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665A -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665A
KR20090131665A KR1020090054312A KR20090054312A KR20090131665A KR 20090131665 A KR20090131665 A KR 20090131665A KR 1020090054312 A KR1020090054312 A KR 1020090054312A KR 20090054312 A KR20090054312 A KR 20090054312A KR 20090131665 A KR20090131665 A KR 20090131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ody
cylinder body
movement
piston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šœ스케 오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13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16F9/368Sealings in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15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astics, elastomeric or porous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24Detecting or preventing malfunction, e.g. fail saf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피스톤체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대해서 항상 일정 이상의 제동력을 부여시키도록 하면서, 이 제동력을 소정의 크기 미만으로 제한한다.
(해결수단) 실린더체(1) 및 피스톤체(2)를 구비하고, 적어도 이들 중 어느 일측을 제동 대상물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이다. 피스톤체(2)에는 실린더체(1)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20)이 구비되어 있다. 피스톤체(2)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2)와 실린더체(1)의 내측부(14) 사이의 내부공간(12)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었을 때에 실링(20)의 일부에 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기 내부공간(12)과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통로(24)를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댐퍼장치{DAMPER DEVICE}
본 발명은, 실린더체 및 피스톤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이들 중 어느 일측을 제동 대상물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과 실린더를 구비하고, 페달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에 수반해서 왕동(往動)되는 피스톤에 의해 상기 페달의 복귀 속도를 제한함과 아울러, 피스톤의 왕동종료위치측에 있어서 이 왕동종료위치로 향할수록 실린더의 내경이 점차 커지는 테이퍼면을 형성해서, 피스톤이 왕동종료위치에 가까워질수록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기밀성을 저하시켜서, 페달에 대한 제동력을 서서히 저하시키도록 한 댐퍼장치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한 댐퍼장치에 의하면, 피스톤의 이동속도가 비교적 빠르고 그 왕동종료위치에 있어서의 실린더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압력차가 지나치게 커졌을 경우에, 상기 페달과 같은 제동 대상물에 대해서 과도하게 제동력을 작용시키거나 또, 상기 한 제동 대상물이 동작 전의 위치를 향해 돌아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댐퍼장치에 있어서는, 피스톤의 왕동종료위치측에서는 피스톤의 이동속도의 여하에 관계없이 항상 제동력의 저하를 발생시킨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7-165034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댐퍼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체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대해서 항상 일정 이상의 제동력을 부여시키도록 하면서, 이 제동력을 소정의 크기 미만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관점에서 댐퍼장치를 이하의 〈1〉 ~ 〈3〉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1〉 실린더체 및 피스톤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이들 중 어느 일측을 제동 대상물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에 있어서,
〈2〉 피스톤체에는 실린더체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이 구비되어 있고,
〈3〉 피스톤체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와 실린더체의 내측부 사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었을 때에 실링의 일부에 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통로를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2 관점에서 댐퍼장치를 이하의 〈1〉 ~ 〈4〉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1〉 실린더체 및 피스톤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이들 중 어느 일측을 제동 대상물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에 있어서,
〈2〉 피스톤체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와 실린더체의 내측부 사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가 될 때까지는 이 압력차에 따른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3〉 피스톤체에는 실린더체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이 구비되어 있고,
〈4〉 피스톤체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와 실린더체의 내측부 사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었을 때에 실링의 일부에 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통로를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댐퍼장치에 있어서는,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이 일정한 속도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이것에 수반해서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피스톤체의 상기 이동에 대한 제동력이 지나치게 과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통로를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해서 상 기 압력차를 소정의 크기 미만으로 감소시키고 상기한 제동력이 소망하는 크기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동 대상물이 이동의 도중에서 정지되거나, 또는 왕동조작을 멈춘 순간 복동(復動)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댐퍼장치에 있어서는, 피스톤체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대해서 항상 일정 이상의 제동력을 부여시키도록 하면서, 이 제동력을 소정의 크기 미만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하, 도 1 ~ 도 11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해서 구성된 댐퍼장치를 측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단면으로 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그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댐퍼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일부를 분리시킨 상태로 해서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피스톤체(2)가 압입되었을 때, 즉 전진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3은 피스톤체(2)이 후퇴했을 때의 모습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은 실링(20)을 제거한 피스톤체(2)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8은 실린더체(1)의 내측부에서 피스톤체(2)가 이격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9는 상기한 이격 이동시에 실린더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피스톤체(2)가 복동 동작할 때의 모습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은 도 1 ~ 도 10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피스톤체(2)의 구성을 변경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장치는 실린더체(1) 및 피스톤체(2)를 구비하고, 적어도 이들 중 어느 일측을 도시하지 않은 제동 대상물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을 부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피스톤체(2)를 가동체로서의 제동 대상물에 부착시키고, 실린더체(1)를 도시하지 않은 고정체에 부착시키면, 제동 대상물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2)를 이동시키도록 해서 이 피스톤체(2)를 통해 제동 대상물의 상기 이동에 제동을 부여시킬 수 있다.
