돌출 캐치(30)가 고리를 사전-고정하기 위해서 삽입되는 사전-고정 길이 방향 슬롯(32)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출 캐치(30)는 탭(28)의 자유단부(28A) 내에 형성되며, 그 자유단부의 폭 LS는 스트립의 통상의 폭 LB 보다 작다. 상기 통상의 폭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폭이 돌기의 존재에 의해 감소되지 않은 구역에 있어서의 스트립의 폭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고정 슬롯(32)은, 이어(12)로부터 시작하여 적어도 내부 오목부(34)까지 연장된다. 이 오목부는, 고리의 내측면 상에 존재하여, 기하학적인 중심 O를 향하는 한편, 그 윤곽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의 외측면 상에서 돌출부를 형성한다. 내부 오목부(34)의 폭 L34는, 고리가 조임 상태에 있을 때, 탭의 자유단부(28A)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내부 오목부(34)의 깊이는, 반경방향으로 측정될 때, 스트립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탭의 자유단부(28A)가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될 때, 탭의 내측면과 오목부(34)의 마진(35)의 내측면이 공동의 원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리에 의해 클램핑되는 물체 상에서의 접촉면(bearing)에 연속성이 존재한다.
돌출 캐치(30)가 상기 자유단부(28)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스트립의 자유단부(1'A)의 바로 근처에 있어서, 돌출 캐치(30)를 많이 지나치도록 탭을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 스트립의 길이는 여분(spare) 없이 산정될 수 있다. 사전-고정 돌출 캐치(30)는 스트립으로부터 절취되는 혀부(tongue)에 의해 형성된다(상응하는 절취부(cutout)(36)의 내측면은 도 1에 도시되어 있음). 혀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첩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30A)(도 1 참조)를 경유하여 스트립에 부착 유지된다. 더욱이, 슬롯(32)의 폭 LF가 스트립의 두께, 즉 돌출 캐치(30)의 풋 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혀부로 형성되는 상기 돌출 캐치의 자유단부(30B)는 돌출 캐치(30)가 슬롯의 밖에서 내측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첩된다. 돌출 캐치(30)를 형성하는 혀부가 형성된 절취부(36)의 전체 폭 LD는 스트립 두께의 대략 3배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출 캐치(30)가 형성된 혀부의 길이는 상기 혀부가 슬롯(32)을 통과할 수 있기에 충분하며 돌출 캐치(30)를 형성하도록 그 자유단부(30B)를 절첩하기에 충분하다.
상술한 혀부가 형성된 절취부(36)는 스트립의 중심 길이방향 축선 A에 대하여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혀부가 스트립에 부착되는 상기 절취부의 가장자리(30A)는 상기 축선 A 상에 놓이지 않고, 해당 축선으로부터 일정거리 D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따라서 돌출 캐치(30)의 풋 부는 스트립의 중간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따라서, 비록 폭 LS가 스트립의 통상의 폭 LB에 대하여 감소되어 있는 탭의 자유단부(28A) 내에 절취부(36)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절취부는 스트립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지나치게 근접되지 않는다. 절취부(36)의 길이방향 가장자리(30A 및 36A)는 자유단부(28A) 내에서 스트립의 각각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된다. 이 거리는 대략 스트립의 통상의 폭 LB의 1/4 내지 상기 통상의 폭의 1/3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절취부(36)가 존재하더라도 상기 절취부가 형성된 구역 내에서 스트립의 강도는 약화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2)은 스트립의 중간 길이방향 축선 A 상에 서 중심이 맞춰지지 않는다. 슬롯(32)의 양쪽에서 측정된 스트립의 폭 LF1 및 LF2는 서로 동일하지 않다. 이들 2개의 폭 사이의 차이는 절취부(36)의 가장자리(30A)가 오프셋되어 있는 상술한 거리 D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조여지기 전일지라도 폐쇄 상태로 고리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사전-고정은, 지나치게 넓은 그리고 스트립의 강도를 국부적으로 약화시키는 폭을 회피하도록, 여분 없이 스트립의 길이를 산정함으로써 그리고 최적의 방식으로 슬롯(32)의 길이 LF를 결정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더욱이, 공동의 돌기(18)와 이어(12) 사이에서, 그리고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의 돌기(18)와 내부 오목부(34) 사이에서, 스트립은, 상(phase)이 반대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횡방향 파동형상부(transverse undulations)(42, 44)의 양측 사이의 중심 슬롯(40)을 가진다. 