또, 피스톤체(2)를 가동체로서의 제동 대상물에 부착시키고, 또한, 실린더체(1)를 다른 가동체로서의 제동 대상물에 부착시키면, 2개의 제동 대상물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혹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체(1)와 피스톤체(2)의 쌍방을 이동시키도록 하고, 2개의 제동 대상물의 상기 이동에 각각 제동을 부여시킬 수 있다.
도 1 ~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실린더체(1)의 내측부(14)에서 피스톤체(2)가 이격 이동할 경우에 발생하는 실린더체(1)의 내부공간(12)(상기 내측부(14)와 피스톤체(2)의 사이의 공간)과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피스톤체(2)의 이격 이동에 제동을 부여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이격 이동은 후술하는 통기구 멍(14a)을 이용한 내부공간(12)으로의 흡기에 의해 허용된다.
상기 도 1 ~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피스톤체(2)의 복동 동작, 즉 실린더체(1)의 내측부(14)에 피스톤체(2)가 근접할 때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링(20)이 피스톤체(2)의 1쌍의 플랜지(23, 23) 사이에서 이동해서, 배기로(26)가 개방되어 상기 복동 동작이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때에는 상기 복동을 발생시키는 제동 대상물의 이동에 제동을 부여하지 않게 되어 있다(도 10).
또, 상기 도 1 ~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후술하는 상기 통기구멍(14a)에 축부(4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킨 마개형상체(4)에 의해서, 피스톤체(2)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실린더체(1)의 내부공간(12)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가 될 때까지는 상기 압력차에 따른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있다. 즉 제동 대상물의 이동속도가 빨라질수록, 피스톤체(2)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이 빨라지고 내부공간(12)의 체적변화에 의한 상기 압력차가 커지므로, 상기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가 될 때까지는, 상기 압력차가 커질수록 상기 통기구멍(14a)에 대한 마개형상체(4)의 축부(40)의 삽입치수를 크게 해서 상기 통기구멍(14a)에서의 흡기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피스톤체(2)의 이격 이동에 대한 저항력, 즉, 상기 제동력이 보다 커지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 ~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속도가 빨라질수록 기본 제동력을 넘는 보다 큰 제동력을 상기 제동 대상물에 작용시키는 소위 속도응답형의 댐퍼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예에서는, 실린더체(1)의 내측부(14)에 피스톤체(2)가 근접 이동할 경우에 발생하는 실린더체(1)의 내부공간(12)(상기 내측부(14)와 피스톤체(2)의 사이의 공간)과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피스톤체(2)의 근접 이동에 제동을 부여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근접 이동은 도시하지 않은 통기부를 통한 내부공간(12)에서 외부로의 배기에 의해 허용된다. 이 도 11에 나타낸 예에서는 피스톤체(2)의 복동 동작, 즉, 실린더체(1)의 내측부(14)에서 피스톤체(2)가 이격할 때에는, 실링(20)이 피스톤체(2)의 1쌍의 플랜지(23, 23) 사이에서 이동해서, 후술하는 흡기로(27)가 개방되어 상기 복동 동작이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이루어지게 되어 있고, 이때에는 상기 복동을 발생시키는 제동 대상물의 이동에 제동을 부여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장치는 모두, 피스톤체(2)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2)와 실린더체(1)의 내측부(14) 사이의 내부공간(12)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었을 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링(20)의 일부에 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기 내부공간(12)과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통로(24)를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댐퍼장치에서는,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이것에 