이들 파동형상부는 스트립의 표면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파동(waves)을 형성한다. 파동형상부(42)의 산부(crests)는 파동형상부(44)의 골부(troughs)에 상응한다. 파동형상부는, 특히 온도 변화의 영향 하에서, 조임력(tightening force)이 고리에 의해 클램핑된 물체의 팽창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일단 조여졌을 때, 신축성 즉 고리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용량을 제공한다. 상이 반대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이러한 구성은 파동형상부 아래에서 접촉면의 불연속성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많은 개수의 파동형상부(5 내지 10의 범위)를 선택함으로써, 늘어날 수 있는 정도를 크게 할 수 있는 한편, 파동형상부가 예를 들어 상술한 높이 H 및 H'과 동일한 크기 정도, 즉 스트립이 0.6mm 내지 0.8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고리에 대하여, 2mm 내지 5mm의 범위, 바 람직하게는 2mm 내지 3mm 범위의 작은 반경방향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12)는, 측부 마진(12')이 제공된 양측에서, 실질적으로 고리의 평면 내에 위치하는 이어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은 이어의 강성을 보강한다. 자연적으로, 내측면 상에서 측정될 때, 이어의 폭은, 상기 내측면이 돌출부(10)의 풋 부 상에서 끼워맞춰질 수 있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금속 스트립(1)이 제공되며, 고정 스터드(10) 및 이어(12)는 이것들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어는 개구(13)를 구비하며, 맞물림 표면(14 및 16)이 형성되며, 스트립은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단계의 일부는 스트립이 편평한 상태일 때 수행될 수 있으며, 아니면 스트립은 성형 단계 동안에 루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트립이 편평한 상태일 때 돌출부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동의 돌기(18)의 양측 및 이어(12)의 양측에 제공되는 길이방향 마진들은 둥그런 표면으로서 기능하여, 스트립이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스터드(10) 및 이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하는 맞물림 표면(14)을 형성하는 동안에, 공동의 돌기(18)는 스트립의 표면에 대하여 상승되어 있는 측벽면(20)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6a 및 도 6b에는, 스터드(10) 및 맞물림 표면(14)과 함께, 공동의 돌기(18)를 형성하는 2개의 연속하는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중간 공동 돌기(intermediate common projection)(18')는, 공동의 돌기의 최종 높이 H'보다 작은 높이 h'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중간 공동 돌기(18')의 전방부는 스터드(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승되고, 상기 중간 공동 돌기의 후방부는 맞물림 표면(14)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승되는 한편, 스터드(10)와 맞물림 표면(14) 사이에는 후퇴부(24)가 또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후퇴부(24)의 베이스의 높이(여기에서 이 높이는 공동의 측벽면(20)의 높이 h임)는, 중간 공동 돌기의 높이 h'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공동의 돌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중간 공동 돌기(18')의 전방부를 상승시키는 한편, 스터드의 고정 가장자리(10A)를 제공하도록 작용하는 절취부를 형성하며, 중간 공동 돌기(18')의 후방부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그에 따라 후퇴부(24)를 형성한다. 고정 가장자리(10A)를 형성하는 절취부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공동의 돌기(18)의 전방부(19A) 및 후방부(19B)는 상기 절취부의 양측면 상에서 한정된다. 공동의 돌기(18')는 스트립이 편평한 동안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18)를 형성하기 위한 이어지는 단계들은 스트립이 편평한 동안에 수행될 수 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단 스트립이 이미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서 수행될 수 있다.