수반해서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피스톤체(2)의 상기 이동에 대한 제동력이 지나치게 과대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통로(24)의 개방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2)과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해서, 상기 압력차를 소정의 크기 미만으로 감소시켜서 상기한 제동력이 소망하는 크기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동 대상물이 이동 도중에 정지되거나 왕동조작을 멈춘 순간 복동하는 사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 ~ 도 10에 나타낸 예〉
도 1 ~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 실린더체(1)는, 양 단부(10a, 10b)를 모두 개방시킨 원통형상을 이루는 통형상체(10)의 내부를 칸막이판(11)에 의해 2개로 구분하도록 해서 구성되어 있다. 칸막이판(11)은 통형상체(10)의 일측의 단부(10a)에 치우친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이 칸막이판(11)과 통형상체(10)의 내측부로서의 타측의 단부(10b)의 사이가 실린더체(1)의 내부공간(12)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실린더체(1)의 외측에는 이 실린더체(1)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속되는 연장부(13)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연장부(13)에는 실린더체(1)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체(2)는 상기한 실린더체(1)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구비한 원형의 판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체(2)의 외주에는 실링(20)이 끼워져 있고, 이 실링(20)에 의해 피스톤체(2)의 외주부와 실린더체(1)의 내주부의 사이가 기밀상태로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실링(20)은 환형을 이루고, 고무 또는 고무형상 탄성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실링(20)은 피스톤체(2)의 이동방향(x)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2개소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23)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한 플랜지(23)는 판형상을 이루는 피스톤체(2)의 두께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됨과 아울러, 피스톤체(2)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리브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23) 형성 개소에 있어서의 피스톤체(2)의 외경은 실린더체(1)의 내경보다 약간 작고, 한편, 실링(20)의 외경은 실린더체(1)의 내경보다 약간 크고, 또한, 실링(20)의 내경은 2개소의 플랜지(23) 사이에 위치하는 피스톤체(2)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링(20)이 위치되는 개소에서는 실린더체(1)와 피스톤체(2)의 사이가 기밀상태로 밀봉되게 되어 있다. 또, 2개소의 플랜지(23,23) 사이의 간격은 실링(20)의 굵기보다 크고, 피스톤체(2)의 이동에 의해 2개소의 플랜지(23,23) 사이에서 실링(20)이 피스톤체(2)의 이동방향(x)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2개소의 플랜지(23) 모두 일부가 노치(notch)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2개소의 플랜지(23)의 일측의 노치부(23a)의 일단과 타측의 노치부(23a)의 일단이 피스톤체(2)의 이동방향(x)을 따르는 가상의 직선 상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한 2개소의 플랜지(23)의 일측의 노치부(23a)의 타단과 타측의 노치부(23a)의 타단이 피스톤체(2)의 이동방향(x)을 따르는 가상의 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2개소의 플랜지(23)의 노치부(23a)는 피스톤체(2)의 이동방향(x)에 있어서 일측의 플랜지(23)의 노치부(23a)의 후방에 타측의 플랜지(23)의 노치부(23a)가 같은 넓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노치부(23a)는 실린더체(1)의 내부공간(12)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었을 때에, 실링(20)의 일부를 변형시키면서 인입 가능하도 록 하는 넓이로 되어 있다.
도 1 ~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피스톤체(2)에 있어서의 실린더체(1)의 내부공간(12)에 면하는 측에 있는 플랜지(23)(이하, 이 플랜지(23)를 내측 플랜지(23b)라고 하고, 그 나머지의 플랜지(23)를 외측 플랜지(23c)라고 한다.)의 노치부(23a)에 상기 통로(24)가 되는 오목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오목부(24a)는, 2개소의 플랜지(23)의 사이에 형성된 실링(20) 유지부(25)에서 멀어질수록, 피스톤체(2)의 이동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오목부(24a)는, 피스톤체(2)의 외주면(2a)에 형성된 정상부(24b)가 외부측을 향하고, 저변(底邊)이 피스톤체(2)의 내부공간(12)에 면한 내면 가장자리부가 되도록 한, 대략 삼각형의 윤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피스톤체(2)가 상기 이격 이동할 때에는 실링(20)이 상기 내측 플랜지(23b)에 압압되는데(도 8), 이 위치에 있는 실링(20)과 피스톤체(2)의 외주면(2a)의 접촉 개소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12)을 구획하는 피스톤체(2)의 내측 단면(2b)측에 상기 오목부(24a)가 그 정상부(24b)를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린더체(1)의 내부공간(12)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가 될 때까지는 통로(24)를 실링(20)에 의해 폐색해 둘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이 압력차에 의해, 고압인 외부측에서 실링(20)의 일부를 휘게 해서 노치부(23a)로 인입시켜서 통로(24)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도 9).
이 예에서는, 통로(24)가 상기와 같이 내부공간(12)을 향할수록 폭이 점증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압력차가 크면 클수록 노치부(23a)에 대한 인입량을 크게 하는 실링(20)에 의해, 상기 압력차가 클수록 개방되는 통로(24)의 폭을 넓혀서 압력차를 단시간에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도 1 ~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피스톤체(2)가 복동 동작할 때에는 실링(20)이 상기 외측 플랜지(23c)에 압압되는데(도 10), 이 외측 플랜지(23c)의 노치부(23a)에는 피스톤체(2)의 외주면(2a)에 피스톤체(2)의 이동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3개의 홈(2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3개의 홈(26a)은 그 일단을 피스톤체(2)의 외측 단면(2c)에서 개방시키고, 또한, 그 타단을 내측 플랜지(23b)에 압압된 위치에 있는 실링(20)과 피스톤체(2)의 외주면(2a)의 접촉 개소에 있어서, 피스톤체(2)의 내측 단면(2b)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예에서는, 피스톤체(2)가 복동 동작해서 실링(20)이 외측 플랜지(23c)에 압압되면, 상기한 접촉 개소가 3개의 홈(26a)의 타단보다 피스톤체(2)의 외측 단면(2c)측으로 이동해서 3개의 홈(26a)이 개방되고, 이 3개의 홈(26a)을 통한 내부공간(12)에서의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상기한 3개의 홈(26a)이 상기 배기로(26)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도 10).
피스톤체(2)에 있어서의 실린더체(1)의 타측의 단부(10b)를 향하는 측에는, 가늘고 긴 판형상을 이루는 피스톤 로드(21)의 일단이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실린더체(1)의 타측의 단부(10b)는 상기 피스톤 로드(21)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구멍(30)을 구비한 덮개(3)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21)는 이 덮개(3)의 관통구멍(30)을 통해서 실린더체(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 그 돌출 단부에는 제동 대상물에 대한 고정용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체(1)에 있어서의 피스톤체(2)와 서로 마주보는 내측부(14), 즉 상기 칸막이판(11)에는 통기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통기구멍(14a)이 칸막이판(11)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피스톤체(2)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구비한 