사전-고정 돌출 캐치(30)를 형성하기 위해서, 절취부(36)가 형성되며, 그 결과물인 혀부는 스트립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절첩된다. 그 다음 스트립은 상기 절첩된 혀부가 슬롯을 통과하도록 둥글게 말리고, 그후 혀부의 자유단부는 스트립이 둥글게 말린 후에 절첩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28)은 길이방향 보강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브는 스트립의 중간 길이방향 축선 A에 정렬되는 중심 리브(46), 그리고 2개의 측면 리브(48)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예 에 있어서, 이들 리브는 스트립의 내측면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것들은 또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립의 자유단부(1'A)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중심 리브(46)의 후방 끝부(46A)는 고정 스터드(10)의 풋 부(10C)에 대하여 약간 중첩된다. 상기 풋 부의 베이스에서, 이것은 상당한 보강을 가능하게 하며 스터드(10)의 강도를 보강한다. 마찬가지로, 리브(48)는, 후방 쪽으로, 즉 자유단부(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공동의 돌기(18)의 측벽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후방 끝부(48A)는, 스터드의 자유 가장자리(10A)를 형성하는 절취부가 측벽면(20)에 부착되는 구역을 약간 넘어서 위치된다. 이것은 상기 측벽면의 강도를 보강하며, 해당 절취부의 측부 상에서 찢어짐이 발생할 우려를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고리는 클램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곳에서, 고리의 반경방향 크기를 컴팩트하게 하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그리고 간단하게 어떠한 용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고리는,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실 내에서, 파이프를 일체로 클램핑하기 위해, 예컨대 조향축의 벨로우즈(bellows)와 같은 주름관을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리는 전동장치의 벨로우즈와 같은 회전 부품을 클램핑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 고리의 무게중심은, 이 고리가 형성하는 원의 기하학적 중심에 매우 가깝게 유지되며, 이 고리는 고정에 의해 매우 신뢰성 높은 조임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비-조임 사전-고정된 상태의, 본 발명의 클램핑 고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를 따라 관찰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 III을 따라 위에서 관찰한 평면도,
도 4는 조임 상태의 클램핑 고리를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화살표 V를 따라 아래에서 관찰한 사시도, 그리고
도 6a 및 6b는 공동의 돌기 형성시 2개의 연속된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9)

  1.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스트립(1)으로 만들어진 클램핑 고리로서, 상기 고리는 스트립의 제1 끝부(1A) 부근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정 스터드(10) 및 스트립의 제2 끝부(1B) 부근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이어(ear)(12)를 가지며, 상기 고리는 상기 이어가 스터드의 풋 부(foot)(10C) 상에서 끼워맞춰져 있는 동안 상기 고리를 고정시키고 조이기 위해서 스터드의 자유단부(10A)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13)를 구비하며, 상기 고리는 조임 공구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표면(16, 14)을 더 가지며, 이 표면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어(12)의 배후 및 스터드(10)의 배후에 각각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 고리는, 상기 스터드(10) 및 상기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맞물림 표면(14)이 공동의 돌기(18) 내에 형성되며, 스트립의 표면에 대하여 상승되어 있고 스터드 및 맞물림 표면에 대해 공동인 측벽면(side cheeks)(2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는 절취부(cut)의 가장자리(10A)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 자유단부를 가지며, 상기 공동의 측벽면(20)은 상기 스트립(1)의 표면(C)과 상기 절취부의 가장자리의 일단(10'A)과의 사이에서 상기 스터드의 각각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위에서 볼 때, 상기 절취부의 가장자리(10A)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측벽면(20)의 양쪽에서 