관형상체(14b)에 의해 상기한 칸막이판(11)에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체(1)는 또, 상기 통기구멍(14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부(40)를 구비한 마개형상체(4)와, 이 마개형상체(4)의 탄지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마개형상체(4)는 상기 축부(40)를 일체로 구비한 머리부(41)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한 머리부(41)는, 실린더체(1)를 구성하는 통형상체(10)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구비한 원판형상체(41a)의 일면측에 있어서, 그 가장자리부에 기립부(41b)를 형성시켜서 이루어진다. 축부(40)는 상기 머리부(41)의 일면측의 대략 중앙부에 일단을 일체로 접합시켜서, 상기 일면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실린더체(1)를 구성하는 통형상체(10)를 구획하는 상기 칸막이판(11)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체(10)에 구멍형상을 이루는 피 걸어맞춤부(15)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마개형상체(4)의 머리부(41)에 상기 피 걸어맞춤부(15)에 삽입되는 돌조형상을 이루는 걸어맞춤부(41c)가 구비되어 있다. 피 걸어맞춤부(15)는 통형상체(10)의 직경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걸어맞춤 부(41c)도 이것에 대응해서 상기 머리부(41)의 직경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41c)는 머리부(41)를 구성하는 원판형상체(41a)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길게 이어지는 리브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1쌍의 걸어맞춤부(41c,41c)의 돌출 단부 사이의 치수는 실린더체(1)를 구성하는 통형상체(1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한편, 피 걸어맞춤부(15)는 통형상체(10)의 둘레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대략 장방형의 관통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피 걸어맞춤부(15)의 길이는 걸어맞춤부(41c)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린더체(1)를 구성하는 통형상체(10)의 칸막이판(11)의 외측에서 이 통형상체(10) 내에, 축부(40)를 통기구멍(14a)에 삽입하도록 해서 마개형상체(4)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피 걸어맞춤부(15)에 걸어맞춤부(41c)를 걸어맞춰서, 상기 통기구멍(14a)에 마개형상체(4)의 축부(40)를 삽입시킨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실린더체(1)를 구성하는 통형상체(10)가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통형상체(10) 내에 대한 마개형상체(4)의 상기 삽입 시에, 걸어맞춤부(41c)에 의해 주로 상기 통형상체(10)의 측부가 일단 탄성변형되고, 걸어맞춤부(41c)가 피 걸어맞춤부(15)에 삽입된 위치에서의 탄성 복귀에 의해 피 걸어맞춤부(15)에 걸어맞춤부(41c)가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체(1)의 축방향으로의 피 걸어맞춤부(15)의 치수는 걸어맞춤부(41c)의 실린더체(1)의 축방향으로의 치수보다 약간 크고, 이와 같이 실린더체(1)에 조립된 마개형상체(4)는 실린더 체(1)의 축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탄지수단(5)은, 상기 마개형상체(4)의 축부(40)와 통기구멍(14a)을 구성하는 관형상체(14b)에 있어서의 칸막이판(11)의 외측에 위치되는 돌출부의 외측에 감기도록 구비되어 있고, 일단이 마개형상체(4)의 머리부(41)에 압압되고, 또한 타단이 칸막이판(11)의 외측에 압압된 압축코일 스프링(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50)에 의해 상기와 같이 실린더체(1)에 조립된 마개형상체(4)는 통형상체(10)의 일측의 단부(10a)측에 위치되는 피 걸어맞춤부(15)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춤부(41c)를 압압시키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체(2)를 이동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탄지수단(5)에 의해, 후술하는 마개형상체(4)의 축부(40)의 스로틀부(40b)가 실린더체(1)의 통기구멍(14a)의 외측, 즉, 관형상체(14b)의 외측 단부의 외측에 위치되게 되어 있다(도 4).
상기 마개형상체(4)의 축부(40)는, 이 축부(40)에 있어서의 실린더체(1)의 내부공간(12)측에 위치되는 단부에서부터 시작되어 그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40a)을 구비하고 있고, 이 홈(40a)의 종단측에는 이 홈의 깊이 및 폭의 쌍방 또 는 어느 일측을 감소시키는 스로틀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지수단(5)의 탄지에 의해 마개형상체(4)의 축부(40)의 스로틀부(40b)가 실린더체(1)의 통기구멍(14a)의 외측에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실린더체(1)의 내측부(1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스톤체(2)가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탄지에 저항해서 마개형상체(4)의 축부(40)의 스로틀부(40b)가 통기구멍(14a) 내에 삽입되게 되어 있다.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2)가 실린더체(1)의 내측부(1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되면, 실린더체(1) 내의 에어는 마개형상체(4)의 축부(40)의 홈(40a)과 통기구멍(14a)의 내면 사이를 통과해서 배기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마개형상체(4)의 둘레가장자리 기립부(41b)에 관통구멍(41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기구멍(14a)에서 배기된 에어가 이 관통구멍(41d)이나 피 걸어맞춤부(15)를 통과해서 외측으로 송출된다.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2)가 실린더체(1)의 내측부(1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되면, 실린더체(1)의 내부가 부압이 되기 때문에, 마개형상체(4)의 축부(40)에는 피스톤체(2)의 이동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방향의 힘이 작용되고, 마개형상체(4)가 탄지수단(5)의 탄지에 저항해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마개형상체(4)가 이동되면, 통기구멍(14a) 내에 상기 스로틀부(40b)의 일부가 삽입되기 때문에, 실린더 내에 에어가 흡기되기 어려워져지고, 피스톤체(2)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이 작용된다. 이것에 의해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력을 크게 작용시킬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피스톤체(2)에 있어서의 실린더체(1)의 내측부(14)를 향한 측에는, 통기구멍(14a)을 구성하는 관형상체(14b)의 내측 단부(14c)가 수납되는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2)의 저면에 관형상체(14b)의 내측 단부(14c)가 맞닿은 위치가 피스톤체(2)가 완전히 전진한 위치가 된다. 피스톤체(2) 가 상기 이격 이동, 즉 후퇴하면, 상기 걸어맞춤부(41c)가 피 걸어맞춤부(15)에 있어서의 통형상체(10)의 타측의 단부(10b)측의 가장자리에 접근하도록 마개형상체(4)가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50)이 압축된다(도 5). 피스톤체(2)의 후퇴가 멈추면 스프링(50)의 탄지력에 의해 마개형상체(4)가 압압되어 스로틀부(40b)가 통기구멍(14a)의 외측으로 다시 위치 결정된다(도 4).
도시한 예에서 상기 스로틀부(40b)는, 마개형상체(4)의 축부(40)의 홈(40a)의 종단측의 저부를 테이퍼면(40c)으로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로틀부(40b)의 통기구멍(14a)에 대한 삽입량이 많아질수록, 피스톤체(2)의 이동에 대한 저항이 커지게 되어 있다. 마개형상체(4)의 축부(40)의 외주면과 통기구멍(14a)의 내주면의 사이에 상응하는 간극이 있는 경우에는 이 간극에 의해서 실린더체(1)의 내부공간(12) 내부에 대한 에어의 인입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스로틀부(40b)가 통기구멍(14a)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도 관계없다.
또, 도시한 예에서 댐퍼장치는, 실린더체(1)를 구성하는 통형상체(10)에 있어서의 칸막이판(11)의 외측에 있는 단부를, 이 칸막이판(11)과의 사이에 마개형상체(4)의 머리부(41)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폐색하는 커버(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커버(6)는, 실린더체(1)를 구성하는 통형상체(10)의 외경과 대략 같은 원판형상체(60)를 가짐과 아울러, 이 원판형상체(60)의 일면측에 그 가장자리부에서 돌출되는 걸어맞춤 아암(6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걸어맞춤 아암(61)은 원판형상체(60)의 직경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걸어맞춤 아암(61)의 선단 부의 외측에는 작은 돌기(61a)가 형성되어 있고, 통형상체(10)의 일단측에서 이 통형상체(10) 내부에 상기한 걸어맞춤 아암(61)을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통형상체(10)의 상기 피 걸어맞춤부(15)의 측방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16)에 탄성에 의해 상기 작은 돌기(61a)가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시한 예에서는, 댐퍼장치의 설치 개소 주변에 배치되는 부재들이 마개형상체(4)에 맞닿아서 통기구멍(14a) 내에 예기치 않게 스로틀부(40b)가 삽입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예〉
도 11에 나타낸 예는, 도 1 ~ 도 10에 나타낸 예와 반대로, 외측 플랜지(23c)의 노치부(23a)에 상기 통로(24)가 되는 오목부(24a)가 형성되고, 내측 플랜지(23b)의 노치부(23a)에 3개의 홈(27a)이 형성되고, 이 3개의 홈(27a)이 흡기로(27)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도, 실린더체(1)의 내부공간(12)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가 될 때까지는, 통로(24)를 실링(20)에 의해 폐색해 둘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이 압력차에 의해, 고압인 내부공간(12)측에서 실링(20)의 일부를 휘게 해서 노치부(23a)에 인입시켜서 통로(24)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외〉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유체를 에어(기체)로 하고 있지만, 유체를 액체로 하는 경우에도 이상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기능한다. 예를 들어, 제동 대상물이 액체 내에 잠겨서 이용되는 경우나, 실린더체(1)를 도시하지 않은 외부 케이스에 거듭 수납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를 액체로 채우도록 하는 등 한 경우에는 이러한 액체를 이용해서 제동 대상물에 제동을 부여시킬 수 있다.