상기 스트립의 표면 내에서 연장되는 측면 마진(side margins)(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는 상기 스터드(10)의 배후에 위치하는 공구 맞물림 표면(14)보다 좁은 공동의 돌기(18) 부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표면(14, 16)은 접시 형상(dish shape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는 상기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상기 맞물림 표면(14)이 형성되는 상기 공동의 돌기(18) 부분의 최대 반경방향 높이(H')와 동일한 최대 반경방향 높이(H)를 가지는 것과, 상기 공동의 돌기는 상기 스터드의 배후에서 그리고 상기 스터드에 인접하여 후퇴부(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12)는 상기 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이어의 후방부(12B)보다 스트립의 표면(C)에 가까운 전방부(12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어(12)의 개구(13)는 상기 스트립의 표면 내에 위치되는 전방 가장자리(13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는 상기 스트립의 표면(C)에 평행한 외측표면을 가지는 머리부(head)(10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1)의 제1 끝부(1A)는 상기 스터드(10)의 전방에서 연장되며 사전-고정 돌출 캐치(pre-fastening projecting catch)(30)를 구비하는 탭(tab)(28) 을 가지는 한편, 상기 스트립(1)의 제2 끝부(1B)는, 상기 이어 아래에서, 상기 돌출 캐치(30)가 상기 클램핑 고리를 사전-고정시키도록 맞물리는 사전-고정 길이방향 슬롯(pre-fastening longitudinal slot)(32)을 가지는 것과, 상기 사전-고정 돌출 캐치(30)는 상기 스트립의 폭보다 작은 폭(LS)을 가지는 상기 탭(28)의 자유단부(28A) 내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사전-고정 슬롯(32)은, 상기 이어(12)로부터, 적어도 상기 탭(28)의 상기 자유단부(28A)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내부 오목부(internal recess)(34)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전-고정 돌출 캐치(30)는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절취되어 절첩되는 혀부(tongue)에 의해 형성되는 것과, 상기 혀부가 형성되는 절취부(cutout)(36)는 상기 스트립의 중간 길이방향 축선(A)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전-고정 슬롯(32)은, 상기 혀부가 형성되는 상기 절취부(36)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돌기(18)와 상기 이어(12) 사이에서, 상기 스트립은 중심 길이방향 슬롯(40)을 가지며, 그 양쪽에는 상(phase)이 반대로 형성된 횡방향 파동형상부(transverse undulations)(42, 4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12)는, 측부 마진(12')이 제공된 양측에서, 상기 스트립의 표면(C) 내에 위치하는 이어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고리.
  16. 클램핑 고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금속 스트립(1)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립(1)의 제1 끝부(1A) 부근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정 스터드(1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립의 제2 끝부(1B) 부근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이어(12)로서, 상기 스터드가 상기 스터드의 풋 부(10C) 상에서 끼워맞춰지는 동안 상기 스터드의 자유단부(10A)가 상기 고리를 고정시키고 조이기 위하여 삽입될 수 있는 개구(13)를 가지는 상기 이어를 형성하는 단계와, 조임 공구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표면(14, 16)으로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이어의 배후에 그리고 상기 스터드의 배후에 각각 위치되는 상기 맞물림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립을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스터드(10) 및 상기 스터드의 배후에 위치되는 맞물림 표면(14)을 형성하기 위해서, 공동의 돌기(18)가 상기 스트립의 표면에 대하여 상승된 측벽면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중간 공동 돌기(intermediate common projection)(18')가 형성된 후, 상기 공동의 돌기(18)는 상기 공동의 돌기의 전방부분 내에 상기 스터드(10)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맞물림 표면(14)은 상기 돌기의 후방부분 내에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의 배후에는, 후퇴부(24)가 상기 스터드(1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를 