도 1은 댐퍼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댐퍼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댐퍼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댐퍼장치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댐퍼장치의 주요부 확대단면도
도 6은 댐퍼장치의 주요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피스톤체(2)의 사시 구성도
도 8은 댐퍼장치의 주요부 파단 사시 구성도
도 9는 댐퍼장치의 주요부 파단 사시 구성도
도 10은 댐퍼장치의 주요부 단면 구성도
도 11은 댐퍼장치의 변경예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 구성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체 12 - 내부공간
14 - 내측부 2 - 피스톤체
20 - 실링 24 - 통로

Claims (5)

  1. 실린더체 및 피스톤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이들 중 어느 일측을 제동 대상물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체에는 실린더체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이 구비되어 있고,
    피스톤체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와 실린더체의 내측부 사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었을 때에 실링의 일부에 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통로를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2. 실린더체 및 피스톤체를 구비하고, 적어도 이들 중 어느 일측을 제동 대상물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제동 대상물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제동을 부여하는 댐퍼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체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와 실린더체의 내측부 사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가 될 때까지는 이 압력차에 따른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피스톤체에는 실린더체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이 구비되어 있고,
    피스톤체의 이동 또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피스톤체와 실린더체의 내측부 사이의 내부공간과 외부의 압력차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었을 때에 실링의 일부에 휨변형을 발생시켜서, 이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통로를 개방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피스톤체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2개소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체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 사이에 실링이 수납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플랜지의 적어도 일측은 그 일부가 실링의 일부를 인입 가능하도록 노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플랜지의 노치부에 통로가 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오목부는, 실링측에서 멀어질수록 피스톤체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폭을 점차 넓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KR1020090054312A 2008-06-18 2009-06-18 댐퍼장치 KR20090131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59455 2008-06-18
JP2008159455A JP2010001920A (ja) 2008-06-18 2008-06-18 ダンパー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665A true KR20090131665A (ko) 2009-12-29

Family

ID=4143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312A KR20090131665A (ko) 2008-06-18 2009-06-18 댐퍼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53810B2 (ko)
EP (1) EP2302251A1 (ko)
JP (1) JP2010001920A (ko)
KR (1) KR20090131665A (ko)
CN (1) CN102066802A (ko)
WO (1) WO20091541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320A (ko) * 2015-09-18 2017-03-2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2412B2 (ja) 2010-10-26 2014-07-16 株式会社ニフコ ピストンダンパー
JP5959164B2 (ja) * 2011-07-19 2016-08-02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US20130105488A1 (en) * 2011-10-26 2013-05-02 Umbra Llc Step garbage can with damper