형성하기 위해서, 횡방향 절취부가 상기 공동의 돌기 내에 만들어져, 상기 절취부의 양쪽에 상기 돌기의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19A, 19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 및 상기 스터드(10)의 배후에 위치되는 상기 맞물림 표면(14)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 공동 돌기(18')의 전방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중간 공동 돌기(18')의 후방부의 배면 끝부를, 상기 후방부 내에서, 상기 스터 드(10)에 인접한 후퇴부(24)를 형성하는 동안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054391A 2008-06-18 2009-06-18 다이-스탬프식 고정 스터드를 갖는 클램핑 고리 KR101586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4007 2008-06-18
FR0854007A FR2932856B1 (fr) 2008-06-18 2008-06-18 Collier de serrage a ergot d'accrochage embout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668A true KR20090131668A (ko) 2009-12-29
KR101586810B1 KR101586810B1 (ko) 2016-01-19

Family

ID=4028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391A KR101586810B1 (ko) 2008-06-18 2009-06-18 다이-스탬프식 고정 스터드를 갖는 클램핑 고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43492B2 (ko)
EP (1) EP2136120B1 (ko)
KR (1) KR101586810B1 (ko)
CN (1) CN101608650B (ko)
AT (1) ATE494507T1 (ko)
BR (1) BRPI0903933B1 (ko)
DE (1) DE602009000523D1 (ko)
FR (1) FR2932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7167B1 (fr) 2014-01-31 2016-08-26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a reserve de capacite dissymetrique
CN104070143A (zh) * 2014-06-30 2014-10-01 铜陵市青铜时代雕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铸造模壳紧固柔性固定带
US11692654B2 (en) * 2016-03-30 2023-07-04 Nelson Global Products, Inc. Corrugated band clamp
DE102016112531A1 (de) * 2016-07-07 2018-01-11 Norma Germany Gmbh Schlauchschelle
EP3275811A1 (en) * 2016-07-28 2018-01-31 CNH Industrial France S.A.S. System for associating two elements by their adjacent flexible walls
WO2018082763A1 (de) * 2016-11-02 2018-05-11 Oetiker Schweiz Ag Spannschelle
CN107035966A (zh) * 2017-05-22 2017-08-11 上海宇航系统工程研究所 一种运载火箭用高压气瓶固定装置
CA184820S (en) * 2018-07-04 2019-12-13 Adey Holdings 2008 Ltd Part of a filter for a central heating system
EP3617574B1 (de) * 2018-08-30 2021-12-01 Andreas Stihl AG & Co. KG Klemme und arbeitsgerät mit einer klemme
FR3101127B1 (fr) * 2019-09-23 2021-10-01 Caillau Collier de serrage
CN111891557B (zh) * 2020-09-17 2022-06-24 佛山市顺德区宇脉电子有限公司 一种弹性自张紧不锈钢扎带
DE102022114750B4 (de) 2022-06-10 2024-02-15 Oetiker Schweiz Ag Klemme mit Zunge mit nicht flachem Querprofil
DE102022114751A1 (de) * 2022-06-10 2023-12-21 Oetiker Schweiz Ag Bandschelle mit einer eine Führungsnut aufweisenden Zungenausnehmung
DE102022114748A1 (de) 2022-06-10 2023-12-21 Oetiker Schweiz Ag Spannschelle mit verstärkten Verschlusshak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483B2 (ja) * 1986-02-25 1996-03-27 エタブリスマン カヨ 帯状締環
JPH08232919A (ja) * 1995-02-24 1996-09-10 Mihama Seisakusho:Kk 締付けバンド
KR0145309B1 (ko) * 1988-05-25 1998-08-17 레미 베르네드, 제랑 클램프
JPH11344158A (ja) * 1998-04-23 1999-12-14 Rasmussen Gmbh 細長い対象物を締付けるための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3863A (en) * 1987-01-20 1987-12-22 Triad Metal Products Company Reuseable clamp with an outwardly projecting ear on each opposing end and having a hook shaped projection on one ear adapted for interlocking coaction with an opening in the other ear
FR2617266B1 (fr) * 1987-06-23 1989-12-22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DE3930716C1 (ko) * 1989-09-14 1991-04-18 Rasmussen Gmbh, 6457 Maintal, De
US4987652A (en) * 1990-02-09 1991-01-29 Spaulding George E Spring clamp
FR2708708B1 (fr) * 1993-07-30 1995-10-27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US5390395A (en) * 1993-12-09 1995-02-21 Hans Oetiker Ag Maschioen- Und Apparatefabrik Earless, stepless clamp structure
FR2729733B1 (fr) * 1995-01-25 1997-04-25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DE19539440C1 (de) * 1995-10-24 1997-04-03 Rasmussen Gmbh Federbandschelle
DE19650674A1 (de) * 1996-12-06 1998-06-18 Rasmussen Gmbh Einteilige Flachbandschelle
DE19750010C1 (de) * 1997-11-12 1999-05-12 Rasmussen Gmbh Schelle
JP3280341B2 (ja) * 1999-04-15 2002-05-1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スクリップ
JP4403728B2 (ja) * 2003-06-11 2010-01-27 日本発條株式会社 ブーツバンド
FR2950402B1 (fr) * 2009-09-24 2011-10-21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483B2 (ja) * 1986-02-25 1996-03-27 エタブリスマン カヨ 帯状締環
KR0145309B1 (ko) * 1988-05-25 1998-08-17 레미 베르네드, 제랑 클램프
JPH08232919A (ja) * 1995-02-24 1996-09-10 Mihama Seisakusho:Kk 締付けバンド
JPH11344158A (ja) * 1998-04-23 1999-12-14 Rasmussen Gmbh 細長い対象物を締付けるための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6120A1 (fr) 2009-12-23
CN101608650B (zh) 2013-11-06
FR2932856A1 (fr) 2009-12-25
US20090313792A1 (en) 2009-12-24
EP2136120B1 (fr) 2011-01-05
FR2932856B1 (fr) 2010-08-13
ATE494507T1 (de) 2011-01-15
DE602009000523D1 (de) 2011-02-17
BRPI0903933B1 (pt) 2020-02-18
US8443492B2 (en) 2013-05-21
CN101608650A (zh) 2009-12-23
BRPI0903933A2 (pt) 2010-07-20
KR101586810B1 (ko)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31668A (ko) 다이-클램프식 고정 스터드를 갖는 클램핑 고리
US7793998B2 (en) Bumper fixture, and bumper mounting structure
JPH0642512A (ja) 開放型クランプ構造体のための機械的連結手段
JPS62237195A (ja) 金属帯クランプ
JP2017083008A (ja) スペーサを有するクランプカラー
JPH07198079A (ja) 耳無しおよび段無しクランプ構造体
JP2013534995A (ja) 締付固定具
JP6536154B2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JP2004534924A (ja) 締着用カラー
MXPA04011157A (es) Abrazadera abierta de manguera con oreja plasticamente deformable y metodo para elaborar la misma.
JP2004501327A (ja) 段無し内側クランプ面を有するホースクランプおよびこのホースクランプの製造方法
WO2000070260A1 (fr) Courroie pour chaussure
JPH0663524B2 (ja) 締付けバンド
WO2009071820A2 (fr) Attache élastique pour la fixation de deux pièces l'une sur l'autre
EP0972158B1 (en) Method of producing an anti-dazzle screen for an electric light fitting and an anti-dazzle screen produced according to said method
KR200489946Y1 (ko) 비대칭 예비용량부를 갖춘 클램핑 칼라
JP3252614B2 (ja) スプラッシュガード取付構造
JP2005291367A (ja) ブーツリング
JP4562952B2 (ja) 車体外装品の固定構造
JP2004225847A (ja) クランプバンド
JP6504038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およびテザークリップ
JP5617720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バンドクリップ
JP3808594B2 (ja) パイプ
CN112539307A (zh) 夹紧套环
JP5392008B2 (ja) 締付け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