ES2405850B1 (es) * 2011-11-29 2014-07-30 Técnicas Aplicadas De Presión, S.L. Diseño de cilindro-pistón a gas
JP5844143B2 (ja) * 2011-12-27 2016-01-13 株式会社ニフコ エアーダンパー
JP5972657B2 (ja) 2012-05-11 2016-08-17 株式会社ニフコ グローブボックス
JP5587961B2 (ja) * 2012-10-31 2014-09-10 株式会社ショーワ 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
FR3003921B1 (fr) * 2013-03-27 2015-09-18 Alstom Transport Sa Amortisseur hydraulique bi-mode
US9475421B2 (en) 2013-10-23 2016-10-25 Burton Technologies, Llc Reflector damper bracket
WO2015114885A1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装置
KR101408768B1 (ko) * 2014-03-12 2014-06-18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압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힌지용 가변형 완충댐퍼
JP6368427B2 (ja) * 2015-04-16 2018-08-0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装置
JP6576321B2 (ja) * 2016-10-26 2019-09-18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
US11719381B2 (en) 2020-10-05 2023-08-08 Asyst Technologies L.L.C. Adjustable linkage arm
JP7481993B2 (ja) * 2020-10-23 2024-05-1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装置
JP7449885B2 (ja) * 2021-02-15 2024-03-14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06Y2 (ja) * 1978-02-28 1985-01-30 松下電工株式会社 引戸のダンパ−装置
JPS56147936A (en) * 1980-04-14 1981-11-17 Sharp Corp Air damper device
JPH01307531A (ja) * 1988-06-03 1989-12-12 Fuji Seiki Co Ltd エアダンパ
CN2042531U (zh) * 1988-10-17 1989-08-09 北京医疗设备四厂 拉伸式气弹簧
JP2779815B2 (ja) * 1988-11-07 1998-07-23 株式会社ニフコ シリンダ型エアダンパー
US5035440A (en) * 1989-08-09 1991-07-30 Chappell International, Inc. Pump
EP0485427A1 (en) * 1989-08-09 1992-05-20 Bike-O-Matic Ltd Pump
DE4236150A1 (de) * 1992-10-27 1994-04-28 Stabilus Gmbh Stufenlos blockierbare Gasfeder
JPH07165034A (ja) 1993-12-17 1995-06-27 Toyota Tekko Kk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ペダルのダンパ装置
JPH08105482A (ja) 1994-10-07 1996-04-23 Nifco Inc エアダンパ
US5697477A (en) 1994-10-07 1997-12-16 Nifco Inc. Air damper
JPH08239020A (ja) * 1995-03-03 1996-09-17 Toyota Tekko Kk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ペダルのダンパ装置
JP4260949B2 (ja) 1998-12-07 2009-04-30 株式会社ニフコ エアダンパ
CN1159534C (zh) * 2002-04-05 2004-07-28 蔡康荣 带调速机构的气动弹簧
JP2005291327A (ja) * 2004-03-31 2005-10-20 Piolax Inc エアダンパ
JP4853278B2 (ja) 2006-12-25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照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320A (ko) * 2015-09-18 2017-03-2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4183A1 (ja) 2009-12-23
US20110127129A1 (en) 2011-06-02
CN102066802A (zh) 2011-05-18
US8453810B2 (en) 2013-06-04
JP2010001920A (ja) 2010-01-07
EP2302251A1 (en)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31665A (ko) 댐퍼장치
JP5022106B2 (ja) ダンパー装置
JPS6035812Y2 (ja) ガススプリング
JP6138278B2 (ja) ダンパー
JP6594864B2 (ja) 摺動可能なプランジャープラグ、およびそれを有するシリンジ装置
KR0141856B1 (ko) 에어댐퍼
JP6368549B2 (ja) エアダンパ
US8528708B2 (en) Air damper
US20180259026A1 (en) Damper
US20120211317A1 (en) Damper device
JP2012031887A (ja) ダンパー
JP2009074596A (ja) 液体ダンパー装置
JP2008025713A (ja) ダンパー装置
JP5574984B2 (ja) ピストンシール要素及び、ピストンシール要素を備える減速装置
EP2469121A1 (en) Damper device
KR101461312B1 (ko) 차량 브레이크 부스터용 키
JP5014049B2 (ja) ダンパー装置
KR101891372B1 (ko) 댐퍼 장치
JPS5827136Y2 (ja) 両方向に作動する油圧緩衝器
CN211231587U (zh) 下缸体测漏用密封圈涨紧机构
KR20240038335A (ko) 자동차용 에어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